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지역 성평등 노동환경 실태조사, 2021
https://doi.org/10.22687/KOSSDA-A1-2021-0085-V1.0
최청락 / 부산여성가족개발원 연구위원
이 조사는 부산여성가족개발원이 부산지역의 성평등 노동환경 실태를 파악함으로써 부산시 여성 일자리를 확대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고자 시행한 것이다.
이 자료는 취업자 수 기준 상위 11개 산업의 종사자 수 20인 이상인 기업에 근무하고 있는 근로자로부터 수집되었으며, 주요 조사내용은 응답자 현재 취업형태 및 직위, 응답자 월평균 급여, 응답자 고용계약서 작성 여부, 응답자 현 직장 근속기간, 응답자 현 직장 출퇴근 소요시간, 연차 및 월차에 대한 사용 편의성 정도, 현재 직무 만족도, 현재 업무 관련 감정노동 경험 여부 및 강도, 경력단절 경험 여부 및 빈도, 주중 일평균 가정관리 및 돌봄 소요시간, 현재 일과 생활의 균형 상태, 일과 생활의 균형이 맞지 않는 이유, 일·가정 균형 지원제도 인지 여부 및 이용 여부, 기혼 여성의 일·가정 양립 어려움에 대한 의견, 기혼 여성의 일·가정 양립 어려움으로 인한 퇴사에 대한 의견, 응답자 소속 기업의 노동환경 성평등 수준, 부산시 노동환경 성평등 수준, 향후 부산시 노동환경에 있어서 성평등 수준 변화 정도, 코로나19 이후 노동환경 변화 정도, 기업의 코로나19에 따른 경영여건 변화 대응을 위한 제도 시행 여부, 코로나19가 부산시 성별 실직율에 미치는 영향력 비교, 코로나19의 부산 남녀 성평등 노동환경 영향 정도, 코로나19로 인한 자녀양육 부담 증가 여부 등이다.
부산 부산광역시 부산시 취업 취업여성 고용 고용구조 고용불안 고용안정 고용정책 고용지원 고용차별 고용창출 고용촉진 고용평등 여성고용 노동복지 노동시장 노동정책 노동환경 여성노동 성평등 여성의사회진출 여성의사회참여 여성취업 코로나19
파일유형 | 파일명 | 파일내용 | 파일형식 | 파일크기 | 다운로드 |
---|---|---|---|---|---|
관련파일-설문지(한글) | kor_que_20210085.pdf | 50.15 MB | 다운로드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20~49명 | 676 | 0 |
67.6%
|
2 | 50명 이상 | 324 | 0 |
32.4%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강서구 | 176 | 0 |
17.6%
|
2 | 금정구 | 60 | 0 |
6%
|
3 | 기장군 | 56 | 0 |
5.6%
|
4 | 남구 | 52 | 0 |
5.2%
|
5 | 동구 | 76 | 0 |
7.6%
|
6 | 동래구 | 60 | 0 |
6%
|
7 | 부산진구 | 92 | 0 |
9.2%
|
8 | 북구 | 40 | 0 |
4%
|
9 | 사상구 | 48 | 0 |
4.8%
|
10 | 사하구 | 40 | 0 |
4%
|
11 | 서구 | 20 | 0 |
2%
|
12 | 수영구 | 40 | 0 |
4%
|
13 | 연제구 | 56 | 0 |
5.6%
|
14 | 영도구 | 28 | 0 |
2.8%
|
15 | 중구 | 36 | 0 |
3.6%
|
16 | 해운대구 | 120 | 0 |
12%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제조업 | 160 | 0 |
16%
|
2 | 건설업 | 76 | 0 |
7.6%
|
3 | 숙박 및 음식점업 | 124 | 0 |
12.4%
|
4 | 도매 및 소매업 | 176 | 0 |
17.6%
|
5 | 운수 및 창고업 | 84 | 0 |
8.4%
|
6 | 금융 및 보험업 | 40 | 0 |
4%
|
7 | 전문, 과학 및 기술서비스업 | 40 | 0 |
4%
|
