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간 관계 인식조사, 2005 : 기초자치단체
https://doi.org/10.22687/KOSSDA-A1-2005-0059-V1.0
최유성 / 한국행정연구원 연구위원
1996년 지방자치제의 실시로 지방정부들이 독립된 행정주체로 등장하면서 국가의 행정체계가 다원화 되고 있다. 이에 따라 행정주체들 간 관계로부터 야기되는 여러 가지 문제들이 국가행정 전반의 중요한 연구대상으로 등장하였다. 『정부간 관계 인식조사』는 지방자치와 관련된 다양한 행정수요와 이에 대한 문제해결 및 대안개발을 위한 기초자료 축적을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 조사는 중앙정부, 광역자치단체, 기초자치단체를 대상으로 각각 수행되었으며, 본 자료는 기초자치단체 공무원들로부터 수집된 것이다. 그 설문지는 정부간 관계(the Intergovernmental Relations)를 기능적 관계, 재정적 관계, 인적 관계, 통제적 관계로 구분하고 있으며, 지방자치제 실시로 중앙정부, 광역, 기초 자치단체 공무원들 간 어떠한 관계를 형성되었는지 살펴볼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한국행정연구원은 2005년 중앙정부 공무원 (A1-2005-0057), 광역자치단체 공무원 (A1-2005-0058), 기초자치단체 공무원 (A1-2005-0059) 조사를 동시에 시행하였으며, 모두 KOSSDA에서 이용가능하다.
파일유형 | 파일명 | 파일내용 | 파일형식 | 파일크기 | 다운로드 |
---|---|---|---|---|---|
관련파일-설문지(한글) | kor_que_20050059.pdf | 설문지 (한글) | 212.99 kB | 다운로드 | |
관련파일-코드북(한글) | kor_codebook_20050059.pdf | 코드북 (한글) | 311.59 kB | 다운로드 | |
관련파일-설문지(영문) | eng_que_20050059.pdf | Questionnaire (English) | 107.39 kB | 다운로드 | |
관련파일-코드북(영문) | eng_codebook_20050059.pdf | Codebook (English) | 199.45 kB | 다운로드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 | 농사 | 1 | 0 |
1.3%
|
- | 농업 | 1 | 0 |
1.3%
|
- | 일반행정 | 2 | 0 |
2.6%
|
- | 전산 | 1 | 0 |
1.3%
|
- | 지방 | 1 | 0 |
1.3%
|
- | 지방행정 | 1 | 0 |
1.3%
|
- | 행정 | 69 | 0 |
89.6%
|
- | 행정직 | 1 | 0 |
1.3%
|
This variable is character
Value | Label | N | WN | |
---|---|---|---|---|
- | 5 | 2 | 0 |
2.5%
|
- | 6 | 17 | 0 |
21.5%
|
- | 7 | 38 | 0 |
48.1%
|
- | 8 | 12 | 0 |
15.2%
|
9 | 무응답 | 10 | 0 |
12.7%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 | 1 | 6 | 0 |
7.6%
|
- | 2 | 3 | 0 |
3.8%
|
- | 4 | 1 | 0 |
1.3%
|
- | 5 | 2 | 0 |
2.5%
|
- | 8 | 2 | 0 |
2.5%
|
- | 9 | 4 | 0 |
5.1%
|
- | 11 | 2 | 0 |
2.5%
|
- | 12 | 3 | 0 |
3.8%
|
- | 13 | 5 | 0 |
6.3%
|
- | 14 | 5 | 0 |
6.3%
|
- | 15 | 11 | 0 |
13.9%
|
- | 16 | 4 | 0 |
5.1%
|
- | 17 | 2 | 0 |
2.5%
|
- | 18 | 2 | 0 |
2.5%
|
- | 20 | 3 | 0 |
3.8%
|
- | 22 | 1 | 0 |
1.3%
|
- | 23 | 2 | 0 |
2.5%
|
- | 24 | 2 | 0 |
2.5%
|
- | 25 | 6 | 0 |
7.6%
|
- | 26 | 3 | 0 |
3.8%
|
- | 27 | 1 | 0 |
1.3%
|
- | 28 | 1 | 0 |
1.3%
|
- | 34 | 1 | 0 |
1.3%
|
99 | 무응답 | 7 | 0 |
8.9%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 | 0 | 8 | 0 |
10.1%
|
- | 1 | 7 | 0 |
8.9%
|
- | 2 | 6 | 0 |
7.6%
|
- | 3 | 3 | 0 |
3.8%
|
- | 4 | 2 | 0 |
2.5%
|
- | 5 | 4 | 0 |
5.1%
|
- | 6 | 6 | 0 |
7.6%
|
- | 7 | 7 | 0 |
8.9%
|
- | 8 | 6 | 0 |
7.6%
|
- | 9 | 2 | 0 |
2.5%
|
- | 10 | 6 | 0 |
7.6%
|
- | 11 | 6 | 0 |
7.6%
|
99 | 무응답 | 16 | 0 |
20.3%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 | 0 | 6 | 0 |
7.6%
|
- | 1 | 24 | 0 |
30.4%
|
- | 2 | 13 | 0 |
16.5%
|
- | 3 | 3 | 0 |
3.8%
|
- | 4 | 1 | 0 |
1.3%
|
- | 5 | 2 | 0 |
2.5%
|
- | 6 | 1 | 0 |
1.3%
|
- | 7 | 1 | 0 |
1.3%
|
- | 9 | 2 | 0 |
2.5%
