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SSDA Loading
Observation Record Member Access

Ethnographic Sites Around Sillim-dong's Nokdu Street, 1998

https://doi.org/10.22687/KOSSDA-B2-1998-0001-V1.0

Go to List

Principal Investigator(s)

Oh, Myung Seok / Department of Anthrop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각 대학은 '대학가'라고 불리는 저마다의 여가 공간 갖게 마련이다. 서울대학교의 경우에 신림 9-11동을 점유하고 있는 녹두거리라는 것이 그에 해당한다. 서울대입구역을 중심으로 유흥가를 비롯해 대학문화를 경험하던 서울대학생들이 지하철역과 멀어진 새로운 문화공간에서 학교에서와는 다른 대학생활을 경험하고 있다. 녹두거리는 서울대생들에게 있어 생활공간이자, 문화공간이며, 유흥공간이기도하고, 동시에 비판과 저항의 공간이기도 하다. 이 기록은 서울대학교 학생들에게 있어 중요한 공간적 이미지를 갖고 있는 녹두거리에 대한 연구이다. 과거와 달리 90년대로 접어들면서 운동권의 침체와 함께 '녹두거리가 많이 변했다, 녹두거리가 예전같지 않다'라는 평을 들으며 변화를 지속하고 있는 녹두거리. 서울대학교와 함께 성장해온 녹두거리의 문화와 공간 배치에 대해 이 보고서는 여러 분야로 나누어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View all

Table Of Content

1. 대학가로서의 녹두거리
녹두거리의 변화 - 주체와 공간의 다양화
서울대생과 녹두거리 - 공간의 성격 측면에서
녹두거리 상인들
녹두거리에서 놀이문화와 놀이공간- 당구장, 만화방, 노래방, 비디오방, 게임방을 중심으로 본
녹두거리의 놀이문화
녹두거리에서의 여성공간
2. 녹두거리의 하숙촌
녹두에 거주하는 서울대생들에게 있어 거주 공간이 지니는 의미와 또래집단의 중요성
3. 녹두거리의 고시촌
고시촌 문화읽기 - 고시촌 형성과정과 고시생들의 생활모습
4. 영상으로 본 녹두거리
녹두거리 24時
별첨: 각 조별 설문지
기고: 공간표상

View all




Go to List
Views
1,373
Related
Documents
3
Data Downloads
21

Measured since the release date of the current version data.
If the data were released before May 11, 2017, it was measured since May 11,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