8 | 사업시설관리, 사업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 | 64 | 0 |
6.4%
|
9 | 교육서비스업 | 76 | 0 |
7.6%
|
10 |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 112 | 0 |
11.2%
|
11 |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 | 48 | 0 |
4.8%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 | S2 | 1 | 0 |
0.1%
|
- | SM | 1 | 0 |
0.1%
|
- | 계약직원 | 1 | 0 |
0.1%
|
- | 계장 | 8 | 0 |
0.8%
|
- | 과장 | 108 | 0 |
10.8%
|
- | 교감 | 1 | 0 |
0.1%
|
- | 교무실무원 | 1 | 0 |
0.1%
|
- | 교무원 | 3 | 0 |
0.3%
|
- | 교사 | 12 | 0 |
1.2%
|
- | 교육공무직 | 2 | 0 |
0.2%
|
- | 교육실무원 | 1 | 0 |
0.1%
|
- | 교육행정7급 | 1 | 0 |
0.1%
|
- | 교육행정9급 | 1 | 0 |
0.1%
|
- | 교육행정서기보 | 1 | 0 |
0.1%
|
- | 담당 | 2 | 0 |
0.2%
|
- | 대리 | 151 | 0 |
15.1%
|
- | 매니저 | 8 | 0 |
0.8%
|
- | 반장 | 1 | 0 |
0.1%
|
- | 본부장 | 1 | 0 |
0.1%
|
- | 부매니저 | 1 | 0 |
0.1%
|
- | 부원장 | 2 | 0 |
0.2%
|
- | 부장 | 18 | 0 |
1.8%
|
- | 부점장 | 1 | 0 |
0.1%
|
- | 부지점장 | 2 | 0 |
0.2%
|
- | 사무국장 | 1 | 0 |
0.1%
|
- | 사무원 | 1 | 0 |
0.1%
|
- | 사원 | 367 | 0 |
36.7%
|
- | 상무이사 | 1 | 0 |
0.1%
|
- | 선임 | 1 | 0 |
0.1%
|
- | 선임연구원 | 1 | 0 |
0.1%
|
- | 선임행정원 | 1 | 0 |
0.1%
|
- | 소장 | 1 | 0 |
0.1%
|
- | 실장 | 7 | 0 |
0.7%
|
- | 연구소 소장 | 1 | 0 |
0.1%
|
- | 원무과장 | 2 | 0 |
0.2%
|
- | 이사 | 2 | 0 |
0.2%
|
- | 점장 | 3 | 0 |
0.3%
|
- | 주무관 | 3 | 0 |
0.3%
|
- | 주임 | 56 | 0 |
5.6%
|
- | 지배인 | 1 | 0 |
0.1%
|
- | 직급 따로 없음 | 4 | 0 |
0.4%
|
- | 직원 | 168 | 0 |
16.8%
|
- | 차장 | 15 | 0 |
1.5%
|
- | 책임매니저 | 1 | 0 |
0.1%
|
- | 책임행정원 | 1 | 0 |
0.1%
|
- | 총무과장 | 1 | 0 |
0.1%
|
- | 팀장 | 11 | 0 |
1.1%
|
- | 파트장 | 1 | 0 |
0.1%
|
- | 프로 | 1 | 0 |
0.1%
|
- | 행원(사원급) | 4 | 0 |
0.4%
|
- | 행정 | 2 | 0 |
0.2%
|
- | 행정과장 | 1 | 0 |
0.1%
|
- | 행정관 | 2 | 0 |
0.2%
|
- | 행정사 | 1 | 0 |
0.1%
|
- | 행정실장 | 1 | 0 |
0.1%
|
- | 행정원 | 6 | 0 |
0.6%
|
- | 행정이사 | 1 | 0 |
0.1%
|
This variable is character
Value | Label | N | WN | |
---|---|---|---|---|
- | 0 | 3 | 0 |
0.3%
|
- | 1 | 288 | 0 |
28.8%
|
- | 2 | 115 | 0 |
11.5%
|
- | 3 | 95 | 0 |
9.5%
|
- | 4 | 71 | 0 |
7.1%
|
- | 5 | 75 | 0 |