|
- | 13 | 2 | 0 |
2.5%
|
99 | 무응답 | 24 | 0 |
30.4%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 | 0 | 6 | 0 |
7.6%
|
- | 1 | 7 | 0 |
8.9%
|
- | 2 | 5 | 0 |
6.3%
|
- | 3 | 7 | 0 |
8.9%
|
- | 4 | 1 | 0 |
1.3%
|
- | 5 | 10 | 0 |
12.7%
|
- | 6 | 13 | 0 |
16.5%
|
- | 7 | 3 | 0 |
3.8%
|
- | 8 | 4 | 0 |
5.1%
|
- | 9 | 1 | 0 |
1.3%
|
- | 10 | 8 | 0 |
10.1%
|
- | 11 | 2 | 0 |
2.5%
|
99 | 무응답 | 12 | 0 |
15.2%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시(50만이상) | 3 | 0 |
3.8%
|
2 | 시(50만이하) | 22 | 0 |
27.8%
|
3 | 군 | 35 | 0 |
44.3%
|
4 | 자치구 | 17 | 0 |
21.5%
|
9 | 무응답 | 2 | 0 |
2.5%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통합시이며 도농복합형태시임 | 18 | 0 |
22.8%
|
2 | 통합시이나 도농복합형태시는 아님 | 4 | 0 |
5.1%
|
3 | 통합시도 아니며 당연히 도농복합형태시도 아님 | 11 | 0 |
13.9%
|
9 | 무응답 | 46 | 0 |
58.2%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공무원 | 31 | 0 |
39.2%
|
2 | 정치인 | 22 | 0 |
27.8%
|
3 | 기업인 | 10 | 0 |
12.7%
|
4 | 기타 | 12 | 0 |
15.2%
|
9 | 무응답 | 4 | 0 |
5.1%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열린우리당 | 15 | 0 |
19%
|
2 | 한나라당 | 35 | 0 |
44.3%
|
3 | 민주노동당 | 2 | 0 |
2.5%
|
4 | 무소속 | 17 | 0 |
21.5%
|
5 | 민주당 | 3 | 0 |
3.8%
|
9 | 무응답 | 7 | 0 |
8.9%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매우 협조적이다 | 1 | 0 |
1.3%
|
2 | 대체로 협조적이다 | 20 | 0 |
25.3%
|
3 | 보통이다 | 23 | 0 |
29.1%
|
4 | 대체로 갈등 관계이다 | 29 | 0 |
36.7%
|
5 | 심한 갈등 관계이다 | 3 | 0 |
3.8%
|
6 | 잘 모르겠다 | 3 | 0 |
3.8%
|
9 | 무응답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매우 협조적이다 | 1 | 0 |
1.3%
|
2 | 대체로 협조적이다 | 38 | 0 |
48.1%
|
3 | 보통이다 | 26 | 0 |
32.9%
|
4 | 대체로 갈등 관계이다 | 11 | 0 |
13.9%
|
5 | 심한 갈등 관계이다 | 2 | 0 |
2.5%
|
6 | 잘 모르겠다 | 1 | 0 |
1.3%
|
9 | 무응답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기능배분 | 13 | 0 |
16.5%
|
2 | 재정관계 | 50 | 0 |
63.3%
|
3 | 인적관계 | 6 | 0 |
7.6%
|
4 | 행정관리상관계 | 7 | 0 |
8.9%
|
5 | 잘 모르겠다 | 2 | 0 |
2.5%
|
9 | 무응답 | 1 | 0 |
1.3%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 | 26 | 0 |
32.9%
|
2 | 지방단체장의 개인적 역량 | 11 | 0 |
13.9%
|
3 | 중앙과 지방공무원 각자의 협조적 의식 | 34 | 0 |
43%
|
4 | 담당 공무원간 의 잦은 접촉에 근거한 평소의 인간관계 | 6 | 0 |
7.6%
|
5 | 잘 모르겠다 | 0 | 0 |
0%
|
6 | 기타 | 1 | 0 |
1.3%
|
9 | 무응답 | 1 | 0 |
1.3%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 | 지방자치단체의 재정 자립도가 낮아 국가교부금등 재정면에서 중앙정부로부터 지원을 받기 oans에 | 1 | 0 |
100%
|
This variable is character
Value | Label | N | WN | |
---|---|---|---|---|
1 | 국가공무원이 현격하게 우수하다 | 1 | 0 |
1.3%
|
2 | 국가공무원이 대체로 우수하다 | 15 | 0 |
19%
|
3 | 별 차이 없다 | 50 | 0 |
63.3%
|
4 | 지방공무원이 대체로 우수하다 | 7 | 0 |
8.9%
|
5 | 지방공무원이 현격하게 우수하다 | 4 | 0 |
5.1%
|
9 | 무응답 | 2 | 0 |
2.5%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매우 협조적이다 | 1 | 0 |
1.3%
|
2 | 대체로 협조적이다 | 34 | 0 |
43%
|
3 | 잘 모르겠다 | 14 | 0 |
17.7%
|
4 | 대체로 비협조적이다 | 24 | 0 |
30.4%
|
5 | 매우 비협조적이다 | 5 | 0 |
6.3%
|
9 | 무응답 | 1 | 0 |
1.3%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매일 | 0 | 0 |
0%
|
