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SSDA Loading
관찰기록 회원공개

외국인 노동자의 문화적 적응, 2001

https://doi.org/10.22687/KOSSDA-B2-2001-0001-V1.0

목록으로

연구책임자

오명석 / 서울대학교 인류학과


초록

이 연구는 불법체류자라는 신분적 불안함과 언어소통에 있어서의 어려움, 부정적인 사회적 인식 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조사를 담고 있다. 한국 사회에 널리 자리잡고 있는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폭 넓은 이해와 교류를 위한 목적으로 쓰여진 본 책은, 다양한 외국인 노동자 집단에 대한 연구와 더불어 각 장마다 두 챕터씩의 생애사, 구술사 등이 첨부되어 있어 외국인 노동자의 삶에 대한 직접적이고 현실적인 이해를 가능케 한다.

더 보기

목차

제1장 외국인 노동자와 한국 사회
1. 조선족 노동자의 한국생활 및 문화적 대응 양상: 종교, 커뮤니티, 여가, 소비를 중심으로
2. 베트남 노동자들의 적응양상: 장기체류에 대한 사회문화적 기제
3. 필리핀계 이주 노동자들의 적응 양상: 개신교 교회를 중심으로
4. 필리핀 노동자들의 문화적 적응: 여가 생활을 중심으로
5. 안산 인도네시아 노동자들의 생활: 아비투스와 사회적 구조간의 역동성을 중심으로
6. 재한 외국인 노동자의 한국에서의 문화적 적응과 대응: 방글라데시 노동자를 중심으로
7. 네코 노동자의 문화적 적응: 결혼의 특수성을 중심으로
8. 스리랑카 노동자들의 문화적 적응 양상: 태강산업 사건을 중심으로
9. 한국 내 가나 노동자들의 적응 양상: 한길 교회를 중심으로
10. 외국인 노동자들의 한국 대중문화에 대한 적응 양상: 충북 음성과 경기 광주 지역에 대한 비교 연구를 중심으로
11. 다양하게 분화된 외국인 노동자: 종교와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제 2장 외국인 노동자의 생애사

더 보기


주제분류

이주와 민족



목록으로
조회 수
1,887
관련 파일
10
데이터
34

현재 자료 버전 공개일 이후 집계치.
단, 2017년 5월 11일 이전 공개 자료의 경우 2017년 5월 11일 이후 집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