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SSDA Loading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1998-2021 [1-24th]

한영
Data Type
Survey data
ID Number
A1-CUM-0053
Title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1998-2021 [1-24th]
Alternative Title
KLIPS, 1998-2021
DOI
https://doi.org/10.22687/KOSSDA-A1-CUM-0053-V1.0
URI
http://hdl.handle.net/20.500.12236/26024
Series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Citation
Jang, In-Song.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1998-2021 [1-24th] [Dataset]. Korea Labor Institute [Producers]. Korea Social Science Data Archive (KOSSDA) [Distributors], 2023-05-19, https://doi.org/10.22687/KOSSDA-A1-CUM-0053-V1.0.
Project Title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1998-2021
Principal Investigator(s)
Jang, In-Song / Korea Labor Institute
Co-Investigator(s)
Lee, Ji-Eun / Korea Labor Institute
Shin, Seon-Ok / Korea Labor Institute
Jeong, Hyeon-Sang / Korea Labor Institute
Kwon, Ik-seong / Korea Labor Institute
Lee, Dong-Sun /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Producer(s)
Korea Labor Institute
Fundings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Korea Labor Institute
Copyright
Korea Labor Institute
Depositor(s)
Korea Labor Institute
Date of Deposit
2023-05-11
Distributor(s)
Korea Social Science Data Archive (KOSSDA)
Date of Distribution
2023-05-19
Version
V1.0
Date of Version
2023-05-19
Abstract
한국노동패널조사(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KLIPS)는 한국노동연구원이 개인 및 가구의 경제활동 및 노동시장 이동을 추적하고, 소득 및 소비실태 등을 반영하는 기초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1998년부터 매년 시행하고 있는 한국의 대표적인 전국단위 종단조사이다. 1998년 도시 거주 가구의 노동시장 특성을 보여주는 것을 목표로 5,000가구를 구축하였고, 2009년 패널 이탈에 의한 마모와 도시 지역 표집에 따른 대표성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추가 표본을 추출하여 1,415가구를 구축해 전국 단위의 가구로 모집단을 확장하였다. 그리고 2018년 장기간의 조사에 따른 표본이탈 문제 등을 해결하고 모집단 대표성을 확보하기 위해 5,044가구를 추가로 구축하였다.
KLIPS는 가구를 조사 대상으로 한 가구용 자료와 해당 가구의 만15세 이상 모든 가구원을 대상으로 한 개인용 자료로 구분되며, 내용상으로는 반복문항을 조사하는 기본조사와 중요 이슈를 심층적으로 다루는 부가조사로 설계되어 있다. 2021년(24차) 부가조사 주제는 2020년(23차) 부가조사의 후속조사로서 만15세 이상 가구원을 대상으로 '코로나19로 인한 생활 및 인식 변화'를 측정하였다.
이 자료는 1998년(1차)부터 2021년(24차)까지 각 연도의 대상별 데이터와 부가조사 데이터, 그리고 직업력 데이터이며, 주요 조사내용은 아래와 같다.
1. 기본조사: 가구
가구원의 인적사항, 변동 가구원 관련사항, 가족관계와 세대간 경제적 교류, 주거 상태, 자녀교육과 보육, 가구의 소득과 소비, 가구의 자산과 부채, 가구의 경제 상태 및 가계에 부담을 느끼는 소비 항목 등
2. 기본조사: 가구원
가구원 조사는 응답자에게 어떤 유형의 설문을 조사할지 판별하기 위한 예비설문과 기존 응답자에 대해 일자리 단위별로 조사하는 8개 유형 설문, 그리고 취업자 및 미취업자용 설문과 신규 조사자용 설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 조사내용: 경제활동 상태, 일자리 업종과 직종, 고용상 특성, 근로시간, 부가급여 및 복리후생, 직무만족, 임금, 창업 방법, 부업, 일자리 이동, 창업 동기, 창업 규모와 시기, 창업과정의 어려움, 구직활동 및 구직 시 어려운 점, 교육 및 직업훈련, 희망 일자리, 자격증 취득 현황, 사회보험 수급 현황, 혼인상태 및 생활 만족, 주관적 계층 소속감, 종교 및 종교활동 참여도 등
3. 연도별 부가조사 주제
- 2000년[3차] 부가조사: 청년층
- 2001년[4차] 부가조사: 건강과 은퇴
- 2003년[6차] 부가조사: 중고령자
- 2004년[7차] 부가조사: 근로시간과 여가
- 2005년[8차] 부가조사: 노동조합과 노사관계
- 2006년[9차] 부가조사: 청년층
- 2007년[10차] 부가조사: 고용형태
- 2008년[11차] 부가조사: 교육
- 2014년[17차] 부가조사: 시간사용과 삶의 질
- 2015년[18차] 부가조사A: 삶의 인식
- 2015년[18차] 부가조사B: 장년층
- 2016년[19차] 부가조사: 삶의 인식
- 2017년[20차] 부가조사: 의사결정
- 2018년[21차] 부가조사: 고용형태
- 2019년[22차] 부가조사: 비임금
- 2020년[23차] 부가조사: 코로나19로 인한 생활 및 인식 변화1
- 2021년[24차] 부가조사: 코로나19로 인한 생활 및 인식 변화2
Keywords
panel surveylaborpay (wages)incomejob vacanciesconsumptionhouseholdassetsemploymentstartupbusiness start upjob trainingsocial insurance
Topics
Employment/ Labor
Date of Collection
1998~2021
Countries
South Korea (KOR)
Geographic Coverage
South Korea including Jeju
Unit of Analysis
Household
Universe
제주도를 포함한 전국의 가구 및 해당가구의 만15세 이상 가구원
Time Method
Longitudinal: Panel
Data Source
Population group
Data Collector(s)
Hankook Research Co., Ltd.
Freq. of Data Collection
every year since 1998
Mode of Data Collection
조사원기입식 대인면접을 원칙으로 하고 일부는 유치, 전화, 웹조사
Sampling Procedure
two-stage cluster systematic sampling
Number of Cases
가구 - 총 11,639 가구 [98원표본] 3,161 가구 / [09통합표본] 5,323 가구 / [18통합표본] 11,043 가구
개인 - 총 22,958명 [98원표본] 11,838명 / [09통합표본] 13,531명 / [18통합표본] 22,679명
Response Rates
98표본 유지율 63.2% ; 09통합표본 유지율 79.2% ; 18통합표본 유지율 91.0%
Weighting
Yes
Data Format
Numeric
Extent of Collection
Data (sav, dta, sas7bdat, xlsx); Questionnaire (pdf); Codebook (xls); Userguide (pdf)
Language
Data-Korean; Questionnaire-Korean; Codebook-Korean; Userguide-Korean
Availability Status
Public Use
Usage
1. 설문지와 코드북, 유저가이드는 1998년부터 2021년까지의 통합본입니다. 가구와 부가조사 설문지는 단일 유형이지만, 가구원 설문지는 8개의 일자리 유형 및 취업자/미취업용 설문으로 구분되어 있고 개인의 상황에 따라 복수 유형에 응답한 경우가 있으니 이용 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2. KLIPS는 1998년도 원표본에 2009년, 2018년에 표본 추가를 하였습니다. 이에 98표본(1-24차), 09통합표본(1-13차), 18통합표본(1-4차)의 세 개의 패널을 구분하고 있으니 분석 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3. 한국노동연구원 노동패널팀에서는 매년 1차부터 종단면으로 자료를 정제하여 배포합니다. 따라서 24차 이전 자료를 가지고 계시더라도, 종단면 자료를 사용하실 때는 1-24차년도 공개용 자료를 모두 다운 받아 각각의 데이터에 있는 version 변수값이 24인지 확인하여 같은 버전을 맞춘 후 작업하시기 바랍니다.
4. 2021년(24차) 조사의 설문지는 본래 개인 및 가구용, 부가조사용으로 각각 구성되어 있으나, 이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통합된 형태로 제공되고 있습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유저가이드를 참고하십시오.
Notes
자료에 대해 궁금하신 점은 한국노동연구원 패널조사팀으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Tel. 044-287-6654
File Information
File Type File Name File Description File Format File Size Download
Related Documents-Questionnaire(Korean) kor_que_CUM0053.pdf 설문지 (한글) PDF 18.62 MB 다운로드
Related Documents-Other kor_userguide_CUM0053.pdf 유저가이드 (한글) PDF 2.86 MB 다운로드

H. Kim; B. Song Lee. 2023. Aging workforce, wages, and productivity: Do older workers drag productivity down in Korea?. Elsevier B.V. KSSL Google

C. Choe; D. Lee; K. Choi. 2023. Job training and firm efficiency: evidence from a meta-frontier analysis. Routledge KSSL Google

K. Kim; J. Lee; C. Lee. 2023. Which innovation type is better for production efficiency? A comparison between product/service, process, organisational and marketing innovations using stochastic frontier and meta-frontier analysis. Routledge KSSL Google

Qian-Ni Gao, 정우진, 이환우. 2023.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이직수준 및 기술혁신 성과의 관계에 대한 패널자료 분석. 한국유통경영학회 KSSL Google

주다영. 2023. 노동조합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김대환, 정창연. 2023. 노동조합이 취약계층의 고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권민지. 2023. 베이지안 누적 프로빗 선형 혼합모형을 사용한 사업체 패널데이터 분석.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양동훈, 최형준. 2023. 성별다양성이 한국 사무직 근로자의 이직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KSSL Google

임소현, 장용석. 2023. 유연근무제의 도입과 디커플링(decoupling)이 자발적 이직률에 미치는 영향: 조직규모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KSSL Google

이혜지. 2023. 육아휴직 사용 후 근로자의 고용유지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임채홍, 신유호. 2023. 이중차분법(Difference in Difference) 준실험설계를 통한 공공기관 성과연봉제 정책변화의 영향 탐색. 한국지방정부학회 KSSL Google

김가은. 2023. 일자리안정자금정책이 기업의 재무성과와 고용유지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김기성. 2023. 코로나-19 시기 기업의 유연근무 실시와 여성 고용의 변화.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정희진, 강창희. 2022. 2013년 법정 정년 연장이 사업체의 고용규모에 미친 영향 : “사업체패널조사” 자료를 이용한 분석. 한국경제의 분석패널 KSSL Google

S. Woohun. 2022. A Study of Income Mobility in Korea.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J. Suh; P. Battaglio. 2022. Assessing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nal Communication on Strategic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Perceived Performance: An Intersectoral Comparison. SAGE Publications Inc. KSSL Google

M. K. Joo; J. Y. Lee; D. T. Kong; P. M. Jolly. 2022. Gender diversity advantage at middle management: Implications for high performance work system improvement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John Wiley and Sons Inc KSSL Google

권유빈. 2022. Had the affirmative action in South Korea improved women representation in management?. KDI School of Public Policy and Management 석사 KSSL Google

Y. Jaehong. 2022. Hiring discrimination, precarious employment, and health: Applying machine learning algorithms to social epidemiology.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 KSSL Google

정주연. 2022. KLIPS data를 이용한 소비분석에 관한 세 논문.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 KSSL Google

S. Y. L. Yoon, S. Kim, L.. 2022. Labour market uncertainty and the economic foundations of marriage in South Korea. Routledge/ Asian Population Studies KSSL Google

W. H. S. Kim, M. Yang, H. S.. 2022. Labour supply elasticities in Korea: estimation with borrowing-constrained couples. Routledge/ Applied Economics Letters KSSL Google

H. Choe, Y. Kim, S. Moon. 2022. The Effect of Labor Flexibility on Financial Performance in Korea: The Moderating Effect of Labor Relations Climate. MDPI/ Sustainability (Switzerland) KSSL Google

Y. W. Lee. 2022. Trade Unions and Workers’ Life Satisfaction in South Korea. Springer Science and Business Media B.V./ Applied Research in Quality of Life KSSL Google

이승주. 2022. 고용의 질에 관한 정부규제가 중소기업 혁신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 KSSL Google

옥애림. 2022. 공공임대주택 유효 수요 분석: 국민임대주택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김은주. 2022. 근로시간 단축의 노동시장 효과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 KSSL Google

김은주, 오민홍. 2022. 근로시간 단축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질서경제학회 KSSL Google

김동배, 이인재. 2022. 근로자 제안제도와 기술혁신.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이현실, 권순원. 2022. 기업의 내부적 CSR 활동의 디커플링(Decoupling)현상분석 : 제도적 동형화를 중심으로. 한국산업경영학회 KSSL Google

김진희. 2022. 기업의 성과에 대한 고용 및 인적자원개발, 노사관행의 영향력 연구. 국제문화기술진흥원 KSSL Google

신현우. 2022. 노동인권 지표 및 지수 개발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테크노인력개발전문대학원 박사 KSSL Google

김봉근, 이지홍, 이철인. 2022. 노동조합과 혁신 활동: 특허 자료 연계 사업체패널 분석. 경제연구소 KSSL Google

이동진. 2022. 노동조합을 통한 근로자간접참여의식과 인사관리유형 및 조직몰입에 대한 종단연구.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KSSL Google

김세화, 오석영. 2022. 노사관계와 몰입형 인사관리, 경력개발지원의 관계에 대한 종단연구. 한국인력개발학회 KSSL Google

전해정. 2022. 데이터마이닝을 이용한 주택 점유형태 결정요인 분석.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KSSL Google

박철성, 최강식. 2022. 비인지적 능력이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양교육학회 KSSL Google

이인재, 김동배. 2022. 성과배분과 임금수준.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KSSL Google

이경호. 2022. 스마트워크 일터혁신과 직무자율성 변화의 관계 연구. 국제e-비즈니스학회 KSSL Google

박찬웅, 김기성, 김노을, 이율리. 2022. 여성의 재취업 결정요인에 관한 종단적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KSSL Google

이태현. 2022. 우리나라 노동시장 분절 구조에 대한 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김명환, 김기승, 조용수. 2022. 임금근로자와 자영업자의 분위별 교육투자수익률 비교분석. 한국경제통상학회 KSSL Google

권현경. 2022. 임금피크제가 민간사업체의 고용에 미치는 효과.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테크노인력개발전문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손정민. 2022. 자동화가 고용, 생산성, 수익성에 미치는 영향 : 2005년부터 2015년 사이의 한국기업을 중심으로. 중소기업융합학회 KSSL Google

손연정. 2022. 자영업 경험자의 노동이력 유형화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KSSL Google

장인성, 이지은, 신선옥, 정현상, 권익성, 이동선. 2022. 제24차(2021)년도 한국 가구와 개인의 경제활동: 한국노동패널 기초분석보고서.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민인식, 전예지, 홍경준. 2022. 조직적 살림살이 공유와 재무적 살림살이 공유 간의 관계 연구: 수혜자인 부모와 제공자인 성인 자녀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연구회 KSSL Google

김보경. 2022. 주택가격이 노동공급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 KSSL Google

노용진, 노세리. 2022. 중소기업 내 스마트기술의 경영성과 효과. 한국산업노동학회 KSSL Google

최계원, 이영민. 2022. 중소제조기업 교육훈련 투자 영향요인에 관한 분석. 한국기업교육학회 KSSL Google

유서영, 김동현. 2022. 지역경제의 구조적 요인이 기업성과(기업매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다층모형을 이용하여. 산업경영연구소 KSSL Google

노용진, 김지현. 2022. 직무만족 상승 추이의 영향요인: 2002-2020년 기간을 중심으로.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KSSL Google

고경선, 남정민. 2022. 창업가적 경영전략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블루오션과 퍼스트무버 중심으로.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 KSSL Google

박성희. 2022. 청년 근로자의 노동시장 지위변동 유형이 시간당 임금 및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박사 KSSL Google

김정우. 2022. 초기업단위 교섭과 임금불평등. 한국산업노동학회 KSSL Google

정도범, 유화선. 2022. 코로나19(COVID-19)와 제조기업의 유연근무제도 활용 여부: 전망 이론(Prospect Theory)을 중심으로. 경영연구소 KSSL Google

황선웅. 2022. 코로나19와 실직: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 비교. 한국산업노동학회 KSSL Google

강금봉. 2022. 프리랜서의 소득 불안정에 대한 동태적 실증 연구: 임금근로자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KSSL Google

이상직. 2022. 한국 청년의 성인기 역할 구조 변화, 1998-2018: 젠더와 계층 차이. 한국인구학회 KSSL Google

김은선. 2022. 한국의 고용안정성 결정요인 실증연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 KSSL Google

김태환. 2022. 한국의 이중노동시장 지위에 따른 시간과 소득의 이중빈곤 영향 요인 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이병훈, 김은경, 송리라. 2022. 헤도닉 가중치 및 불안정 강도를 활용한 불안정 노동의 다차원적 분석. 한국사회정책학회 KSSL Google

안남규. 2022. 협력적 노사관계가 기업의 노동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김지훈, 강욱모. 2021. <세대간 연구> 베이비붐세대 및 에코세대간 소득불평등의 재생산: 교육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KSSL Google

성영애. 2021. 1인 가구와 부모․자녀가구 간의 경제적 교류유형과 영향요인 연구. 한국소비자학회 KSSL Google

최영섭. 2021. 2000년대 후반 이후 한국 기업의 교육훈련 투자에 대한 영향 요인 분석. (사)한국직업자격학회 KSSL Google

박현준, 정인관. 2021. 20년간의 세대 간 사회이동의 변화: 30~49세 두 남성 코호트 비교 분석. 한국사회학회 KSSL Google

S. Kang. 2021. A Critical Analysis of the WAQ: The Development of a Korean Form. SAGE Publications Inc./ Psychological Reports KSSL Google

C. Song. 2021. Comparison of intergenerational income mobility i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Period changes between 1980‒1995 and 1996‒2015. John Wiley and Sons Inc/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Welfare KSSL Google

D. K. Lim, K. A. Park, H. Choi, K. J.. 2021. Employment status and mortality among Korean men over a 13-year period. Korean Society of Epidemiology/ Epidemiology and Health KSSL Google

M. Ja Yung. 2021. Gender Ideology and Fertility: The association between ideals and realization in South Korea.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 KSSL Google

L. Wang. 2021. Identifiability and estimation of two-sample data with nonignorable missing response. Taylor and Francis Ltd./ Communications in Statistics - Theory and Methods KSSL Google

이하은. 2021. Melting Clots 인구통계적 응집도와 성과 간 관계에서 직무순환의 조절효과 사업체패널조사 데이터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S. Lim. 2021. Socioeconomic Differentials in Fertility in South Korea. Max Planck Institute for Demographic Research/ Demographic Research KSSL Google

사라. 2021. The Effect of Age Distribution on the Estimation Method of Intergenerational Income Mobility.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K. B. Bae. 2021. The effect of pay for performance on work attitudes in the private, public, and nonprofit sectors: A panel study from South Korea. SAGE Publications Ltd/ International Review of Administrative Sciences KSSL Google

G. S. C. Jeon, J. M.. 2021. The Effect of workaholism among Female Human Service Worker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Eskisehir Osmangazi University/ Review of International Geographical Education Online KSSL Google

K. H. Y. Kim, S. D.. 2021. The Global Financial Crisis and transition out of homeownership in Korea. Academic Press Inc./ Journal of Housing Economics KSSL Google

J. H. K. Lee, M. Y.. 2021. The Influence of Chronic Diseases on Self-Reported Work Disability: Evidence From the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2003-2018. NLM (Medline)/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KSSL Google

Y. W. Lee. 2021. Trade Unions and Workers’ Life Satisfaction in South Korea. Springer Science and Business Media B.V./ Applied Research in Quality of Life KSSL Google

K. Kim, J. Lee, C. Lee. 2021. Which innovation type is better for production efficiency? A comparison between product/service, process, organisational and marketing innovations using stochastic frontier and meta-frontier analysis. Routledge/ Technology Analysis and Strategic Management KSSL Google

H. Lee. 2021. Working hours and life satisfaction: finding blind spots from Korean panel data. Taylor and Francis Ltd./ International Review of Public Administration KSSL Google

임찬영. 2021. 가계 소비지출구조의 패널 분석: 가구주의 노동시장 특성과 근로소득을 중심으로. 한국자료분석학회 KSSL Google

김미나, 김성환. 2021. 가구 소득과 금융투자 포트폴리오가 금융소득에 미치는 영향. 한국재무관리학회 KSSL Google

정호성, 유재인. 2021. 개인 소비 지출 및 소득 충격에 의한 채무 불이행 행태 분석. 한국금융정보학회 KSSL Google

김지원, 마강래. 2021. 거주지에 따른 자산 격차에 관한 연구 - 주택 보유여부를 중심으로 -. 대한부동산학회 KSSL Google

오혜은, 최미향, 홍경준. 2021. 경력단절 이후 자영업을 선택한 여성의 노동시장 이행 궤적 -집단기반궤적모형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KSSL Google

박동하, 김준형. 2021. 고령가구의 주택유형: 아파트에 계속 거주할 것인가?. 한국부동산분석학회 KSSL Google

박준범. 2021. 고령자의 사회적 관계가 계속거주여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신현우, 김주일. 2021. 공공부문의 인권경영 수준 결정요인 분석. 한국기업법학회 KSSL Google

김대환, 강중철. 2021. 공적연금 수령이 건강 행태에 미치는 영향. 보험연구원 KSSL Google

이재정. 2021. 국내 세대 간 소득이동성 연구와 한국 노동패널의 특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이예인. 2021.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연계방안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이소현, 임업. 2021. 근로빈곤층과 근로비빈곤층의 차별적 소득 궤적 - 잠재성장모형의 응용 -. 한국지역학회 KSSL Google

정승용. 2021. 근로시간이 근로자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이동진, 이종건. 2021. 근로자대표기구를 통한 참여의식과 일자리의 숙련기술적합도 및 만족도 사이의 종단적 관계. 한국인사관리학회 KSSL Google

이지은, 김교성. 2021. 기본소득과 재량시간: 성별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보장학회 KSSL Google

이채정, 조희찬, 장윤정. 2021. 기술혁신에 따른 직무대체의 사회적 영향 탐색: 사회적 비용 추계와 사회적 인식 검토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원 KSSL Google

박한진. 2021. 기업 규모간 임금격차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민희철. 2021. 기업 규모와 자발적 이직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경제학회 KSSL Google

정준서, 최율. 2021. 기업 유형에 따른 주관적 고용의 질이 근로자의 전반적 직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경제기업을 중심으로. 한국인문사회과학회 KSSL Google

김재성. 2021. 기업의 노동 유연성과 혁신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 KSSL Google

김재성, 최상옥. 2021. 기업의 노동 유연성이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학회 KSSL Google

신희경. 2021.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근로자의 자발적 이직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이유나. 2021. 기혼 근로자의 근로 및 사업체 특성, 과로인식이 직무만족도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석사 KSSL Google

이유나, 최은영. 2021. 기혼 근로자의 근로 및 사업체 특성, 과로인식이 직무만족도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생활과학연구소 KSSL Google

이선민. 2021. 노동조합과 무노조기업 노사협의회의 임금인상률 비교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김정우. 2021. 노동조합은 산업재해 발생과 은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한국산업노동학회 KSSL Google