2 | 매주 | 3 | 0 |
3.8%
|
3 | 매달 | 6 | 0 |
7.6%
|
4 | 매달 1회 이하 | 56 | 0 |
70.9%
|
9 | 무응답 | 14 | 0 |
17.7%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 | 1 | 1 | 0 |
1.3%
|
- | 5 | 3 | 0 |
3.8%
|
- | 9 | 1 | 0 |
1.3%
|
- | 10 | 7 | 0 |
8.9%
|
- | 30 | 1 | 0 |
1.3%
|
- | 50 | 2 | 0 |
2.5%
|
- | 60 | 1 | 0 |
1.3%
|
- | 80 | 2 | 0 |
2.5%
|
- | 90 | 5 | 0 |
6.3%
|
- | 95 | 3 | 0 |
3.8%
|
- | 99 | 1 | 0 |
1.3%
|
- | 100 | 14 | 0 |
17.7%
|
999 | 무응답 | 38 | 0 |
48.1%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매일 | 11 | 0 |
13.9%
|
2 | 매주 | 27 | 0 |
34.2%
|
3 | 매달 | 13 | 0 |
16.5%
|
4 | 매달 1회 이하 | 19 | 0 |
24.1%
|
9 | 무응답 | 9 | 0 |
11.4%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 | 5 | 2 | 0 |
2.5%
|
- | 10 | 1 | 0 |
1.3%
|
- | 20 | 3 | 0 |
3.8%
|
- | 30 | 6 | 0 |
7.6%
|
- | 40 | 3 | 0 |
3.8%
|
- | 50 | 10 | 0 |
12.7%
|
- | 60 | 5 | 0 |
6.3%
|
- | 70 | 4 | 0 |
5.1%
|
- | 75 | 1 | 0 |
1.3%
|
- | 80 | 8 | 0 |
10.1%
|
- | 90 | 6 | 0 |
7.6%
|
- | 95 | 1 | 0 |
1.3%
|
999 | 무응답 | 29 | 0 |
36.7%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문적, 기술적 분야에 대한 자문 | 15 | 0 |
19%
|
2 | 업무상의 문제해결 논의 | 38 | 0 |
48.1%
|
3 | 관계유지를 위한 안부전화 | 2 | 0 |
2.5%
|
4 | 업무수행 절차상 필요성 때문 | 18 | 0 |
22.8%
|
5 | 재정 지원 협의 | 1 | 0 |
1.3%
|
6 | 기타 | 2 | 0 |
2.5%
|
9 | 무응답 | 3 | 0 |
3.8%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 | 법적 검토성, 명확한 규정문의 | 1 | 0 |
100%
|
This variable is character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문적, 기술적 분야에 대한 자문 | 3 | 0 |
3.8%
|
2 | 업무상의 문제해결 논의 | 52 | 0 |
65.8%
|
3 | 관계유지를 위한 안부전화 | 1 | 0 |
1.3%
|
4 | 업무수행 절차상 필요성 때문 | 20 | 0 |
25.3%
|
5 | 재정 지원 협의 | 0 | 0 |
0%
|
6 | 기타 | 1 | 0 |
1.3%
|
9 | 무응답 | 2 | 0 |
2.5%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 | 법적검토성,명확한 규정문의 | 1 | 0 |
100%
|
This variable is character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아니다 | 0 | 0 |
0%
|
2 | 아니다 | 3 | 0 |
3.8%
|
3 | 보통이다 | 11 | 0 |
13.9%
|
4 | 그렇다 | 52 | 0 |
65.8%
|
5 | 매우 그렇다 | 13 | 0 |
16.5%
|
6 | 잘 모르겠다 | 0 | 0 |
0%
|
9 | 무응답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아니다 | 12 | 0 |
15.2%
|
2 | 아니다 | 28 | 0 |
35.4%
|
3 | 보통이다 | 16 | 0 |
20.3%
|
4 | 그렇다 | 20 | 0 |
25.3%
|
5 | 매우 그렇다 | 2 | 0 |
2.5%
|
6 | 잘 모르겠다 | 1 | 0 |
1.3%
|
9 | 무응답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아니다 | 0 | 0 |
0%
|
2 | 아니다 | 1 | 0 |
1.3%
|
3 | 보통이다 | 16 | 0 |
20.3%
|
4 | 그렇다 | 33 | 0 |
41.8%
|
5 | 매우 그렇다 | 26 | 0 |
32.9%
|
6 | 잘 모르겠다 | 3 | 0 |
3.8%
|
9 | 무응답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아니다 | 1 | 0 |
1.3%
|
2 | 아니다 | 4 | 0 |
5.1%
|
3 | 보통이다 | 6 | 0 |
7.6%
|
4 | 그렇다 | 35 | 0 |
44.3%
|
5 | 매우 그렇다 | 29 | 0 |
36.7%
|
6 | 잘 모르겠다 | 4 | 0 |
5.1%
|
9 | 무응답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아니다 | 3 | 0 |
3.8%
|
2 | 아니다 | 15 | 0 |
19%
|
3 | 보통이다 | 20 | 0 |
25.3%
|
4 | 그렇다 | 30 | 0 |
38%
|
5 | 매우 그렇다 | 5 | 0 |
6.3%
|
