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SSDA Loading
조사자료 회원공개

서울시 노인실태조사, 2022

https://doi.org/10.22687/KOSSDA-A1-2022-0113-V1

목록으로

연구책임자

김정현 / 서울시복지재단 연구위원


연구수행기관

서울시복지재단


초록

「서울시 노인실태조사」는 서울시복지재단이 서울시 거주 노인의 생활 실태를 파악하여 서울시 노인복지정책의 효율적인 추진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통해 향후 저출산과 인구 고령화로 인한 사회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자 2년 주기로 실시하고 있는 반복횡단조사이다. 이 조사는 2011년에 제정된 「서울시 고령친화도시 구현을 위한 노인복지 기본 조례」 제25조에 근거하여 2012년부터 시작되었으며, 2012년과 2014년에는 「서울시 장·노년 생활 및 복지 실태조사」라는 명칭으로 장년층과 노인층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그러나 2016년부터는 조사대상을 노인층으로 한정하고 명칭도 「서울시 노인실태조사」로 변경하였다. 또한, 조사에는 반복 문항이 포함되어 있어 노인의 생활 변화를 시계열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이 자료는 2022년에 시행된 6차 조사 결과로, 서울시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3,010명으로부터 수집되었다. 주요 조사내용은 다음과 같다.

A. 노후생활: 삶의 만족도, 시간활용, 지역사회 시설 이용 현황, 사회적 관계, 정보이용현황, 디지털 문해력(무인주문기, 스마트폰 등)
B. 건강상태: 주관적 건강상태, 만성질환 현황, 정신건강(우울) 상태, 신체기능 상태, 인지기능 상태, 식생활 및 영양 상태, 흡연여부, 음주여부 및 빈도, 운동 현황, 일상생활 활동능력,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인지 및 이용 현황, 장애인 등록(장애정도, 장애유형)
C. 생활환경: 낙상 경험과 조심도, 거주 주택 안정성, 교통수단 이용 현황, 외출 시 불편사항, 운전경험 및 어려움, 지역사회 불만족 사항
D. 근로활동: 현재 일자리 현황, 과거 일자리 현황, 노후 재취업 경험, 향후 취업 희망 여부, 정부지원일자리 참여 경험 및 욕구
E. 여가활동: 여가/문화/자원봉사 활동 현황
F. 존중보호: 범죄피해 경험, 연령차별 경험, 노인연령 인식, 죽음준비 현황, 희망장례방법, 연명치료 의견, 고독사 관련 현황, 학대 경험 및 인지, 자살생각
G. 생활여건: 물질적/식생활 결핍, 자산 및 부채 현황, 주거 현황 및 개조 의향, 노인주거복지사업 인지 및 이용의향, 건강상태에 따른 희망 거주지

더 보기


주제분류

노인과 고령화




자료이용안내

1. 이 조사는 2016년부터 「서울시 장·노년 생활 및 복지 실태조사」에서 「서울시 노인실태조사」로 명칭이 변경되었습니다.
2. 2016년 조사명 변경에 따라 2012년, 2014년 조사의 시리즈명도 「서울시 노인실태조사」로 통일하였으니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3. 2016년부터 모집단 연령이 50세 이상에서 65세 이상으로 변경되었습니다.

파일유형 파일명 파일내용 파일형식 파일크기 다운로드
관련파일-설문지(한글) kor_que_20220113.pdf 설문지 (한글) PDF 11.92 MB 다운로드
아이디 및 가중치
사회인구학적 배경변수
배경변수
동거가구원
A. 노후생활
삶의 만족도
일상생활
지역사회시설
이용여부
이용빈도
이동시간
이용만족도
이용의향
사회적 관계
연락 및 왕래 인원
연락 및 왕래 빈도
도움 및 의지 정도
정보습득과 활용
전자기기 사용 여부 및 시간
정보화기기 사용 가능
B. 건강상태
건강상태 및 건강관리
만성질환
보유여부
진단여부
치료여부
우울증
신체기능과 제도
인지상태
신체기능
일상생활수행능력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장애등록
C. 생활환경
낙상경험
거주주택 상태
지역사회 불만족
외출 및 운전
D. 근로활동
현재 일자리
과거 일자리
노후취업 경험
향후 취업 희망 여부
정부지원일자리 참여 경험 및 의향
E. 여가/문화/봉사활동
F. 존중보호
범죄/학대피해 및 차별경험
죽음 준비
G. 생활여건
결핍 경험
자산 및 부채
거주주택 현황 및 개조공간
노인복지정책
돌봄서비스
소득과 지출
  • 정렬 기준
  • 정렬
목록으로
조회 수
69
관련 파일
16
데이터
9

현재 자료 버전 공개일 이후 집계치.
단, 2017년 5월 11일 이전 공개 자료의 경우 2017년 5월 11일 이후 집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