곽영민, 김현진. 2021. 노동조합의 영향력과 이익조정. 산업경영연구소 KSSL Google

박대엽. 2021. 노동조합이 비정규직의 임금 인상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고혜진. 2021. 누가 정규직이 되는가? -비정규직 일자리의 가교 기능 검토-. 국회입법조사처 KSSL Google

김정우. 2021. 대・중소규모 사업체의 산업재해 발생특성 비교분석. 중소벤처기업연구원 KSSL Google

정한나. 2021. 맞벌이 및 일자리 질에 따른 부모 됨과 삶의 만족에 대한 분석.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KSSL Google

권순식. 2021. 복수노조가 노사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김대환. 2021. 부동산 소유 및 가격 변화가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부동산원 KSSL Google

이희선. 2021. 부동산 소유와 부채 보유의 연령 및 세대효과.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차은영, 이새롬. 2021. 부동산충격이 소비에 미치는 영향: 패널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여성경제학회 KSSL Google

이수진. 2021. 부모 동거 미혼자의 계층 의식 및 생활 만족도를 결정하는 요인: 부모 동거 미혼자의 성별에 따른 부모의 사회 경제적 자원의 효과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 KSSL Google

배화숙. 2021. 비전형근로 경험 근로자의 노동시장이행 성격과 종사상지위 결정 영향요인. 한국사회보장학회 KSSL Google

김명환, 김기승. 2021. 비정규직 활용이 분위별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제통상학회 KSSL Google

오호영. 2021. 사업주 직업훈련 참여와 보상의 성별 격차.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현다운. 2021. 생애과정 관점에서 본 노년기 건강 위험 요인. 성공회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 KSSL Google

김동배, 류성민. 2021. 성과배분제와 참여적 작업조직: 노동조합의 조절효과. 대한경영학회 KSSL Google

황은숙. 2021. 성별 다양성과 조직성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유태형. 2021. 소득분위에 따른 한국의 남녀 간 임금격차에 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남재현. 2021. 아동수당이 기혼여성의 노동공급에 미치는 영향.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건강정책학회 KSSL Google

김다원. 2021. 여성친화정책이 직무만족도와 직무몰입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테크노인력개발전문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송해련. 2021. 외국인 노동자 고용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여성경제학회 KSSL Google

권인수, 이하은, 김상준. 2021. 인구통계적 응집성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서 HR 제도의 역할 탐구: 순환근무와 탄력근무를 중심으로. 경영경제연구소 KSSL Google

김승태, 박서현, 손세호, 오종석. 2021. 임금피크제 도입에 따른 고용효과 분석. 한국경제통상학회 KSSL Google

송기훈. 2021. 임금피크제 도입이 공공기관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이인규. 2021. 임차가구의 주거비부담수준 변화와 영향요인 분석. 한밭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이수영, 정의철. 2021. 자가 거주가 미혼 가구주의 결혼 결정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부동산분석학회 KSSL Google

이지은, 정세은. 2021. 자녀세대의 주택 취득에서의 부의 대물림 현상 연구. 한국사회경제학회 KSSL Google

김성훈, 우명숙. 2021. 자영노동자의 노동조합 의식 연구: 임금노동자성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산업노동학회 KSSL Google

석관호, 윤세정. 2021. 장애인 근로자와 비장애인 근로자의 직무만족도: 만족 수준의 차이와 매개효과.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KSSL Google

권유진. 2021. 저임금 근로자들의 근로시간에 대한 최저임금 인상 정책의 영향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이혜윤. 2021. 정책의 역설, 소득주도성장 정책, 누구를 위한 정책인가? : 정책목표와 정책대안의 정합가능성의 관점에서. 한국규제학회 KSSL Google

장인성, 이지은, 신선옥, 정현상, 권익성. 2021. 제23차(2020)년도 한국 가구와 개인의 경제활동: 한국노동패널 기초분석보고서.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이진우, 금종예. 2021. 주 52시간 근로시간 단축제도가 가구 내 부부의 노동시간 격차에 미친 영향. 정부학연구소 KSSL Google

심재선, 김호현. 2021. 주 52시간 상한제 도입 효과 분석: 실근로시간 및 만족도를 중심으로. 한국자료분석학회 KSSL Google

심재선, 김호현. 2021. 주 52시간 상한제가 장시간 근로자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컨설팅학회 KSSL Google

김지원. 2021. 주택 보유여부에 따른 자산의 공간적 격차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이희선, 하준경. 2021. 주택 소유와 부채 보유의 연령 및 세대효과. 한국주택학회 KSSL Google

한상범. 2021. 주택자산 가치와 가계 레버리지 변동의 부 효과(wealth effect) 분석. 한국부동산법학회 KSSL Google

신형섭, 정의철. 2021. 주택점유형태가 신혼가구의 출산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주택학회 KSSL Google

이주영. 2021. 중고령자 재취업 결정 요인 분석: 임금 및 비임금 일자리 경쟁 모형을 중심으로. 한국인구학회 KSSL Google

박규범. 2021. 지역 특성이 우리나라 가구의 경제적 복지에 미치는 영향: 3 수준 다층성장모형을 적용하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KSSL Google

신재열. 2021. 첫 일자리의 선택이 노동소득에 미치는 영향: 첫 일자리 이후의 일자리 이행과 노동소득의 변화에 관한 검토. 비판사회학회 KSSL Google

송주원. 2021. 측정오차로 인한 불완전한 측정 하에서의 결측값 대체. 한국자료분석학회 KSSL Google

한다혜, 김소연, 김난도. 2021. 캥거루족 가구의 소비패턴 유형화와 가구주의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소비문화학회 KSSL Google

김윤영. 2021. 패널데이터를 활용한 인천시 중독 현황분석 및 융합 정책연구.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KSSL Google

양은모, 한창근, 배호중. 2021. 패널자료로 살펴본 ‘혼인 당시 무주택 가구’의 주택 마련 양상: 혼인 당시 주거특성 차이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원 KSSL Google

이은빈. 2021. 패널조사 자료 분석을 위한 가중치 산출 방안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정승국. 2021. 한국 내부노동시장의 성격과 비정규직 활용.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스티븐 밤멜. 2021. 한국 서비스업의 자영업 영세성 분석. 한양대학교 박사 KSSL Google

신지섭, 주병기. 2021. 한국노동패널과 가계동향조사를 이용한 소득기회불평등의 장기추세에 대한 연구. 한국경제학회 KSSL Google

김대환. 2021. 한국사회에서 사회경제적 지위 개선 가능성에 대한 주관적 평가의 변화. 사회과학기초자료연구소 KSSL Google

권보휘. 2021. 한국에 위대한 개츠비 곡선이 존재하는가?. 한남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배진한, 김우영. 2021. 한국의 최저임금과 자영업. 한국노동경제학회 KSSL Google

김지원, 박차늠, 구교준, 이희철. 2021. 한국의 행복 불평등 분석. 한국행정연구소 KSSL Google

취칭칭, 이정현. 2020. 2005∼2013 집단성과급제 유지에 대한 영향요인 연구.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KSSL Google

이채정, 허종호, 윤난희. 2020. 4차 산업혁명에 의한 일자리 대체의 사회적 영향 분석: 빈곤갭을 활용한 사회적 비용 추계를 중심으로. 융합사회연구소 KSSL Google

S. Kang. 2020. A Critical Analysis of the WAQ: The Development of a Korean Form. SAGE Publications Inc./ Psychological Reports KSSL Google

M. H. Jung. 2020.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social class and life satisfaction perceived by the Korean elderly. Korea Distribution Science Association (KODISA)/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KSSL Google

J. A. Hwang, Y. J. Kim, H. J. Kang. 2020. Actual participation status in occup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by Korean middle aged workers and factors determining occup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Primrose Hall Publishing Group/ International Journal of Innovation, Creativity and Change KSSL Google

지준현. 2020. Connecting Locus of Control and Healthy Habit in South Korea.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 KSSL Google

H. E. Yanna. 2020. Economic Returns of English Proficiency in South Korea. 우송대학교 대학원 박사 KSSL Google

황인영. 2020. Economics of Labor Markets for Non-regular Workers.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 KSSL Google

W. H. Kim, M. Shim, H. S. Yang. 2020. Labour supply elasticities in Korea: estimation with borrowing-constrained couples. Routledge/ Applied Economics Letters KSSL Google

S. G. Park, H. D. Kim, J. Y. Min, K. B. Min, S. H. Hwang, E. C. Jang. 2020. Mismatch in working hours and workaholism in permanent waged workers. Nofer Institute of Occupational Medicine/ International Journal of Occupational Medicine and Environmental Health KSSL Google

홍종윤, 장훌. 2020. NCS 직무중심 채용제도의 활용요인과 고용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김태환. 2020. Risk, Time, and Social Preferences in Health.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 KSSL Google

Y. J. Kang, T. Kim, D. W. Lee, M. Y. Kang. 2020. Self-Rated Health Trajectory Changes According to Employment Transition: A Korean Prospective Cohort Study. Lippincott Williams and Wilkins/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KSSL Google

노용환. 2020. SOCX의 기능별 복지지출 정책시나리오 작성을 통한 복지정책의 소득흐름 분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KSSL Google

H. Ko. 2020. The effect of outdoor smoking ban: Evidence from Korea. Health Economics (United Kingdom)/ Wiley-Blackwell KSSL Google

E. J. Choi, J. Choi, H. Son. 2020. The long-term effects of labor market entry in a recession: Evidence from the Asian financial crisis. Elsevier B.V./ Labour Economics KSSL Google

H. Lee. 2020. Working hours and life satisfaction: finding blind spots from Korean panel data. Taylor and Francis Ltd./ International Review of Public Administration KSSL Google

성영애, 조혜진. 2020. 가계의 적자대응방식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 부채이용가계를 중심으로 -. 한국소비자학회 KSSL Google

김창민, 김은경, 신광영. 2020. 가구구조와 소득불평등. 한국인구학회 KSSL Google

정주연, 김재호. 2020. 가구주의 고용형태별 평균소비성향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전영호. 2020. 가구주의 통제위치에 따른 은퇴준비행동과 은퇴자금충분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노관종, 강수돌. 2020. 가족관계 만족과 일중독:정서적 몰입의 조절된 매개효과.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노관종. 2020. 가족관계 만족도가 강박적 일중독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박준범, 마강래. 2020. 고령자의 계속거주(Aging In Place)와사회적 관계에 대한 연구. 대한부동산학회 KSSL Google

김나영. 2020. 고령화 사회의 대안으로서 임금피크제의 효과 검증.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김민철, 권순식. 2020. 고성과작업시스템과 조직성과 - 자동화 정도가 미치는 조절 효과의 시사점 -. 한국산업경영학회 KSSL Google

오은희. 2020. 고성과작업체제, 경영전략, 혁신성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김혜연. 2020. 고용보험제도의 실질적 사각지대 규모와 원인에 대한 성별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KSSL Google

김우영, 홍성효. 2020. 고학력 부부의 대도시 집중에 관한 연구. 서울연구원 KSSL Google

정보윤. 2020. 교육 훈련이 조직 성과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정솔, 이석원. 2020. 구직자의 행동변화를 기준으로 한 구직활동과정의 메커니즘 분석: Vroom의 기대이론을 적용하여. 서울행정학회 KSSL Google

홍성표, 임한려. 2020. 국가직무능력표준(NCS) 채용제도가 기업의 인적자원관리에 미치는 영향. (사)한국직업자격학회 KSSL Google

강성곤. 2020. 국내 정치적 상황이 우리나라 가계의 주식투자 의사결정에 미치는 요인. 경일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 KSSL Google

유지연, 김상헌. 2020. 국민연금 제도변화가 개인연금에 미친 영향 분석.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KSSL Google

유지연. 2020. 국민연금과 개인연금 간 대체관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 KSSL Google

이현실. 2020. 기업의 내부적 CSR의 디커플링(Decoupling)현상분석.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 KSSL Google

정흥준. 2020.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이중적 고용전략의 딜레마. 한국윤리경영학회 KSSL Google

서용선, 이상민. 2020. 노동자의 지위에 따른 직업훈련의 임금영향력 차이 - 한국노동패널(12∼20차년도)을 통해 본 숙련형성의 이중적 임금효과 -.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KSSL Google

전민정. 2020. 노동조합과 노사협의회 활성화. 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이희선, 권다영, 최충. 2020. 노동조합이 교육훈련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동경제학회 KSSL Google

김희경, 류성민, 김태현. 2020. 노사관계와 인사부문의 역할은 정(+)의 관계인가? 부(-)의 관계인가? 패널분석을 통한 검증. 대한경영학회 KSSL Google

서리브가, 이근백. 2020. 다변량 선형모형을 이용한 노동패널자료 분석.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KSSL Google

서리브가. 2020. 다변량선형모형의 공분산행렬 모형화에 대한 조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정성지, 최수정. 2020. 대졸 남성의 직업 경력 유형에 따른 노동시장 성과 분석. 한국농·산업교육학회 KSSL Google

함선유. 2020. 돌봄 정책의 발전과 남녀 임금 격차.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 KSSL Google

함선유. 2020. 돌봄직의 임금에 관한 종단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KSSL Google

오은희, 권순식. 2020. 마일즈와 스노우의 경영전략, 고성과작업시스템이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적합성 관점과 SOR 관점의 비교. 한국산업경영학회 KSSL Google

박현준, 진창하. 2020. 무조건부 분위회귀를 활용한 가구 순자산규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부동산연구원 KSSL Google

박현준. 2020. 무조건부 분위회귀를 활용한 세대별 자산결정모형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송인선. 2020. 미세먼지가 생활만족도와 행복도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이지완. 2020. 보육료지원 확대의 여성 노동공급 효과 분석.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KSSL Google

임은재, 윤자영. 2020. 보육시설이용이 기혼여성 취업에 미치는 영향 - 어린이집 입소 순위를 중심으로-. 한국노동경제학회 KSSL Google

오창수, 박영준. 2020. 보장성보험 해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리스크관리학회 KSSL Google

BAMMELSTEVEN STANLEY, 서환주. 2020. 복수의 기준을 사용한 한국 자영업 영세성 분석. 산업개발연구소 KSSL Google

이새롬. 2020. 부동산충격이 소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김희진. 2020. 부모 실직이 자녀 대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Cox 비례위험분석 및 구간 절단 처리 비교분석. 忠南大學校 大學院 석사 KSSL Google

오지혜. 2020. 부모의 사회경제적 자원이 자녀의 결혼 이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동패널 1998~2016년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KSSL Google

함선유. 2020. 부자 부모와 가난한 부모: 자녀가 임금에 미치는 영향의 계층 차이. 한국보건사회연구원 KSSL Google

최수정, 고귀영, 민지식. 2020. 블루칼라 및 연관직종 간 이동 패턴 분석: 현시연관성지수를 중심으로. 한국직업교육학회 KSSL Google

김유빈, 방형준. 2020. 비정규직 및 간접고용 활용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생산성학회 KSSL Google

박경원. 2020. 사업체패널조사(WPS)를 이용한 동일방법편의 영향 연구.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KSSL Google

박현화. 2020. 사회복지서비스업 비정규직 근로자의 직무만족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김규식. 2020. 사회적 연결망을 통한 취업의 특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노수현. 2020. 생산의 네트워크화와 노동시장 불평등.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김창민. 2020. 생애과정에서 누적된 불평등과 노인시기 빈곤위험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석사 KSSL Google

김동배. 2020. 성과배분과 참여적 작업조직: 패널자료분석.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KSSL Google

이인재, 김동배. 2020. 성과배분의 교육훈련 효과: 개인 패널자료를 이용한 분석. 한국노동경제학회 KSSL Google

이인재, 김동배. 2020. 성과배분제도가 기술혁신에 미치는 영향 : 패널자료를 이용한 분석.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이철승, 정준호, 전병유. 2020. 세대·계급·위계 II: 기업 내 베이비 부머/386 세대의 높은 점유율은 비정규직 확대, 청년 고용 축소를 초래하는가?. 한국사회학회 KSSL Google

박세정. 2020. 소득 계층에 따른 시간 빈곤 결정요인 분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KSSL Google

강길선. 2020. 소득 및 삶의 질과 관련된 불평등의 세대 간 이전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대학원 박사 KSSL Google

김태순. 2020. 신용한도에 따른 가계 최적 소비 및 위험투자 경향 분석.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배화숙. 2020. 신중년의 일자리 재진입 동태와 퇴직률의 영향요인 분석.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KSSL Google

배호중, 김정욱. 2020. 신혼 여성근로자의 노동시장 이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일자리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KSSL Google

함선유. 2020. 아버지의 임금 프리미엄(fatherhood premium)은실재하는가?.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건강정책학회 KSSL Google

정준호. 2020. 연령, 시간, 코호트효과를 고려한 소득 불평등: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비교. 한국경제지리학회 KSSL Google

김태환, 권순만. 2020. 위험선호도와 건강행동과의 관계: 가상복권선택을 활용한 일정상대위험회피(CRRA) 계수 산출을 중심으로.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 KSSL Google

유다영. 2020. 육아휴직 사용과 복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박인호, 김기민, 김정우. 2020. 이중틀 접근을 통한 사업체패널조사의 표본추가 및 가중치 산출. 한국조사연구학회 KSSL Google

최문석. 2020. 인력고령화가 기업의 주요 경영지표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 KSSL Google

이승주. 2020. 인력의 확보가 기업의 혁신활동에 미치는 영향 : 인적자본투자와 연구개발투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KSSL Google

김광욱, 김민철, 권순식. 2020. 일과 삶의 균형과 고성과작업시스템 - 자발적 이직률에 미치는 영향 중심 -.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KSSL Google

옥지호, 박지성. 2020. 일중독 수준에 따른 직무만족과 삶의 만족도 간 관계: 잠재성장모형을 중심으로. 한국인사관리학회 KSSL Google

이성석. 2020. 일중독과 교육수준 및 기술수준 부적합이 직무만족도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과학연구소 KSSL Google

김민정. 2020. 일하는 청년의 시간압박(Time Pressure)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이윤경, 임윤아, 최요한, 이태진. 2020. 임금근로자의 고용형태별 건강 차이 및 영향요인 분석: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KSSL Google

최혜진. 2020. 임금노동 일자리 질의 종단적 변화유형.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 KSSL Google

윤수인. 2020. 임금노동자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강남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박사 KSSL Google

윤수인, 이홍직. 2020. 임금노동자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인구사회학적 요인, 좋은 일자리 요인, 일-생활 균형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KSSL Google

이혜민, 이은정, 송영수. 2020. 잠재 계층 분석(LCA)을 이용한 기업혁신유형과 성과와의 관계 탐색. 한국기업교육학회 KSSL Google

김원정, 류진석. 2020. 저임금 근로 취약집단의 변화: 연령, 시기, 코호트 효과 분석(2002-2017). 한국사회보장학회 KSSL Google

이상직. 2020. 전환기 성인 이행 경로의 변화.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 KSSL Google

최요한. 2020. 정규근로자와 비정규근로자 간의 빈곤격차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 KSSL Google

김유빈, 이지은, 신선옥, 정현상, 권익성. 2020. 제22차(2019)년도 한국 가구와 개인의 경제활동: 한국노동패널 기초분석보고서.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오지혜. 2020. 조부모의 사회경제적 자원이 부모의 첫째아 출산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건사회연구원 KSSL Google

강동훈. 2020. 종교가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KSSL Google

권순식. 2020. 종업원 이직 결정요인으로서의 노동조합과 고성과 작업체제의 비교. 한국산업경영학회 KSSL Google

문효진. 2020. 중⋅고령 여성 자영업자의 개인연금 유지율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금종예. 2020. 중·고령층의 빈곤 진입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 KSSL Google

이주영. 2020. 중・고령자의 주된 일 퇴직과 재취업 동학 분석 : 1997년 외환위기와 연공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 KSSL Google

홍지현, 김종숙, 이선행, 김경태, 이재민. 2020. 중고령자 여성의 경제상태에 관한 연구: 은퇴시점을 기준으로.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KSSL Google

남궁원석. 2020. 중소기업의 효율적 임금과 기업성과.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강동우, 안주엽, 남수연. 2020. 지역 특성이 주민 행복도에 미치는 영향의 탐색. 국토연구원 KSSL Google

김나경, 이선희. 2020. 직무 자원으로서의 근무시간 자율성: 근로자의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인사관리학회 KSSL Google

김현수, 정세은. 2020. 첫 일자리 제안과 직업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노동경제학회 KSSL Google

배호중, 한창근, 강시온. 2020. 첫 일자리 특성이 혼인에 미치는 영향 -4년제 대졸자의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KSSL Google

김규혜. 2020. 청년 자영업자의 소득 및 사회보험 불안정성 영향 요인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김규혜. 2020. 청년 자영업자의 소득 및 사회보험 불안정성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정책학회 KSSL Google

황광훈. 2020. 청년층의 이직 결정요인 및 임금효과에 관한 실증연구. 충북대학교 대학원 박사 KSSL Google

신재열, 김종성. 2020. 청년층의 자영업 진입에 관한 연구. 한국벤처창업학회 KSSL Google

김희창. 2020. 최저임금 인상이 기업의 고용 및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업경제학회 KSSL Google

박주옥, 김우영. 2020. 최저임금의 인상과 노동시장이행 : 남녀간 취업형태와 근로시간변화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KSSL Google

이시은. 2020. 하도급거래 유형이 하도급사업자의 연구개발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최홍철. 2020. 한국 가계의 객관적․주관적계층 차이 결정요인 - 재무적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FP학회 KSSL Google

최홍철, 유재언. 2020. 한국 가계의 잠재소비유형 변화와 결정요인. 한국디지털정책학회 KSSL Google

조성은, 이영민. 2020. 한국 기업의 교육훈련 투자에 관한 종단적 연구. 한국기업교육학회 KSSL Google

조수철, 김영미. 2020. 한국 노동시장 내 직종의 여성화와 성별 임금격차:가치절하 기제의 성별화된 임금효과. 한국산업노동학회 KSSL Google

정수빈. 2020. 한국 노동조합의 독점효과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강다솔. 2020. 한국 다층노후소득보장체계 구축을 위한 실증 분석 연구.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오지혜. 2020. 한국 사회 인구학적 행위의 불평등.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 KSSL Google

윤하림. 2020. 한국 사회에서 중장년층 남성의 노동생애 불안정은 보편화되고 있는가?.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이영림. 2020. 한국 실업급여 제도의 유동성 효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윤여림. 2020. 한국 초기업 단위 교섭의 결정요인 분석.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테크노인력개발전문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신지섭. 2020. 한국의 소득기회불평등 장기추세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D. Park. 2019. (The) relationship between marriage and union participation.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석사 KSSL Google

조경모. 2019. (The) Skill Biased Impact of Global Value Chain Participation on Wages in Korea.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강시온, 조원희, 엄명용. 2019. 1인가구 청년의 청년기 발달과업 수행에 대한 자신감 유형과 그 경제적 예측요인 :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활용하여. 한국사회복지연구회 KSSL Google

이현희. 2019. 1인가구의 소득분포와 부채보유여부/부채규모 결정요인.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취칭칭, 이정현. 2019. 2008-2017 패널분석 결과에 나타난 개인-직무 적합성과 직무만족 간의 관계. 강원대학교 경영경제연구소 KSSL Google