6 | 잘 모르겠다 | 6 | 0 |
7.6%
|
9 | 무응답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국가사무가 지나치게 많다 | 12 | 0 |
15.2%
|
2 | 국가사무가 약간 많다 | 19 | 0 |
24.1%
|
3 | 균형을 이루고 있다 | 10 | 0 |
12.7%
|
4 | 지방사무가 약간 많다 | 19 | 0 |
24.1%
|
5 | 지방사무가 지나치게 많다 | 9 | 0 |
11.4%
|
6 | 잘 모르겠다 | 9 | 0 |
11.4%
|
9 | 무응답 | 1 | 0 |
1.3%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실제적으로 명확하게 구분되어 있다 | 3 | 0 |
3.8%
|
2 | 어느 정도 기능의 대분류가 이루어져 있어 업무에 지장을 주지는 | 16 | 0 |
20.3%
|
3 | ? | 43 | 0 |
54.4%
|
4 | 상당부분 업무의 기능구분이 불분명하여 업무중복으로 인해 업무 | 3 | 0 |
3.8%
|
5 | ? | 8 | 0 |
10.1%
|
6 | 잘 모르겠다 | 5 | 0 |
6.3%
|
9 | 무응답 | 1 | 0 |
1.3%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구분할 수 있다 | 25 | 0 |
31.6%
|
2 | 부분적으로 구분할 수 있다 | 39 | 0 |
49.4%
|
3 | 구분할 수 없다 | 14 | 0 |
17.7%
|
9 | 무응답 | 1 | 0 |
1.3%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매우 그렇다 | 1 | 0 |
1.5%
|
2 | 약간 그렇다 | 11 | 0 |
16.9%
|
3 | 전혀 그렇지 않다 | 48 | 0 |
73.8%
|
4 | 잘 모르겠다 | 4 | 0 |
6.2%
|
9 | 무응답 | 1 | 0 |
1.5%
|
8 | 비해당 | 14 | 0 |
21.5%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위임사무를 보다 신중하게 처리한다 | 5 | 0 |
7.7%
|
2 | 자치사무를 보다 신중하게 처리한다 | 12 | 0 |
18.5%
|
9 | 무응답 | 48 | 0 |
73.8%
|
8 | 비해당 | 14 | 0 |
21.5%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 | 국가에서 권한과 책임을 부여했기 때문에 | 1 | 0 |
16.7%
|
- | 기관장의 관심도가 다름 | 1 | 0 |
16.7%
|
- | 자치업무 발전제고 | 1 | 0 |
16.7%
|
- | 중앙정부 사무를 소홀히 처리하면 행정의 책임성 및 본인의 신분상 불이익을 고려 | 1 | 0 |
16.7%
|
- | 타사무이기에 신중함이 더함 | 1 | 0 |
16.7%
|
- | 해당자치단체장명의로 처리되기때문 | 1 | 0 |
16.7%
|
This variable is character
Value | Label | N | WN | |
---|---|---|---|---|
1 | 매우 많다 | 1 | 0 |
1.3%
|
2 | 약간 있다 | 20 | 0 |
25.3%
|
3 | 별로 없다 | 45 | 0 |
57%
|
4 | 전혀 없다 | 11 | 0 |
13.9%
|
5 | 잘 모르겠다 | 2 | 0 |
2.5%
|
9 | 무응답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 | 18 | 0 |
32.1%
|
2 | 실제로 구분된 사무에 대한 재정적 지원상의 차이가 없기 때문 | 18 | 0 |
32.1%
|
3 | 실제로 구분된 사무에 대한 非재정적 지원상의 차이가 없기 때문 | 4 | 0 |
7.1%
|
4 | 잘 모르겠다 | 10 | 0 |
17.9%
|
5 | 기타 | 5 | 0 |
8.9%
|
9 | 무응답 | 1 | 0 |
1.8%
|
8 | 비해당 | 23 | 0 |
41.1%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 | 국민적 시각에서 양자 국민을 위한 일이기 때문 | 1 | 0 |
33.3%
|
- | 담당업ㅁ부에 대하여 중요하지 않은 업무는 없다고 사료 | 1 | 0 |
33.3%
|
- | 업무 수행에 있어 위임사무 유무와 관계없이 행정목적달성과 주민편의를 위해 업무를 추진함 | 1 | 0 |
33.3%
|
This variable is character
Value | Label | N | WN | |
---|---|---|---|---|
1 | 단체위임사무만 고유사무화 | 11 | 0 |
13.9%
|
2 | 현행 구분 방식 유지 | 7 | 0 |
8.9%
|
3 | 단체위임·기관위임사무의 고유사무화 | 27 | 0 |
34.2%
|
4 | 기관위임사무를 국가사무화 | 9 | 0 |
11.4%
|
5 | ? | 10 | 0 |
12.7%
|
6 | 잘 모르겠다 | 12 | 0 |
15.2%
|
9 | 무응답 | 3 | 0 |
3.8%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매우 충분하다 | 0 | 0 |
0%
|
2 | 대체로 충분하다 | 10 | 0 |
12.7%
|
3 | 보통이다 | 21 | 0 |
26.6%
|
4 | 대체로 불충분하다 | 30 | 0 |
38%
|
5 | 매우 불충분하다 | 10 | 0 |
12.7%
|
6 | 잘 모르겠다 | 6 | 0 |
7.6%
|
9 | 무응답 | 2 | 0 |
2.5%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실제로 중요한 권한은 전혀 이양되지 않으므로 | 20 | 0 |
