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SSDA Loading
조사자료 회원공개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 조사, 2022 : 도시민

https://doi.org/10.22687/KOSSDA-A1-2022-0092-V1

목록으로

연구책임자

김동훈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전문연구원


연구수행기관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초록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 조사」는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들의 의식 변화와 농업 관련 현안들에 대한 견해를 파악하여 농업정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2001년부터 매년 시행하는 조사이다. 이 조사는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들의 의식 변화와 관련된 반복문항을 포함함으로써 시계열 연구가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연구에 필요한 현장조사를 원활하게 수행하고자 1978년부터 전국 모범농업인으로 구성된 현지통신원 제도를 운영하였으며, 1980년대에는 이들로부터 농업인 의식구조 변화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고, 1990년대에는 농촌사회 변화에 초점을 맞춰 비정기적으로 조사를 시행하였다. 또한 2000년대에는 반복문항과 국외비교문항을 추가하여 정기적으로 의식구조에 대한 변화추이를 파악하였다. 2001년부터 2005년까지는 농업인을 대상으로 매년 ‘농업인 의식구조 변화에 대한 여론조사’를 시행하였고, 2006년부터는 조사대상에 도시민을 포함하여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 조사'를 시행하였다. 2009년부터는 간헐적으로 전문가조사를 실시하여 조사의 객관성을 유지하였다.
이 자료는 2022년에 전국 도시지역에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 도시민으로부터 수집된 것으로, 주요 조사내용은 농촌지역 경제상황에 대한 인식, 빈부격차 인식, 현재 본인과 본인 가족의 삶의 질 수준, 현재와 미래의 농업·농촌의 중요한 역할, 농업·농촌에 대한 애착심, 경제사회 전반을 고려해 농업·농촌에 대한 투자 방향에 대한 인식, 10년 후 우리나라 농업의 전망, 농업·농촌·농업인의 역할과 중요성 대비 정부의 정책적 관심과 지원에 대한 인식, 우리나라 식량안보 수준 및 전망, 식량안보에 가장 위협적인 요소, 우리나라 식량자급률 유지 수준에 대한 인식, 평소 농업정책 및 농업·농촌문제에 대한 관심도, 농업·농촌의 공익적 기능에 대한 가치 정도, 농업·농촌이 가진 다양한 기능의 중요성, 도시와 농촌 간 발전 격차를 완화하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 은퇴 후 귀농·귀촌 희망 여부, 귀농·귀촌하고 싶은 이유 및 계획 시기, 농축산물 구입 시 가장 중요한 고려 요인, 최근 5년간 국산농산품 안전성 개선에 대한 인식, 수입농산물에 대한 인식, 농산물 시장개방 시 농산물 구입방법, 현 정부의 농업정책 만족도, 올해 농식품분야에서 가장 관심 많았던 이슈, 정부가 농업 및 농촌을 위해 해야 할 중요한 역할, 탄소중립을 달성하는 데 ‘농축산물 생산·유통·소비’ 부문의 역할 수준, 공익적 기능 증진 기여에 따른 농업인 보상 여부, 식량안보와 식량자급률 용어 인지 여부, 우리나라 온실가스 배출 문제의 심각성 및 감축을 위한 개인의 실천 방법, 로컬푸드 매장 이용 빈도, 로컬푸드 이용으로 인한 인식 변화, 로컬푸드 매장 이용시 불편한 점, 미래를 위해 우리나라 농업과 농촌의 중요성, 우리 사회에서 농업인의 주요 책임, 유기농 식품에 대한 인식 등이다.

더 보기


주제분류

지역과 공동체



파일유형 파일명 파일내용 파일형식 파일크기 다운로드
관련파일-설문지(한글) kor_que_20220092.pdf 설문지 (한글) PDF 341.98 kB 다운로드
아이디
사회인구학적 배경변수
농업·농촌의 가치에 대한 의식
농업 및 농촌 중요성
농업과 농촌 기능
농업 인식 및 전망
농촌복지
도시와 농촌 간 격차
농업·농촌에 대한 수요
귀농 및 귀촌
삶의 질
농산물 시장개방
경제상황
농업정책과 농정현안에 대한 인식
농업정책
농정현안
식량안보
로컬푸드
국외조사 비교 문항
농촌의 역할
유기농 식품
농업정책 및 농업문제
  • 정렬 기준
  • 정렬
목록으로
조회 수
125
관련 파일
42
데이터
2

현재 자료 버전 공개일 이후 집계치.
단, 2017년 5월 11일 이전 공개 자료의 경우 2017년 5월 11일 이후 집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