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SSDA Loading

서울시여성가족재단5406

서울시여성가족재단

서울시여성가족재단(Seoul Foundation of Women & Family)은 서울시의 양성평등을 실현하고 서울 여성의 경쟁력 향상과 사회 참여 확대를 위하여 서울특별시가 2002년에 설립한 재단법인입니다. 동 재단은 성주류화, 노동, 안전, 다양성, 가족, 돌봄 등을 주제로 다양한 정책연구를 수행하고, 여성과 가족의 소통 공간을 지원하기 위한 ‘서울여성플라자’와 ‘스페이스살림’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동 재단은 서울시와 함께 2015년 국내 최초의 성평등도서관인 ‘여기’를 개관함으로써 서울시의 생활 속 성평등에 관한 정보와 서울시 여성·가족정책과 관련된 전문 자료, 여성정책과 여성운동 등에 대한 발간물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자료 검색  Search Tips Start a new search
  • 결과수
  • 정렬 기준
  • 정렬

검색결과 5,406건 중 4,961-4,980 (소요 시간: 0.008 초)

변수명 / 변수설명/ 문항 / 자료명
A1_3_2_5

오프라인에서 여성혐오 표현 접촉 후 행동5: 무시하고 계속 해당사이트를 이용하였음

A1-3. 온라인이나 오프라인에서 여성혐오표현을 보거나 들었을 때 다음의 행위를 한 적이 있습니까? 오프라인-5. 무시하고, 계속 해당 사이트(서비스)를 이용하였다/ 무시하였다

서울시민 여성혐오 및 여성정책에 대한 인식조사, 2019

A1_3_2_7

오프라인에서 여성혐오 표현 접촉 후 행동7: 반대한다는 내용을 올렸음

A1-3. 온라인이나 오프라인에서 여성혐오표현을 보거나 들었을 때 다음의 행위를 한 적이 있습니까? 오프라인-7. 반대한다는 내용을 올렸다/ 반대한다는 의견을 표현하였다

서울시민 여성혐오 및 여성정책에 대한 인식조사, 2019

A1_3_2_10

오프라인에서 여성혐오 표현 접촉 후 행동10: 경찰, 여성가족부 등 공공기관에 신고하였음

A1-3. 온라인이나 오프라인에서 여성혐오표현을 보거나 들었을 때 다음의 행위를 한 적이 있습니까? 오프라인-10. 경찰, 여성가족부, 국가인권위원회 등 공공기관에 신고하였다

서울시민 여성혐오 및 여성정책에 대한 인식조사, 2019

A2_1

온라인에서 여성혐오 표현 경험

A2. 귀하께서는 여성을 비난, 멸시(깔보기), 위협하는 내용을 직접 표현한 적이 있습니까? 만일 그러한 적이 있다면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직접적 혐오 표현 공개 여부-1. 온라인

서울시민 여성혐오 및 여성정책에 대한 인식조사, 2019

A2_2

오프라인에서 여성혐오 표현 경험

A2. 귀하께서는 여성을 비난, 멸시(깔보기), 위협하는 내용을 직접 표현한 적이 있습니까? 만일 그러한 적이 있다면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직접적 혐오 표현 공개 여부-2. 오프라인

서울시민 여성혐오 및 여성정책에 대한 인식조사, 2019

A2_1_1

(온라인에서 경험 있는 경우) 온라인에서 여성혐오 표현 이유: 1순위

A2. 귀하께서는 여성을 비난, 멸시(깔보기), 위협하는 내용을 직접 표현한 적이 있습니까? 만일 그러한 적이 있다면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3. 혐오표현의 이유: 1순위

서울시민 여성혐오 및 여성정책에 대한 인식조사, 2019

A2_1_2

(온라인에서 경험 있는 경우) 온라인에서 여성혐오 표현 이유: 2순위

A2. 귀하께서는 여성을 비난, 멸시(깔보기), 위협하는 내용을 직접 표현한 적이 있습니까? 만일 그러한 적이 있다면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3. 혐오표현의 이유: 2순위

서울시민 여성혐오 및 여성정책에 대한 인식조사, 2019

A2_2_1

(오프라인에서 경험 있는 경우) 오프라인에서 여성혐오 표현 이유: 1순위

A2. 귀하께서는 여성을 비난, 멸시(깔보기), 위협하는 내용을 직접 표현한 적이 있습니까? 만일 그러한 적이 있다면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3. 혐오표현의 이유: 1순위