47.6%
|
2 | 중요한 권한 중 일부만 이양되므로 | 5 | 0 |
11.9%
|
3 | 이양 후 다른 방법으로 통제하므로 | 1 | 0 |
2.4%
|
4 | 재정 및 인력은 이양하지 않으므로 | 13 | 0 |
31%
|
5 | 이양합의만 해놓고 후속적인 법령조치가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 1 | 0 |
2.4%
|
6 | 잘 모르겠다 | 0 | 0 |
0%
|
9 | 무응답 | 2 | 0 |
4.8%
|
0 | 비해당 | 37 | 0 |
88.1%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중앙부처의 기득권 상실에 대한 두려움 | 19 | 0 |
45.2%
|
2 | 중앙부처의 지방공무원에 대한 불신 | 3 | 0 |
7.1%
|
3 | 중앙부처의 지방자치제 실천의 의지 부족 | 5 | 0 |
11.9%
|
4 |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적·행정적 준비 부족 | 4 | 0 |
9.5%
|
5 | 자치단체장의 소극적 태도(관심·의지 부족) | 0 | 0 |
0%
|
6 | 잘 모르겠다 | 0 | 0 |
0%
|
9 | 무응답 | 11 | 0 |
26.2%
|
0 | 비해당 | 37 | 0 |
88.1%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국내질서유지분야 | 20 | 0 |
25.3%
|
2 | 1차산업(농,수산,임,축산)분야 | 12 | 0 |
15.2%
|
3 | 2차산업(상공업),무역,통상분야 | 1 | 0 |
1.3%
|
4 | 재정,경제,금융,통화분야 | 17 | 0 |
21.5%
|
5 | 사회간접자본(주택,건설,교통,운송,항만)분야 | 8 | 0 |
10.1%
|
6 | 과학기술,정보통신분야 | 0 | 0 |
0%
|
7 | 교육,문화,체육,관광,청소년분야 | 17 | 0 |
21.5%
|
8 | 복지,노동,여성,분야 | 2 | 0 |
2.5%
|
9 | 환경,보건,위생 | 2 | 0 |
2.5%
|
10 | 기타 | 0 | 0 |
0%
|
99 | 무응답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국내질서유지분야 | 0 | 0 |
0%
|
2 | 1차산업(농,수산,임,축산)분야 | 3 | 0 |
3.8%
|
3 | 2차산업(상공업),무역,통상분야 | 1 | 0 |
1.3%
|
4 | 재정,경제,금융,통화분야 | 3 | 0 |
3.8%
|
5 | 사회간접자본(주택,건설,교통,운송,항만)분야 | 8 | 0 |
10.1%
|
6 | 과학기술,정보통신분야 | 1 | 0 |
1.3%
|
7 | 교육,문화,체육,관광,청소년분야 | 22 | 0 |
27.8%
|
8 | 복지,노동,여성,분야 | 15 | 0 |
19%
|
9 | 환경,보건,위생 | 25 | 0 |
31.6%
|
10 | 기타 | 1 | 0 |
1.3%
|
99 | 무응답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자율성을 가지고 일할 수 있게 되었다 | 8 | 0 |
10.1%
|
2 | 별다른 느낌이 없다 | 13 | 0 |
16.5%
|
3 | 업무량만 늘었다는 느낌이 든다 | 25 | 0 |
31.6%
|
4 | 잘 모르겠다 | 2 | 0 |
2.5%
|
9 | 무응답 | 31 | 0 |
39.2%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구체적 업무 지침 부여 | 3 | 0 |
3.8%
|
2 | 교육 실시 | 1 | 0 |
1.3%
|
3 | 인력, 예산 지원 | 39 | 0 |
49.4%
|
4 | 정보, 기술지원 | 0 | 0 |
0%
|
5 | 관여 범위의 조정 | 3 | 0 |
3.8%
|
6 | 조례 (안) 제공 | 0 | 0 |
0%
|
9 | 무응답 | 33 | 0 |
41.8%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매우 불만스럽다 | 18 | 0 |
22.8%
|
2 | 약간 불만스럽다 | 31 | 0 |
39.2%
|
3 | 보통이다 | 20 | 0 |
25.3%
|
4 | 약간 만족스럽다 | 4 | 0 |
5.1%
|
5 | 매우 만족스럽다 | 0 | 0 |
0%
|
6 | 잘 모르겠다 | 6 | 0 |
7.6%
|
9 | 무응답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 | 교부금 등을 가리고 인다등에 압력을 가한다 | 1 | 0 |
5%
|
- | 국비보조의 경우 일정비율을 기초자치단체에서 부담토록 하고 있으나 열악한 재정형편으로 인해 꼭 필요한 사업임에도 포기해야 하는 경우 속출 | 1 | 0 |
5%
|
- | 국세대 지방세 비중차 과다 | 1 | 0 |
5%
|
- | 국세와 지방세 재원의 조정을 국세위주에서 지방으로의 자주재원확보차원으로 바뀌어야 함 | 1 | 0 |
5%
|
- | 균형개발이 필요함(정치적논리배제) | 1 | 0 |
5%
|
- | 너무 적게 재정지원이 된다 | 1 | 0 |
5%
|
- | 모든세원 중앙부처에 의존하는 실정이며, 시·군 단위 소득원은 거의 1차산업으로 소득원이 될만한 고부가가치 높은 소득이 없음 | 1 | 0 |
5%
|
- | 소속 자치단체가 중앙정부의 재정적 지원을 많이 받지 못하고 있음(지역적 관계) | 1 | 0 |
5%
|
- | 자치단체별 재정규모 | 1 | 0 |
5%
|
- | 재정의 효율적인 운영에 자율권 부족. 통제 경향이 많이 있음. 재정 배분의 비합리성 | 1 | 0 |
5%
|
- | 재정이 열악한 자치단체(재정자립도가 낮은단체)에 대해 국가보조금 확대 지원 | 1 | 0 |
