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SSDA Loading
조사자료 회원공개

신뢰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2001

https://doi.org/10.22687/KOSSDA-A1-2001-0029-V1.0

목록으로

연구책임자

김재한 / 한림대학교 정치행정학과 교수


연구수행기관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초록

신뢰는 사람들간의 협조를 가능하게 하고 인간관계를 원활하게 하는 사회적 자본으로 기능한다. 특히 조직간에 협동적 노력이 요구되거나 거래 혹은 그 밖의 다른 관계에서 신뢰는 필수 불가결한 기본 요건이다. 따라서, 대인신뢰, 사회신뢰, 공적신뢰 등 신뢰에 대한 폭넓은 연구는 한국 사회의 현재 모습을 진단하고 미래의 방향을 설정하는데 중요하다.
이 조사는 한국 사회의 전반적인 신뢰수준을 파악하고, 신뢰에 대한 미시적/거시적 연구에 활용될 수 있는 자료를 구축할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그 설문지는 사회에 대한 일반적 인식, 제도/조직 및 사람에 대한 신뢰, 공무원에 대한 인식, 정보제공에 대한 신뢰, 가치관, 사회적 활동, 경제상황에 대한 평가, 주관적 계층의식 등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더 보기



파일유형 파일명 파일내용 파일형식 파일크기 다운로드
관련파일-설문지(한글) kor_que_20010029.pdf 설문지 (한글) PDF 2.29 MB 다운로드
관련파일-코드북(한글) kor_codebook_20010029.pdf 코드북 (한글) PDF 661.94 kB 다운로드
관련파일-설문지(영문) eng_que_20010029.pdf Questionnaire (English) PDF 168.12 kB 다운로드
관련파일-코드북(영문) eng_codebook_20010029.pdf Codebook (English) PDF 373.64 kB 다운로드
응답자 ID
배경변수
사회에 대한 신뢰
기관/대인 신뢰
기관신뢰
기관/제도에 대한 신뢰
사회지도층에 대한 신뢰
대인신뢰
주변국가(국민)에 대한 신뢰
집단간 불신
공무원에 대한 신뢰
언론매체에 대한 신뢰
매체 이용
주로 이용하는 정보제공 매체
신문구독
TV 뉴스 시청
언론매체에 대한 신뢰
언론매체의 정치적 성향 평가
신뢰하는 기업의 특성
자신의 성격 평가
신뢰에 대한 의견
집단 간 신뢰 비교
사회에 대한 가치관
사회단체참여
가입여부
참여여부
가입단체수
경제상황 평가
실직/범죄피해/차별 경험
주관적 계층의식
정치적 성향
주요 가치들에 대한 인식
주요 가치의 개인적 중요성 평가
주요 가치의 사회적 필요성 평가
주요 가치의 실천 가능성 평가
신뢰사회 캠페인
  • 정렬 기준
  • 정렬
목록으로
조회 수
1,279
관련 파일
1,860
데이터
21

현재 자료 버전 공개일 이후 집계치.
단, 2017년 5월 11일 이전 공개 자료의 경우 2017년 5월 11일 이후 집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