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SSDA Loading
기록문서 회원공개

도시와 농촌의 격차 세미나 기록, 1969

https://doi.org/10.22687/KOSSDA-B1-1969-0001-V1.0

목록으로

초록

이 자료는 1969년에서 1971년 동안 서울대 인구및발전문제연구소(현 서울대 사회발전연구소)에서 개최되었던 세미나 녹음 자료 중 하나로, 한국사회학회(회장 이만갑) 주최로 1969년 6월 20일부터 21일까지 양일간 개최되었던 「도시와 농촌의 격차 세미나」를 녹음한 것이다. 이 세미나는 한국의 경제발전이 진척됨에 따라 도시와 농촌간의 격차가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었던 당시의 배경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도시와 농촌간 격차의 실태와 격차발생의 원인 및 영향은 무엇인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세미나는 도시와 농촌의 격차를 사회구조적 격차(제 1주제), 교육문화적 격차(제 2주제), 경제적 격차(제 3주제) 세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주제발표를 하고, 주제에 대해 두 개의 분과로 나누어 제1분과는 격차의 원인을 제2분과는 격차의 영향을 논의한 뒤 제1분과와 제2분과가 다 같이 모여 서로의 분과에서 논의된 내용들에 대해 보고하고 토론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또한 세 가지 주제별 발표 및 토론과는 별도로 경제기획원, USAID, 농어촌개발공사의 전문가 의견을 듣고 토론하는 패널토의가 진행되었다. 이 세미나에서는 "한국의 녹색혁명"을 주제로 한 Bert F. Hoselitz(Chicago University)의 특별강연도 있었으나 음성파일은 남아있지 않다.
자료는 9개의 음성파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음성파일 1은 사회구조적 격차와 교육문화적 격차에 대한 주제발표를, 음성파일 2은 사회구조적 격차에 대한 제1분과의 논의를, 음성파일 3는 사회구조적 격차와 교육문화적 격차에 대한 종합토의 내용을 담고 있다. 음성파일 6, 7, 8에는 경제적 격차에 대한 각 분과별 토의와 종합토의 내용이 녹음되어 있다. 사회구조적 격차 제2분과 논의, 교육문화적 격차 각 분과별 논의와 경제적 격차에 대한 주제 발표 음성자료는 남아 있지 않다.
패널토의의 내용은 음성파일 4, 5에 녹음되어 있으며 종합토의는 음성파일 9에 담겨있다. 세미나 발표자와 발표내용, 토의 참여자와 토의 내용은 [이용자가이드]에 정리하였다.

더 보기

목차

(6월 20일)
제1주제 발표 - 사회구조적 격차 (발표자: 김채윤,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
제2주제 발표 - 교육문화적 격차 (발표자: 정범모, 서울대 사범대학 교수)
제1주제, 제2주제에 대한 분과토의
제1주제, 제2주제에 대한 종합토의
(6월 21일)
제3주제에 대한 발표 - 경제적 격차 (발표자: 박진환, 서울대 농업경제학과 교수)
제3주제에 대한 분과토의
제3주제에 대한 종합토의
특별강연: 한국의 녹색혁명(Bert F. Hoselitz, Chicago University)
패널토의: 발표 1 (발표자: 이희일, 경제기획원 기획국장)
발표 2 (발표자: Thomas F. Olmsted, USAID)
발표 3 (발표자: 이덕수, 농어촌개발공사 이사)
종합논의

더 보기


주제분류

지역과 공동체


파일유형 파일명 파일내용 파일형식 파일크기 다운로드
관련파일-기타 filelist.pdf 이용자 가이드 PDF 3.78 MB 다운로드
목록으로
조회 수
1,365
관련 파일
298
데이터
7

현재 자료 버전 공개일 이후 집계치.
단, 2017년 5월 11일 이전 공개 자료의 경우 2017년 5월 11일 이후 집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