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SSDA Loading
조사자료 회원공개

서울시 노인실태조사, 2024

https://doi.org/10.22687/KOSSDA-A1-2024-0022-V1

목록으로

연구책임자

문혜진 / 서울시복지재단 선임연구위원


연구수행기관

서울시복지재단


초록

「서울시 노인실태조사」는 서울시복지재단이 서울시 거주 노인의 생활 실태를 파악하여 서울시 노인복지정책의 효율적인 추진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통해 향후 저출산과 인구 고령화로 인한 사회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자 2년 주기로 실시하고 있는 반복횡단조사이다. 이 조사는 2011년에 제정된 「서울시 고령친화도시 구현을 위한 노인복지 기본 조례」 제25조에 근거하여 2012년부터 시작되었으며, 2012년과 2014년에는 「서울시 장·노년 생활 및 복지 실태조사」라는 명칭으로 장년층과 노인층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그러나 2016년부터는 조사대상을 노인층으로 한정하고 명칭도 「서울시 노인실태조사」로 변경하였다. 또한, 조사에는 반복 문항이 포함되어 있어 노인의 생활 변화를 시계열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이 자료는 2024년에 시행된 7차 조사 결과로, 서울시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3,100명으로부터 수집되었다. 특히, 이번 조사는 사회적 고립과 안전, 돌봄 등과 관련된 정책적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 조사 문항이 수정 및 보완되었다. 주요 조사내용은 다음과 같다.

A. 노후생활: 여가활동 여부 및 의향, 여가활동 기관 이용현황, 정보이용 현황, 정보화 기기 이용 및 활용 역량, 정보화 교육 참여 경험 및 의향, 정보화 관련 지원 욕구, 삶의 만족도, TV 시청 시간 및 내용, 외출 빈도 및 이동수단
B. 가족 및 사회관계: 사회적 관계망, 사적이전소득 및 사적이전지출, 가족돌봄 수행 현황, 사회적 고립 및 외로움
C. 건강 및 돌봄: 주관적 건강상태, BMI지수, 만성질환 현황, 외래진료 및 입원경험, 재가의료지원서비스 이용 및 욕구, 우울척도, 보건의료서비스 지원 욕구, 식생활, 흡연 및 음주여부, 건강관리, 수면상태, 허약지수, 수단적 일상생활수행능력(IADL), 일상돌봄 현황, 향후 희망 거소, 돌봄 필요시 선호 돌봄자, 돌봄 필요시 희망 거소, 노인장기요양서비스 이용 현황, 등록장애인 여부, 돌봄서비스 욕구
D. 일자리: 현재 일자리 현황, 과거 일자리 현황, 구직 의사 및 구직활동, 향후 근로 의사 및 희망 근로조건, 정부지원일자리 참여 경험 및 의사
E. 존중보호: 범죄 등 피해 경험, 연령 차별 경험, 노인연령 인식, 죽음 준비, 희망 장례방법, 고독사 가능성 인식 및 대비, 학대 경험, 자살 생각
F. 생활환경 및 여건: 낙상경험, 거주주택 안전성, 주거편의 개조 필요성, 노인복지정책 욕구, 노후 불안 요인
G. 경제상태: 가구 월 소비지출, 가구 연간 총소득, 기초연금 수급, 공적연금 수급, 기타 노후소득, 주거 유형, 자산 보유 현황

더 보기


주제분류

노인과 고령화




자료이용안내

1. 이 조사는 2016년부터 「서울시 장·노년 생활 및 복지 실태조사」에서 「서울시 노인실태조사」로 명칭이 변경되었습니다.
2. 2016년 조사명 변경에 따라 2012년, 2014년 조사의 시리즈명도 「서울시 노인실태조사」로 통일하였으니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3. 2016년부터 모집단 연령이 50세 이상에서 65세 이상으로 변경되었습니다.

파일유형 파일명 파일내용 파일형식 파일크기 다운로드
관련파일-설문지(한글) kor_que_20240022.pdf 설문지 (한글) PDF 13.04 MB 다운로드
아이디 및 가중치
사회인구학적 배경변수
N. 가구 일반 사항
가구원1
가구원2
가구원3
가구원4
가구원5
가구원6
가구원7
가구원수
A. 노후생활
여가생활
여가문화활동
활동여부
활동의향
지역사회시설
이용여부
이용빈도
이동시간
이용만족도
이용의향
이용목적
정보습득과 활용
일상생활
B. 가족 및 사회관계
사회적 지원
연락유무 및 연락빈도
만남유무 및 만남빈도
지원여부 및 지원금액
돌봄 경험
외로움 척도
C. 건강 및 돌봄
건강상태
건강상태와 신체
만성질환
질환여부
치료여부
의료기관 이용
우울증
건강생활
신체기능과 돌봄
신체기능
일상생활수행능력
돌봄여부
향후 돌봄 의향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장애등록
노인지원
D. 일자리
현재 일자리
과거 일자리
취업경험
향후 취업 희망 여부
정부지원일자리 참여 경험 및 의향
E. 존중보호
범죄/학대피해 및 차별 경험
죽음 준비
F. 생활환경 및 여건
낙상경험
거주주택 상태 및 개조공간
노인복지정책
G. 경제상태
소득과 지출
기초연금 및 공적연금
거주주택
자산 및 부채
  • 정렬 기준
  • 정렬
목록으로
조회 수
307
관련 파일
21
데이터
32

현재 자료 버전 공개일 이후 집계치.
단, 2017년 5월 11일 이전 공개 자료의 경우 2017년 5월 11일 이후 집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