정보선, 이상엽. 2019. Aging in Place 관점에서 노년기의 활동제약에 따른 고연령가구의 주택소비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부동산분석학회 KSSL Google

S. E. Cho, Y. M. Lee. 2019. Analyzing the influential factors of older worker's job training participation. Journal of Electronic Commerce in Organizations KSSL Google

남선우. 2019. Corporate governance and employment relations.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석사 KSSL Google

김기민. 2019. Difference-in-Differences in Reverse and Evaluating Difference-in-Differences.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 KSSL Google

B. Ju, J. Li. 2019. Exploring the impact of training, job tenure, and education-job and skills-job matches on employee turnover intention. European Journal of Training and Development/ Emerald KSSL Google

E. J. Hong, S. D. Hanna. 2019. FACTORS RELATED to the RISK of A SUBSTANTIAL INCOME DECREASE between 2006 and 2008 in SOUTH KOREA. Singapore Economic Review/ World Scientific KSSL Google

J. Lee. 2019. Family network effect on female labor supply.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석사 KSSL Google

김은하. 2019. Research on technology-driven polarization in Korean labor market.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 KSSL Google

D. B. Chung, H. J. Jang, B. Kim. 2019. The effects of business environments on innovation activity and firm performance: Based on workplace panel survey of South Korea. 2019 Portla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anagement of Engineering and Technology (PICMET) KSSL Google

K. B. Bae, S. Skaggs. 2019. The impact of gender diversity on performance: The moderating role of industry, alliance network, and family-friendly policies - Evidence from Korea. Journal of Management and Organiz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KSSL Google

H. S. Kim. 2019. The Impact of Maternity-protective Leave on Fertility Behaviours in South Korea. 한국인구학회 KSSL Google

K. Z. Kramer, H. Bae, C. A. Huh, S. Pak. 2019. The positive spillover and crossover of paternity leave use: A dyadic longitudinal analysi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Elsevier KSSL Google

김수인, 신혜정, 신희정. 2019. The Relationship between Labor Union Strikes and Earnings Management from Korean Evidence. 안동대학교 퇴계학연구소 KSSL Google

P. Jin Seok. 2019. Uncertainty and Household Portfolio Choice.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 KSSL Google

J. S. Park, D. Suh. 2019. Uncertainty and household portfolio choice: Evidence from South Korea. Economics Letters/ Elsevier KSSL Google

A. Muzaffarjon, Y. Nurmukhammad. 2019. Who Wants to be an Entrepreneur? Evidence from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한국유통경영학회(구 한국유통정보학회) KSSL Google

이정현, 취칭칭. 2019. 개인-직무 불일치가 종업원의 내재적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산성학회 KSSL Google

민영진. 2019. 고몰입 인적자원관리가 탐색적 조직혁신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김진희. 2019. 고몰입HRM과 경영성과 변화율간의 관계와 금융위기 전후 기간의 변화율 차이에 대한 종단분석.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KSSL Google

권순식. 2019. 고성과 작업체제는 조직 내 모성보호분위기를 향상하는가?.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KSSL Google

김혜연. 2019. 고용보험 가입의 성별 격차와 원인 : 연령집단별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 KSSL Google

윤소리. 2019. 공공기관 구성원의 혁신체감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정기백, 최석봉. 2019. 구성원의 공감능력이 개인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 내재적 통제위치와 상호호혜성의 3차항 조절효과. 충남대학교 경영경제연구소 KSSL Google

오진호, 우수한. 2019. 국내 운송 산업 고용형태와 직무만족도 결정요인 분석 : 한국노동패널데이터자료를 활용하여. 한국물류학회 KSSL Google

김예원. 2019. 근로시간단축이 개별 기업의 고용과 노동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신용우, 조영일. 2019. 근로시간이 줄면 삶의 질은 좋아질까 : 직무만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KSSL Google

배화숙. 2019. 근로자의 구직활동과 성공한 구직방법의 실태와 시기별 차이분석. (사)아시아문화학술원 KSSL Google

조규비. 2019. 기업의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요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이은정. 2019. 노동시장 이중구조에 따른 임금 격차 : 성별 분석을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KSSL Google

허준수, 최성헌, 김재란. 2019. 노동시장 참여 고령 1인가구의 직무만족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성별과 연령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KSSL Google

김현진, 백정한, 반혜정, 곽영민. 2019. 노동조합의 강성 수준과 하도급 거래. 대한경영학회 KSSL Google

민지식, 하재영, 유현주, 박자경, 최수정. 2019. 대졸 청년 취업자의 임금변화 궤적 유형화 및 결정요인. 한국농산업교육학회 KSSL Google

박우석. 2019. 대한민국 청년의 자가보유율 감소원인과 제고방안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권오규, 강은택, 마강래. 2019. 도시의 쇠퇴가 지역주민의 삶의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 : 도시 규모의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지역학회 KSSL Google

석병훈, 유혜미. 2019. 맞벌이 가구의 시간배분에 관한 분석. 한국여성경제학회 KSSL Google

권소영, 이재림. 2019. 맞벌이 부부의 근로시간 유형화와 유형별 일 · 생활 균형: 근로시간의 양, 근로시간대, 근로시간 유연성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 KSSL Google

권소영. 2019. 맞벌이 부부의 근로시간 유형화와 유형별 일·생활 균형.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 KSSL Google

전영준, 남태우. 2019. 모성보호제도가 기업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수도권 기업과 비수도권 기업에 대한 비교 연구. 한국지방행정학회 KSSL Google

김정우. 2019. 복수노조 출현의 결정요인과 노조조직률 증감효과 패널분석. 한국산업노동학회 KSSL Google

김현수, 정세은. 2019. 비교 소득과 한국의 노동시장의 성별 이질성 분석. 한국EU학회 KSSL Google

김진희. 2019. 사업전략과 인사관리의 결합성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종단분석. 한국경영공학회 KSSL Google

노우진. 2019. 사업체의 임금피크제 도입 결정요인.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최충, 노우진. 2019. 사업체의 임금피크제 도입 결정요인. 한국응용경제학회 KSSL Google

연은모, 최효식. 2019. 성격 5요인, 자아존중감, 직무만족도, 생활만족도 간 구조적 관계 검증. 한국산학기술학회 KSSL Google

박승혜. 2019. 소득불확실성이 가계 소비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김새란, 허재완. 2019. 수도권 규제가 수도권 내 지역격차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 KSSL Google

성수빈. 2019. 아버지의 실직이 자녀의 첫 번째 직업의 위세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한국사회연구소 KSSL Google

정민수, 이근재. 2019. 여성의 소득과 출산 간 관계 : 여성의 고소득은 출산에 부정적인가?. 한국지방재정학회 KSSL Google

김이선, 이상직, 권현지. 2019. 위기 속 노동시장 진입 세대의 노동이동을 통해 본 위기 후 한국 여성노동시장. 한국여성학회 KSSL Google

정용승, 김영일, 김광환, 이항용. 2019. 유동성제약을 고려한 소비의 변동성과 소비 갭 분석. 한국금융연구원 KSSL Google

김승태. 2019. 인적자원관리제도의 운영에 관한 분석 : 성과주의 인사제도와 모성보호제도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정지연. 2019. 일하는 여성 노인의 근로환경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홍성운. 2019. 임금 노동자의 고용형태에 따른 성별 생활만족도 차이 분석.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윤수인, 이홍직, 윤승태, 이소영, 안수경, 이미영, 최순례. 2019. 임금노동자의 일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KSSL Google

이홍직, 윤수인, 최순례, 윤승태. 2019. 임금노동자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인구사회학적요인, 성격특성요인, 조직요인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KSSL Google

이희영. 2019. 임금피크제가 고용 규모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서원석, 주미진. 2019. 자녀세대의 창조적 직업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세대별 특성요인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 KSSL Google

성재민. 2019. 자영업으로의 진입과 소득 특성 : 한국노동패널조사를 중심으로.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구윤혜, 차경욱. 2019. 자영업자의 사업체 특성에 따른 가계 재무구조와 취약성 분석. 한국소비자학회 KSSL Google

한혜민. 2019. 작업장의 다양한 인적 자원 관리 방식이 작업장 내 정규직과 기간제 근로자 간의 갈등 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학회 KSSL Google

박호균. 2019. 작업장혁신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경영자특성을 조절변수로. 경성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 KSSL Google

문영만. 2019. 재직자의 교육훈련이 임금, 직무만족도, 이직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김유빈,이지은,김우영,신선옥,정현상,권익성. 2019. 제21차(2018)년도 한국 가구와 개인의 경제활동: 한국노동패널 기초분석보고서.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고원태. 2019. 제도의 도입과 실행의 간극 : 육아휴직 기간과 복귀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KSSL Google

정도범. 2019. 제조업의 내·외부 환경이 혁신 활동에 미치는 영향 : ICT 기업과 비ICT 기업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기술혁신학회 KSSL Google

배호중. 2019. 주거비 부담이 출산에 미치는 영향 : 2000년 이후 혼인가구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연구회 KSSL Google

서예린. 2019. 중고령 남성의 주된 일자리 퇴직 후 경력경로 유형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박광표, 김동철. 2019.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배화숙. 2019. 직업훈련 경험의 시기별 차이와 경험유무 영향요인 연구. 동의대학교 지방자치연구소 KSSL Google

주미진. 2019. 창조계층 성별 임금격차에 영향을 주는 요인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KSSL Google

성정혜, 김춘경. 2019. 청년 근로자의 조직몰입도 및 직무만족도 관련 변인들 간 구조적 관계분석.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김기헌. 2019. 청년 니트(NEET) 대상별 지원정책 방안. 한국청소년학회 KSSL Google

이희정. 2019. 청년여성의 학교-직장 이행 유형과 결정요인 연구. 한국인구학회 KSSL Google

이루리. 2019. 청년층 노동시장 이행 경로 유형화.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경윤영. 2019. 청년층의 노동조합 활동 및 노동조합에 대한 태도 변화.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유혜림, 민인식. 2019. 최상위 소득 대체를 활용한 근로소득 불평등 측정.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박수경. 2019. 최저 임금이 주관적 건강 상태와 건강 행태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홍종윤, 장훌. 2019. 탄력적 근로시간제의 운영요인과 고용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노동학회 KSSL Google

반혜정, 김현진, 곽영민, 백정한. 2019. 파업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노동조합의 특성과 노사관계를 중심으로. 경남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KSSL Google

정의철. 2019. 패널자료를 이용한 가구의 주택점유형태 결정요인 분석. 한국주택학회 KSSL Google

정미경, 강수돌. 2019. 한·독 청년실업 정책과 고용효과 : 커넥티비티(Connectivity) 가설. 한독경상학회 KSSL Google

김이선, 박경숙. 2019. 한국 여성의 생애 : 갈등적 성별화와 계층화. 비판사회학회 KSSL Google

이승윤, 백승호, 김윤영. 2019. 한국 이중노동시장과 노후소득보장제도의 이중화 : 공적연금개혁안 시뮬레이션 분석.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KSSL Google

소애림, 신승식. 2019. 한국노동패널자료를 활용한 국내 운송업 고용생산성 결정요인 분석. 한국항만경제학회 KSSL Google

김용회, 한창근. 2019. 한국사회에 대한 청년인식의 잠재계층유형 : 경제적 지위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연구회 KSSL Google

신혜원. 2019. 한국의 거시경제정책에 대한 소론.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 KSSL Google

김철성. 2019. 한국의 노동조합과 효율적 계약이론.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김동진. 2019. 한국의 부의 세대 간 이동성 추정과 분해.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허은지. 2019. 한국의 혼인 양상과 성별 규범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 KSSL Google

김효진. 2019. 한국인의 통계적 생명가치(VSL) 추정과 일과 삶의 균형(WLB)에 대한 실증분석.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 KSSL Google

송민수, 김동주. 2019. 헌신형 인적자원관리, 노조조직률, 사용자의 노사관계전략이 여성의 관리자 진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윤승비, 장건. 2018. 1인 가구와 다인 가구의 소득 불평등과 빈곤 비교 분석.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KSSL Google

K. Y. Park, S. Kim. 2018. Allocation of Time and Household-level Consumption Equivalent Welfare: A Case of South Korea.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KSSL Google

김현숙, 정진화. 2018. Childcare, Private Education, and Married Women’s Employment in South Korea. 한국재정학회(구 한국재정·공공경제학회) KSSL Google

Kwon, Namho, Bae, B. Kwang, Sohn, Hosung. 2018. Does Wage Premium Exist for Those Who Fulfilled Compulsory Military Service? Evidence from Simple Mathematical Models and Descriptive Analyses. 서울행정학회 KSSL Google

손홍엽. 2018. Essays on Wage and Educational Mismatch.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 KSSL Google

D. Bethmann, R. Rudolf. 2018. Happily ever after? Intrahousehold bargaining and the distribution of utility within marriage. Review of Economics of the Household/ Springer Nature KSSL Google

박지성, 옥지호, 류성민. 2018. HR 부문의 외부연결성, 환경 역동성, 조직의 몰입형 인적자원관리제도 활용 간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인사관리학회 KSSL Google

김동배. 2018. HRM의 변화와 실태 - 노사관계에 대한 함의.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KSSL Google

J. Nam. 2018. Intergenerational income mobility and inequality in South Korea. John Wiley & Sons Ltd and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Welfare KSSL Google

J. Nam. 2018. Intergenerational income mobility and inequality in South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Welfare/ Wiley-Blackwell KSSL Google

Y. Kim. 2018. Precarious employment among South Korean women: Insights from a comparison to France. Mathematical Population Studies/ Taylor & Francis KSSL Google

G. Byun. 2018. School-to-work transition in South Korean young adults: Stratified or Individualized?. Wiley-Blackwell KSSL Google

K. D. Lee, S. H. Lee, J. I. Choe. 2018. State dependence, individual heterogeneity, and the choice of employment status: evidence from Korea. Applied Economics/ Taylor & Francis KSSL Google

J. Ryu, Y. Yoon, H. Kim, C. W. Kang, K. Jung-Choi. 2018. The change of self-rated health according to working hours for two years by gender.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Multidisciplinary Digital Publishing Institute (MDPI) KSSL Google

S. Heonjae, J. Hayoung. 2018. The Effects of Father’s Parental Leave on the Second Birth in Korea. 한국재정학회(구 한국재정·공공경제학회) KSSL Google

J. Hayoung. 2018. The Effects of Work-Life Balance Policies on the Second Birth. The Graduate School of the University of Seoul 석사 KSSL Google

J. Suh, J. Harrington, D. Goodman. 2018. Understanding the Link Between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and Innovation: An Examination of Public, Nonprofit, and For-Profit Organizations in South Korea. Public Personnel Management/ SAGE KSSL Google

K. E. Yang. 2018. Unequal Chance of Obtaining a Secure Job: Marriage Migrant Women in the Korean Labor Market. Journal of International Migration and Integration/ Springer Nature KSSL Google

김선형. 2018. 가계부채가 소득계층이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 KSSL Google

홍기석, 최지원. 2018. 가계부채의 스트레스 테스트와 소득 충격. 한국국제경제학회 KSSL Google

차은영, 김지민. 2018. 가계부채의 용도변화와 결정요인 분석. 한국여성경제학회 KSSL Google

유호실. 2018. 가계재무종합지수(HFCI)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 KSSL Google

서찬란. 2018. 가구의 경제적 스트레스와 부부의 생활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경제적 부담 및 사회적 신뢰의 매개효과와 인구사회학적 특성의 조절효과. 한국생활과학회 KSSL Google

유인경. 2018. 결혼과 첫 아이 출산이 여성의 노동시장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고영근, 안태현. 2018. 경기변동과 고용 동학에 대한 분석 : 집단 간 취업-미취업 이행확률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노동경제학회 KSSL Google

김정우. 2018. 경영참여가 사업체의 경제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패널분석. 한국산업노동학회 KSSL Google

정대웅. 2018. 계급에 따른 성별임금격차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최혜지, 정은수. 2018. 고령 노동자의 불안정 노동과 삶의 질.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KSSL Google

조보배, 최요한. 2018. 고령자의 근로여부가 빈곤에 미치는 영향 : 고용보험 신규가입연령 상한기준을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KSSL Google

옥지호, 박오원. 2018. 고성과작업시스템의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KSSL Google

정보선. 2018. 고연령 임차가구의 주택수요 특성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정보선, 조용경, 이상엽. 2018. 고연령가구의 주택점유형태 결정요인 분석 : 가구주의 활동제약을 중심으로. 한국부동산연구원 KSSL Google

이상욱, 권철우, 김정성. 2018. 고용형태별 고용비중 결정요인간 상관관계 분석: 간접고용 비정규직을 중심으로. 한국경제통상학회(구 한국경상학회,한국국민경제학회) KSSL Google

남재욱, 김영민, 한기명. 2018. 고졸 청년 노동자의 노동시장 불안정 연구. 한국사회복지연구회 KSSL Google

최명원. 2018. 교육훈련 투자가 이직률 및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다집단 분석. 한국기업교육학회 KSSL Google

김정희, 박시남. 2018. 교육훈련과 경력개발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 고 몰입 인사관리 매개변수를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한국평생교육ㆍHRD연구소 KSSL Google

권혁진. 2018. 근로소득세의 재분배효과와 누진도 분해 : 2009~2015년 - 소득세 공제 제도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재정정책학회 KSSL Google

유혜림. 2018. 근로시간이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김재근. 2018. 근로자의 조직몰입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성격특성의 매개효과.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최제민, 김성현, 박상연. 2018.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한국의 소득불평등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경제학회 KSSL Google

이지은. 2018. 기본소득과 재량시간 : 성별비교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주헌. 2018. 기업과 종업원의 속성에 따른 퇴직연금제도 도입 및 유형선택에 대한 실증적 분석.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 KSSL Google

김진희. 2018. 기업의 경영성과와 다운사이징, 통제형 인사관리의 변화율 관계에 대한 종단연구. 한국경영교육학회 KSSL Google

최정석, 최석규. 2018. 기업의 교육훈련투자 및 고용의 질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사)아시아문화학술원 KSSL Google

여용길. 2018.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활동 영향요인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김진희. 2018. 기업의 이직률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직업과고용서비스연구학회 KSSL Google

이상욱, 권철우, 남윤미. 2018. 기업의 청년층과 고령층 고용결정요인 분석.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KSSL Google

박창규. 2018. 노동조합의 세대 별 고용효과에 대한 실증분석 연구. 忠南大學校 大學院 석사 KSSL Google

김정혁. 2018. 독거노인의 상대적 빈곤함에 대한 분석. 한국인구학회 KSSL Google

성주한. 2018. 동적패널모형을 이용한 수익용 부동산의 임대수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부동산학회 KSSL Google

조용현. 2018. 물류기업의 혁신활동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 KSSL Google

문혜정. 2018. 미시패널데이터를 이용한 주택자산효과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이상직, 김이선, 권현지. 2018. 변한 것과 변하지 않은 것. 비판사회학회 KSSL Google

김유선. 2018. 비정규직 활용이 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노동문제연구소 KSSL Google

김영달. 2018. 사교육 금지 정책의 폐지와 계급 이동성의 관계에 관한 실증분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송민수. 2018. 사내하청 노동조합 설립 결정요인 패널분석. 한국기업경영학회(구 한국동림경영학회) KSSL Google

오승연, 김효진, 홍세희. 2018. 사업체 고용의 질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분류와 매출액과의 관련성 검증.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김기민. 2018. 사업체 근로자의 연령구성이 생산성과 인건비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정보학회 KSSL Google

김혜진. 2018. 사업체패널자료를 통해 본 비정규직내 임금차이.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KSSL Google

문승운, 김의준. 2018. 사회재난의 경제적 파급효과 2016년 철도파업으로 인한 물류대란 피해. 한국지역개발학회 KSSL Google

이인재, 김동배. 2018. 성과배분과 R&D 투자. 대한경영학회 KSSL Google

김동배, 이인재. 2018. 성과배분과 혁신. 한국인사관리학회 KSSL Google

김승태. 2018. 성과보상제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이소현. 2018. 소득과 교육 불평등의세대 간 이전에 관한 연구.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김새란. 2018. 수도권 규제가 수도권 내 권역별 지역격차와 지역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남궁봄, 유규창, 이혜정. 2018. 수평적 임금격차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상황 요인에 관한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학회 KSSL Google

이다윗. 2018. 아동기 빈곤이 청년기 노동시장 성취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이경희, 민인식. 2018. 아동수당이 기혼여성 노동공급에 미치는 영향 : 마이크로 시뮬레이션 활용. 한국조사연구학회 KSSL Google

이경희, 민인식. 2018. 아동수당이 기혼여성 노동공급에 미치는 영향: 마이크로 시뮬레이션 활용. 한국조사연구학회 KSSL Google

서현승. 2018. 여성 보건의료인의 삶의 만족과 직무 만족의 종단적 관계분석.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석사 KSSL Google

박지혜, 이정민. 2018. 우리나라 근로장려세제의 노동시장 참여 효과.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KSSL Google

김진희. 2018. 우리나라 기업의 금융위기를 전후한 경영성과 변화율에 대한 종단분석. 대구가톨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KSSL Google

채황석. 2018. 육아휴직제도의 고용안정 효과 : 경력단절, 임금수준, 고용형태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정혜정. 2018. 인력고령화가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이직률 및 인건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공공과 민간 비교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이동진. 2018. 인사관행이 직접고용 비정규직 선택비자발성과 태도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인사관리학회 KSSL Google

이수아, 강순희. 2018. 일과 생활만족도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고용형태의 조절효과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KSSL Google

서은혜, 정연우, 박성민. 2018. 일중독 프로파일별 영향요인 검증 : 개인, 관계, 제도적 관점을 중심으로 . 한국경영학회 KSSL Google

김지은, 차운아. 2018. 일중독이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사조직학회 KSSL Google

김지은. 2018. 일중독이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관계갈등의 매개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정문식. 2018. 임금근로자의 노동시장 이행과정에서 전직 고용의 질이 재취업 고용의 질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고은정, 양동훈, 지형주. 2018. 임금피크제 도입이 기업의 인건비와 노동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컨설팅학회 KSSL Google

박세은. 2018. 자녀 연령이 기혼여성의 경제활동 참여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선현민. 2018. 자산구조 변화에 따른 주거소비 조정 결정요인 : 소득계층별 분석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선현민, 진창하. 2018. 자산구조 변화에 따른 주거소비조정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부동산학회 KSSL Google

김진희. 2018. 작업팀 자율성과 혁신성과에 대한 몰입형 인사제도의 종단효과 연구. 한국인력개발학회 KSSL Google

강미, 이재우. 2018. 저소득가구의 주거이동 요인 분석. 한국부동산연구원 KSSL Google

이효주, 김영미. 2018. 전문가 집단이 노동시장의 제도 도입 및 이행에 미치는 영향 : 육아휴직 제도의 사례.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KSSL Google

