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SSDA Loading
조사자료 회원공개

가공식품 소비자 태도조사, 2018

https://doi.org/10.22687/KOSSDA-A1-2018-0123-V1

목록으로

연구책임자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수행기관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초록

「가공식품 소비자 태도조사」는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가공식품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과 구입 행태를 파악함으로써, 기업에 필요한 소비 경향 정보를 제공하고 식품 관련 정책 수립 및 농업의 대응 방안을 마련하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매년 수행하고 있는 전국 단위 표본조사이다. 이 조사는 2011년 한국농어촌유통공사에 의해 시작되었으며, 2016년 국가승인통계로 지정된 후 2018년부터는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수행하고 있다.
조사는 전국 2,000가구의 식품 주 구입자를 대상으로 한 가구조사와, 이 중 500가구를 대상으로 4주간 가계부를 기록한 가계부조사, 그리고 리서치회사의 온라인 패널을 활용한 일반소비자조사로 구성되어 있다. 가계부조사와 일반소비자조사는 2018년부터 실시되었으며, KOSSDA에서는 현재 가구조사만 제공하고 있다.
이 자료는 2018년에 수행된 가구조사로, 전국 2,000가구의 만 19~74세 식품 주 구입자로부터 수집되었다. 주요 조사내용은 다음과 같다.

1. 가공식품 구매 및 소비 행태 일반: 평소 가공식품 구입 주기, 가공식품 구입 시 중요요소, 가공식품 주 구입처, 지출액 기준 많이 구입하는 품목군, 최근 1년 가공식품 지출 변화 원인, 향후 1년간 가공식품 지출 변화, 최근 1년 온라인 가공식품 구입 여부, 온라인 가공식품 구입 시 이용방법 등
2. 가공식품 품목별 구입현황: 가공식품 품목별 구입 변화, 가공식품 품목별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 등
3. 간편식 구입현황: 간편식 품목별 구입 변화, 간편식 제품 구매 시 중요요소, 간편식 구입 주기, 간편식 월평균 지출액, 간편식 구입 장소, 간편식 주 용도, 주로 구입하는 간편식 품목, 향후 1년간 간편식 구입 변화 등
4.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 구입현황: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 구입 시 중요요소,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 구입 용도, 많이 구입하는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 구입 지출액,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 복용 이유,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 정보 획득경로, 현재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 복용 여부, 향후 1년간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 구입 변화 등
5. 유기 가공식품 구입현황: 유기가공식품 인증 마크 인지 여부, 유기가공식품 인지 여부, 유기가공식품 구입 경험, 유기가공식품 구입 시 인증 마크 확인 여부, 유기가공식품 구입 시 인증품질 신뢰도, 유기가공식품 구입 이유, 유기가공식품 구매 시 중요요소, 향후 1년간 유기가공식품 구입 변화 등
6. 식품 소비 라이프스타일 및 인식: 평소 식품 소비 상황 일치 정도, 평소 식품 소비 인식 동의 정도, 가격에 대한 인식도, 같은 상품 구매 시 가장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는 구매처, 장바구니 물가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품목, 맛에 대한 기호, 건강에 가장 좋은 영향을 줄 것 같은 품목, 품목별 선호도 등
7. 가구 특성: 가족 구성 형태, 현재 맞벌이 여부, 월평균 가구 소득, 월평균 식료품 구매액, 현재 주거 형태, 자동차 보유 여부, 건강에 대한 관심, 직업, 학력, 결혼 여부 등

더 보기


주제분류

산업과 기업




자료이용안내

1. 가공식품 소비자 태도조사는 2015년 '가공식품 소비량 및 소비행태조사'로 일시적으로 조사 명칭이 변경되었습니다.
2. 2019년부터 응답자의 부담을 경감하고 조사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B파트의 품목군 구입 경험 및 변화에서 조사 표본을 2개 그룹으로 구분하여 조사를 실시하였습니다.

파일유형 파일명 파일내용 파일형식 파일크기 다운로드
관련파일-설문지(한글) kor_que_20180123.pdf 설문지 (한글) PDF 4.82 MB 다운로드
  • 정렬 기준
  • 정렬
목록으로
조회 수
67
관련 파일
18
데이터
2

현재 자료 버전 공개일 이후 집계치.
단, 2017년 5월 11일 이전 공개 자료의 경우 2017년 5월 11일 이후 집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