KOSSDA Loading
Survey data Member Access

Comparative Survey on the Consumer Culture of Korea, United States, and Sweden, 2006

https://doi.org/10.22687/KOSSDA-A1-2006-0142-V1.0

Go to List

Principal Investigator(s)

Gim, Seonu / Samsung Electronics Co., Ltd.


Abstract

이 조사는 국가 간 소비문화 차이에 대한 이해를 통해 글로벌마케팅의 시사점을 도출하려는 목적 하에 한국, 미국, 스웨덴 3국의 소비문화를 비교하고 인구집단별 차이를 살펴보고자 시행한 것이다. 조사는 각국의 20-40대 인구를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국가별 사례수는 500명이다. 주요 조사내용에는 소비성향, 상품구매행태, 소비지출행태, 여가생활과 사회참여, 사회관계적 성향, 심리정서적 특성, 사회신뢰, 국가자긍심, 사회가치관 등이 포함되어 있다. 특히, 다차원 척도로 측정되는 소비성향은 개인적 기능 지향, 사회적 기능 지향, 개인적 상징 지향, 사회적 상징 지향의 4개 차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차원은 각각 경제성과 검약, 윤리적 소비와 친환경, 향유와 자기표현, 타자승인과 유명선호의 하위차원들로 구성되어 있다.

View all



File Type File Name File Description File Format File Size Download
Related Documents-Questionnaire(Korean) kor_que_20060142.pdf 설문지 (한글) PDF 128.54 kB Download
Related Documents-Questionnaire(English) eng_que_20060142.pdf 설문지 (영문) PDF 280.21 kB Download
Related Documents-Other swe_que_20060142.pdf 설문지 (스웨덴) PDF 278.5 kB Download
Related Documents-Codebook(Korean) kor_codebook_20060142.pdf 코드북 (한글) PDF 530.57 kB Download
  • Sort by
  • Sort by
Go to List
Views
1,301
Related
Documents
2,083
Data Downloads
9

Measured since the release date of the current version data.
If the data were released before May 11, 2017, it was measured since May 11,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