송민수. 2018. 정규직과 비정규직 연대 영향 요인 패널 분석. 고려대학교 노동문제연구소 KSSL Google

김현숙. 2018. 정부의 영유아 보육지원과 기혼여성 노동공급에 관한 패널분석. 한국여성경제학회 KSSL Google

김유빈, 이지은, 최승주, 신선옥, 이혜정, 정현상. 2018. 제20차(2017)년도 한국 가구와 개인의 경제활동: 한국노동패널 기초분석보고서.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김종훈, 남현정. 2018. 제조업 사업장 근로자의 경영의사결정 참여와 품질관리 개선의 체계화가 혁신활동과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산관리학회 KSSL Google

박지성, 옥지호. 2018. 조직 내 저성과자 관리제도의 결정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충남대학교 경영경제연구소 KSSL Google

엄다원. 2018. 주거비 부담이 결혼 이행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배호중. 2018. 주거비 부담이 출산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 KSSL Google

김해미, 이영임. 2018. 주택자산이 가계 포트폴리오 구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경제학회 KSSL Google

노희순, 강신관, 이창무. 2018. 주택점유형태 선택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주택학회 KSSL Google

이현정, 김영주. 2018. 주택점유형태에 따른 청년층 가구의 사회경제적 차이 및 주택자산효과 분석. 한국도시행정학회 KSSL Google

이현규. 2018. 준고령가계의 의료비 부담이 가계경제에 미치는 영향 : 소비지출과 재무안정성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민현주, 이수경. 2018. 중․고령자의 노동시장지위 변화 유형화.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사회과학원 KSSL Google

이형미. 2018. 중·고령자의 고용 불안정이 빈곤에 미치는 영향.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 KSSL Google

박나희. 2018. 중고령 근로자의 고용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최혜지. 2018. 중고령자의 불안정 노동 : 세대 비교적 관점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KSSL Google

최혜지. 2018. 중고령자의 불안정 노동:세대 비교적 관점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KSSL Google

김하늬. 2018. 중년기 재무상태와 세대 간 경제자원 이전의 변화에 관한 종단분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 KSSL Google

지하령. 2018. 중소기업의 혁신이 고용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국내 제조업체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도난영. 2018. 지역주택가격이 결혼연령 및 출산시점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 KSSL Google

오지혜. 2018. 직업과 사회계층의식 : 위계적 선형 모형에 따른 분석, 2005∼2015.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KSSL Google

전병칠. 2018. 직업훈련 참가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대학원 박사 KSSL Google

서민경. 2018. 직업훈련이 산업의 생산성과 임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김동배. 2018. 참여적 작업조직과 기업훈련.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홍종윤, 이준구. 2018. 채용연계형 인턴십 제도 도입 및 활용의 선행요인과 고용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김기헌, 배상률, 성재민, 배진우. 2018. 청년 핵심정책 대상별 실태 및 지원방안 연구Ⅰ: 청년 니트(NEET).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KSSL Google

이희정. 2018. 청년층 계층인식 변화가 공정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사회학회 KSSL Google

최요한. 2018. 청년층 비정규직의 고용형태 이행확률의 추정.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이소영. 2018. 청년층 임차가구의 주택점유형태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 KSSL Google

김혜자, 남궁지영. 2018. 청년층 자녀의 행복수준 및 영향요인 탐구. 한국교육학회 KSSL Google

김혜자, 남궁지영. 2018. 청년층 자녀의 행복수준 및 영향요인 탐색. 한국교육학회 KSSL Google

정도범, 장혜정, 김병일. 2018. 초과근로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KSSL Google

노용진. 2018. 초기업단위 교섭의 임금성과.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KSSL Google

오병욱. 2018. 최저임금 인상이 가계소비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홍현기. 2018. 최저임금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 KSSL Google

배호중, 천재영. 2018. 출산전후 휴가 및 육아휴직 활용가능성이 출산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정책연구원 KSSL Google

박세호. 2018. 평가 및 보상제도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 KSSL Google

정미량. 2018. 표본선택 모형을 이용한 연도별 국내 기혼여성의 임금 결정 요인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변금선. 2018. 학교에서 노동시장으로 이행의 계층화. 한국사회복지학회 KSSL Google

변금선. 2018. 학교에서 노동시장으로의 이행 과정 변화.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 KSSL Google

손선화, 엄영호, 장용석. 2018. 한국 기업의 인권경영 도입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지방정부학회 KSSL Google

한신실. 2018. 한국 사회 중고령자의 소득절벽.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 KSSL Google

안현주. 2018. 한국 양육수당제도의 계층화 효과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공주. 2018. 한국과 일본의 불평등 비교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 KSSL Google

안서연, 조미라. 2018. 한국사회 노동시간의 변화와 불평등 연구. 한국인구학회 KSSL Google

김윤영, 문진영, 김미숙. 2018. 한국인의 음주요인에 대한 변화추이와 패널분석. 한국보건사회학회 KSSL Google

H. Son. 2017. (The) effect of part-time parental leave on labor supply.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석사 KSSL Google

최재우. 2017. 1997-1998 금융위기 시 노동시장 진입의 효과 분석 : 대졸 남자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J. Lee, J. Bahk, Y. H. Khang. 2017. Associations between preschool education experiences and adulthood self-rated health.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Korean Society for Preventive Medicine KSSL Google

E. Han, T. H. Kim. 2017. Body mass index and self-employment in South Korea. Journal of Biosocial Scien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KSSL Google

Y. Lee. 2017. Early-Life Socioeconomic Conditions, Height, and Functional Health Status in Later Life: Evidence from South Korea. Asia-Pacific Journal of Public Health/ SAGE KSSL Google

T. H. Kim, E. Han. 2017. Entry Body Mass and Earnings: Once Penalized, Ever Penalized?. Biodemography and Social Biology/ Taylor & Francis KSSL Google

N. Lee, G. Ridder, J. Strauss. 2017. Estimation of Poverty Transition Matrices with Noisy Data. Journal of Applied Econometrics/ Wiley-Blackwell KSSL Google

T. H. Kim, E. Han. 2017. Height premium for job performance. Economics and Human Biology/ Elsevier KSSL Google

B. H. Lee, K. Y. Shin. 2017. Job mobility of non-regular workers in the segmented labor markets: A cross-national comparison of South Korea and Japan. Development and Society/ Seoul National University KSSL Google

M. Park, J. Kang. 2017. Job satisfaction of non-standard workers in Korea: focusing on non-standard workers’ internal and external heterogeneity. Work, Employment and Society/ SAGE KSSL Google

김세준. 2017. KLIPS를 사용한 위험 회피 성향 측정 및 문제점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K. R. Ma, E. T. Kang, O. K. Kwon. 2017. Migration behavior of students and graduates under prevailing regional dualism: the case of South Korea. Annals of Regional Science/ Springer Nature KSSL Google

K. Kim. 2017. The changing role of employment status in marriage formation among young Korean adults. Demographic Research/ Max-Planck Institute for Demographic Research KSSL Google

K. B. Bae, G. Yang. 2017. The Effects of Family-Friendly Policies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 Panel Study Conducted on South Korea. Public Personnel Management/ SAGE KSSL Google

S. G. Park, S. H. Hwang. 2017. Validation of general job satisfaction in the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Springer Nature KSSL Google

H. Sun, G. Kim. 2017. Wage structure determinants and gender pay gap among wage earners: From mean to overall log wage distributional decomposition. Seoul Journal of Economics/ Seoul National University KSSL Google

김영란, 장혜경, 이윤석. 2017. 가족계층에 따른 청년자녀세대의 성인기 이행 및 정책대응 방안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KSSL Google

허수연. 2017. 가족정책 확대와 미취학자녀가 있는 여성의 학력별 취업률 추이에 대한 탐색적 연구. 숭실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KSSL Google

양동훈. 2017. 가족친화제도와 조직성과의 관계: 1인당 매출액과 자발적 이직률을 중심으로. 한국인사조직학회 KSSL Google

권오재. 2017. 결혼의 계층화와 전통적 성 정체성의 고착 : 부모 자산이 성인 자녀의 결혼 이행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최민정. 2017. 경력단절 여성베이비부머의 노동시장 복귀에 관한 분석.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KSSL Google

박문수, 이경희, 김종호. 2017. 경제정책이 개인의 근로소득 변동성에 미치는 효과 분석.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김진희. 2017. 고몰입 HRM과 조직성과의 관계에 대한 혁신변화의 종단매개효과: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한 종단분석. 한국인사조직학회 KSSL Google

조보배. 2017. 고용보험 실업급여가 재취업 임금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이시균. 2017. 고용유지율 결정요인 분석. 한국산업노동학회 KSSL Google

최령, 황병덕. 2017. 고용형태별 소득계층과 사회경제적 계층인식에 따른 건강상태 영향 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 KSSL Google

한종석. 2017. 고정효과 분석을 이용한 공무원과 민간부문 임금격차 추세 추정. 한국노동경제학회 KSSL Google

김익근. 2017. 공공부문 인사적체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신현우. 2017. 공공부문의 노사갈등 결정요인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김지훈. 2017. 공공조직과 민간조직 근로자의 직무만족 영향요인 차이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최은철, 이주석. 2017. 국내 가구별 사교육비 지출 분포 추정연구. 한국재정정책학회 KSSL Google

신혜원, 이준상. 2017. 국민연금이 소득분위별 가계의 저축과 자산구성 선택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제연구학회 KSSL Google

이상아. 2017. 군가산점제의 폐지가 남녀 신규 취업자의 공공부문 진출에 미친 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이진영. 2017. 근로시간에 대한 근로자 인식과 정책적 시사점. 한국경제연구원 KSSL Google

장윤섭, 양준석. 2017. 근로자 고령화가 기업의 신기술 도입과 생산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박재희, 이영면. 2017. 근로자의 노조가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KSSL Google

박재희, 이영면. 2017. 근로자의 노조가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한국노동패널조사(KLIPS)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KSSL Google

이상욱, 권철우, 남윤미 외. 2017. 기업특성에 따른 연령별 고용행태 분석. 한국은행 KSSL Google

이순미. 2017. 노동경력과 가족경로 분석을 통해 본 청년기 연장(long youth)의 젠더 차이. 한국여성학회 KSSL Google

지민웅, 박진. 2017. 노동시장 경력 초반 자발적 이직의 성별 차이. 성신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소 KSSL Google

장효진. 2017. 노동시장 취약계층 대상 직업훈련의 효과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 KSSL Google

최낙혁. 2017. 노동조합의 기능 : 일자리 만족도와 고용안정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KSSL Google

황선웅. 2017. 노동조합이 비조합원 임금에 미치는 영향 : 지역 수준 분석. 한국산업노동학회 KSSL Google

박경원. 2017. 노사관계 분위기의 시간과 노사 관점 차이에 따른 변화 분석.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KSSL Google

김진희. 2017. 노조의 전략적 참여가 HRD투자 및 혁신성과에 미치는 효과. 대구가톨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KSSL Google

안영은, 민윤경, 문인영. 2017. 대졸자의 전공계열에 따른 중장기적 고용안정성 연구. 한국직업교육학회 KSSL Google

고석남, 김보배. 2017. 도구변수방법에 의한 재직자 직업훈련의 평가. 한국산업경제학회 KSSL Google

조성영. 2017. 무상급식의 경제적 효과 분석. 한국교육사회학회 KSSL Google

김유현. 2017. 문화예술 직군의 학력별 임금격차.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서미숙, 조홍종. 2017. 미세먼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WTP 추정을 중심으로. 한국환경경제학회·한국자원경제학회 KSSL Google

김우진. 2017. 보안업 종사자의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관한 자기회귀교차지연 분석 : 한국노동패널자료의 활용. 한국경호경비학회 KSSL Google

한종석, 이영재, 홍재화. 2017. 보육료 지원정책이 기혼여성 노동공급에 미치는 영향 : 생애주기 모형을 이용한 정량 분석. 한국경제학회 KSSL Google

우해봉, 장인수. 2017. 부부의 사회경제적 특성과 혼인 해체. 한국보건사회연구원 KSSL Google

임용빈, 최형재. 2017. 부업 참여 및 부업 근로시간의 결정요인 : 기혼자를 중심으로. 한국노동경제학회 KSSL Google

손효애. 2017. 비정규직 고용이 산업안전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조예슬. 2017. 비정규직 노동자의 직무태도에 대한 종단연구.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KSSL Google

서지인. 2017. 비정규직 상태의존성 검증 및 근로 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이선호. 2017. 비정규직 활용과 기업성과.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이선호, 박우성. 2017. 비정규직 활용과 기업성과.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KSSL Google

정유진. 2017. 빈곤의 세대 간 이전 : 부모의 빈곤지위가 자녀의 빈곤지위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이동진, 표민호. 2017. 사업장내 전략수준의 경영참여와 교육훈련 및혁신성과에 대한 종단연구. 한국인사관리학회 KSSL Google

황선웅, 김재덕, 김혁중. 2017. 산업별 수입침투율이 일자리 안정성에 미친 영향. 한국산업노동학회 KSSL Google

지민웅, 박진. 2017. 생애 첫 전일제 일자리에서의 자발적 이직 결정요인. 서울행정학회 KSSL Google

윤종인. 2017. 생애소득에 의한 소득분배 실증연구 : 코호트효과에 초점을 맞추어. 한국재정학회 KSSL Google

안선민, 이희원. 2017. 성과급이 구성원의 혁신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구성원의 직급에 따른 효과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KSSL Google

마강래, 강은택. 2017. 세대간 부동산 자산의 대물림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대한부동산학회 KSSL Google

김윤중. 2017. 세대별 일자리만족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KSSL Google

노용진. 2017. 소기업 내 혁신적 인사관행의 재무효과. 한국인사관리학회 KSSL Google

권형근. 2017. 소득세의 과세형평성 제고를 통한 세입 확충 방안 검토. 한국행정학회 KSSL Google

권형근. 2017. 소득세의 과세형평성 제고를 통한 세입확충 방안 검토 : 자영업가구의 소득축소신고율 추정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황관석. 2017. 수도권 DTI규제 효과와 전월세 가격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 KSSL Google

오혜은. 2017. 시간과 소득의 동시 빈곤에 관한 연구 : 남녀 가구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KSSL Google

양은모, 배호중. 2017. 신혼가구의 재무상태와 이혼 : 부채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연구회 KSSL Google

이길제, 최막중. 2017. 신혼가구의 주택소비에 나타나는 세대간 자산 이전과 성별 효과. 한국주택학회 KSSL Google

강지혜. 2017. 실업자 직업훈련이 재취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김현옥, 박해선. 2017. 아동학대와 양극화, 지역빈곤 및 사회적 고립에 대한 개념적 근접성 분석. 사회복지정책실천회 KSSL Google

이유리, 이성훈, 박은정. 2017. 에코세대의 연애 및 결혼, 출산 및 양육의 자신감에 대한 결정요인. 한국가정과교육학회 KSSL Google

계민지. 2017. 여성근로자의 육아휴직제도 활용 및 근로지속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정희수. 2017. 연금과 저축의 관계에 대한 실증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 KSSL Google

김정은, 강경주, 이영면. 2017. 연령별 이직의사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황지수, 김세완, 오만숙. 2017. 영과잉 토빗모형을 이용한 한국 소득분포 자료의 베이지안 분석. 한국통계학회 KSSL Google

권철우. 2017. 외국인 고용자 고용이 비정규직과 청년 노동자 고용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미래성장연구소 KSSL Google

현성민, 권선희. 2017. 외국인직접투자 유입이 지역경제성장과 소득불평등에 미치는 영향. 한국재정정책학회 KSSL Google

김도윤, 고대유. 2017. 우리나라 공공기관의 성과관리제도와 조직성과에 관한 연구: 공공기관 부채를 중심으로. 한국지방행정학회 KSSL Google

조동익, 이대웅, 권기헌. 2017. 우리나라 모성보호정책의 효과에 대한 연구.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KSSL Google

김영재. 2017. 유연근무제(Flexible Work) 도입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재무성과와 이직의도 변화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이종일. 2017. 은퇴 후 주택이전 특성과 소유구조 변화에 관한 연구. 중부대학교 대학원 박사 KSSL Google

심현정. 2017. 은퇴와 은퇴기 시간경과에 따른 가계의 소비지출 변화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 KSSL Google

김진하, 정재윤, 박경원. 2017. 이직으로 행복해지는가? KLIPS를 이용한 이직 전후 직무만족의 변화 분석.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류성민, 조영일. 2017. 인사부문의 위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동중아시아경상학회 KSSL Google

류경진. 2017. 인적자원관리와 기업성과와의 관계에서 CSR활동의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이원준. 2017. 자녀가 결혼지속기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이진영. 2017. 자녀의 학력이 부자간 소득계층 대물림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동경제학회 KSSL Google

이지운, 박오원, 김윤호. 2017. 자발적 이직과 조직성과 간의 관계.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KSSL Google

선현민, 진창하. 2017. 자산구조 변화에 따른 주거소비조정 결정요인. 한국주택학회 KSSL Google

원보람. 2017. 재취업 중·고령임금근로자의 고용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노용진. 2017. 저숙련 외국인 근로자 고용의 기업 재무효과.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KSSL Google

이상록, 도유희, 조은미. 2017.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건강 차이와 직무 만족 : 직무만족 요소들의 매개영향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자치행정학회 KSSL Google

김유빈,이지은,김지경,신선옥,이혜정,김기홍. 2017. 제19차(2016)년도 한국 가구와 개인의 경제활동: 한국노동패널 기초분석보고서.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윤언철, 유규창. 2017. 제도적 동형화가 몰입형 인사시스템에 미치는 영향: CSR 활동 추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윤리경영학회(구 한국기업윤리학회) KSSL Google

김효선, 이수연. 2017. 조직 내 여성비율과 가족친화제도가 남녀근로자의 이직률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사관리학회 KSSL Google

장다솜. 2017. 주관적 일 중독과 근로 시간에서의 성별 격차 : 비인지적 요인 및 노동 조건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장태호. 2017. 주택 가격과 소유 형태가 출산율에 미치는 영향.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김해미, 이영임. 2017. 주택자산이 가계 포트폴리오 구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주택학회 KSSL Google

정의철. 2017. 주택점유형태의 동태적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주택학회 KSSL Google

박은선. 2017. 중고령 근로자의 직무만족과 생활만족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 KSSL Google

박윤희, 이찬. 2017. 중소 제조업체의 경력개발체제 분석 및 시사점. 한국상업교육학회 KSSL Google

김수정. 2017. 지속가능발전에 관한 세 가지 에세이.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 KSSL Google

강정구, 마강래. 2017. 지역의 주택가격이 초혼시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개발학회 KSSL Google

강정구. 2017. 지역의 주택가격이 초혼시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박재춘. 2017. 직무만족, 생활만족 및 조직몰입의 관계.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정준수. 2017. 직무불만족 탈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KSSL Google

유경준, 이인재. 2017. 직업훈련과 이직.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권혜진. 2017. 첫 아이 출산과 기혼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 : 부부 간 임금격차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배호중, 한창근, 양은모. 2017. 친정과의 거리와 자녀출산 : 2000년 이후 혼인가구를 대상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KSSL Google

강미. 2017. 패널자료를 활용한 주거이동요인과 점유형태 결정요인 분석. 목원대학교 대학원 박사 KSSL Google

이혜정, 송주원. 2017. 패널자료에서의 항목무응답 대체 방법 비교. 한국통계학회 KSSL Google

한만규. 2017. 패널자료의 효율적인 에디팅 방안 연구. 忠南大學校 大學院 박사 KSSL Google

김성용, 조주현. 2017. 패널프로빗모형을 이용한 분가가구의 주택점유형태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부동산분석학회 KSSL Google

이호연, 양재진. 2017. 퍼지셋 분석을 통해 본 한국 노동시장의 이중구조와 불안정 노동자. 한국정책학회 KSSL Google

정미량, 김미정. 2017. 표본 선택 모형을 이용한 국내 여성 임금 데이터 분석.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KSSL Google

채진영. 2017. 학력불일치가 청년층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강남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김범수, 강소랑. 2017. 학원 교습시간 규제가 사교육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국제통상학회 KSSL Google

엄세원. 2017. 한국 근로자의 일중독 : 고용불안정성과 가족관계만족도와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신승배. 2017. 한국 정규직과 비정규직 노동자의 삶의 질. (사)아시아문화학술원 KSSL Google

백승호, 안주영, 이승윤. 2017. 한국과 일본의 불안정노동시장 비교연구. 한국사회정책학회 KSSL Google

이왕원. 2017. 한국사회의 계급의식 유형화 과정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 KSSL Google

손병돈. 2017. 한국에서 빈곤은 세대간 이전되는가?. 한국사회보장학회 KSSL Google

오혜은. 2017. 한국의 모성임금 패널티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KSSL Google

오성재, 주병기. 2017. 한국의 소득기회불평등에 대한 연구. 한국재정학회 KSSL Google

김영민. 2017. 한국의 최저임금이 소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이현정, 윤정득. 2017. 한부모 가구의 사회경제적 특성 및 주택자산효과. 한국부동산학회 KSSL Google

김성용. 2017. 혼인분가가구의 주택수요 특성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 KSSL Google

이진국. 2017. 후기산업화시기 청년빈곤 영향요인의 변화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이진국, 최인덕. 2017. 후기산업화시기 청년빈곤 영향요인의 변화에 관한 연구 : 1999년과 2014년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보장학회 KSSL Google

최명섭, 김준형. 2016. “Korean Flight”은 존재하는가? : 패널 그랜져 인과관계 검정과 한국노동패널자료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감정평가학회 KSSL Google

강은택, 강정구, 마강래. 2016. 1인 가구의 주관적 삶의 만족감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KSSL Google

D. U. Kang, G. J. Yu, S. J. Lee. 2016. Disentangling the effects of the employee benefits on employee productivity. Journal of Applied Business Research/ Western Academic Publishers KSSL Google

J. Nishimura, H. Kwon. 2016. Divergence in women's employment in Korea and Japan: What shapes the different patterns around childbirth?. Development and Society/ Seoul National University KSSL Google

심지언. 2016. Effect of LTV/DTI regulation on household debt conditional on income quintiles in Korea.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석사 KSSL Google

S. H. Lee, S. Choi. 2016. Estimating determinants of unemployment duration in Korea: Evidence from the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Journal of Applied Economic Sciences/ ASERS Publishing KSSL Google

강영권. 2016. ICT 경영에서 리더십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세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 KSSL Google

E. A. Ro. 2016. Income versus Financial Asset Distribution in Korea : 국내 소득과 금융자산 분포의 관계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 KSSL Google

K. R. Ma. 2016.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Wealth and Life Satisfaction. Applied Research in Quality of Life/ Springer Nature KSSL Google

J. S. Choi, S. A. Choi, J. K. Choi. 2016. Poverty reduction effectiveness of public income transfers in South Korea in the wake of the global financial crises: A panel-data analysis. Asia Pacific Journal of Social Work and Development/ Taylor & Francis KSSL Google

J. Seeun. 2016. Risk Aversion and Labor Decisions : A Comparative Study of Korea and France. 한국EU학회 KSSL Google

임현준. 2016. Three essays on Korean economy.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박사 KSSL Google

박미화. 2016. 가계부채가 소득불평등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최은영. 2016. 가계부채와 가계소비간의 상관관계 분석. (사)아시아문화학술원 KSSL Google

이용래, 정의철. 2016. 가구소득의 변동성이 주택점유형태 및 자가 주택수요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부동산분석학회 KSSL Google