7.5%
|
- | 6 | 34 | 0 |
3.4%
|
- | 7 | 16 | 0 |
1.6%
|
- | 8 | 37 | 0 |
3.7%
|
- | 9 | 12 | 0 |
1.2%
|
- | 10 | 43 | 0 |
4.3%
|
- | 11 | 13 | 0 |
1.3%
|
- | 12 | 7 | 0 |
0.7%
|
- | 13 | 2 | 0 |
0.2%
|
- | 14 | 3 | 0 |
0.3%
|
- | 15 | 7 | 0 |
0.7%
|
- | 16 | 1 | 0 |
0.1%
|
- | 17 | 7 | 0 |
0.7%
|
- | 18 | 7 | 0 |
0.7%
|
- | 20 | 8 | 0 |
0.8%
|
- | 21 | 2 | 0 |
0.2%
|
- | 23 | 3 | 0 |
0.3%
|
- | 25 | 2 | 0 |
0.2%
|
- | 26 | 1 | 0 |
0.1%
|
- | 27 | 1 | 0 |
0.1%
|
- | 30 | 1 | 0 |
0.1%
|
- | 32 | 1 | 0 |
0.1%
|
- | 35 | 1 | 0 |
0.1%
|
99 | 모름/무응답 | 144 | 0 |
14.4%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 | 0 | 3 | 0 |
0.3%
|
- | 1 | 15 | 0 |
1.5%
|
- | 2 | 26 | 0 |
2.6%
|
- | 3 | 47 | 0 |
4.7%
|
- | 4 | 21 | 0 |
2.1%
|
- | 5 | 9 | 0 |
0.9%
|
- | 6 | 79 | 0 |
7.9%
|
- | 7 | 11 | 0 |
1.1%
|
- | 8 | 43 | 0 |
4.3%
|
- | 9 | 12 | 0 |
1.2%
|
- | 10 | 18 | 0 |
1.8%
|
- | 11 | 4 | 0 |
0.4%
|
99 | 모름/무응답 | 712 | 0 |
71.2%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남성 | 500 | 0 |
50%
|
2 | 여성 | 500 | 0 |
5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 | 18 | 1 | 0 |
0.1%
|
- | 20 | 1 | 0 |
0.1%
|
- | 22 | 3 | 0 |
0.3%
|
- | 23 | 2 | 0 |
0.2%
|
- | 24 | 11 | 0 |
1.1%
|
- | 25 | 8 | 0 |
0.8%
|
- | 26 | 46 | 0 |
4.6%
|
- | 27 | 56 | 0 |
5.6%
|
- | 28 | 89 | 0 |
8.9%
|
- | 29 | 111 | 0 |
11.1%
|
- | 30 | 114 | 0 |
11.4%
|
- | 31 | 99 | 0 |
9.9%
|
- | 32 | 104 | 0 |
10.4%
|
- | 33 | 56 | 0 |
5.6%
|
- | 34 | 53 | 0 |
5.3%
|
- | 35 | 29 | 0 |
2.9%
|
- | 36 | 27 | 0 |
2.7%
|
- | 37 | 20 | 0 |
2%
|
- | 38 | 23 | 0 |
2.3%
|
- | 39 | 17 | 0 |
1.7%
|
- | 40 | 17 | 0 |
1.7%
|
- | 41 | 15 | 0 |
1.5%
|
- | 42 | 14 | 0 |
1.4%
|
- | 43 | 10 | 0 |
1%
|
- | 44 | 5 | 0 |
0.5%
|
- | 45 | 9 | 0 |
0.9%
|
- | 46 | 5 | 0 |
0.5%
|
- | 47 | 6 | 0 |
0.6%
|
- | 48 | 6 | 0 |
0.6%
|
- | 49 | 1 | 0 |
0.1%
|
- | 50 | 6 | 0 |
0.6%
|
- | 51 | 6 | 0 |
0.6%
|
- | 52 | 11 | 0 |
1.1%
|
- | 53 | 2 | 0 |
0.2%
|
- | 54 | 2 | 0 |
0.2%
|
- | 55 | 5 | 0 |
0.5%
|
