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1_3_2_5
오프라인에서 여성혐오 표현 접촉 후 행동5: 무시하고 계속 해당사이트를 이용하였음
A1-3. 온라인이나 오프라인에서 여성혐오표현을 보거나 들었을 때 다음의 행위를 한 적이 있습니까?
오프라인-5. 무시하고, 계속 해당 사이트(서비스)를 이용하였다/ 무시하였다
서울시민 여성혐오 및 여성정책에 대한 인식조사, 2019
A1_3_2_7
오프라인에서 여성혐오 표현 접촉 후 행동7: 반대한다는 내용을 올렸음
A1-3. 온라인이나 오프라인에서 여성혐오표현을 보거나 들었을 때 다음의 행위를 한 적이 있습니까?
오프라인-7. 반대한다는 내용을 올렸다/ 반대한다는 의견을 표현하였다
서울시민 여성혐오 및 여성정책에 대한 인식조사, 2019
A1_3_2_10
오프라인에서 여성혐오 표현 접촉 후 행동10: 경찰, 여성가족부 등 공공기관에 신고하였음
A1-3. 온라인이나 오프라인에서 여성혐오표현을 보거나 들었을 때 다음의 행위를 한 적이 있습니까?
오프라인-10. 경찰, 여성가족부, 국가인권위원회 등 공공기관에 신고하였다
서울시민 여성혐오 및 여성정책에 대한 인식조사, 2019
A2_1
온라인에서 여성혐오 표현 경험
A2. 귀하께서는 여성을 비난, 멸시(깔보기), 위협하는 내용을 직접 표현한 적이 있습니까? 만일 그러한 적이 있다면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직접적 혐오 표현 공개 여부-1. 온라인
서울시민 여성혐오 및 여성정책에 대한 인식조사, 2019
A2_2
오프라인에서 여성혐오 표현 경험
A2. 귀하께서는 여성을 비난, 멸시(깔보기), 위협하는 내용을 직접 표현한 적이 있습니까? 만일 그러한 적이 있다면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직접적 혐오 표현 공개 여부-2. 오프라인
서울시민 여성혐오 및 여성정책에 대한 인식조사, 2019
A2_1_1
(온라인에서 경험 있는 경우) 온라인에서 여성혐오 표현 이유: 1순위
A2. 귀하께서는 여성을 비난, 멸시(깔보기), 위협하는 내용을 직접 표현한 적이 있습니까? 만일 그러한 적이 있다면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3. 혐오표현의 이유: 1순위
서울시민 여성혐오 및 여성정책에 대한 인식조사, 2019
A2_1_2
(온라인에서 경험 있는 경우) 온라인에서 여성혐오 표현 이유: 2순위
A2. 귀하께서는 여성을 비난, 멸시(깔보기), 위협하는 내용을 직접 표현한 적이 있습니까? 만일 그러한 적이 있다면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3. 혐오표현의 이유: 2순위
서울시민 여성혐오 및 여성정책에 대한 인식조사, 2019
A2_2_1
(오프라인에서 경험 있는 경우) 오프라인에서 여성혐오 표현 이유: 1순위
A2. 귀하께서는 여성을 비난, 멸시(깔보기), 위협하는 내용을 직접 표현한 적이 있습니까? 만일 그러한 적이 있다면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3. 혐오표현의 이유: 1순위
서울시민 여성혐오 및 여성정책에 대한 인식조사, 2019
A2_2_2
(오프라인에서 경험 있는 경우) 오프라인에서 여성혐오 표현 이유: 2순위
A2. 귀하께서는 여성을 비난, 멸시(깔보기), 위협하는 내용을 직접 표현한 적이 있습니까? 만일 그러한 적이 있다면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3. 혐오표현의 이유: 2순위
서울시민 여성혐오 및 여성정책에 대한 인식조사, 2019
A3_1
여성혐오 표현 사용에 대한 인식1: 김여사 등 여성의 특정 능력에 대한 표현
A3. 귀하께서는 다음과 같은 표현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1. 김여사 등 여성의 특정 능력에 대한 표현
