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SSDA Loading
Survey data Member Access

Survey on the Educational Rights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2018 : Parents

https://doi.org/10.22687/KOSSDA-A1-2018-0017-V1.0

Go to List

Principal Investigator(s)

Kim, Ki-Ryong / Department of Middle Special Education, Joogbu University



Abstract

이 조사는 중부대학교 산학협력단이 국가인권위원회의 지원을 받아 특수교육 현장에서의 중증·중복장애학생에 대한 교육권 보장 실태와 인권 침해 및 장애로 인한 차별 경험 등을 파악함으로써 향후 중증·중복장애학생들의 교육권 증진을 위한 개선 방안을 마련하고자 실시한 것이다. 중증·중복장애란 감각적 장애, 신체적 장애, 인지적 장애 등 두 가지 이상의 장애를 가지고 있거나 장애 정도가 심각하여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한 상태를 뜻한다. 이 연구에서는 중증·중복장애 학생을 지체장애 및 뇌병변장애를 주 장애로 가지고 있는 동시에 다른 장애를 동반하며, 유치원, 초·중·고등학교, 특수학교 전공과 과정에 재학 중인 특수교육 대상자로 정의하고 있다. 자료 수집은 전국의 중증·중복장애학생이 일부 배치된 특수학교 및 지체장애 특수학교에 소속된 특수교사, 학교 관리자, 그리고 학부모를 대상으로 각각 실시되었다.
이 자료는 중증·중복장애학생이 배치된 특수학교 및 지체장애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중증·중복장애자녀를 둔 학부모로부터 수집되었다. 설문지는 각 조사대상별 인식 차이를 비교하기 위한 공통 문항을 포함하고 있으며, 주요 조사내용은 중증·중복장애자녀의 인적 사항, 중증·중복장애자녀의 일상생활 수행능력 수준과 지원 요구, 중증·중복장애자녀 권리 보장 실태, 학교에서의 중증·중복장애자녀 교육권 보장 실태 등이다.

View all


Subjects

Education



Usage

1. 이 데이터는 설문에 불성실하게 응답하거나 연구대상의 준거에 부합하지 않는 케이스를 제외하지 않고 산출된 것으로 데이터 사례수는 결과보고서 「중증·중복장애학생 교육권 실태조사」에 집계된 값과 일부 차이가 있습니다. 그중 학부모용 데이터 파일은 110개의 불성실 응답 케이스(변수명 q4~q30에 무응답)에 대하여 별도의 결측값 처리 없이 시스템 결측값으로 구분하였으니 이용에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2. 학부모용 데이터 파일에서 변수 q9(응답자 자녀 학년)는 변수값과 레이블이 학년 순서에 맞게 매칭되어 있지 않으므로 이용에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 응답자 자녀의 학년 q9
1 - 1학년
2 - 4학년
3 - 2학년
4 - 5학년
5 - 3학년
6 - 6학년
3. KOSSDA는 결과보고서에 수록된 학부모용 설문지와 더불어 온라인조사에 직접 활용된 웹버전 설문지를 함께 제공하고 있습니다. 설문지 원본과 웹버전 설문지의 문항번호가 일치하지 않으니 이용에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File Type File Name File Description File Format File Size Download
Related Documents-Questionnaire(Korean) kor_que_20180017.pdf 설문지 (한글) PDF 769.26 kB Download
Related Documents-Questionnaire(Korean) kor_que_20180017_web.pdf 설문지 (한글) PDF 467.14 kB Download
  • Sort by
  • Sort by
Go to List
Views
280
Related
Documents
176
Data Downloads
1

Measured since the release date of the current version data.
If the data were released before May 11, 2017, it was measured since May 11,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