- | 56 | 1 | 0 |
0.1%
|
- | 57 | 1 | 0 |
0.1%
|
- | 58 | 2 | 0 |
0.2%
|
- | 60 | 4 | 0 |
0.4%
|
- | 65 | 1 | 0 |
0.1%
|
- | 71 | 1 | 0 |
0.1%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중졸이하 | 0 | 0 |
0%
|
2 | 고졸 | 61 | 0 |
6.1%
|
3 | 전문대졸 | 79 | 0 |
7.9%
|
4 | 대학교졸(4년제) | 838 | 0 |
83.8%
|
5 | 대학원 이상 | 22 | 0 |
2.2%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기혼(배우자 있음) | 292 | 0 |
29.2%
|
2 | 이혼 | 3 | 0 |
0.3%
|
3 | 사별 | 1 | 0 |
0.1%
|
4 | 미혼 | 704 | 0 |
70.4%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미취학 자녀가 있음 | 142 | 0 |
14.2%
|
2 | 초등학교 자녀가 있음 | 858 | 0 |
85.8%
|
3 | 초등학교 이하 자녀 없다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정규직 | 935 | 0 |
93.5%
|
2 | 무기계약직 | 13 | 0 |
1.3%
|
3 | 비정규직(임시직, 일용직, 파트타임 등) | 52 | 0 |
5.2%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사원급(과장 미만) | 803 | 0 |
80.3%
|
2 | 중간관리자급(과장~부장) | 188 | 0 |
18.8%
|
3 | 임원급 | 9 | 0 |
0.9%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관리자 | 94 | 0 |
9.4%
|
2 |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 26 | 0 |
2.6%
|
3 | 사무종사자 | 763 | 0 |
76.3%
|
4 | 서비스 종사자 | 83 | 0 |
8.3%
|
5 | 판매종사자 | 25 | 0 |
2.5%
|
6 | 기능원 및 관련 기능 종사자 | 8 | 0 |
0.8%
|
7 | 장치·기계 조작 및 조립 종사자 | 1 | 0 |
0.1%
|
8 | 단순노무 종사자 | 0 | 0 |
0%
|
9 | 기타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 | 100 | 1 | 0 |
0.1%
|
- | 150 | 7 | 0 |
0.7%
|
- | 160 | 2 | 0 |
0.2%
|
- | 170 | 9 | 0 |
0.9%
|
- | 180 | 70 | 0 |
7%
|
- | 182 | 3 | 0 |
0.3%
|
- | 190 | 51 | 0 |
5.1%
|
- | 193 | 2 | 0 |
0.2%
|
- | 195 | 1 | 0 |
0.1%
|
- | 198 | 1 | 0 |
0.1%
|
- | 200 | 160 | 0 |
16%
|
- | 205 | 2 | 0 |
0.2%
|
- | 207 | 1 | 0 |
0.1%
|
- | 209 | 1 | 0 |
0.1%
|
- | 210 | 42 | 0 |
4.2%
|
- | 214 | 1 | 0 |
0.1%
|
- | 215 | 4 | 0 |
0.4%
|
- | 220 | 63 | 0 |
6.3%
|
- | 225 | 1 | 0 |
0.1%
|
- | 230 | 79 | 0 |
7.9%
|
- | 233 | 2 | 0 |
0.2%
|
- | 235 | 1 | 0 |
0.1%
|
- | 240 | 38 | 0 |
3.8%
|
- | 245 | 2 | 0 |
0.2%
|
- | 249 | 1 | 0 |
0.1%
|
- | 250 | 112 | 0 |
11.2%
|
- | 255 | 2 | 0 |
