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SSDA Loading

두 차원의 시간축을 통해 연구질문의 확장가능성을 엿보다, KOSSDA 제4회 데이터 페어 리뷰

본문

두 차원의 시간축을 통해 연구질문의 확장가능성을 엿보다, KOSSDA 제4회 데이터 페어 리뷰

두 차원의 시간축을 통해 연구질문의 확장가능성을 엿보다
KOSSDA 제4회 데이터 페어 리뷰


한국사회과학자료원(KOSSDA)은 지난 2월 2일 아시아연구소 영원홀에서 <한국의 생활시간조사>를 주제로 제4회 KOSSDA 데이터 페어를 개최하였습니다. 이번 데이터 페어는 삶의 질이 이슈가 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지만, 데이터 가공이 어려워 사용이 쉽지 않은 <생활시간조사>를 주제로 데이터 소개와 함께 분석방법을 공유하고자 하였습니다.

1. "생활시간조사란 무엇인가?"
윤자영 교수(충남대 경제학과)는 시간사용조사의 역사, 연구영역, 특징, 국내외 연구동향을 소개했습니다. 특히, 시간사용조사가 자본주의 발전 속에서 탄생한 배경, 이후 국민계정에 포착되지 않았던 여성의 경제활동까지 포괄하면서 현재 국제비교가 가능한 데이터들이 축적되고 있음을 시계열적으로 보여주었습니다. 이를 통해 무급노동, 삶의 질과 생활수준 등의 새로운 연구영역이 개척되고 있음을 국내외 사례를 들어 설명하였습니다.

2. 미디어적 관점에서 생활시간조사,
이재현 교수(서울대 언론정보학과)는 미디어적 관점에서 1920년대 BBC에서 방송편성을 위해 처음 생활시간조사가 시작된 배경을 설명하면서, 1981년부터 현재까지 조사되고 있는 의 특징과 연구동향을 소개하였습니다. 특히, 이 조사는 미디어타이즈(mediatized)된 일상을 보기 위해 '중복행동'을 인정한다는 점을 특징으로 지적하면서, 생활시간조사의 전반적 특징과 가치, 연구주제로서의 시간성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시하였습니다. 데이터로서 생활시간조사의 가장 큰 장점으로 두 차원의 시간축의 역학(dynamic)을 볼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습니다. 즉, 생활시간조사는 time diary가 조사된 2일 혹은 3일 동안의 시간축과 5년 단위 주기적 조사의 시계열적 시간축의 두 차원을 모두 분석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생활시간조사에서 주로 분석되는 변수인 '시간량' 뿐만 아니라 '시간대'에 주목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역설하였습니다. 또한 생활시간조사는 그 자체만이 아니라 다른 데이터와 결합 통해 보다 풍부한 분석이 가능하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생활시간조사와 함께 KOSSDA 소장 자료를 활용해 줄 것을 강조하였습니다.

3.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그리고 데이터 활용
이주희 사무관(통계개발원)은 통계청 <생활시간조사>의 조사 목적, 방법, 표본설계 및 가중값 등 조사 전반을 소개하면서 무엇보다 해당 조사가 1999년 처음 시행된 이후 변경된 설문지항목과 이에 따른 행동분류의 변화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습니다. 이윤석 교수(서울시립대)는 생활시간조사를 실제로 사용한 경험을 바탕으로 데이터 분석 시 어려운 점과 해결방법, 가사노동 및 여가 이외에 확장 가능한 연구주제,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데이터의 장단점을 설명하였습니다. 특히 통계청 <생활시간조사>는 데이터 구조의 복잡성, 문자열 변수,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부족 등의 단점이 있지만, 샘플사이즈가 커서 다양한 집단에 대한 연구가 가능하고 가구 구성원들 간 다양한 조합의 비교연구를 할 수 있다는 점을 장점으로 제시하면서 무궁무진한 연구 잠재성을 강조하였습니다.

4. 마치며
이번 데이터 페어에서 발표자들이 공통적으로 강조한 생활시간조사의 장점은 두 차원의 '시간축'을 다룰 수 있다 것, 미개척 자료로서 활용 가치가 매우 크며 무한한 연구 가능성이 있다는 점이었습니다. 이를 반영하듯 참석자 의견조사에서도 "연구주제에 대한 통찰(insight)을 얻을 수 있어서 좋았다"라는 의견이 다수를 차지했습니다. KOSSDA는 다음 데이터 페어로 그 동안 참석자 의견조사에서 꾸준히 요청 받은 주제인 '삶의 질 조사 데이터'를 다룰 예정입니다. 특히 일본, 대만, 중국을 대표하는 데이터아카이브들을 초청하여 각 국의 주요 데이터에 대한 소개와 이용방법 그리고 전문연구자의 국제비교연구 경험을 공유할 예정입니다. 삶의 질 국제비교연구에 관심이 있는 연구자들의 많은 성원과 참여를 기대합니다.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한국사회과학자료원
https://kossda.snu.ac.kr

작성일

2018-02-16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