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SSDA Loading

서울시여성가족재단5406

서울시여성가족재단

서울시여성가족재단(Seoul Foundation of Women & Family)은 서울시의 양성평등을 실현하고 서울 여성의 경쟁력 향상과 사회 참여 확대를 위하여 서울특별시가 2002년에 설립한 재단법인입니다. 동 재단은 성주류화, 노동, 안전, 다양성, 가족, 돌봄 등을 주제로 다양한 정책연구를 수행하고, 여성과 가족의 소통 공간을 지원하기 위한 ‘서울여성플라자’와 ‘스페이스살림’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동 재단은 서울시와 함께 2015년 국내 최초의 성평등도서관인 ‘여기’를 개관함으로써 서울시의 생활 속 성평등에 관한 정보와 서울시 여성·가족정책과 관련된 전문 자료, 여성정책과 여성운동 등에 대한 발간물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자료 검색  Search Tips Start a new search
  • 결과수
  • 정렬 기준
  • 정렬

검색결과 5,406건 중 4,881-4,900 (소요 시간: 0.007 초)

변수명 / 변수설명/ 문항 / 자료명
q28b1

[기혼자] 결혼 당시 배우자 부모님 거주지역

28. 결혼 당시 귀하와 배우자 부모의 거주 지역 배우자 부모님의 거주지역

서울시 성평등 가족문화 실태조사, 2019

ID

응답자 아이디

서울시민 여성혐오 및 여성정책에 대한 인식조사, 2019

SQ1

응답자 거주지역

SQ1. 거주지역

서울시민 여성혐오 및 여성정책에 대한 인식조사, 2019

SQ1_1

응답자 거주지역: 권역

SQ1-1. 거주구

서울시민 여성혐오 및 여성정책에 대한 인식조사, 2019

SQ2

응답자 성별

SQ2. 성별

서울시민 여성혐오 및 여성정책에 대한 인식조사, 2019

SQ3

응답자 연령

SQ3. 연령 (만 나이) : 직접 기입 (만 ______세)

서울시민 여성혐오 및 여성정책에 대한 인식조사, 2019

SQ3_1

응답자 연령 (재분류)

SQ3. 연령 (만 나이)

서울시민 여성혐오 및 여성정책에 대한 인식조사, 2019

SQ4_1

서울시 거주기간: 년

SQ4. 서울 거주기간 : 직접 기입 ( ____년 ____개월)

서울시민 여성혐오 및 여성정책에 대한 인식조사, 2019

SQ4_2

서울시 거주기간: 개월

SQ4. 서울 거주기간 : 직접 기입 ( ____년 ____개월)

서울시민 여성혐오 및 여성정책에 대한 인식조사, 2019

A1

여성혐오 표현 접촉 경험

A1. 귀하께서는 여성혐오 표현에 대하여 보거나 들은 경험이 얼마나 자주 있었습니까?

서울시민 여성혐오 및 여성정책에 대한 인식조사, 2019

A1_1_1

(접촉 경험 있는 경우) 여성혐오 표현 접촉 빈도1: 온라인 공간

A1-1. 다음 경로를 통해 여성혐오 표현을 접한 적이 있습니까? 해당 응답을 모두 선택해 주십시오. 1. 온라인 공간(모바일, 인터넷 포함)

서울시민 여성혐오 및 여성정책에 대한 인식조사, 2019

A1_1_2

(접촉 경험 있는 경우) 여성혐오 표현 접촉 빈도2: 대중매체 뉴스나 드라마

A1-1. 다음 경로를 통해 여성혐오 표현을 접한 적이 있습니까? 해당 응답을 모두 선택해 주십시오. 2. TV, 신문, 라디오 등 대중매체의 뉴스나 드라마 등

서울시민 여성혐오 및 여성정책에 대한 인식조사, 2019

A1_1_3

(접촉 경험 있는 경우) 여성혐오 표현 접촉 빈도3: 길거리, 대중교통, 공중화장실

A1-1. 다음 경로를 통해 여성혐오 표현을 접한 적이 있습니까? 해당 응답을 모두 선택해 주십시오. 3. 길거리, 대중교통, 공중화장실 등

서울시민 여성혐오 및 여성정책에 대한 인식조사, 2019

A1_1_4

(접촉 경험 있는 경우) 여성혐오 표현 접촉 빈도4: 연설이나 시위, 축제, 행사

A1-1. 다음 경로를 통해 여성혐오 표현을 접한 적이 있습니까? 해당 응답을 모두 선택해 주십시오. 4. 연설이나 시위, 축제, 행사 등

서울시민 여성혐오 및 여성정책에 대한 인식조사, 2019

A1_1_5

(접촉 경험 있는 경우) 여성혐오 표현 접촉 빈도5: 공공장소의 인쇄물

A1-1. 다음 경로를 통해 여성혐오 표현을 접한 적이 있습니까? 해당 응답을 모두 선택해 주십시오. 5. 포스터, 대자보, 현수막, 안내문 등 공공장소의 인쇄물

서울시민 여성혐오 및 여성정책에 대한 인식조사, 2019

A1_1_6

(접촉 경험 있는 경우) 여성혐오 표현 접촉 빈도6: 가족이나 친척

A1-1. 다음 경로를 통해 여성혐오 표현을 접한 적이 있습니까? 해당 응답을 모두 선택해 주십시오. 6. 가족이나 친척 등에게서

서울시민 여성혐오 및 여성정책에 대한 인식조사, 2019

A1_1_7

(접촉 경험 있는 경우) 여성혐오 표현 접촉 빈도7: 친구, 선후배

A1-1. 다음 경로를 통해 여성혐오 표현을 접한 적이 있습니까? 해당 응답을 모두 선택해 주십시오. 7. 친구, 선후배 등에게서

서울시민 여성혐오 및 여성정책에 대한 인식조사, 2019

A1_1_8

(접촉 경험 있는 경우) 여성혐오 표현 접촉 빈도8: 직장동료나 고용주 등 업무상 만난 사람

A1-1. 다음 경로를 통해 여성혐오 표현을 접한 적이 있습니까? 해당 응답을 모두 선택해 주십시오. 8. 직장 동료나 고용주 등 업무상 만난 사람에게서

서울시민 여성혐오 및 여성정책에 대한 인식조사, 2019

A1_1_9

(접촉 경험 있는 경우) 여성혐오 표현 접촉 빈도9: 공공기관 서비스 이용 과정에서 공무원

A1-1. 다음 경로를 통해 여성혐오 표현을 접한 적이 있습니까? 해당 응답을 모두 선택해 주십시오. 9. 공공기관 서비스 이용 과정에서 공무원에게서

서울시민 여성혐오 및 여성정책에 대한 인식조사, 2019

A1_1_10

(접촉 경험 있는 경우) 여성혐오 표현 접촉 빈도10: 시장, 마트, 가게 등 물건을 파는 사람

A1-1. 다음 경로를 통해 여성혐오 표현을 접한 적이 있습니까? 해당 응답을 모두 선택해 주십시오. 10. 시장, 마트, 가게 등 물건을 파는 사람으로부터

서울시민 여성혐오 및 여성정책에 대한 인식조사,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