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SSDA Loading
조사자료 회원공개

한국노동패널조사, 1998-2023 [1-26차]

https://doi.org/10.22687/KOSSDA-A1-CUM-0066-V1

목록으로

연구책임자

이경희 / 한국노동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연구수행기관

한국노동연구원


초록

한국노동패널조사(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KLIPS)는 정부승인 통계조사로서, 한국노동연구원이 1998년부터 매년 시행하는 전국단위 종단조사이다. 이 조사는 개인과 가구의 경제활동 및 노동시장 이동을 추적하고, 소득과 소비 실태를 반영한 기초자료를 수집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1998년 도시 거주 가구의 노동시장 특성을 보여주는 것을 목표로 5,000가구를 구축하였고, 2009년 패널 이탈에 의한 표본 마모와 도시 지역 표집에 따른 대표성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추가 표본을 추출하여 1,415가구를 구축함으로써 전국 단위의 가구로 모집단을 확장하였다. 그리고 2017년과 2018년에 걸쳐 장기간의 조사에 따른 표본이탈 문제 등을 해결하고 모집단 대표성을 확보하기 위해 5,044가구를 추가로 구축하였다.
KLIPS는 가구를 조사대상으로 하는 가구용 자료와 해당 가구의 만 15세 이상 모든 가구원을 대상으로 하는 개인용 자료로 구분되며, 반복문항을 조사하는 기본 조사와 당해년도의 주요 이슈를 심층적으로 다루는 부가조사로 구성되어 있다. 2023년(26차) 부가조사는 '건강'을 주제로 실시되었다.
이 자료는 1998년(1차)부터 2023년(26차)까지 각 연도의 대상별 데이터와 부가조사 데이터, 직업력 데이터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요 조사내용은 다음과 같다.

1. 기본조사: 가구
가구원의 인적사항, 변동 가구원 정보, 가족관계, 주거, 자녀교육, 소득, 소비와 저축, 자산과 부채, 경제 상태와 가계 부담을 느끼는 소비 항목 등
2. 기본조사: 가구원
가구원 조사는 응답자의 설문 유형을 판별하는 예비조사, 기존 응답자를 고용 상태에 따라 8개 유형으로 분류한 유형별 조사, 그리고 취업자·미취업자용 조사 및 신규 조사자용 설문으로 구성된다.
- 개인용 예비조사
- 8개 유형별 조사: 각 유형에 따라 일자리 정보, 근로계약, 근로시간, 임금, 노동조합, 그만둘 당시의 상황, 고용주/자영업자, 일자리(사업체) 시작 당시의 상황 등으로 조사항목이 구성되어 있음
- 취업자·미취업자용 조사: 현재 가장 중요한 일자리, 구직활동, 1차년도 비경제활동인구의 구직활동, 1차년도 실업자와 비경활인구의 구직활동, 직업교육 및 직업훈련, 영어학습 및 영어능력, 사회보험 급여수급, 정규교육, 교육력, 학업성취 및 성적, 혼인상태, 1-2차년도 혼인력, 생활과 건강, 장애 또는 장해, 고용형태, 차별, 경제위기 이후 변화, 리스크, 부업 등
- 신규 조사자용 설문
3. 연도별 부가조사 주제
- 2000년[3차] 부가조사: 청년층
- 2001년[4차] 부가조사: 건강과 은퇴
- 2003년[6차] 부가조사: 중고령자
- 2004년[7차] 부가조사: 근로시간과 여가
- 2005년[8차] 부가조사: 노동조합과 노사관계
- 2006년[9차] 부가조사: 청년층
- 2007년[10차] 부가조사: 고용형태
- 2008년[11차] 부가조사: 교육
- 2014년[17차] 부가조사: 시간사용과 삶의 질
- 2015년[18차] 부가조사A: 삶의 인식
- 2015년[18차] 부가조사B: 장년층
- 2016년[19차] 부가조사: 삶의 인식
- 2017년[20차] 부가조사: 의사결정
- 2018년[21차] 부가조사: 고용형태
- 2019년[22차] 부가조사: 비임금
- 2020년[23차] 부가조사: 코로나19로 인한 생활 및 인식 변화1
- 2021년[24차] 부가조사: 코로나19로 인한 생활 및 인식 변화2
- 2022년[25차] 부가조사: 코로나19로 인한 생활 및 인식 변화3
- 2023년[26차] 부가조사: 건강

더 보기


주제분류

고용과 노동


자료시리즈

한국노동패널조사



자료이용안내

1. 한국노동연구원 노동패널팀은 매년 1차부터 종단면 자료를 정제하여 배포합니다. 따라서 26차 이전 자료를 보유하고 있더라도 종단면 자료를 사용할 경우 1-26차 공개용 자료를 모두 다운로드한 후, version 변수값이 26인지 확인하여 동일한 버전으로 맞춘 후 작업하시기 바랍니다.
2. 설문지, 코드북, 유저가이드는 1998년부터 2023년까지의 통합본입니다. 특히, 가구원을 대상으로 하는 개인용 설문지는 고용 상태에 따라 8개 유형으로 구분되며, 취업자·미취업자용 조사도 별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응답자의 상황에 따라 여러 유형에 중복 응답할 수 있으므로 이용 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3. KLIPS는 1998년 원표본을 기반으로 2009년과 2018년에 표본을 추가하였으며, 이에 따라 98표본(1-26차), 09통합표본(1-15차), 18통합표본(1-6차)으로 구분됩니다.
4. 가구자료의 소득변수를 사용할 경우, 2020년(23차), 2021년(24차) 데이터에서 기타소득(증여/상속) 항목에 특이치가 포함될 수 있으므로, 가구평균 명목소득을 계산할 때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5. 신규 변수 안내
- 2020년(23차)부터 기초연금 항목이 기타정부보조금 내에서 구분되었습니다. 금액은 기타정부보조금에 포함되므로 가구소득 산정 시 별도로 추가할 필요는 없습니다.
- 2021년(24차)부터 코로나19로 인한 정부지원금 항목이 일시적으로 신설되었으므로, 가구소득 산정 시 포함 여부를 고려하시기 바랍니다.
- 직업력 자료에서는 2020년(23차)부터 ‘코로나19 영향으로 인한 퇴직’ 문항이 추가되었습니다.
6. 가중치는 각 차수별로 횡단면 가중치와 종단면 가중치로 구성됩니다. 가중치 부여 방식과 사용 방법은 유저가이드를 참조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유형 파일명 파일내용 파일형식 파일크기 다운로드
관련파일-코드북(한글) kor_codebook_CUM0066_가구_개인_직업력_오픈코드북.xls 코드북 (한글) EXCEL 3.13 MB 다운로드
관련파일-코드북(한글) kor_codebook_CUM0066_부가조사.xls 코드북 (한글) EXCEL 1.97 MB 다운로드
관련파일-기타 kor_userguide_CUM0066.pdf 유저가이드 (한글) PDF 7.82 MB 다운로드
  • 정렬 기준
  • 정렬
목록으로
조회 수
305
관련 파일
71
데이터
60

현재 자료 버전 공개일 이후 집계치.
단, 2017년 5월 11일 이전 공개 자료의 경우 2017년 5월 11일 이후 집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