5%
|
- | 재정자립도가 낮은 지자체에 대한 지원이 부족하다 | 1 | 0 |
5%
|
- | 재정자립도에 비례하여 너무 지원이 부족하고 실질적이지 못하다 | 1 | 0 |
5%
|
- | 재정적 어려움 해소 부족 | 1 | 0 |
5%
|
- | 재정적으로 예속되어 자체사업 및 예산지출시 압박 | 1 | 0 |
5%
|
- | 재정지원부족 | 1 | 0 |
5%
|
- |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간의 재원배분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다. | 1 | 0 |
5%
|
- | 지방세 분야 확대 | 1 | 0 |
5%
|
- | 지방세 확대 | 1 | 0 |
5%
|
- | 지방에 교부금, 양여금을 많이 내려주어 행정의 불편감소와 주민편의위주의 행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 1 | 0 |
5%
|
This variable is character
Value | Label | N | WN | |
---|---|---|---|---|
1 | 매우 불만스럽다 | 13 | 0 |
16.5%
|
2 | 약간 불만스럽다 | 34 | 0 |
43%
|
3 | 보통이다 | 23 | 0 |
29.1%
|
4 | 약간 만족스럽다 | 2 | 0 |
2.5%
|
5 | 매우 만족스럽다 | 1 | 0 |
1.3%
|
6 | 잘 모르겠다 | 5 | 0 |
6.3%
|
9 | 무응답 | 1 | 0 |
1.3%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 | 각종 사업 시도비 부담금 적음(시도비 부담 과중) | 1 | 0 |
5.6%
|
- | 광역자치단체 재정지원 매우 빈약 | 1 | 0 |
5.6%
|
- | 도세를 징수하고 받는 징수교부금이 낮다. 상향조정 필요함. | 1 | 0 |
5.6%
|
- | 보조금의 형평성에 문제가 있고 또한 시장과 인맥이 있는 구청장은 더 이익을 보기 때문에 | 1 | 0 |
5.6%
|
- | 부담금 비율 조정등 | 1 | 0 |
5.6%
|
- | 세제구조(국도시세등의 불균등한 비율) | 1 | 0 |
5.6%
|
- | 소속 자지단체가 다른 자지단체보다 교섭력이나 관심도가 부족하다고 인식함 | 1 | 0 |
5.6%
|
- | 업무이양에 따른 행·재정적 지원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지자체의 업무과중현상만가져오고 있음 | 1 | 0 |
5.6%
|
- | 예산편성 경우 자치단체의 권한을 제한하고 있음 | 1 | 0 |
5.6%
|
- | 재정을 지원하고 난후 통제가 심함. 지방에서 필요한 사업을 할 수 있도록 재량을 줄 필요성이 있음 | 1 | 0 |
5.6%
|
- | 재정을 통제수단으로 활용하므로 | 1 | 0 |
5.6%
|
- | 재정의 효율적인 운영에 자율권 부족. 통제 경향이 많이 있음. 재정 배분의 비합리성 | 1 | 0 |
5.6%
|
- | 재정자립도에 비례하여 너무 지원이 부족하고 실질적이지 못하다 | 1 | 0 |
5.6%
|
- | 재정적 어려움 해소 부족 | 1 | 0 |
5.6%
|
- | 재정적 자원 미비 | 1 | 0 |
5.6%
|
- | 재정지원의 지역간 불평등 | 1 | 0 |
5.6%
|
- | 지방자치단체 사무를 처리할 수 있도록 재정 확충 필요, 재원 배분 균형 필요 | 1 | 0 |
5.6%
|
- | 특별교부금과 기타보조금으로 자치단체 예속화 통제화 시도 | 1 | 0 |
5.6%
|
This variable is character
Value | Label | N | WN | |
---|---|---|---|---|
1 | 중앙의 재정지원의 감소 | 5 | 0 |
6.3%
|
2 | 지방자치단체 예산운영상의 낭비 | 3 | 0 |
3.8%
|
3 | 지방자치단체의 무리한 사업 운영 및 실패 | 3 | 0 |
3.8%
|
4 | 경기침체로 인한 세수의 감소 | 5 | 0 |
6.3%
|
5 | 중앙과 지방간의 재원배분 불균형 | 58 | 0 |
73.4%
|
6 | 지방자치단체장의 선심성 예산 집행 | 1 | 0 |
1.3%
|
7 | 기타 | 3 | 0 |
3.8%
|
9 | 무응답 | 1 | 0 |
1.3%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 | 자치단체별 행정수요의 증가에 의한 재정적 요구 증대 | 1 | 0 |
33.3%
|
- | 재정자립도 약화 | 1 | 0 |
33.3%
|
- | 지방 세무 증대를 위해서는 기존의 국세를 지방세로 전환함이 가장 시급하다고 생각 됨 | 1 | 0 |
33.3%
|
This variable is character
Value | Label | N | WN | |
---|---|---|---|---|
1 | 조세부담률 인상이나 세목의 신설 | 1 | 0 |
1.3%
|
2 | 자체 낭비요소 줄이고 재정운영의 효율성 제고 | 8 | 0 |
10.1%
|
3 | 국세의 과감한 지방세 전환 | 47 | 0 |
59.5%
|
4 | 지방재정조정제도의 활용 | 8 | 0 |
10.1%
|
5 | 지방자치단체의 수익사업 확대 및 공단조성 등 국내외 기업유치 | 11 | 0 |
13.9%
|
6 | 잘 모르겠다 | 1 | 0 |
1.3%
|
7 | 기타 | 1 | 0 |
1.3%
|
9 | 무응답 | 2 | 0 |
2.5%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 | 지방에 인구가 줄어들고 있고 경제활동인력이 없는 상태에서 어떠한 세법을 고치고 세목을 조정하더라도 별효과가 없음 | 1 | 0 |
