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SSDA Loading
조사자료 회원공개

직업안정기관의 직업상담 이용 실태조사, 1999

https://doi.org/10.22687/KOSSDA-A1-1999-0015-V1.0

목록으로

연구책임자

이상록 / 군산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초록

IMF 외환이기 이후 실업대책의 일환으로 도입·강화된 공공직업안정기관의 구직상담사업 성과와 한계를 평가하고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기 위해 「실직자 구직상담의 효과 분석」 연구가 수행되었다. 「직업안정기관의 직업상담 이용 실태조사」는 이 연구에 이용될 기초자료를 수집하고자 실시되었으며, 상담효과 분석이 가능하도록 조사대상이 취업자와 구직자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이 조사의 설문지는 크게 공공직업안정기관 이용실태, 구직활동, 직장경력 등 3개 부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공공직업안정기관 이용실태 부문에는 처음 방문한 기관, 방문 이유, 타 기관 이용여부, 제공받은 서비스, 직업상담 내용, 직업상담 횟수와 상담시간, 직업상담 빈도, 취업알선 여부, 공공직업안정기관의 취업 도움정도 등의 문항들이 포함되어 있다. 구직활동 부문에는 구직경로, 취업문의 횟수, 이력서제출 횟수, 면접횟수, 자격증 소지여부, 직업훈련 여부, 취업시 고려요소, 취업전망 등의 문항들이 포함되어 있다. 직장경력 부문에는 전 직장의 업종, 자신의 직종, 고용형태, 직장규모, 월급여, 퇴직이유 등의 문항들이 포함되어 있다. 이외 취업경로와 고용상태에 관한 문항들은 취업자 대상의 설문지에만 포함되어 있다.

더 보기


주제분류

고용과 노동


파일유형 파일명 파일내용 파일형식 파일크기 다운로드
관련파일-설문지(한글) kor_que_19990015.pdf 설문지 (한글) PDF 824.61 kB 다운로드
관련파일-코드북(한글) kor_codebook_19990015.pdf 코드북 (한글) PDF 302.56 kB 다운로드
  • 정렬 기준
  • 정렬
목록으로
조회 수
994
관련 파일
1,095
데이터
1

현재 자료 버전 공개일 이후 집계치.
단, 2017년 5월 11일 이전 공개 자료의 경우 2017년 5월 11일 이후 집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