서울시민 여성혐오 및 여성정책에 대한 인식조사, 2019
A3_2
여성혐오 표현 사용에 대한 인식2: **마, 맘충 등 엄마나 아이를 키우는 여성에 대한 표현
A3. 귀하께서는 다음과 같은 표현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2. **마, 맘충 등 엄마나 아이를 키우는 여성에 대한 표현
서울시민 여성혐오 및 여성정책에 대한 인식조사, 2019
A3_3
여성혐오 표현 사용에 대한 인식3: 삼일한, **꼼 등 여성에 대한 폭력을 조장하는 표현
A3. 귀하께서는 다음과 같은 표현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3. 삼일한, **꼼 등 여성에 대한 폭력을 조장하는 표현
서울시민 여성혐오 및 여성정책에 대한 인식조사, 2019
A3_4
여성혐오 표현 사용에 대한 인식4: *퇘지, *쿵쾅, 파오후 등 외모에 대한 표현
A3. 귀하께서는 다음과 같은 표현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4. *퇘지, *쿵쾅, 파오후 등 외모에 대한 표현
서울시민 여성혐오 및 여성정책에 대한 인식조사, 2019
A3_5
여성혐오 표현 사용에 대한 인식5: 보*루, **아치 등 여성의 성기를 지칭하는 비속어
A3. 귀하께서는 다음과 같은 표현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5. 보*루, **아치 등 여성의 성기를 지칭하는 비속어
서울시민 여성혐오 및 여성정책에 대한 인식조사, 2019
A3_6
여성혐오 표현 사용에 대한 인식6: 김치녀 등 한국 여성 전반에 대한 표현
A3. 귀하께서는 다음과 같은 표현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6. 김치녀 등 한국 여성 전반에 대한 표현
서울시민 여성혐오 및 여성정책에 대한 인식조사, 2019
A3_7
여성혐오 표현 사용에 대한 인식7: 개념녀, 보**, 여적여, 흉* 등 여성 내부의 분열을 조장하는 표현
A3. 귀하께서는 다음과 같은 표현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7. 개념녀, 보**, 여적여, 흉* 등 여성 내부의 분열을 조장하는 표현
서울시민 여성혐오 및 여성정책에 대한 인식조사, 2019
A3_8
여성혐오 표현 사용에 대한 인식8: 여성비하를 남성대상으로 패러디한 김치남, **충, 숨쉴한, **비 등의 표현
A3. 귀하께서는 다음과 같은 표현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8. 여성비하를 남성대상으로 패러디한 김치남, **충, 숨쉴한, **비 등의 표현
서울시민 여성혐오 및 여성정책에 대한 인식조사, 2019
A3_9
여성혐오 표현 사용에 대한 인식9: *기모띠, 야** 등 일본어에서 유래한 성적 불쾌감을 초래하는 표현
A3. 귀하께서는 다음과 같은 표현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9. *기모띠, 야** 등 일본어에서 유래한 성적 불쾌감을 초래하는 표현
서울시민 여성혐오 및 여성정책에 대한 인식조사, 2019
A3_10
여성혐오 표현 사용에 대한 인식10: 뷔페미니즘 등 페미니즘을 비꼬는 표현
A3. 귀하께서는 다음과 같은 표현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10. 뷔페미니즘 등 페미니즘을 비꼬는 표현
서울시민 여성혐오 및 여성정책에 대한 인식조사, 2019
A4_1
여성혐오 관련 사회적 통념에 대한 인식1: 2016년 발생한 ‘강남역 여성 살인사건’은 혐오와 무관함
A4. 귀하께서 아래의 진술에 대해 어느 정도 동의하시는지를 표시해주시기 바랍니다.
1. 2016년 발생한 ‘강남역 여성 살인사건’은 혐오와 무관하다
서울시민 여성혐오 및 여성정책에 대한 인식조사,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