서울시민 여성혐오 및 여성정책에 대한 인식조사, 2019

A2_2_2

(오프라인에서 경험 있는 경우) 오프라인에서 여성혐오 표현 이유: 2순위

A2. 귀하께서는 여성을 비난, 멸시(깔보기), 위협하는 내용을 직접 표현한 적이 있습니까? 만일 그러한 적이 있다면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3. 혐오표현의 이유: 2순위

서울시민 여성혐오 및 여성정책에 대한 인식조사, 2019

A3_1

여성혐오 표현 사용에 대한 인식1: 김여사 등 여성의 특정 능력에 대한 표현

A3. 귀하께서는 다음과 같은 표현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1. 김여사 등 여성의 특정 능력에 대한 표현

서울시민 여성혐오 및 여성정책에 대한 인식조사, 2019

A3_2

여성혐오 표현 사용에 대한 인식2: **마, 맘충 등 엄마나 아이를 키우는 여성에 대한 표현

A3. 귀하께서는 다음과 같은 표현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2. **마, 맘충 등 엄마나 아이를 키우는 여성에 대한 표현

서울시민 여성혐오 및 여성정책에 대한 인식조사, 2019

A3_3

여성혐오 표현 사용에 대한 인식3: 삼일한, **꼼 등 여성에 대한 폭력을 조장하는 표현

A3. 귀하께서는 다음과 같은 표현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3. 삼일한, **꼼 등 여성에 대한 폭력을 조장하는 표현

서울시민 여성혐오 및 여성정책에 대한 인식조사, 2019

A3_4

여성혐오 표현 사용에 대한 인식4: *퇘지, *쿵쾅, 파오후 등 외모에 대한 표현

A3. 귀하께서는 다음과 같은 표현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4. *퇘지, *쿵쾅, 파오후 등 외모에 대한 표현

서울시민 여성혐오 및 여성정책에 대한 인식조사, 2019

A3_5

여성혐오 표현 사용에 대한 인식5: 보*루, **아치 등 여성의 성기를 지칭하는 비속어

A3. 귀하께서는 다음과 같은 표현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5. 보*루, **아치 등 여성의 성기를 지칭하는 비속어

서울시민 여성혐오 및 여성정책에 대한 인식조사, 2019

A3_6

여성혐오 표현 사용에 대한 인식6: 김치녀 등 한국 여성 전반에 대한 표현

A3. 귀하께서는 다음과 같은 표현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6. 김치녀 등 한국 여성 전반에 대한 표현

서울시민 여성혐오 및 여성정책에 대한 인식조사, 2019

A3_7

여성혐오 표현 사용에 대한 인식7: 개념녀, 보**, 여적여, 흉* 등 여성 내부의 분열을 조장하는 표현

A3. 귀하께서는 다음과 같은 표현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7. 개념녀, 보**, 여적여, 흉* 등 여성 내부의 분열을 조장하는 표현

서울시민 여성혐오 및 여성정책에 대한 인식조사, 2019

A3_8

여성혐오 표현 사용에 대한 인식8: 여성비하를 남성대상으로 패러디한 김치남, **충, 숨쉴한, **비 등의 표현

A3. 귀하께서는 다음과 같은 표현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8. 여성비하를 남성대상으로 패러디한 김치남, **충, 숨쉴한, **비 등의 표현

서울시민 여성혐오 및 여성정책에 대한 인식조사, 2019

A3_9

여성혐오 표현 사용에 대한 인식9: *기모띠, 야** 등 일본어에서 유래한 성적 불쾌감을 초래하는 표현

A3. 귀하께서는 다음과 같은 표현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9. *기모띠, 야** 등 일본어에서 유래한 성적 불쾌감을 초래하는 표현

서울시민 여성혐오 및 여성정책에 대한 인식조사, 2019

A3_10

여성혐오 표현 사용에 대한 인식10: 뷔페미니즘 등 페미니즘을 비꼬는 표현

A3. 귀하께서는 다음과 같은 표현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10. 뷔페미니즘 등 페미니즘을 비꼬는 표현

서울시민 여성혐오 및 여성정책에 대한 인식조사, 2019

A4_1

여성혐오 관련 사회적 통념에 대한 인식1: 2016년 발생한 ‘강남역 여성 살인사건’은 혐오와 무관함

A4. 귀하께서 아래의 진술에 대해 어느 정도 동의하시는지를 표시해주시기 바랍니다. 1. 2016년 발생한 ‘강남역 여성 살인사건’은 혐오와 무관하다

서울시민 여성혐오 및 여성정책에 대한 인식조사,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