홍혜란. 2016. 가족친화제도 활용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고영우. 2016. 경력단절 전후 인적자본 수익구조 변화 : 첫 자녀 출산과 연계된 경력단절과 경력 및 근속에 대한 수익률을 중심으로. 한국여성경제학회 KSSL Google

이경애, 정의철. 2016. 경쟁위험모형을 이용한 고연령 자가거주 가구의 주거이동 및 주택점유형태 선택에 관한 연구. 한국부동산분석학회 KSSL Google

이영임. 2016. 계량경제학적 방법을 이용한 한국 경제의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 KSSL Google

장용선, 장망. 2016. 고령자고용유지제도와 유연조직문화가 고령자고용률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업경제학회 KSSL Google

정의철. 2016. 고연령 자가거주 가구의 주거소비 조정 결정요인 분석. 한국주택학회 KSSL Google

김정우. 2016. 고용의 질은 개선되고 있는가?.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한승희, 정지수. 2016. 공공기관의 노동조합이 비정규직의 고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행정학회 KSSL Google

이순권. 2016. 공공조직과 민간조직의 조직혁신 결정요인 비교분석.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 KSSL Google

박강석. 2016. 근로노인의 빈곤분석.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 KSSL Google

송진구. 2016. 근로자 관점에서의 좋은 일자리가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부패학회 KSSL Google

정욱재. 2016. 근로자의 참여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김병우. 2016. 근로자특성과 구직기간 : 지속기간모형. 한국여성경제학회 KSSL Google

홍민철, 문상호, 이명석. 2016. 근로장려세제 효과 분석 : 경제활동참여, 근로시간 및 개인별 빈곤을 중심으로.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KSSL Google

홍민철. 2016. 근로장려세제의 정책효과 분석 - 한국노동패널, 한국복지패널 및 재정패널 자료를 중심으로 -.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이영면, 나인강, 박재희. 2016.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노동조합의 도구적 역할에 대한 근로자의 인식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최제민. 2016. 금융위기 이전과 이후 지니계수 변화 추이와 소득원천별 지니계수 분해.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김진희. 2016. 기업의 몰입형인사제도와 노조의 제도참여가 조직효과성의 차이에 미치는 효과.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KSSL Google

최은영. 2016. 기혼여성의 취업과 자녀수 간의 상관관계에 대한 실증분석. 한국여성경제학회 KSSL Google

문외솔, 송승주. 2016. 노동공급 탄력성 추정. 한국노동경제학회 KSSL Google

노용진. 2016. 노동조합의 고용효과.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KSSL Google

신우리. 2016. 노동조합이 여성의 임금에 미치는 효과분석.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박경숙, 김미선. 2016. 노인 가구형태의 변화가 노인 빈곤율 변화에 미친 영향. 한국사회학회 KSSL Google

최준하, 이영면. 2016. 노조 미가입 근로자의 근로자대표제도 인식에 대한 영향요인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全瑄斗. 2016. 농업인의 성격 요인과 행복의 관계 : 일 가치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順天大學校大學院 석사 KSSL Google

민대기. 2016. 데이터마이닝을 활용한 인구집단 구성과 경제적 불평등 평가. 아시아.유럽미래학회 KSSL Google

백학영. 2016. 돌봄 노동의 일자리 질 변화 분석.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KSSL Google

강소랑, 최은영. 2016. 베이비붐 세대와 이전 및 이후 세대 간 비교분석 : 가계자산·소득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KSSL Google

석재은, 이기주. 2016. 베이비붐세대와 정년연장 혜택의 귀착. 한국사회복지학회 KSSL Google

김지영. 2016. 복수노조의 시행이 노사갈등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김주영. 2016. 부모와 자녀세대 간 주거 질의 이전에 대한 분석. 서울연구원 KSSL Google

최은영. 2016. 분위회귀분석을 통한 가계부채가 가계소비에 미치는 효과 연구.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KSSL Google

최나혜. 2016. 불안정 고용이 주관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 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이동진, 이재수. 2016. 비정규직 근로자의 일자리 인식과 태도에 대한 불교 사회윤리적 접근.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KSSL Google

이영면. 2016. 비정규직의 유형별 활용사유에 대한 실증분석과 시사점. 한국인사조직학회 KSSL Google

장수명, 한치록, 여유진. 2016. 사교육금지정책과 계급이동의 관계에 관한 실증분석. 한국사회정책학회 KSSL Google

이상희, 변양규. 2016. 사내하도급·불법파견 판단의 법경제학적 이해. 경희법학연구소 KSSL Google

이영실. 2016. 사회계층에 따른 주요 건강행위 실천과 주관적 건강상태의 불평등 추이.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이현정. 2016. 산업화·민주화·정보화 세대의 주택자산효과 비교. 서울연구원 KSSL Google

임보영, 마강래. 2016. 삶의 만족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 KSSL Google

임보영, 마강래. 2016. 삶의 만족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연구 : 집계적 자료와 비집계적 자료의 비교분석. 한국지역개발학회 KSSL Google

이영경, 임업. 2016. 서울 지역노동시장권 여성장애인 임금근로자의 이중차별적 임금격차 분석. 한국지역학회 KSSL Google

정석구. 2016. 성과보상제와 임금피크제가 기업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 KSSL Google

박서원. 2016. 성장기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성인의 건강수준에 미치는 영향. 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김민지. 2016. 세대별 자영업 진입 결정요인 비교.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김정훈, 김을식, 이다겸. 2016. 소득·자산기반 중산층 측정 및 계층이동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재정학회 KSSL Google

홍석동. 2016. 소득이 주관적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 KSSL Google

금재호. 2016. 시행주체에 따른 직업훈련의 임금효과 연구. 한국경제연구학회 KSSL Google

이길제. 2016. 신혼가구 주택소비에서 나타나는 세대간 자산과 시간의 이전.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박사 KSSL Google

배호중, 한창근. 2016. 신혼부부의 주택자산과 출산 : 2000년 이후 혼인가구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KSSL Google

이소희. 2016. 여성근로자에 대한 고용보험제도의 효과성 분석 : 성 분석(Gender Analysis)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 KSSL Google

남국현, 김대일. 2016. 여성의 결혼과 출산의 결정요인 분석. 한국여성경제학회 KSSL Google

최혜지, 전혜상, 유영림, 정순둘. 2016. 연령통합적 관점에 기초한 임금피크제의 고령근로자 노동시장 통합 효과. 한국사회정책학회 KSSL Google

이주현, 마크 누펠드, 전지현. 2016. 영어의 중요성과 활용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비서학회 KSSL Google

신우리, 송헌재. 2016. 우리나라 노동조합이 여성근로자의 임금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동경제학회 KSSL Google

노용진. 2016. 유노조기업 내 혁신적 작업조직과 근로자ㆍ노동조합의 보호.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KSSL Google

윤명수, 부가청. 2016. 육아휴직제도 사용실태와 결정요인. 성신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소 KSSL Google

김정우, 김기민. 2016. 인천지역 사업체들의 고용의 질 변화 분석.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KSSL Google

강금봉. 2016. 임금 근로빈곤층의 빈곤 탈출에 미치는 요인분석.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김진숙. 2016. 임금근로자의 근로시간·가사노동시간·여가시간과 신체활동 실천.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이원호. 2016. 장소기반 정책과 도시빈곤 : 일자리 미스매치와 지역노동시장의 장소성 분석. 대한지리학회 KSSL Google

신희연, 한보영. 2016. 장시간 근로와 조직: 초과근로시간이 여성 관리직 비율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신우진. 2016. 저임금 상태의존성 분석.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김태홍, 김영옥, 김나영, 최재성, 이선행. 2016. 정부정책의 여성고용 영향과 분야별 개선 과제(Ⅱ). 한국여성정책연구원 KSSL Google

이지은, 신선옥, 이혜정, 김기홍. 2016. 제18차(2015)년도 한국 가구와 개인의 경제활동: 한국노동패널 기초분석보고서.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문영민. 2016. 조건부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활용한 패널자료 분석. 호서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강정구, 마강래. 2016. 주택가격 상승이 결혼 시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 KSSL Google

김주영, 유승동. 2016. 주택점유의 세대간 이전성. 한국감정평가학회 KSSL Google

서영빈. 2016. 중고령자 가구의 소득원천별 가구소득이 가구소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노경아. 2016. 지역 내 소득불평등이 지방교육재정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강은택, 김진. 2016. 지역 아파트 가격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부동산학회 KSSL Google

김재원, 유규창. 2016. 직무분석을 활용한 직무중심 인사관리와 고령화가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김효정, 곽선화. 2016. 직무불일치가 임금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조사연구학회 KSSL Google

이주현. 2016. 직장에서 비서의 비즈니스영어능력 활용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최형준. 2016. 집단성과급과 기업성과 간의 관계.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옥지호. 2016. 차등적 임금인상이 노동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김준형. 2016. 청년 주택문제에 대한 세 가지 가설. 도시정책학회 KSSL Google

황승진. 2016. 최저임금의 노동시장효과. 서강대학교 대학원 박사 KSSL Google

윤미례, 김태일. 2016. 출산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 상황, 유형과 영향 요인 분석.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KSSL Google

송지나. 2016. 통계적 매칭 방법 비교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박예은. 2016. 퇴직 중고령자의 좋은 일자리 진입 영향요인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장원진. 2016. 특수직역연금과 국민연금 기대자산이 가계의 저축에 주는 영향 추정.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여미진. 2016. 패널데이터를 활용한 사교육비 결정요인 탐색.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이경희, 민인식. 2016. 패널조사 응답지속성에 관한 연구 : 한국노동패널조사를 중심으로. 한국조사연구학회 KSSL Google

한만규, 박희창, 이석훈. 2016. 패널형 사업체 자료에 선택적 에디팅 적용 연구. 한국자료분석학회 KSSL Google

임정연, 이영민. 2016. 한국 베이비부머(Baby Boomer)의 직업이동 특성 분석.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KSSL Google

강신관. 2016. 한국노동패널자료를 이용한 주택점유형태 선택요인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유창민. 2016. 한국복지패널로 본 한국 성인의 건강궤적과 예측요인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집단 내, 집단 간 불평등 정도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KSSL Google

안서연. 2016. 한국의 가구 노동소득 불평등 연구 : 1999년과 2014년 불평등 요인 분해.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 KSSL Google

서정희, 박경하. 2016. 한국의 가짜 자영업 추정을 통해서 본 비정규 근로자 규모의 오류. 한국사회정책학회 KSSL Google

김현정. 2016. 한국의 이중노동시장과 근로자 간 복지수혜 격차 영향요인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하솔잎, 이우진. 2016. 한국인의 재분배 선호도에 관한 연구. 한국재정학회 KSSL Google

김영철. 2016. 행복은 성적 순이 아니잖아요? : "학력(학벌)"의 비경제적 효과 추정. 한국경제학회 KSSL Google

이우진, 조진순. 2016. 환경의 불평등과 개인 성취의 불평등 샤플리값 분해 방법의 적용. 한국재정학회 KSSL Google

박종선, 황덕순. 2015. 1인당 국민소득 3만 불, 행복하세요? 상대적 소득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소비문화학회 KSSL Google

신우진, 서환주, 김준일. 2015. 2000년 이후 한국의 기회불평등 추이. 한국국제경제학회 KSSL Google

황종규. 2015. 2인 가구 주택수요 특성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 KSSL Google

J. H. Kim, K. B. Yoo, E. C. Park, S. G. Lee, T. H. Kim. 2015. Combined effects of education level and perceived social class on self-rated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Results of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wave 8-wave 15. Health and Quality of Life Outcomes/ Springer Nature KSSL Google

김현식, 이명호. 2015. CSR 수행을 위한 의사결정에 근로자 참여가 미치는 영향.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KSSL Google

金賢植. 2015. CSR 수행의 기업가치 제고에 대한 실증 연구.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석사 KSSL Google

K. S. Kim, I. Min, Y. S. Choi. 2015. Dynamic decomposition of regional wage differentials in Korea. Social Science Journal/ Elsevier KSSL Google

T. H. Kim, E. Han. 2015. Impact of body mass on job quality. Economics and Human Biology/ Elsevier KSSL Google

이승은. 2015. Income mobility in Korea : income distribution and inequality.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석사 KSSL Google

K. R. Ma, E. T. Kang. 2015. Intergenerational effects of parental wealth on children's housing wealth. Environment and Planning A/ SAGE KSSL Google

R. Rudolf, S. J. Kang. 2015. Lags and Leads in Life Satisfaction in Korea: When Gender Matters. Feminist Economics/ Taylor & Francis KSSL Google

이동진. 2015. Logit & Robust 회귀모형을 활용한 고용생산성 결정요인연구 - 제10차 한국노동패널자료를 중심으로. 한국지방행정학회 KSSL Google

G. Ryu. 2015. The Cross-Domain Effects of Work and Family Role Stressors on Public Employees in South Korea. Review of Public Personnel Administration/ SAGE KSSL Google

J. M. Kim, N. H. Son, E. C. Park, C. M. Nam, T. H. Kim, W. H. Cho. 2015. The relationship between changes in employment status and mortality risk based on the 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2003-2008). Asia-Pacific Journal of Public Health/ SAGE KSSL Google

H. Lim, H. Kimm, I. H. Song. 2015.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status and self-rated health among wage workers in South Korea: The moderating role of household income. Health and Social Work/ National Association of Social Workers Press KSSL Google

J. Heung-Jun, N. Sung-Chul. 2015. Triangular Relationships in the Internationalized Market:the Mediating Role in Functional Labor Flexibility. 중앙대학교 한국전자무역연구소 KSSL Google

S. Cho, A. Heshmati. 2015. What if you had been less fortunate: The effects of poor family background on current labor market outcomes. Journal of Economic Studies/ Emerald KSSL Google

S. S. Cho, M. Ki, K. H. Kim, Y. S. Ju, D. Paek, W. Lee. 2015. Working hours and self-rated health over 7 years: Gender differences in a Korean longitudinal study Occupational Health. BMC Public Health/ Springer Nature KSSL Google

이용래. 2015. 가구의 소득변동성이 주택점유형태 및 주택수요에 미치는 영향 연구. 건국대학교 부동산도시연구원 KSSL Google

손종칠, 최영주. 2015. 가구패널을 이용한 과다부채와 소비의 상관관계 분석. 연세대학교 경제연구소 KSSL Google

정미경. 2015. 고등교육이 여성의 임금에 미친 영향 : 한독 인적자본과 여성임금 비교연구. 한독경상학회 KSSL Google

오현규, 박성민. 2015. 공·사 조직 구성원들의 개인-직무 적합성과 조직몰입에 대한 소고(小考). 한국조직학회 KSSL Google

임정철. 2015. 공공기관의 승진소요기간과 조직성과의 관계 연구.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채석영. 2015. 공공기관의 인력고령화가 생산성 및 인건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 KSSL Google

박해룡. 2015. 과시소비로 인한 소비의 사회적 지위가 주관적 후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이금열. 2015. 국내 가구의 소득 구분에 따른 주택점유형태 분석.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원인성. 2015. 국내 기업 성과배분제의 운영성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패널자료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전문경영인학회 KSSL Google

정재우. 2015. 근로자들의 노조 가입의향.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김종연, 이건희. 2015. 근무시간이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학회 KSSL Google

정윤주. 2015. 기업의 크기별·산업별 퇴직연금 도입요인 분석.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임도희. 2015. 낮은 사회경제적 수준의 사망에 대한 기여위험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 KSSL Google

장용선, 장망, 조윤형. 2015. 노동조합의 활성화 정도와 노사협력이 고령자고용률에 미치는 영향. 한국기업경영학회(구 한국동림경영학회) KSSL Google

김재덕. 2015. 노동조합이 직원 교육훈련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강은택, 정효미. 2015. 노인가구의 주거특성이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주거환경학회 KSSL Google

이서정. 2015. 니트 경험 청년층의 유형과 관련 개인 특성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전해정. 2015. 데이터 마이닝을 이용한 한국 가구 근로소득 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KSSL Google

윤정득. 2015. 맞벌이 가구와 홑벌이가구의 자산효과 차이 분석. 한국부동산학회 KSSL Google

양은석. 2015. 모성보호제도가 조직내 여성인력비중 변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오주연, 이동진. 2015. 몰입지향 인사관리특성과 조직의사소통 및 혁신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KSSL Google

강순희, 어수봉, 최기성. 2015. 미취업자의 직업훈련 참가 결정요인과 고용성과 분석. 한국인력개발학회 KSSL Google

노용진. 2015. 복수노조 형성의 영향요인.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KSSL Google

최정민. 2015. 비동거 실태 및 세대분가 기간에 관한 심층분석. 한국주거환경학회 KSSL Google

홍성훈. 2015. 비만과 생활만족도.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구 한국보건경제학회) KSSL Google

이지택. 2015. 비만이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서정희, 박경하. 2015. 비정규 근로자와 자영업자의 불안정 노동. 한국사회정책학회 KSSL Google

노세리, 김미희, 이상민. 2015. 비정규직 고용과 기업성과의 비선형적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학회 KSSL Google

김봄이, 권순원, 조윤희, 김영조. 2015. 비정규직 고용이 기업의 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사관리학회 KSSL Google

이동진. 2015. 사업장내 노사협의회 활성화와 교육훈련 및 혁신에 관한 연구. 한국인사관리학회 KSSL Google

남춘호. 2015. 생애과정의 탈표준화에 대한 경험적 연구 : 남성들의 성인이행 배열분석을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KSSL Google

박선옥. 2015. 성과기반 인적자원관리 제도가 공공기관 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 KSSL Google

이용래. 2015. 소득변동성이 가구의 주택점유형태 및 주택수요에 미치는 영향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 KSSL Google

안아림, 마강래. 2015. 소득세, 공적부조, 사적이전소득의 지역소득 재분배효과.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KSSL Google

박강우, 서영선. 2015. 소비반응의 비대칭성과 유동성제약. 한국경제학회 KSSL Google

이현정, 윤정득. 2015. 수도권 거주 자가소유 베이비부머의 주택자산효과 변화 분석. 한국주거학회 KSSL Google

임정연, 이영민. 2015. 순차분석을 활용한 베이비붐 세대의 직업이동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KSSL Google

M. C. Ochir. 2015. 여성가구주의 사회적 배제와 생활만족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 KSSL Google

박선영. 2015. 여성근로자의 육아휴직 활용경험이 조직몰입도 및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최민정. 2015. 여성의 노동공급유형 및 임금결정요인 분석 : 임금근로와 자영업 간 비교.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KSSL Google

문지선. 2015. 여성의 시간제 근로가 가구소득 불평등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조인숙. 2015. 여성의 위험자산 투자 결정요인.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KSSL Google

김성준. 2015. 왜 결혼이 늦어지는가?.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김성준. 2015. 왜 결혼이 늦어지는가?. 한국노동경제학회 KSSL Google

김인수. 2015. 우리나라의 가계저축률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조재현. 2015. 유동성제약이 소비에 미치는 영향 : 항상소득과 일시적소득 소비탄력성의 비교 검증.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김진하, 정재윤, 박경원. 2015. 이직으로 행복해지는가? 한국노동패널을 이용한 이직 전후 직무만족의 변화분석. 한국경영학회 KSSL Google

이창무. 2015. 인구구조 변화와 장래 주택 수요 및 공급 전망. 국토연구원 KSSL Google

장용선, 장망. 2015. 인적자원관리가 고령자고용률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경영교육학회 KSSL Google

박소영. 2015. 일자리 분포 변화에 따른 학력성과.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 KSSL Google

이현정, 윤정득. 2015. 자가소유 노인가구의 자산효과 변화 분석. 한국부동산학회 KSSL Google

장성만, 이창효. 2015. 자동차 소유가구의 대중교통비 지출비율에 대한 영향요인 연구. 한국지역학회 KSSL Google

문외솔. 2015. 자산과 노동시장 이동 : 주택을 포함한 중첩세대 일반균형모형. 한국경제학회 KSSL Google

김도균. 2015. 자영업 부채의 이중성과 외환위기 이후 자영업 부채 증가. 비판사회학회 KSSL Google

강은미, 안종태. 2015. 작업장 혁신과 조직성과간의 관계에 있어서 노조지원의 조절효과. 한국기업경영학회(구 한국동림경영학회) KSSL Google

이정현. 2015. 작업장혁신 제도의 상호연관성.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KSSL Google

최수정. 2015. 전문대학 졸업생의 경력경로 유형과 실태. 한국농산업교육학회 KSSL Google

이규용, 이지은, 신선옥, 이혜정, 김기홍. 2015. 제16차(2013)년도 한국 가구와 개인의 경제활동: 한국노동패널 기초분석보고서.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이규용, 금재호, 안주엽, 윤자영, 김기헌, 이지은, 신선옥, 이혜정, 김기홍. 2015. 제17차(2014)년도 한국 가구와 개인의 경제활동: 한국노동패널 기초분석보고서.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김민영, 박성민, 이대근. 2015. 조직 내 인사제도가 노동조합가입의향에 미치는 영향 분석 : 공공조직과 민간조직의 노조수단성 비교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국정관리대학원 KSSL Google

강동훈. 2015. 종교 활동 참여가 대인 관계 만족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KSSL Google

이현정, 유종선. 2015. 종사 상의 지위에 따른 자가소유 베이비부머 가구의 주택자산효과 비교. 한국주거환경학회 KSSL Google

김소원. 2015. 주거유형 역방향 전환가구의 영향요인 분석.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강은택, 권대중. 2015. 주택점유형태와 주거이동 동기가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부동산학회 KSSL Google

김효정. 2015. 중·고령자의 은퇴 전후 생활만족도 변화에 관한 종단연구. 강남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박사 KSSL Google

이현정, 유종선. 2015. 중·장·노년층 자가소유 가구의 자산효과 차이 분석. 국토연구원 KSSL Google

서영빈, 송헌재. 2015. 중고령 가구의 소득원천별 가구소득이 가구소비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재정학회 KSSL Google

김준영, 방글. 2015. 중고령 남성 임금노동자의 자영업 이행과 근로소득의 변화. 한국산업노동학회 KSSL Google

최영준, 이승준. 2015. 중고령층의 자영업 경험이 복지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정책학회 KSSL Google

임보영, 마강래. 2015. 지역 내 준거집단과 비교한 경제적 격차가 삶의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KSSL Google

강은택, 홍석동, 마강래. 2015. 지역의 소득과 주관적 삶의 만족도 관계 분석. 대한부동산학회 KSSL Google

김하나. 2015. 직업훈련이 임금과 기업생산성 격차 확대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 KSSL Google

최지원. 2015. 청년층의 경력 유형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 KSSL Google

김정우, 송민수. 2015. 파업발생 결정요인 패널분석.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원인성. 2015. 패널자료를 활용한, 국내기업 성과배분제도의 경영성과에 관한 연구.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KSSL Google

김휘경. 2015. 한국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CSR) 수행의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김혜진. 2015. 한국 여성의 시간제 일자리 이동.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박민규, 김사라. 2015. 한국노동패널조사 자료의 분석을 위한 패널 가중치 산출 및 사용방안 사례 연구. 한국조사연구학회 KSSL Google