100%
|
This variable is character
Value | Label | N | WN | |
---|---|---|---|---|
1 | 중앙과 지방간의 불공평한 세원 배분 | 44 | 0 |
55.7%
|
2 | 지방재정조정제도의 불합리한 운영 | 9 | 0 |
11.4%
|
3 | 법령에 명시한 사무경비부담원칙의 不준수 | 2 | 0 |
2.5%
|
4 | 중앙에 의한 예산?결산에 대한 자율권 침해 | 7 | 0 |
8.9%
|
5 | 낮은 지방교부세율 | 14 | 0 |
17.7%
|
6 | 보조금 지급의 회계연도말 지급 | 0 | 0 |
0%
|
7 | 잘 모르겠다 | 0 | 0 |
0%
|
8 | 기타 | 1 | 0 |
1.3%
|
9 | 무응답 | 2 | 0 |
2.5%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 | 지방의 자치능력(세원확보)부족과 인구감소 | 1 | 0 |
100%
|
This variable is character
Value | Label | N | WN | |
---|---|---|---|---|
1 | 도와 시군간의 지방분담비율의 모호성 | 11 | 0 |
13.9%
|
2 | 징수교부금 비율의 불합리성 | 6 | 0 |
7.6%
|
3 | 광역과 기초자치단체간 세원의 불균형 | 30 | 0 |
38%
|
4 | 지방세 세원배분의 불합리성 | 10 | 0 |
12.7%
|
5 | 지방세 조정교부금 배분 문제 | 12 | 0 |
15.2%
|
6 | 잘 모르겠다 | 8 | 0 |
10.1%
|
7 | 기타 | 0 | 0 |
0%
|
9 | 무응답 | 2 | 0 |
2.5%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매우 잘 되었다 | 2 | 0 |
2.5%
|
2 | 대체로 잘 되었다 | 23 | 0 |
29.1%
|
3 | 보통이다 | 23 | 0 |
29.1%
|
4 | 대체로 잘못 되었다 | 8 | 0 |
10.1%
|
5 | 매우 잘못 되었다 | 3 | 0 |
3.8%
|
6 | 잘 모르겠다 | 18 | 0 |
22.8%
|
9 | 무응답 | 2 | 0 |
2.5%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매우 잘 되었다 | 3 | 0 |
3.8%
|
2 | 대체로 잘 되었다 | 21 | 0 |
26.6%
|
3 | 보통이다 | 32 | 0 |
40.5%
|
4 | 대체로 잘못 되었다 | 5 | 0 |
6.3%
|
5 | 매우 잘못 되었다 | 2 | 0 |
2.5%
|
6 | 잘 모르겠다 | 16 | 0 |
20.3%
|
9 | 무응답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아니다 | 0 | 0 |
0%
|
2 | 아니다 | 7 | 0 |
8.9%
|
3 | 보통이다 | 33 | 0 |
41.8%
|
4 | 그렇다 | 26 | 0 |
32.9%
|
5 | 매우 그렇다 | 3 | 0 |
3.8%
|
6 | 잘 모르겠다 | 10 | 0 |
12.7%
|
9 | 무응답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아니다 | 0 | 0 |
0%
|
2 | 아니다 | 2 | 0 |
2.5%
|
3 | 보통이다 | 17 | 0 |
21.5%
|
4 | 그렇다 | 40 | 0 |
50.6%
|
5 | 매우 그렇다 | 17 | 0 |
21.5%
|
6 | 잘 모르겠다 | 3 | 0 |
3.8%
|
9 | 무응답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아니다 | 0 | 0 |
0%
|
2 | 아니다 | 9 | 0 |
11.4%
|
3 | 보통이다 | 26 | 0 |
32.9%
|
4 | 그렇다 | 29 | 0 |
36.7%
|
5 | 매우 그렇다 | 5 | 0 |
6.3%
|
6 | 잘 모르겠다 | 10 | 0 |
12.7%
|
9 | 무응답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아니다 | 1 | 0 |
1.3%
|
2 | 아니다 | 18 | 0 |
22.8%
|
3 | 보통이다 | 28 | 0 |
35.4%
|
4 | 그렇다 | 14 | 0 |
17.7%
|
5 | 매우 그렇다 | 3 | 0 |
3.8%
|
6 | 잘 모르겠다 | 15 | 0 |
19%
|
9 | 무응답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아니다 | 2 | 0 |
2.5%
|
2 | 아니다 | 32 | 0 |
40.5%
|
3 | 보통이다 | 22 | 0 |
27.8%
|
4 | 그렇다 | 13 | 0 |
16.5%
|
5 | 매우 그렇다 | 1 | 0 |
1.3%
|
6 | 잘 모르겠다 | 9 | 0 |
11.4%
|
9 | 무응답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아니다 | 0 | 0 |
0%
|
2 | 아니다 | 4 | 0 |
5.1%
|
3 | 보통이다 | 16 | 0 |
20.3%
|
4 | 그렇다 | 41 | 0 |
51.9%
|
5 | 매우 그렇다 | 14 | 0 |
17.7%
|
6 | 잘 모르겠다 | 2 | 0 |
2.5%
|
9 | 무응답 | 2 | 0 |
2.5%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아니다 | 1 | 0 |
1.3%
|
2 | 아니다 | 3 | 0 |
3.8%
|
3 | 보통이다 | 13 | 0 |
16.5%
|
4 | 그렇다 | 42 | 0 |
53.2%
|
5 | 매우 그렇다 | 15 | 0 |
