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SSDA Loading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2023년 <통일의식조사> 자료 기탁

본문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2023년 <통일의식조사> 자료 기탁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원장 김범수)은 2023년 ’통일의식조사’ 자료를 2025년 3월 5일 KOSSDA에 기탁해 주었습니다. 이 자료는 통일, 북한, 대북정책 분야에서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사회조사 중 하나입니다. 동 연구원은 이 자료를 최초 실시한 2007년부터 매년 거의 동일한 문항을 통해 측정함으로써 추이 추적이 가능한 일관성을 유지하는 시계열 자료를 구축해 왔습니다.
2023년 조사는 7월 4일부터 27일 사이에 진행되었으며, 전국 17개 시도에 거주하는 만 19세~74세 일반국민 1,200명을 대상으로 다단계 층화 계통 추출법을 통해 표본을 선정하여 조사원에 의한 방문면접조사 방식으로 실시되었습니다. 이번 조사에서는 비핵화를 위한 대외국가 협력 방식과 한국정부의 대북정책 목적을 묻는 문항이 추가되었습니다. 조사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1. 남북한 통일에 대한 의견: 남북한 통일에 대한 이미지, 남북한 통일의 필요성, 남북한 통일에 대한 견해, 남북한 통일 가능 시기, 대북 사안별 시급성, 통일이 되어야 하는 이유, 통일이 되지 않아야 하는 이유, 통일이 이익이 되는 정도(남한/자기 자신), 통일 후 사회문제 개선 정도 예측, 희망하는 통일 한국의 체제
2. 북한에 대한 인식: 남북한 관계에 대한 인식, 북한 정권을 대화와 타협이 가능한 상대로 생각하는 정도, 북한 정권의 통일 희망 정도에 대한 인식, 최근 북한의 변화에 대한 인식, 향후 북한의 무력도발 가능성 예측, 북한 사회 인지도, 북한 관련 경험 유무, 만나본 북한이탈주민과의 관계 정도, 사회 분야별 남북한 간 차이 인식, 북한의 핵무기 보유에 위협을 느끼는 정도, 북한 핵무기 포기 여부에 대한 견해, 북한의 국가성에 대한 견해, 북한의 인권 상황에 대한 견해
3. 대북 지원 및 정책: 대북정책 도움 정도(북한 개혁개방/북한 비핵화), 북한의 비핵화를 유도하기 위해 가장 효과적인 방식, 현 정부의 대북 정책 만족도, 대북 정책의 목적으로 가장 중요한 것, 남북한 간 체결 합의 사항 계승 찬반 의견, 대북 문제 관련 주장 찬반 의견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의견: 한국 핵무장 관련 가장 적절한 방식, 한국 거주 4. 이주자에 대한 친근감, 북한이탈주민과의 관계 유형별 태도, 북한이탈주민 수용에 관한 견해, 한국 거주 북한이탈주민 관련 인식, 다문화 관련 인식
5. 주변국과의 관계: 주변국 중 가장 가깝게 느껴지는 국가, 주변국 중 한반도 평화에 가장 위협적인 국가, 북미 월드컵 경기 시 응원하고 싶은 팀, 한국과 주변 주요국의 관계 인식, 한반도 전쟁 시 주변 4국의 태도 예상, 주변 국가별 남북한 통일 희망 정도, 국가별 남북한 통일 협조 필요 정도, '남북 간 협력'과 '한미 간 협력', '한중 간 협력' 중 중요한 것, 북한 비핵화를 위한 협력 강화 필요 정도, 북한 핵 공격 개시 시 한국 방어를 위한 미국의 군사적 조치 가능성, 중국의 부상이 한반도 평화에 도움이 되는 정도, 중국과 북한 사이 협력 강화에 대한 생각, 미중 갈등 심화 시 한국의 입장
6. 현재의 정치 경제 사회 현실: 현재 한국의 경제 상황 만족도, 응답자 본인의 경제 상황 만족도, 남한 사회의 민주성 평가, 정치적 주장에 대한 생각, 정책에 대한 찬반 의견, 정치적 성향, 지지정당, 현직 대통령 직무 평가, 국가의 민주주의 운영에 대한 평가, 사회기관 신뢰도
7. 응답자 특성: 지역, 지역크기, 성, 연령, 직업, 결혼상태, 교육수준, 종교, 가구소득수준, 가구소득계층, 사회계층, 생활수준 개선도, 15세 이전 최장기 거주지역

KOSSDA는 '통일의식조사'의 지정 아카이브로서 빠른 시일 안에 2023년 자료를 이용할 수 있도록 준비하겠습니다.

■ 통일의식조사 자료 바로가기


서울대학교 한국사회과학자료원
https://kossda.snu.ac.kr

작성일

2025-03-06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