류성민. 2015. 한국에서 비정규직 고용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민간부문과 공공부문의 비교를 중심으로. 동중아시아경상학회 KSSL Google

최기림, 안태현. 2015. 한국에서의 부녀의 세대 간 소득 이동성 : 선별적 결혼의 역할. 한국여성경제학회 KSSL Google

김영철. 2015. 행복은 성적 순이 아니잖아요? : ‘학력(학벌)’의 비경제적 효과 추정. 한국재정학회 KSSL Google

전효연. 2015. 혼인적령기 청년들의 혼인결정요인 탐색.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김민정. 2014. Additive models for longitudinal data with application to KLIPS.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김현식, 송두한, 이명호. 2014. CSR수행과 종업원 생산성 간의 관계 연구 : 2011년 사업체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한 사업장 단위 분석 . 한국경영학회 KSSL Google

L. Ma. 2014. Economic crisis and women's labor force return after childbirth: Evidence from South Korea. Demographic Research/ Max-Planck Institute for Demographic Research KSSL Google

K. S. Bae. 2014. Employment relations in South Korea: Evidence from workplace panel surveys. Springer Nature KSSL Google

A. Heshmati, R. Rudolf. 2014. Income versus Consumption Inequality in Korea: Evaluating Stochastic Dominance Rankings by Various Household Attributes. Asian Economic Journal/ Wiley-Blackwell KSSL Google

박나연. 2014. NEET가 장기 노동성과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J. T. Song, G. Lee, J. Kwon, J. W. Park, H. Choi, S. Lim. 2014. The Association between long working hours and self-rated health.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Springer Nature KSSL Google

K. B. Bae, D. Goodman. 2014. The influence of family-friendly policies on turnover and performance in South Korea. Public Personnel Management/ SAGE KSSL Google

R. Rudolf. 2014. Work shorter, be happier? Longitudinal evidence from the Korean five-day working policy.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Springer Nature KSSL Google

이순미. 2014. 가구생계부양 유형의 변화와 여성 내부의 계층화 : 부부의 취업지속성 배열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여성학회 KSSL Google

조승진. 2014. 가구주 여부에 따른 노동공급 결정요인.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정승훈. 2014. 가족구조와 여성의 노동공급 : 부모동거의 효과. 한국응용경제학회 KSSL Google

우해봉. 2014. 건강노동기대여명 지표를 활용한 중고령층의 건강과 근로활동 분석.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KSSL Google

신동협. 2014. 경력단절기혼여성의 임금비교분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정한나, 임정준. 2014. 고등교육투자가 여성의 비금전적 사적수익에 미치는 효과분석.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KSSL Google

조동훈. 2014. 고령자 은퇴시점 결정요인 분석.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KSSL Google

이경애, 정의철. 2014. 고연령 자가 거주 가구의 주거이동 및 주택점유형태 결정요인 : 가구주의 성별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주택학회 KSSL Google

정지수, 한승희. 2014. 공공기관장의 출신배경이 혁신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서울행정학회 KSSL Google

박진환. 2014. 교육및 소득수준의 세대 간 이전추이 및 효과분석.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정인환. 2014. 국내 가계부채의 결정요인 분석 : KLIPS 자료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오유, 김기승. 2014. 국내외기업의 인적자원관리에 따른 경영성과 및 노사관계 분석.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KSSL Google

김헌수, 최기홍. 2014. 국민연금 연금자산이 개인의 예상소득대체율에 미치는 영향 분석. 보험연구원 KSSL Google

정이환. 2014. 국제비교를 통해서 본 한국의 고용불안정. 비판사회학회 KSSL Google

윤기설. 2014. 근로시간단축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 KSSL Google

이희종. 2014. 기업복지 서비스 유형이 조직몰입에 끼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KSSL Google

권진. 2014. 기업복지가 근로자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이보람. 2014. 기업의 여성 교육훈련비 지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이다미. 2014. 기초연금 도입에 따른 노령층의 빈곤수준 변화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최효미. 2014. 기혼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 KSSL Google

최효미. 2014. 기혼 여성의 노동시장참여 행태와 상태의존성.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허훈, 김현식, 송두한. 2014. 내부 CSR 수행이 노동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노동조합 의사결정 행태를 매개로 한 실증 연구. 한국고객만족경영학회 KSSL Google

박경원. 2014. 노동조합이 가족친화제도의 도입과 활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료분석학회 KSSL Google

김정우. 2014. 노동조합이 직접 및 간접고용비정규직의 고용에 미친 영향에 관한 패널분석. 한국산업노동학회 KSSL Google

윤명수, 김정우. 2014. 노조선호를 고려한 노조임금효과 패널분석. 한국산업노동학회 KSSL Google

김성훈. 2014. 대학 학벌이 대졸자의 첫 취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KSSL Google

장민혜. 2014. 모성보호제도의 활용과 조직성과 간의 관계 분석.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김종숙, 조문경. 2014. 법정근로시간 단축의 여성고용효과. 한국여성경제학회 KSSL Google

최민정. 2014. 베이비부머의 계급이동.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KSSL Google

최민정. 2014. 베이비부머의 계층이동과 소득불평등에 관한 연구, 1998-2010.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 KSSL Google

최민정. 2014. 베이비부머의 근로소득 불평등과 변화. 한국사회복지연구회 KSSL Google

전해정. 2014. 부동산소득이 지역별 가구 소득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경제지리학회 KSSL Google

김종성, 이병훈. 2014. 부모의 사회계층이 자녀의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효과. 한국사회과학연구회 KSSL Google

이현주. 2014. 분가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조윤희. 2014. 비정규직 고용이 기업의 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김윤호, 김영상, 박오원. 2014. 비정규직 활용수준의 변화와 기업성과.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KSSL Google

유영미. 2014. 빈곤완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지방정부학회 KSSL Google

정준수. 2014. 빈곤탈출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 KSSL Google

최요한. 2014. 사업장 폐업으로 인한 실업이 주관적인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 한국노동패널(2003-2012년) 분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KSSL Google

윤명수, 부가청. 2014. 사업체의 모성보호제도 실태 및 결정요인. 한국여성경제학회 KSSL Google

강은미, 안종태. 2014. 사용자 관점에서의 노조 경영참가와 조직성과의 관계에 있어서 인사관리부문 역할의 조절효과. 한국생산성학회 KSSL Google

서정희, 백승호. 2014. 사회보험의 법적 사각지대.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이순미. 2014. 생애과정의 복합적 탈근대화와 가족화와 개인화의 이중적 과정. 한국사회학회 KSSL Google

백승호. 2014. 서비스경제와 한국사회의 계급, 그리고 불안정 노동 분석. 한국사회정책학회 KSSL Google

김지경, 김종성. 2014. 선취업-후진학 정책 도입까지 지난 10년 간 고졸 비진학 청소년의 취업 결정요인 분석. 한국청소년복지학회 KSSL Google

한창수. 2014. 성인 취업자의 직업교육훈련 참여의사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최은영, 홍장표. 2014. 세대 간 직업계층의 이동성. 한국지역사회학회 KSSL Google

장지연, 전병유. 2014. 소득계층별 여성 취업의 변화 : 배우자 소득 수준을 중심으로. 한국산업노동학회 KSSL Google

김혜련. 2014. 소득불확실성과 금융자산선택의 관계분석 : 한국노동패널자료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이상수. 2014. 수도권 거주자의 가구특성에 따른 주거입지 및 주택유형 선택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 KSSL Google

강은택. 2014. 수도권으로 인구이동에 따른 경제력의 세대 간 이동성에 관한 연구. 대한부동산학회 KSSL Google

남정민. 2014. 업종별 창업 성공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벤처창업학회 KSSL Google

양준석, 이상헌. 2014. 왜 여성의 통근시간은 짧은가? 성별 통근시간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경제학회 KSSL Google

고윤정. 2014. 육아휴직제도가 취업모의 동직장 복귀여부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김수연. 2014. 은퇴 후 여가생활이 은퇴자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가족관계 만족도의 매개효과 검증.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한우리, 조영일. 2014.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만족 요인의 탐색. 성신여자대학교 경영연구소 KSSL Google

김진하. 2014. 이직행위와 직무만족도 분석 : 1-15차 한국노동패널조사를 이용한 분석.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석진홍, 박우성. 2014. 인력 고령화가 기업의 생산성과 인건비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박경원, 김동배. 2014. 인적자원관리는 노동조합을 대체하는가? 2005-2011 사업체패널조사를 이용한 실증분석. 한국산업노동학회 KSSL Google

장연주, 김종한. 2014. 임금근로자의 고용불안에 관한 지역적 요인 분석.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KSSL Google

이세미. 2014. 임금근로자의 노동시장 이행에서 실업급여 수급과 이행의 자발성이 일자리 질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윤영경. 2014. 자가 거주 가구의 주택점유형태 변화 결정요인 분석 : 연령별 차이점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이현정, 윤정득. 2014. 자가 소유 베이비부머의 자산유형별 자산효과 분석. 한국부동산연구원 KSSL Google

이정민. 2014. 자녀의 어린이집 및 유치원 이용이 여성의 노동공급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노용진. 2014. 자동화와 근로시간 관행.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옥지호. 2014. 자발적 이직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조성진. 2014. 잠재주택수요 추정과 주거이동 결정요인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 KSSL Google

주민경. 2014. 적합성 관점에 따른 고용조정과 기업성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조동훈. 2014. 정년제도와 중고령자 은퇴결정요인 분석. 한국노동경제학회 KSSL Google

이상호, 성재민, 신선옥, 이지은, 윤미례, 이혜정, 박진. 2014. 제15차(2012)년도 한국 가구와 개인의 경제활동: 한국노동패널 기초분석보고서.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홍민기, 배기준, 이상호. 2014. 조사방법과 히핑(heaping)과의 관계. 한국조사연구학회 KSSL Google

노용진. 2014. 주40시간제의 고용효과.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KSSL Google

고려산. 2014. 주거이동과 점유형태 및 주거소비조정의 결정요인 분석 : 고연령 소유가구를 중심으로 .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김진, 황남희. 2014. 주관적 만족도를 이용한 가구소비 규모탄력성 추정 : 한국노동패널 만족도자료를 이용하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KSSL Google

신진욱, 이민아. 2014. 주택보유의 사회경제적 불평등 요인과 가족자원의 영향. 비판사회학회 KSSL Google

임영찬. 2014. 중·고령자의 취업 결정요인과 일자리특성에 관한 연구. 한양사이버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유승우. 2014. 중고령 근로자의 생애 주된 일자리 이탈요인 분석. 가천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강은택. 2014. 지역별 수도권으로의 인구이동 결과에 관한 연구. 대한부동산학회 KSSL Google

박지영. 2014. 직업훈련 형태에 따른 임금효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이영면, 이주형. 2014. 참여적 작업관행의 도입이 노사관계 분위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KSSL Google

오상봉. 2014. 최저임금을 받는 세대의 경제적 실태.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이서윤. 2014. 취업, 임금, 재실업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본 한국 실업자 직업훈련의 효과성 분석. 한국사회정책학회 KSSL Google

우광호. 2014. 하도급활용의 원인, 기업성과 및 위험분담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 KSSL Google

임수정. 2014. 한국 장애인고용정책 성격과 성과에 관한 연구. 강남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박사 KSSL Google

김혜자. 2014. 한국의 교육 양극화와 재생산 연구 : 1990-2012. 경상대학교 대학원 박사 KSSL Google

박선영, 신동균. 2014. 한국의 명목 및 실질임금의 유연성 정도와 성격에 대하여. 한국노동경제학회 KSSL Google

정기호, Jeremiah Richey. 2014. 한국의 세대 간 경제적 이동성 : 분위수회귀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KSSL Google

최기림. 2014. 한국의 세대 간 소득 이동성 : 부녀간 소득탄력성 중심으로 .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신우진. 2014. 한국의 저임금 노동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 KSSL Google

박소라. 2013. Decomposition of gender pay gap by using censored quantile regression analysis on counterfactual inference.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L. Ma. 2013. Employment and motherhood entry in South Korea, 1978-2006. Population/ Institut National D Etudes Demographiques KSSL Google

K. Park. 2013. English language and skill mismatch: The case of south korea. African and Asian Studies/ Brill KSSL Google

M. Jung. 2013. Health disparities among wage workers driven by employment instability in the republic of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Health Services/ SAGE KSSL Google

Y. H. Kang. 2013. Is family-friendly policy (FFP) working in the private sector of South Korea?. SpringerPlus/ Springer Nature KSSL Google

B. Lee. 2013. Job and life satisfaction of nonstandard workers in South Korea. Workplace Health and Safety/ SAGE KSSL Google

Y. Jung, J. Oh, S. Huh, I. Kawachi. 2013. The Effects of Employment Conditions on Smoking Status and Smoking Intensity: The Analysis of Korean Labor & Income Panel 8th-10th Wave. PLoS ONE/ Public Library of Science KSSL Google

B. H. Lee, J. M. Nam. 2013. What drives Korean firms to downsize und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Asia Pacific Business Review/ Taylor & Francis KSSL Google

김지민. 2013. 가계부채의 현황 및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정은선. 2013. 가구주 연령별 소득불평등 변화 요인 분석 : 소득원천별 분해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서희정. 2013. 가구주의 직업불안전성이 가구소비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김환준. 2013. 가구특성과 빈곤지속기간이 빈곤탈피율에 미치는 영향 : 지속기간의존성과 표본이질성에 대한 검증을 포함하여. 한국사회복지연구회 KSSL Google

정승훈. 2013. 가족구조와 여성의 노동공급 : 부모동거의 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김하영. 2013. 거시환경 변화에 따른 가계건전성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선미숙, 정제영. 2013. 고등학생의 학습방식이 고등학교와 대학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KSSL Google

선미숙. 2013. 고등학생의 학습방식이 학업성취 및 임금수준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김건식. 2013. 고성과작업시스템, 고용불안정성, 그리고 조직성과.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KSSL Google

정의철. 2013. 고연령 가구의 주택점유형태 변화 결정요인 분석. 국토연구원 KSSL Google

송재환. 2013. 고용보험 수혜여부의 영향요인에 관한 분석 : 실업급여 신청과 수급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은종환. 2013. 공공조직과 민간조직의 직무만족도 비교분석 : 법정근로시간 단축의 효과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김수현. 2013. 공적연금이 가계저축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차은영, 김수현. 2013. 공적연금이 가계저축에 미치는 효과. 한국여성경제학회 KSSL Google

박소현, 유종순. 2013. 교육투자수익률 : 패널자료를 이용한 분석. 한국국제경제학회 KSSL Google

현동길. 2013. 근로빈곤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 탈산업적 계급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이주환, 김교성. 2013. 근로빈곤층의 빈곤이력과 노동경력. 한국사회복지연구회 KSSL Google

김우영. 2013. 근로자의 이질성과 자영업 선택에 관한 실증분석 : 임금근로에서 자영업으로의 진입을 중심으로. 한국노동경제학회 KSSL Google

류성민, 박미혜. 2013. 기간제 고용의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인사조직학회 KSSL Google

이영면, 나인강, 이주형. 2013. 기간제 근로자와 경영성과에 관한 연구. 한국인사조직학회 KSSL Google

조봉순, 김기태. 2013. 기간제 근로자의 선택자발성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사조직학회 KSSL Google

김동배. 2013. 기간제 근로자의 정규직 전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인사조직학회 KSSL Google

문영만. 2013. 기업 내부의 고용관계 : 고용형태별 직무만족도 차이 및 결정요인. 한국산업노동학회 KSSL Google

김기웅. 2013. 기업규모별 임금격차의 변화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박세호, 나인강. 2013. 기업시민행동이 인적자원성과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KSSL Google

김성환, 김종운. 2013. 기업의 재무적 안정성이 고용과 고용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업경영학회 KSSL Google

박세호, 나인강. 2013. 기업의 훈련이 인적자원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교육학회 KSSL Google

이원진. 2013. 노년기 소득불평등 증가의 원인. 한국사회학회 KSSL Google

문영만. 2013. 노동문제에 대한 통계적 분석 : 패널데이터를 이용한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노동조합 가입의향 결정요인. 한국산업노동학회 KSSL Google

이시균. 2013. 노동시장에 대한 경제학적 접근 : 최저임금이 근로빈곤 탈출에 미치는 효과. 한국산업노동학회 KSSL Google

김기승, 김명환. 2013. 노동조합은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의 임금격차를 줄이는가.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KSSL Google

이동진, 이영면, 성상현. 2013. 노동조합의 전략적 참여와 사업장내 노사협의회 활성화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인사관리학회 KSSL Google

고영우, 남준우. 2013. 노동조합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제연구학회 KSSL Google

이준표. 2013. 단성 교육 환경이 노동시장 성과에 미친 영향.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손홍엽, 김기승. 2013.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임금격차 결정요인 분석. 한국경제통상학회 KSSL Google

손홍엽. 2013.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임금격차 결정요인 분석.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K. Hong Kyun,J. Ji Hye, K. Tae Young. 2013. 대입시험이 임금에 미치는 효과 분석 : 시험성적-임금 종단면도 추정 중심으로. 한국국제경제학회 KSSL Google

김경년. 2013. 대학교육 기회 확대의 보상과 귀착. 한국교육사회학회 KSSL Google

조경엽, 유진성. 2013. 무상복지의 소득재분배 효과. 한국경제연구원 KSSL Google

김계숙, 민인식. 2013. 무조건분위회귀를 이용한 도시지역 임금불평등 변화 분해.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KSSL Google

오동훈, 오근상. 2013. 미래형 주택정책 추진방향 설정 연구. 한국도시행정학회 KSSL Google

조재현. 2013. 보험 가입이 가계 위험금융자산 보유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임미화. 2013. 부동산임대소득이 은퇴가구의 소비에 미치는 영향. 서울연구원 KSSL Google

이용우. 2013. 사망률 추정에 있어서 주관적 건강상태에 담긴 사적 정보 : 한국노동패널자료를 이용한 로짓분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KSSL Google

최열, 이고은. 2013.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른 생애최초 자가주택 구입연령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KSSL Google

이장호. 2013. 사회계층별 직무여건이 직장몰입, 직무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곽상신. 2013. 상급단체 차이에 따른 노동조합 효과성 연구. 고려대학교 노동문제연구소 KSSL Google

이윤호, 이형기. 2013. 생명보험수요함수를 이용한 위험회피계수의 추정. 한국전문경영인학회 KSSL Google

이상수, 하성규. 2013. 서울지역 거주민의 가구특성에 따른 주택유형 선택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환경학회 KSSL Google

이에스더. 2013. 성인자녀가 중년여성의 노동공급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백종선. 2013. 세대 간 직무만족도 분석.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 KSSL Google

박선영, 유종순. 2013. 소득변동성의 추세 및 경기변동 상 변화패턴. 한국노동경제학회 KSSL Google

박상우, 김성환. 2013. 소득불평등 추이와 요인분해. 한국경제통상학회 KSSL Google

변재욱, 김일중, 최봉제. 2013. 소득불평등과 범죄발생에 관한 실증분석. 한국형사정책연구원 KSSL Google

노혜진. 2013. 여성의 사회적 지위와 빈곤. 한국여성연구소 KSSL Google

김용진, 이석희, 홍애령, 윤나리, 유선종. 2013. 연령 그룹별 주택자산효과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행정학회 KSSL Google

노세리, 이상민. 2013. 왜 어떠한 조직은 제도를 유지하고, 어떠한 조직은 제도를 폐지하는가?. 한국인사관리학회 KSSL Google

성대훈. 2013. 외환위기가 실업자의 직업이행에 미치는 영향 : 외환위기 전후의 퇴직 후 미취업기간과 재취업 시 직장 재직기간에 대한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김성태, 김승래, 임병인. 2013. 우리나라 국민연금의 소득보장과 소득이동성 효과 분석. 대한경영학회 KSSL Google

안성서. 2013. 우리나라 노동시장에서 유보임금의 결정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김환준. 2013. 우리나라 빈곤가구의 빈곤지속기간에 대한 동태적 분석. 한국사회복지학회 KSSL Google

김재영, 이병찬. 2013. 우리나라 소득 구조의 동태적 분석. 서울대학교 경제연구소 KSSL Google

신지호. 2013. 은퇴계층의 부동산 자산 배분 결정요인 분석 .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신지호, 최막중. 2013. 은퇴계층의 부동산자산 재배분과 그 영향요인.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KSSL Google

박현정. 2013. 이혼, 별거자의 생활만족도 변화에 대한 종단연구.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KSSL Google

이왕원, 김문조. 2013. 인적자원개발과 의사소통 양식이 기업의 수익성에 미치는 효과: 창조경제 및 기업양극화 담론의 경험적 진단. 고려대학교 한국사회연구소 KSSL Google

성지미. 2013. 일자리 재량의 인식과 만족도.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황매향, 최희철, 조흥순. 2013. 임금, 조직몰입, 직무만족의 구조관계에서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 다집단 분석. 한국인력개발학회 KSSL Google

조동훈. 2013. 자영업 결정요인 국제 비교 분석.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KSSL Google

노혜진. 2013. 재량시간(discretionary time)을 중심으로 본 빈곤여성의 삶의 질. 한국사회복지연구회 KSSL Google

이동진. 2013. 재무성과 및 노동조합의 전략적 참여와 사업장내 노사협의회 활성화에 관한 연구. 한국인사조직학회 KSSL Google

김동하. 2013. 저성과자관리전략이 기업의 매출액과 이직률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천현숙. 2013. 저출산 추세에 대응한 주택정책 보완방안. 국토연구원 KSSL Google

남국현. 2013. 저출산, 기혼여성의 노동공급 및 희망임금에 관한 세 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 KSSL Google

정진화, 성효용, 김현숙. 2013. 적극적 고용개선조치가 여성고용 및 성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경제학회 KSSL Google

한만석. 2013. 정규직 장애인 근로자의 직무만족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노동패널과 장애인고용패널 비교분석을 통하여.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최강식, 이수원, 박지영. 2013. 정년연장이 기업에 미치는 경제적 효과. 한국중소기업학회 KSSL Google

조재훈, 양성문. 2013. 정부지원개인연금 도입 효과 분석. 한국보험학회 KSSL Google

김상아, 조영일. 2013. 조직의 복리후생제도가 조직구성원의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경영연구소 KSSL Google

이소라. 2013. 주관적 만족도를 이용한 습관형성 이론 검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김준형, 천현숙, 김민철. 2013. 주택수요의 규모별 분포 예측 : 맨큐-와일 모형에서 추계가구자료의 활용.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KSSL Google

민소라. 2013. 중고령자 고용비율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장상일. 2013. 중소기업의 기업복지제도 도입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장연주, 이민환. 2013. 지역별 임금근로자의 고용불안 실태와 요인 분석. 한국지역사회학회 KSSL Google

조강윤. 2013. 직무순환이 이직과 혁신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남정민, 전병준, 박정우. 2013. 창업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창업준비단계 핵심요인 연구 : 한국노동패널을 활용한 창업 생존에 대한 종단분석.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KSSL Google

