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미래연구원(원장 김기식)은 2024년 '국민 미래인식·가치관 조사' 자료를 2025년 2월 14일 KOSSDA에 기탁해 주었습니다. 동 연구원은 2020년부터 2023년까지 '한국인의 행복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024년부터는 기존 조사를 확대·개편하여 '국민 미래인식·가치관 조사'로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번 조사는 단순히 행복 수준을 측정하는 데서 나아가 한국 사회가 직면한 다양한 사회적 변화에 대한 국민의 인식과 가치관을 종합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재구조화되었습니다.
이번 개편된 '국민 미래인식·가치관 조사'는 OECD의 기준에 부합하는 행복 측정 문항을 포함하여 국제적 비교가 가능하도록 설계된 조사입니다. 특히 가치관 측정 문항을 강화하고 인구, 기술, 기후 변화에 대한 국민의 미래인식을 다루는 문항을 추가하여, 미래인식과 가치관, 행복감 간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도록 조사를 심화했습니다.
2024년 조사는 전국 750개 집계구, 7,766가구의 만 15세 이상 남녀 16,897명이 참여하였으며, 영역별 주요 조사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주관적 삶의 만족도: 전반적 삶의 만족도, 삶의 의미, 성취감, 인생 결정 자유, 자신의 삶에 대한 평가, 현재 자신의 사다리 위치, 5년 전후 삶의 만족도, 주변 환경 만족도, 자신의 일에 대한 만족도, 어제의 감정
2. 일상생활 재구성: 어제 기상 및 취침 시간, 어제 특정 시간대에 했던 활동, 행복감 수준, 동반자
3. 가치관: 주요 이슈에 대한 동의 정도, 미래와 현재 행복 간의 선택, 나보다 더 나은 사람의 비율, 집단별 신뢰도, 타인에 대한 신뢰도, 어려운 상황에서 도움을 청할 수 있는 대상
4. 미래인식: 사회변화에 대한 영향 정도, 삶의 질 향상에 대한 동의 정도, 인구변화 이슈에 대한 동의 정도, 정년 연장에 대한 생각, 노인에 대한 기준, 자동화 기술에 대한 신뢰 정도, 일자리 변화에 대응하는 복지 정책 필요성, 세계 환경보호를 위한 노력 정도, 기후변화 이슈, 기후변화 책임에 대한 동의 정도, 환경 보호에 대한 의향 정도
5. 여가 활동: 여가 시간에 하는 활동(1, 2순위), 함께 한 사람, 향후 여가 시간에 하고 싶은 활동(1, 2순위), 일(학업, 가사노동 등)과 여가생활 간 균형
6. 거주 및 이동: 만 18세 이전 가장 오래 살았던 지역, 거주 기간, 현 지역에 거주하게 된 이유, 향후 5년 이후 거주 계획
KOSSDA는 가능한 빠르게 이 자료를 이용하실 수 있도록 준비하겠습니다.
■ 국회미래연구원 자료 바로가기
서울대학교 한국사회과학자료원
https://kossda.sn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