19%
|
6 | 잘 모르겠다 | 3 | 0 |
3.8%
|
9 | 무응답 | 2 | 0 |
2.5%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적극 확대 되어야 함 | 21 | 0 |
26.6%
|
2 | 어느 정도 확대 되어야 함 | 41 | 0 |
51.9%
|
3 | 현 상태가 좋음 | 7 | 0 |
8.9%
|
4 | 어느 정도 축소 되어야 함 | 5 | 0 |
6.3%
|
5 | 대폭 축소 되어야 함 | 2 | 0 |
2.5%
|
6 | 잘 모르겠다 | 3 | 0 |
3.8%
|
9 | 무응답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적극 확대 되어야 함 | 21 | 0 |
26.6%
|
2 | 어느 정도 확대 되어야 함 | 40 | 0 |
50.6%
|
3 | 현 상태가 좋음 | 9 | 0 |
11.4%
|
4 | 어느 정도 축소 되어야 함 | 4 | 0 |
5.1%
|
5 | 대폭 축소 되어야 함 | 2 | 0 |
2.5%
|
6 | 잘 모르겠다 | 3 | 0 |
3.8%
|
9 | 무응답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적극 확대 되어야 함 | 33 | 0 |
41.8%
|
2 | 어느 정도 확대 되어야 함 | 32 | 0 |
40.5%
|
3 | 현 상태가 좋음 | 4 | 0 |
5.1%
|
4 | 어느 정도 축소 되어야 함 | 5 | 0 |
6.3%
|
5 | 대폭 축소 되어야 함 | 3 | 0 |
3.8%
|
6 | 잘 모르겠다 | 2 | 0 |
2.5%
|
9 | 무응답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빠른 시일내에 지방자치단체에 근무하는 모든 국가직을 지방직화 | 33 | 0 |
41.8%
|
2 | ? | 25 | 0 |
31.6%
|
3 | ? | 12 | 0 |
15.2%
|
4 | 현재의 이원적 체제가 존속되어야 한다 | 3 | 0 |
3.8%
|
5 | 잘 모르겠다 | 6 | 0 |
7.6%
|
9 | 무응답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실제로 자치단체 운영에 도움이 되지 못하므로 | 10 | 0 |
12.7%
|
2 | 지방자치제 취지에 어긋나므로 | 28 | 0 |
35.4%
|
3 | 실질적으로 중앙정부 지도?감독의 대행자 역할을 하므로 | 13 | 0 |
16.5%
|
4 | 지방의 실정보다는 중앙의 입장만을 우선시 하므로 | 8 | 0 |
10.1%
|
5 | 잘 모르겠다 | 0 | 0 |
0%
|
6 | 기타 | 2 | 0 |
2.5%
|
9 | 무응답 | 18 | 0 |
22.8%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 | 국가직 공무원의 증진 수란으로 활용하고 실질적인 업무 성과는 미흡하다고 생각 함 | 1 | 0 |
50%
|
- | 지자체에 동화되지 못하고 중앙으로 갈 기회만 였보므로 | 1 | 0 |
50%
|
This variable is character
Value | Label | N | WN | |
---|---|---|---|---|
1 | 지나치게 심하다 | 10 | 0 |
12.7%
|
2 | 약간 심하다 | 32 | 0 |
40.5%
|
3 | 그저 그렇다 | 25 | 0 |
31.6%
|
4 | 대체로 부적절하다 | 10 | 0 |
12.7%
|
5 | 매우 부적절하다 | 1 | 0 |
1.3%
|
6 | 잘 모르겠다 | 1 | 0 |
1.3%
|
9 | 무응답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자치입법권에 관한 관여 | 3 | 0 |
3.8%
|
2 | 행정관리상의 관여 | 20 | 0 |
25.3%
|
3 | 조직인사에 관한 관여 | 18 | 0 |
22.8%
|
4 | 자치재정에 관한 관여 | 36 | 0 |
45.6%
|
5 | 기타 | 1 | 0 |
1.3%
|
9 | 무응답 | 1 | 0 |
1.3%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권력적 수단이 압도적으로 많이 사용된다. | 19 | 0 |
24.1%
|
2 | 권력적 수단이 비권력적 수단에 비해 다소 많이 사용된다. | 24 | 0 |
30.4%
|
3 | 권력적 수단과 비권력적 수단이 비슷하게 사용된다 | 14 | 0 |
17.7%
|
4 | 비권련적 수단이 권력적 수단에 비해 다소 많이 사용된다 | 12 | 0 |
15.2%
|
5 | 비권력적 수단이 압도적으로 많이 사용된다. | 2 | 0 |
2.5%
|
6 | 잘 모르겠다 | 8 | 0 |
10.1%
|
9 | 무응답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권력적 수단이 보다 많이 사용되어야 한다. | 3 | 0 |
3.8%
|
2 | 권력적 수단과 비권력적 수단이 비슷하게 사용되어야 한다 | 19 | 0 |
24.1%
|
3 | 비권력적 수단이 보다 많이 사용되어야 한다. | 45 | 0 |
57%
|
4 | 잘 모르겠다. | 11 | 0 |
13.9%
|
9 | 무응답 | 1 | 0 |
1.3%
|
This variable is numeric
(08826) 서울시 관악구 관악로 1, 101동 250호 서울대학교 한국사회과학자료원
TEL 02-880-2111 FAX 02-883-2694 Email kossda@snu.ac.kr
Copyright ⓒ Korea Social Science Data Archiv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