박수명. 2013. 청년계층의 사회적 배제에 관하여. 경인행정학회 KSSL Google

강성호, 김태완. 2013. 청년실업 경험과 연금수급권. 대한경영학회 KSSL Google

금재호. 2013. 청년의 고용불안과 재취업.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변금선. 2013. 청소년기 빈곤이 청년기 노동시장 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KSSL Google

노용진. 2013. 초과근로시간의 결정요인.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KSSL Google

김민성, 김영민, 박태수. 2013. 최저임금 변화가 지역고용에 미치는 효과분석.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KSSL Google

임미화. 2013. 패널자료를 이용한 가구주 연령별 주거이동발생 요인. 한국부동산연구원 KSSL Google

정의철, 임미화. 2013. 패널자료를 이용한 청년가구원의 가구형성 결정요인 분석. 한국주택학회 KSSL Google

박기성, 신동균. 2013. 학교교육과 능력의 효과. 한양대학교 경제연구소 KSSL Google

백경민. 2013. 한국 기업 내 사회적 책임 전담 부서의 설치. 한국조사연구학회 KSSL Google

이승환. 2013. 한국기업의 사내하도급 활용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 KSSL Google

이병희. 2013. 한국형 실업부조 도입의 쟁점과 과제. 한국사회정책학회 KSSL Google

구재선, 서은국. 2013. 행복이 미래 수입과 직업수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KSSL Google

김혜경, 이순미. 2012. ‘개인화’와 ‘위험’ : 경제위기 이후 청년층 '성인기 이행'의 불확실성과 여성내부의 계층화. 한국여성연구소 KSSL Google

성재민. 2012. 2000년대 남녀 임금격차의 변화 -선택편의의 검증. 한국여성경제학회 KSSL Google

이정현, 이준우. 2012. 2000년대 한국 기업의 보수제도 변화: 2003-2007을 중심으로. 한국생산성학회 KSSL Google

I. Cho. 2012. Erratum to The Retirement Consumption in Korea: Evidence from the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Global Economic Review/ Taylor & Francis KSSL Google

Y. I. Kim, J. Lee. 2012. Estimating risk aversion using individual-level survey data. Korean Economic Review/ The Korean Economic Association KSSL Google

F. Suvankulov, M. C. K. Lau, F. H. C. Chau. 2012. Job search on the internet and its outcome. Internet Research/ Emerald KSSL Google

S. S. Kim, Y. Chung, S. V. Subramanian, D. R. Williams. 2012. Measuring discrimination in South Korea: Underestimating the prevalence of discriminatory experiences among female and less educated workers?. PLoS ONE/ Public Library of Science KSSL Google

J. Y. Kim, J. K. Kim. 2012. Parametric fractional imputation for nonignorable missing data. Journal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Elsevier KSSL Google

S. S. Kim, D. R. Williams. 2012. Perceived discrimination and self-rated health in South Korea: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urvey. PLoS ONE/ Public Library of Science KSSL Google

I. Cho. 2012. The Retirement Consumption in Korea: Evidence from the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Global Economic Review/ Taylor & Francis KSSL Google

이창효, 이승일. 2012. 가구 구성원 변화에 따른 주거이동의 영향 요인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KSSL Google

안종일. 2012. 가구의 부동산 보유행태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박사 KSSL Google

이윤호. 2012. 개인연금수요의 구조분석. 대한경영학회 KSSL Google

우해봉. 2012. 건강기대여명 추정에서 건강 측정치의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KSSL Google

배지영, 홍백의. 2012. 건강보험 지역가입자의 가입자 지위 전환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보장학회 KSSL Google

지은정. 2012. 경기변동이 자영업이행에 미치는 영향의 연령집단별 차이 : 구축가설과 유인가설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연구회 KSSL Google

최현자, 김민정A, 이지영, 김민정B. 2012. 경제수명의 산정을 통한 한국 가계의 은퇴준비도 측정. 한국FP학회 KSSL Google

송기범. 2012. 고령가구의 주택수요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황희숙, 김윤재. 2012. 고령자의 재취업에 미치는 요인 분석 연구. 한국국정관리학회 KSSL Google

전인, 오선희. 2012. 고성과작업시스템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운영성과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KSSL Google

김재은. 2012. 고용보험 사각지대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권일웅. 2012. 공공/민간부문 성과급 비중과 주인-대리인 이론.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KSSL Google

정솔. 2012. 공공부문 조직내 노동유연화가 BSC 관점 성과에 미친 영향.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 KSSL Google

홍백의, 배지영, 박미희, 강준모. 2012. 국민건강보험제도의 직장, 지역 가입자간 보험료 부담 형평성 분석. 한국사회정책학회 KSSL Google

오신휘, 정창률. 2012. 국민연금 개혁에 따른 공적연금의 노후소득수준 변화에 관한 연구 : 중기적 관점에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KSSL Google

박찬웅. 2012. 국민연금가입요인에 관한 성별 격차 : 다수준분석기법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보장학회 KSSL Google

이주환. 2012. 근로빈곤층의 노동경력과 빈곤이력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송유연. 2012. 근로장려세제의 노동공급 효과 분석.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유승현. 2012. 기간제보호법이 근로자의 노동지위에 미친 효과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장일현. 2012. 기업의 고령 인력 비율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인적자원관리제도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김두희. 2012. 기업의 기술유형에 따른 고성과 인적자원관리시스템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이영면, 이주형. 2012. 기업의 노사관계 상황이 고성과작업시스템에 미치는 효과. 한국인사조직학회 KSSL Google

정흥준. 2012. 기업의 사회적 책임정책에의 참여가 고용관계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 KSSL Google

김대환, 류건식. 2012. 기업의 퇴직연금 전환 연구. 한국리스크관리학회 KSSL Google

김은태, 이영민. 2012. 기혼 여성의 자격 보유와 노동시장에서의 자격의 효과 분석.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KSSL Google

김은태. 2012. 기혼 여성의 자격보유에 따른 노동시장에서의 자격 효과 분석. 숙명여자대학교 여성인적자원개발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고혜원. 2012. 기혼여성의 노동시장참여를 위한 사회적 정책에 대한 실증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이원진. 2012. 노년기로의 이행에 따른 소득불평등 변화와 소득이동성. 한국사회복지학회 KSSL Google

문혜진. 2012. 노동경력의 변화와 노동성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 KSSL Google

윤정윤. 2012. 노동시장 고용의 질이 임금근로자의 건강에 미치는 효과 분석.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어수봉, 유길상, 최기성. 2012. 노동시장과 인적자원개발 : 위험태도가 자영업 선택에 미치는 효과. 한국산업노동학회 KSSL Google

이병희. 2012. 노동시장과 인적자원개발: 사내하도급의 활용 원인과 고용 성과. 한국산업노동학회 KSSL Google

윤자영. 2012. 노동시장통합과 결혼 이행. 한국인구학회 KSSL Google

송헌재. 2012. 노동패널 자료를 이용한 우리나라 가구의 출산결정요인 분석. 한국응용경제학회 KSSL Google

이원진. 2012. 노인 소득불평등 추이의 영향요인. 한국사회복지학회 KSSL Google

황남희, 김철희. 2012. 대졸청년층의 첫직장 기업규모와 임금격차.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KSSL Google

권오규, 마강래. 2012. 대학진학이 인구이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지역학회 KSSL Google

윤자영. 2012. 돌봄서비스 일자리 근로조건의 현황과 과제.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정이환, 김영미, 권현지. 2012. 동아시아 신흥 선진국의 여성고용. 한국여성학회 KSSL Google

정순둘, 이현희. 2012. 베이비붐세대의 삶의 만족도 : 1998년과 2008년의 비교. 한국노인복지학회 KSSL Google

정희정. 2012. 복지 재원 배분의 효율성 기준.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박사 KSSL Google

김현식, 김지연. 2012. 부모동거가 첫째자녀 출산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건사회연구원 KSSL Google

하석철. 2012. 부모-자녀 간 소득이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학회 KSSL Google

권영진. 2012. 비정규직 고용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인하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 KSSL Google

황선웅, 장희은. 2012. 비정규직 이용이 정규직 임금에 미치는 효과.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KSSL Google

맹진영. 2012. 빈곤경험기간이 탈빈곤가구의 빈곤재진입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 KSSL Google

노혜진. 2012. 빈곤의 여성화 접근방식의 전환. 한국여성정책연구원 KSSL Google

윤윤규, 김유선, 김정우, 노용진, 박경원, 한치록, 홍민기. 2012. 사업체패널조사(WPS)를 활용한 사업체의 동학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이어진. 2012. 사회보험 배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조상미, 박은주. 2012. 산업복지 부가급여 수혜의 남녀간 차이에 관한 연구 : 사회보험, 국가규제적 급여, 기업복지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연구회 KSSL Google

윤명수, 김정우, 김기민. 2012. 상위관리직에서의 여성의 지위. 한국여성경제학회 KSSL Google

최은영. 2012. 소득계층별 교육과 가구소득의 세대간 이전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학회 KSSL Google

황지은. 2012. 수도권 가구유형 간 상호영향을 고려한 도시 가구구조 변화의 장기예측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최열, 김형준. 2012. 수도권 및 비수도권의 주거이동 결정요인 비교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KSSL Google

강은택, 마강래. 2012. 수도권으로의 이동에 따른 경제적 효과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KSSL Google

김용민, 임희정, 박기성. 2012. 신장과 비만의 임금효과.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KSSL Google

김성숙. 2012. 여성가구주 가계유형별 빈곤 가구 특성 연구.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KSSL Google

박승훈. 2012. 여성의 만혼이 저출산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이주희. 2012. 여성의 평등한 노동권을 위한 고용과 복지의 재구조화. 한국여성학회 KSSL Google

김병권. 2012. 연금저축 소득공제가 연금저축에 미치는 영향. 한국재정학회 KSSL Google

석진홍, 박우성. 2012. 연봉제와 동기부여: 조직 특성의 조절효과에 관한 다수준 분석. 한국경영사학회 KSSL Google

김성태, 임병인, 전영준, 김명규. 2012. 우리나라 공적이전소득이 소득이동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재정학회 KSSL Google

김성태, 전영준, 임병인. 2012. 우리나라 소득이동성의 추이 및 결정요인 분석. 한국경제학회 KSSL Google

김성태, 임병인, 이서현, 김명규. 2012. 우리나라 소득이동성의 추이 및 결정요인 분석. 한국재정학회 KSSL Google

윤정열, 홍기석. 2012. 우리나라의 세대 내 소득이동성에 관한 실증분석. 한국노동경제학회 KSSL Google

박현정, 정익중. 2012. 이혼, 별거 전후의 소득변화와 영향요인.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사회과학원 KSSL Google

박현정. 2012. 이혼·별거 전후 소득과 생활만족도의 변화.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박사 KSSL Google

정한나. 2012. 인적자본특성이 일자리 질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세 가지 소론.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 KSSL Google

강유미. 2012. 일과 가족 균형 제도의 실행 결정요인과 조절효과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김동현, 최예술, 임업. 2012. 일반화위계선형모형을 이용한 지역 간노동이동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학회 KSSL Google

노용진, 김미란. 2012. 임금 프리미엄과 노동조합의 약화.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KSSL Google

권소영. 2012. 임금피크제 도입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윤현중, 류성민, 양지윤. 2012. 임금피크제 현황과 주요 이슈. 한국인사조직학회 KSSL Google

성은영, 최창규. 2012. 임차인의 자산과 소득이 전·월세 선택에 미치는 영향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KSSL Google

최은선. 2012. 자가가구와 임차가구의 거주기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수도권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 KSSL Google

하수연. 2012. 자녀유무별 여성임금격차(Family gap) : 소득분위에 따른 비교연구. 한국사회복지연구회 KSSL Google

오유. 2012. 자영업 부문에 있어 교육이 고용형태의 전환 및 소득에 미치는 영향 분석.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김기승, 오유. 2012. 자영업 부문에 있어 교육이 소득에 미치는 영향분석. 한국경제연구학회 KSSL Google

김현동, 이동진. 2012. 작업장 혁신프로그램 토착화에서 인사부서 및 노동조합의 역할과 활동 탐색.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KSSL Google

오창섭, 최성혁. 2012. 저출산 원인의 실증분석 : 혼인율 하락과 초혼연령 상승의 경제적 요인. 한국복지행정학회 KSSL Google

이옥매. 2012. 젊은 층의 고용에 미치는 최저임금의 영향에 대한 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유재민. 2012. 조직구성원의 다양성 관리제도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 KSSL Google

남은정. 2012. 주거비 변동이 가계소비에 미치는 영향연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이소라, 홍기석. 2012. 주관적 만족도를 이용한 습관형성 이론과 상대소득 가설의 검정.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KSSL Google

홍기석. 2012. 주택 가격의 변동과 자산 가격 결정 모형.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사회과학원 KSSL Google

도한영. 2012. 주택시장이 청년층의 가구형성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안기선, 김윤정. 2012. 중고령취업자의 노후생활계획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단기·종단적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KSSL Google

김종성, 이병훈, 신재열. 2012. 청년층 구직활동과 하향취업.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송미정. 2012. 최종학교 졸업시점의 경기여건이 이후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이창효. 2012. 토지이용-교통 상호작용을 고려한 주거입지 예측모델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 KSSL Google

임두빈. 2012. 퇴직연금제도 선택에 관한 기업의 결정요인 분석.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임두빈, 전용일. 2012. 퇴직연금제도 선택에 관한 기업의 결정요인 분석. 한국연금학회 KSSL Google

이창무. 2012. 투자이론에 기초한 임대인의 보증금 비중 선택모형. 국토연구원 KSSL Google

오창섭, 최성혁. 2012.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저출산 원인의 실증분석. 한국복지행정학회 KSSL Google

김진영, 송예리아, 백은정. 2012. 학력과 주관적 건강의 관계. 한국사회학회 KSSL Google

배규식. 2012. 한국 고용관계의 현상: 2005-2009년 사업체패널조사 분석 결과.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권소영, 김성국. 2012. 한국기업 임금피크제 도입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독경상학회 KSSL Google

이상협. 2012. 한국노동패널 탈락요인 분석.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 KSSL Google

한국고용정보원 고용조사분석센터. 2012. 한국노동패널조사(KLIPS) 13차년도 기초분석보고서. 한국고용정보원 KSSL Google

최효미, 성재민, 이상호, 배기준. 2012. 한국노동패널조사(KLIPS)의 CAPI 이행효과 : 실험설계 및 차수간 정합성을 중심으로. 한국조사연구학회 KSSL Google

노혜진. 2012. 한국사회 빈곤의 여성화.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 KSSL Google

강영주, 정광호. 2012. 한국사회의 소득불평등과 건강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행정학회 KSSL Google

김봉근, 석재은, 현은주. 2012. 한국의 세대 간 소득탄력성과 추세. 한국노동경제학회 KSSL Google

석재은, 김봉근, 노혜진. 2012. 한국의 유배우 여성의 경제활동 유형이 자녀의 사교육비 지출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보장학회 KSSL Google

우해봉. 2012. 한국의 혼인과 출산 생애과정. 한국인구학회 KSSL Google

우해봉. 2012. 한국인의 재혼 패턴에서의 성별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KSSL Google

전동화. 2012. 협력적 노사관계의 영향요인과 기업성과의 관계. 경성대학교 대학원 박사 KSSL Google

최하정. 2011. 1990년대-2000년대 빈곤특성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김영옥, 이선행, 김민수. 2011. 2000년 이후 여성노동시장의 변화와 미래전략. 한국여성정책연구원 KSSL Google

노용진. 2011. 2000년대 중반 노동조합의 임금교섭 성과 분석.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오신휘. 2011. 2007년 국민연금 개혁에 따른 노후소득수준변화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김기용. 2011. M-W모형을 이용한 출생년도 코호트별 주택수요 변화 추세 분석.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Y. Yang. 2011. No way out but working? Income dynamics of young retirees in Korea. Ageing and Socie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KSSL Google

C. W. Kwon, B. G. Chun. 2011. Relationship regarding the demand for labor between domestic temporary and foreign workers: Korean case. Japan and the World Economy/ Elsevier KSSL Google

T. Astebro, J. Chen, P. Thompson. 2011. Stars and misfits: Self-employment and labor market frictions. Management Science/ Institute for Operations Research and the Management Sciences KSSL Google

김혜원, 김정우, 김기민, 권정현, 양수경, 이혜정. 2011. WPS 2005 한국의 사업체와 노동 - 사업체패널 기초분석보고서.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김옥연, 문영기. 2011. 가계 자산구조와 주택소유결정요인 분석. 한국주거환경학회 KSSL Google

배영목. 2011. 가계부채 상환부담의 분포와 추이. 한국경제발전학회 KSSL Google

김옥연. 2011. 가계의 부동산자산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박사 KSSL Google

임혜린. 2011. 가계특성에 따른 자산효과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안은미. 2011. 가구소득 변화와 소비지출구조에 관한 연구. 中央大學校 社會開發大學院 석사 KSSL Google

노세리, 이상민. 2011. 가족친화적 고성과작업시스템에 대한 듀얼아젠다 접근. 한국인사조직학회 KSSL Google

김효신. 2011. 가족친화제도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김혜원. 2011. 가족친화제도와 기업성과.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김성훈. 2011. 간접고용 결정 요인 : 거래비용 이론과 비용우위 이론을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KSSL Google

방하남, 신인철. 2011. 강요된 선택 : 생애 주된 일자리에서의 퇴직과 재취업의 동학분석. 한국사회학회 KSSL Google

장은진, 석재은. 2011. 결혼해체 이후 중장년 여성가구주의 적응 유형에 관한 종단 사례연구 : 사회경제적 지위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KSSL Google

김종숙, 이택면. 2011. 경력단절의 임금손실 추정. 한국여성정책연구원 KSSL Google

김은주. 2011. 경영전략, HR의 경영전략 참여도, HR시스템 유형, 조직성과간의 관계에 관한 실증연구.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 KSSL Google

박소영, 이상민, 노세리. 2011. 경쟁형 및 몰입형 인사제도가 근로시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사관리학회 KSSL Google

남기곤. 2011. 고등학교 단계 학업 중단의 경제적 효과 추정. 서강대학교 지암남덕우경제연구원 KSSL Google

이지은. 2011. 고령층의 노동공급여부가 자산구성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남춘호. 2011. 고용의 질 지수를 이용한 노동시장의 불평등과 양극화추세 분석. 비판사회학회 KSSL Google

이영면, 이동진. 2011. 고용의 질과 기업성과의 관계에 대한 실증연구. 한국인사관리학회 KSSL Google

강성호, 최석봉. 2011. 공적(국민)연금제도의 사회후생효과 분석 :사회후생함수 활용에 의한 접근. 명지대학교 금융지식연구소 KSSL Google

김진영. 2011. 교육집단별 건강 추세에 대한 분석. 한국인구학회 KSSL Google

김경아. 2011. 국내가계의 부채증가 추세 및 요인에 관한 연구 : 미시자료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응용경제학회 KSSL Google

김선미. 2011.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가 노동공급에 미친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김계숙, 민인식. 2011. 기대효용 접근법에 근거한 도시가구의 빈곤에 대한 취약성 분석.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조상미, 박은주. 2011. 기업복지제도의 결정요인 분석 : 사업체 패널자료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KSSL Google

민환식. 2011. 기업의 노동관련 사회적 책임활동과 재무성과와의 관계 연구.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김지혜. 2011.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성과.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박사 KSSL Google

홍정림. 2011. 기혼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 변화의 변동 분해 : 1998-2007. 한국여성정책연구원 KSSL Google

장성미, 하은희, 박혜숙, 이보은, 김은정, 정최경희. 2011. 남성 취업자의 노동시간과 흡연 및 금연양상. 대한직업환경의학회 KSSL Google

이병희. 2011. 노동시장 및 노사관계 : 청년 고용 문제, 눈높이 때문인가?. 한국산업노동학회 KSSL Google

김현동, 신은종. 2011. 노동조합의 혁신활동 참여가 작업장 혁신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한영광. 2011. 노동조합이 직무만족요인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김훈, 김정우. 2011. 노사협의회의 운용 실태 : 무노조사업체를 중심으로.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김환준. 2011. 누가 왜 빈곤에 빠지는가? 빈곤진입자의 특성 및 요인. 한국사회복지연구회 KSSL Google

성상현, 김대룡. 2011. 다양성관리가 조직인력구성과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KSSL Google

금재호. 2011. 대학등록금 지원의 필요성과 과제.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박상욱. 2011. 대한민국 기업패널자료를 활용한 기업 현직교육훈련의 경제적 효과 재조명.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KSSL Google

유병홍, 김동주. 2011. 무노조사업장에서 노사협의회를 통한 간접참여와 근로자 직접참여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기업경영학회(구 한국동림경영학회) KSSL Google

곽상신. 2011. 미가맹 노동조합 실태와 효과성 연구. 고려대학교 노동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이지영, 최현자. 2011. 베이비부머 가계의 재무적 특성과 연금수급액 추정에 관한 연구. 한국FP학회 KSSL Google

김준형, 최명섭. 2011. 부동산자산의 지역불균형. 한국응용경제학회 KSSL Google

여정욱. 2011. 비재무변수가 신용위험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김용숙. 2011. 비정규 여성 근로자의 직무만족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글로벌인적자원개발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김윤호. 2011. 비정규직 관리유형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업노동학회 KSSL Google

이시균. 2011. 사내하청과 비정규직: 간접고용이 고용성과에 미치는 효과. 한국산업노동학회 KSSL Google

장홍근. 2011. 사회적기업과 인적자원전략.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공정승. 2011. 산업별 실질임금의 경기순행성 추정과 분단노동시장 가설.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김기헌, 신인철. 2011. 생애 초기 교육기회와 불평등. 한국교육사회학회 KSSL Google

유주희, 문춘걸. 2011. 생애주기에 따른 가계의 소비평탄화. 한양대학교 경제연구소 KSSL Google

금재호. 2011. 성별 임금격차의 현상과 원인에 대한 연구. 한국국제경제학회 KSSL Google

박은하. 2011. 성별에 따른 ‘양질의 일자리’ 결정요인 연구. 한국여성학회 KSSL Google

김대호, 강동묵, 김종은, 김영기, 설진곤, 최순. 2011. 성별에 따른 임금근로자의 소득지표별 자가평가 건강수준 비교. 대한직업환경의학회 KSSL Google

강충구. 2011. 성장기와 성인기 사회경제적 지위가 성인기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임지은. 2011. 소득 계층 이동 결정요인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홍성조, 안건혁. 2011. 소득계층별 주거이동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 KSSL Google

김주원, 정의철. 2011. 소형가구 연령대별 주택수요 특성 분석. 건국대학교 부동산도시연구원 KSSL Google

김대환, 류건식. 2011. 순차로짓(Sequential Logit) 모형을 활용한 기업의 퇴직연금 선호 형태 분석. 보험연구원 KSSL Google

고제이, 이우진. 2011. 아버지의 학력과 아들의 성취. 한국재정학회 KSSL Google

조인숙. 2011. 여성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건강 : 역할간 대립이 여성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경제학회 KSSL Google

이현실. 2011. 여성인력과 기업성과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백화종, 강성호. 2011. 연금제도 성숙시점에서의 노인빈곤율 추정과 국민연금의 빈곤개선효과. 한국사회보장학회 KSSL Google

김기승. 2011. 연령세대별 고용형태 변화 연구. 한국경제통상학회(구 한국경상학회,한국국민경제학회) KSSL Google

이보화. 2011. 우리나라 가계의 위험자산 선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박경하. 2011. 우리나라 중고령자의 은퇴과정 유형화 연구 -다양성과 불평등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연구회 KSSL Google

이은우, 박동렬. 2011. 우리나라 중산층과 타 계층과의 소비문화수준 및 생활만족도 차이 분석. 한국문화산업학회 KSSL Google

최지은. 2011. 우리나라의 세대 간 소득 이동성 분석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최지은, 홍기석. 2011. 우리나라의 세대 간 소득 이동성 분석 : 아버지와 아들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보장학회 KSSL Google

권경림. 2011. 유아 사교육 이용 및 지출 실태와 영향 요인.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유훈. 2011. 음주는 소득에 영향을 미치는가.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이상호, 유경원, 이상헌. 2011. 인구고령화와 기계의 금융자산 선택 : 이론 및 실증분석. 한국경제연구학회 KSSL Google

박정상. 2011. 인사부서의 역할과 몰입형 인적자원관리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임지영. 2011. 일가족양립제도가 기혼여성근로자의 취업중단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이현기. 2011. 일반노인 시간자원봉사의 특징 : 평균시간과 개인자원을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KSSL Google

성은영. 2011. 임차인의 자산축적이 전월세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최은선, 남진. 2011. 자가가구와 전세가구의 거주기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의 비교분석. 서울연구원 KSSL Google

백은영, 정순희. 2011. 자산관리 서비스 주요 잠재 대상 고객에 관한 연구. 한국FP학회 KSSL Google

금재호, 이인실. 2011. 자영업 매출과 소득의 결정요인 분석. 한국경제연구학회 KSSL Google

성지미. 2011. 자영업 선택과 성과 간의 관계.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이승렬. 2011. 자영업자의 산재보험 가입 의향 분석.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이병훈, 신재열. 2011. 자영자의 계층의식에 관한 연구. 비판사회학회 KSSL Google

류정진, 전영환, 남용현, 박창수. 2011. 장애인고용정책 20년, 성과와 과제. 한국직업재활학회 KSSL Google

성재민. 2011. 저소득자 노동시장 지위 변화에 대한 동태적 분석. 한국사회보장학회 KSSL Google

이정현, 이준우. 2011. 정리해고가 노사간 임금협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업노동학회 KSSL Google

조선미, 강정한. 2011. 제도의 채택과 디커플링(Decoupling)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의 특성. 한국인사조직학회 KSSL Google

성문주. 2011. 젠더와 교육기회 불평등.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KSSL Google

이용우. 2011. 주택가격이 가계저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미시적 실증분석. 한국사회경제학회 KSSL Google

김영태. 2011. 준정부조직의 규모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안기선. 2011. 중고령 취업자의 노후생활계획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에 대한 연구 : 한국노동패널 4차년도와 11차년도 데이터를 중심으로. 한서대학교 대학원 박사 KSSL Google

이영민, 이호섭. 2011. 중소기업 재직자의 자격보유 실태 및 자격의 효과분석.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KSSL Google

강원진, 이병헌, 김정식. 2011. 참여적 작업관행이 협력적 노사관계,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사관리학회 KSSL Google

마강래, 강은택. 2011. 최초 주택구입 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KSSL Google

민현주, 김은지. 2011. 출산순위별 출산결정요인 분석. 한국사회학회 KSSL Google

신덕상. 2011. 취약계층의 인적자본이 사회적 배제 극복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 KSSL Google

허수연, 유태임. 2011. 취업여성의 ‘자녀유무별 임금격차(Family gap)’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KSSL Google

박원주, 임두빈, 전용일. 2011. 퇴직연금제도 도입 기업의 특성 분석. 한국연금학회 KSSL Google

김대현. 2011. 패널자료의 표본이탈 현상과 정규직-비정규직 임금격차 추정.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이상협, 박찬용, 정성석, 최혜미. 2011. 한국노동패널 탈락 분석.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KSSL Google

나수미. 2011. 한국노동패널을 통한 평균 가계소득 측정의 신뢰성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정한나, 이태. 2011. 한국에는 Glass Ceiling 효과가 존재하는가?.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KSSL Google

장연주, 이민환, 황한식. 2011. 한국의 지역별 가구소득불평등 분해 분석. 한국지역사회학회 KSSL Google

우해봉. 2011. 한국인의 성별 및 교육수준별 이혼 패턴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KSSL Google

박민재. 2010. CART를 이용한 핫덱의 효율성 비교.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 KSSL Google

C. Chung, J. Gibson, B. Kim. 2010. CPI mismeasurements and their impacts on economic management in Korea. Asian Economic Papers/ MIT Press KSSL Google

태엄철. 2010. Dynamic panel data analysis of Korean's drinking and smoking behaviors.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C. Joonmo, L. Chanyoung, L. Jae-Seong. 2010. Gender and job turnover in the dual labor market: A Korean perspective. Asian Journal of Women's Studies/ Taylor & Francis KSSL Google

에르한아타이. 2010. High Performance Work Systems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Korea.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 KSSL Google

B. H. Lee, J. S. Kim. 2010. Is Family-friendly Management Good for Firms? The Diffusion and Performance of Family-friendly Workplaces in South Korea. The Journal of Industrial Relations/ SAGE KSSL Google

D. Kim. 2010. The analysis of the impact of panel attrition on estimation of regular-irregular worker wage gap in the KLIPS. European Research Studies Journal/ University of Piraeus, International Strategic Management Association KSSL Google

김우영, 김현정. 2010. 가계부채의 결정요인 분석. 한국국제경제학회 KSSL Google

김진아. 2010. 가계특성을 반영한 가계부채 결정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허경옥, 이현진, 최미향. 2010. 가구주의 위험감수성향의 변화와 금융자산 포트폴리오 구조 분석. 한국FP학회 KSSL Google

김기호, 유경원, 이상헌. 2010. 가구패널자료 접속을 통한 외환위기 전후 유동성제약 변화 연구. 한국응용경제학회 KSSL Google

노세리. 2010. 가족친화적 고성과작업시스템에 대한 듀얼아젠다적 접근.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이주희, 정성진. 2010. 가족형성의 득과 실.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사회과학원 KSSL Google

김수완. 2010. 결혼해체 이후 삶의 변화. 한국여성학회 KSSL Google

민현주, 임희정. 2010. 경제위기에 따른 여성고용변화와 향후 과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KSSL Google

이성민. 2010. 계급이동과 빈곤화 : 금융위기 이후 빈곤 진입 가구주의 이동궤적.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박진희. 2010. 고용주제공 직업훈련 참여기회의 성별격차. 한국여성경제학회 KSSL Google

김병조. 2010. 공공조직과 민간조직 종사자의 직무만족도 비교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노대희, 왕종호, 최현림, 임신예, 김근회, 원장원, 정최경희. 2010. 교대근무가 자가평가건강 수준에 미치는 영향. 대한직업환경의학회 KSSL Google

신동균. 2010. 교육(敎育) 투자수익률(投資收益率) 분석(分析). 한국경제학회 KSSL Google

김기환. 2010. 교육격차와 소득격차의 상호연관성 분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권희정. 2010. 국민연금보험료의 가계저축효과 및 소비효과.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김세림. 2010. 근로빈곤층의 빈곤경험유형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김현동, 이동진. 2010. 근로자대표기구의 전략적 참여와 참여적 작업조직활동 모색: 노사관계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최낙혁, 권혁주. 2010. 기간제 노동자의 지위변동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KSSL Google

안태현. 2010. 남성의 고용상황과 결혼형성.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박상욱. 2010. 노동생산성에 미치는 기업 현직교육훈련의 투자효과 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 KSSL Google

최성혁, 오창섭. 2010. 노동시장에서 기혼여성의 경력단절 위험이 출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 분석. 한국복지행정학회 KSSL Google

선영주. 2010. 노동조합가입 결정요인분석. 高麗大學校 大學院 석사 KSSL Google

박용승, 나인강. 2010. 노동조합과 노사관계 풍토가 작업장 산업재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KSSL Google

김진, 송헌재. 2010. 노동패널을 이용한 주관적 동등화 지수 추정. 한국재정학회 KSSL Google

노용진. 2010. 노사파트너십의 노사관계 효과성에 관한 연구.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KSSL Google

박홍철. 2010. 노인가구의 경제적 특성에 따른 주택규모 및 주택유형 선택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이시균. 2010. 노조와 비노조 발언기제(voice) 효과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KSSL Google

김진욱, 정의철. 2010. 도시 가구의 소득원천별 분해를 통한 소득불평등 변화 요인 분석 -가구주 연령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보장학회 KSSL Google

김소연. 2010. 모자가구 여성가장의 복지지원 수혜와 노동공급 결정.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류성민. 2010. 몰입형 인사관리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업경제학회 KSSL Google

엄선희. 2010. 보건의료의 소득계층별 형평성에 관한 실증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이상붕. 2010. 부의 불평등 시각에서 바라본 연령 집단의 경제 불평등. 한국인문사회과학회 KSSL Google

이주희. 2010. 비정규직과 노동정치. 한국사회학회 KSSL Google

김정우, 김기민. 2010. 사업체패널조사로 살펴본 기간제일자리 현황.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김효진. 2010. 산업재해의 보상적 임금격차와 Value of statistical life(VSL)추정.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김근회, 정헌종, 장성훈, 김형수, 노대희, 정최경희. 2010. 상이한 분류 기준에 따른 근로형태별 자가평가건강수준 : 한국노동패널조사 자료를 이용한 패널회귀분석. 대한직업환경의학회 KSSL Google

전승훈. 2010. 생애 연금급여가 은퇴시기결정 및 은퇴자의 노동공급에 미치는 영향. 한국재정정책학회 KSSL Google

유주희. 2010. 생애주기에 따른 가계의 소비평탄화 (자료활용리스트 상 저자명 불일치).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배미원. 2010. 생애주기와 빈곤이 노동이동에 미치는 여향.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 KSSL Google

장수명, 최상덕. 2010. 성인의 고등교육 참여 실태와 경제성과 분석. 한국평생교육학회 KSSL Google

장윤희. 2010. 섹터간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비교.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엄선희, 문춘걸. 2010. 소득계층에 따른 보건의료의 형평성 : 한국노동패널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 KSSL Google

임정준, 백일우. 2010. 소득분위별 여성의 고등교육투자에 대한 수익분석.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KSSL Google

오윤이. 2010. 소득불평등이 범죄발생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이지은. 2010. 실업크레딧제도의 도입이 국민연금 수급권 및 급여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 KSSL Google

박용현. 2010. 실직으로 인한 임금 손실과 지속 원인에 대한 연구. 한국노동경제학회 KSSL Google

박효진. 2010. 여성가구주 빈곤가구와 남성가구주 빈곤가구의 빈곤탈피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 KSSL Google

임정준. 2010. 여성의 교육수준과 직종에 따른 임금차별에 대한 실증분석. 한국여성학회 KSSL Google

우석진. 2010. 여성의 취업부문과 출산결정에 관한 연구 : 공공부문과 민간부문 간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보장학회 KSSL Google

김령희. 2010. 외환위기 이후 임금 결정 요인의 변화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백은영. 2010. 우리나라 대중부유층(Mass affluent)의 특성 및 진입 요인. 대한경영학회 KSSL Google

석상훈. 2010. 인구구조의 고령화와 소비격차. 한국노년학회 KSSL Google

임미화, 정의철. 2010. 임차가구의 주택구입계획이 자산축적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주택학회 KSSL Google

손배원. 2010. 자격활용에 따른 기업성과분석 비교. 한국경영컨설팅학회 KSSL Google

김태동. 2010. 자녀에 대한 교육비 지출이 사적소득이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이성민. 2010. 장애인 가구의 빈곤화 메커니즘. 한국장애인재단 KSSL Google

남재량, 성재민, 최효미, 신선옥, 배기준. 2010. 제11차(2008)년도 한국 가구와 개인의 경제활동: 한국노동패널 기초분석보고서.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김동배. 2010. 제도적 동형화와 상징적 동조: 연봉제의 사례.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이영면, 백승규. 2010. 조직구성원의 여가만족이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사관리학회 KSSL Google

박성현. 2010. 좋은 일자리에 대한 근로자의 인식.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이주형, 임종현, 강남훈. 2010. 주택규모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가구원수별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 KSSL Google

임정연, 이영민. 2010. 중소제조기업의 교육훈련 투자가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KSSL Google

이상호. 2010. 지역간 이동의 결정요인 및 임금효과. 한국지역학회 KSSL Google

소순우. 2010. 패널 자료를 이용한 무응답 대체 비교 연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김민성, 오시진. 2010. 평률세제 개편안의 정치적 실현 가능성과 조세부담의 재분배. 한국재정학회 KSSL Google

이정은. 2010. 한국 가계의 위험자산 보유 결정요인 분석.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정의신. 2010. 한국의 국민연금과 사적이전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 KSSL Google

이성균, 김영미. 2010. 한국의 서비스산업 확대는 남녀임금격차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한국사회학회 KSSL Google

강성진. 2010. 한국인의 생활만족도 결정요인 분석. 한국경제학회 KSSL Google

김윤호. 2009. [발제 2] 비정규직 관리방식의 유형분류와 유형선택의 선행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KSSL Google

J. Cho, J. Keum. 2009. Dualism in job stability of the Korean labour market: The impact of the 1997 financial crisis. Pacific Economic Review/ Wiley-Blackwell KSSL Google

한영민. 2009. Family migration decisions : the effects of family factors on migration and the effects of migration on married women.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김기민. 2009. WPS 2007의 조사 설계와 실사 결과.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이주형, 임종현, 이천기. 2009. 가구특성에 따른 주택의 점유형태 및 유형 선택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KSSL Google

홍백의, 박은주, 박현정, 박진. 2009. 결혼지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KSSL Google

공주. 2009. 계급과 건강 : 주관적 건강평가에 미치는 계급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강석훈. 2009. 고령화와 자산수요 변화. 한국재정학회 KSSL Google

임정연. 2009.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인사관리 비교 연구. 한국항공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신선옥. 2009. 공무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반현정. 2009. 공적이전소득이 소득불평등 및 빈곤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우해봉. 2009. 교육이 초혼 형성에 미치는 영향 : 결혼 연기 혹은 독신?. 한국인구학회 KSSL Google

엄동욱. 2009. 군 복무 여부가 임금결정에 미치는 효과. 한국통계학회 KSSL Google

박능후, 배미원. 2009. 근로빈곤층 노동이동 결정요인 분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KSSL Google

김기승. 2009. 기술사 자격 활용실태 및 노동시장 효과분석.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KSSL Google

이병훈, 신재열. 2009. 기혼 남녀의 사회계층의식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과학연구회 KSSL Google

박진희. 2009. 남편의 미취업이 여성배우자의 노동공급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성문주. 2009. 노동시장 이행에서의 학력효과에 대한 젠더 비교연구.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KSSL Google

이인재, 김동배. 2009. 노동조합이 기술혁신에 미치는 영향.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KSSL Google

김원년, 양현석. 2009. 노동패널조사의 가구자료를 이용한 주택수요 추정. 한국재정학회 KSSL Google

손병돈. 2009. 노인 소득의 불평등 추이와 불평등 요인분해. 한국노년학회 KSSL Google

박순미, 손지아, 배성우. 2009. 노인의 생활만족도 변화에 대한 종단적 접근.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KSSL Google

양정열. 2009. 도시 가구별 재무구조의 특성 및 변화추이에 대한 실증연구. 漢陽大學校 經營大學院 석사 KSSL Google

안태현. 2009. 배우자의 실직과 여성노동공급 : 보험으로서의 여성노동. 한국응용경제학회 KSSL Google

정의철, 김진욱, 하두나. 2009. 부동산소득이 소득불평등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주택학회 KSSL Google

이용수. 2009. 비정규직 고용 결정의 조직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학회 KSSL Google

김윤호. 2009. 비정규직 관리방식의 유형 분류와 유형 선택의 선행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KSSL Google

김윤호. 2009. 비정규직 관리방식의 유형분류와 선행요인 및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 KSSL Google

서병선, 임찬영. 2009. 비정규직 근로자의 인적자본 수익률에 대한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강신욱. 2009. 빈곤의 지속성과 반복성을 고려한 빈곤정책의 방향. 한국경제발전학회 KSSL Google

이지은. 2009. 빈곤의 함정 결정요인 분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이성용, 방하남. 2009. 성·연령별 중·고령 노동자의 취업 양극화 분석. 한국노년학회 KSSL Google

김주영. 2009. 성별 임금격차와 여성의 경력단절.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김혜연, 홍백의. 2009. 성별 집단 내 소득불평등(inequality among gender)의 변화 추이 및 원인. 한국사회복지학회 KSSL Google

강영주. 2009. 소득불평등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다수준 분석 : 한국노동패널 조사자료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전승훈, 홍인기. 2009. 소득세 세율 인하 및 공제제도가 노동공급에 미치는 차별적 효과 연구 : 노동패널 자료를 이용한 미시적 실증분석.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최성은. 2009. 소득재분배를 위한 이전지출의 한계후생비용 추정. 한국재정학회 KSSL Google

박용현. 2009. 실직으로 인한 임금손실과 지속원인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이정아. 2009. 여성가구주 가구의 항상빈곤화. 한국여성정책연구원 KSSL Google

김혜연. 2009. 여성의 소득불평등 경향 및 원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 KSSL Google

민인식, 조만. 2009. 역모기지의 Cross-over Risk와 잠재수요에 관한 연구. 한국주택학회 KSSL Google

구자숙. 2009. 연구논문 : 기업에서의 모성보호제도에 대한 연구: 제도의 도입 및 현실과의 어긋남을 중심으로. 한국조사연구학회 KSSL Google

이선애. 2009. 영유아보욱, 교육서비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보육학회 KSSL Google

김승곤. 2009. 왜 여성의 주관적 건강이 더 나쁜가?. 한국여성정책연구원 KSSL Google

이상붕. 2009. 외환위기 이후 전개된 한국의 부의 불평등. 한국사회학회 KSSL Google

최미향. 2009. 위험감수성향에 따른 가계금융자산 포트폴리오 변화.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김선희. 2009. 은퇴가계의 자산구조변화 분석.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김지연. 2009. 이혼위험이 기혼여성의 경제활동참여에 미치는 영향.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석사 KSSL Google

김해미. 2009. 인구 고령화의 소비와 부에 대한 영향 분석 연구 : 한국노동패널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김윤호, 한수진, 박오원. 2009. 인적자원관리 시스템 유형분류와 유형별 조직성과의 차이. 한국경영학회 KSSL Google

류기락. 2009. 일자리 이동과 내부노동시장. 한국사회학회 KSSL Google

김환. 2009. 임금체계와 인사고과의 전략적 활용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안숙희. 2009.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 이동에 관한 사건사 분석.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이은우. 2009.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 임금 및 직무만족도 차이 분석. 한국경제통상학회 KSSL Google

남재량, 이상호, 최효미, 신선옥, 배기준. 2009. 제10차(2007)년도 한국 가구와 개인의 경제활동: 한국노동패널 기초분석보고서.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양혜원, 금현섭. 2009. 주5일 근무제의 효과 분석.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KSSL Google

이지연. 2009. 주성분 분석을 통해 생성된 대리변수의 정확도 측정.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강민규, 최막중, 김준형. 2009. 주택의 자산효과에 의한 가계소비 변화 : 자가가구 미시자료를 이용한 실증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KSSL Google

박도건. 2009. 중소기업 노사관계 연구. 고려대학교 노동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김교성, 노혜진. 2009. 지역 빈곤의 격차와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KSSL Google

허지정, 최막중. 2009. 지역의 문화서비스 공급이 가계의 문화소비에 미치는 영향.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KSSL Google

이진경, 옥선화. 2009. 첫 자녀 출산 여부와 가족친화제도에 따른 유배우 기혼 여성의 취업 중단에 관한 연구. 한국조사연구학회 KSSL Google

이준성. 2009. 출산과 여성 노동공급 : M커브 현상이 존재하는가?.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조동훈. 2009. 패널자료를 이용한 기업규모간 임금격차 분석.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박시내. 2009. 한국 고령근로자의 취업지속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 KSSL Google

김현준. 2009. 한국 노동조합의 보이스(voice) 효과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노동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권태희, 조동훈, 조준모. 2009. 한국 비공식노동시장의 여성인적자원 실태분석. 한국여성정책연구원 KSSL Google

우해봉. 2009. 한국 중고령층의 성별·교육수준별 건강기대여명 차이. 한국사회학회 KSSL Google

이주희. 2009. 한국의 단체교섭구조.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KSSL Google

이건범. 2009. 한국의 소득이동 : 현황과 특징. 한국경제발전학회 KSSL Google

이서현. 2009. 한국의 소득이동성 추이.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성재민. 2009. 한국의 임금불평등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 KSSL Google

엄동욱, 이정일, 김태정. 2009. 협력적 노사관계와 기업성과에 대한 실증연구: 혁신적 HRM제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응용경제학회 KSSL Google

김태일, 한경희. 2008. 1990년대 말-2000년대 전반의 공무원과 민간기업 종사자의 직무 만족도 변화 비교. 한국행정학회 KSSL Google

한경희. 2008. 1998-2006년 기간의 공무원과 민간기업 종사자 직무만족도 변화 비교.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권정현. 2008. 2005년 사업체패널조사로 살펴본 사업체에서 여성 근로자의 위치.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B. Kye. 2008. Internal labor markets and the effects of structural change: Job mobility in Korean labor markets between 1998 and 2000. Research in Social Stratification and Mobility/ Elsevier KSSL Google

이민우, 이영진, 한재창. 2008. 가족친화제도 도입을 결정하는 선행요인 및 결과에 관한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손세종. 2008. 개인의 인적자본 수준 및 지역의 사회경제적 특성이 경제활동참가 여부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노혜진. 2008. 결혼해체를 경험한 여성가구주의 빈곤과 사회적 배제에 관한 종단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정의신. 2008. 계층별 사적이전에 대한 분석. 한국사회경제학회 KSSL Google

이지민. 2008. 고성과 작업조직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노동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이병훈. 2008.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인적자원 투자에 관한 비교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김지하, 백일우. 2008. 교육의 비금전적 수익 추정.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KSSL Google

이만우, 김진영, 김대철. 2008. 국민연금기대자산 추정 및 노동공급에 미치는 효과 : 남성가구주 임금근로자의 노동시간을 중심으로. 한국재정학회 KSSL Google

김은하. 2008. 근로빈곤층의 일자리 특성과 빈곤 지위. 한국사회복지학회 KSSL Google

채윤정. 2008. 근로자 참여제도가 조직의 이직률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김성훈. 2008. 금융 산업의 비정규직 노동 이동.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사회과학원 KSSL Google

이재성. 2008. 기업규모별 임금격차의 원인에 관한 실증분석.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이재성. 2008. 기업규모별 임금격차의 원인에 관한 실증분석 : 노사관계, 고용, 하청 및 기업지배 구조의 요인분석.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