0.2%
|
- | 260 | 42 | 0 |
4.2%
|
- | 265 | 2 | 0 |
0.2%
|
- | 270 | 23 | 0 |
2.3%
|
- | 280 | 49 | 0 |
4.9%
|
- | 290 | 6 | 0 |
0.6%
|
- | 300 | 61 | 0 |
6.1%
|
- | 310 | 6 | 0 |
0.6%
|
- | 320 | 14 | 0 |
1.4%
|
- | 330 | 10 | 0 |
1%
|
- | 340 | 7 | 0 |
0.7%
|
- | 348 | 1 | 0 |
0.1%
|
- | 350 | 34 | 0 |
3.4%
|
- | 360 | 3 | 0 |
0.3%
|
- | 370 | 2 | 0 |
0.2%
|
- | 380 | 11 | 0 |
1.1%
|
- | 390 | 2 | 0 |
0.2%
|
- | 400 | 29 | 0 |
2.9%
|
- | 410 | 1 | 0 |
0.1%
|
- | 420 | 2 | 0 |
0.2%
|
- | 450 | 8 | 0 |
0.8%
|
- | 460 | 1 | 0 |
0.1%
|
- | 470 | 1 | 0 |
0.1%
|
- | 483 | 1 | 0 |
0.1%
|
- | 500 | 11 | 0 |
1.1%
|
- | 550 | 2 | 0 |
0.2%
|
- | 600 | 2 | 0 |
0.2%
|
- | 650 | 3 | 0 |
0.3%
|
- | 750 | 1 | 0 |
0.1%
|
- | 1000 | 1 | 0 |
0.1%
|
9999 | 모름/무응답 | 5 | 0 |
0.5%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예 | 975 | 0 |
97.5%
|
2 | 아니오 | 25 | 0 |
2.5%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 | 14 | 1 | 0 |
0.1%
|
- | 30 | 5 | 0 |
0.5%
|
- | 35 | 14 | 0 |
1.4%
|
- | 36 | 1 | 0 |
0.1%
|
- | 40 | 847 | 0 |
84.7%
|
- | 41 | 1 | 0 |
0.1%
|
- | 42 | 3 | 0 |
0.3%
|
- | 42.5 | 4 | 0 |
0.4%
|
- | 44 | 5 | 0 |
0.5%
|
- | 45 | 79 | 0 |
7.9%
|
- | 46 | 4 | 0 |
0.4%
|
- | 48 | 10 | 0 |
1%
|
- | 50 | 7 | 0 |
0.7%
|
- | 52 | 17 | 0 |
1.7%
|
- | 60 | 1 | 0 |
0.1%
|
- | 66 | 1 | 0 |
0.1%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 | 30 | 11 | 0 |
1.1%
|
- | 40 | 3 | 0 |
0.3%
|
- | 45 | 1 | 0 |
0.1%
|
- | 50 | 1 | 0 |
0.1%
|
- | 60 | 791 | 0 |
79.1%
|
- | 70 | 5 | 0 |
0.5%
|
- | 80 | 20 | 0 |
2%
|
- | 90 | 123 | 0 |
12.3%
|
- | 100 | 12 | 0 |
1.2%
|
- | 110 | 4 | 0 |
0.4%
|
- | 120 | 29 | 0 |
2.9%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 | 0 | 887 | 0 |
88.7%
|
- | 1 | 71 | 0 |
7.1%
|
- | 2 | 15 | 0 |
1.5%
|
- | 3 | 8 | 0 |
0.8%
|
- | 4 | 1 | 0 |
0.1%
|
- | 5 | 18 | 0 |
1.8%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 | 0 | 147 | 0 |
14.7%
|
- | 1 | 288 | 0 |
28.8%
|
- | 2 | 115 | 0 |
11.5%
|
- | 3 | 95 | 0 |
9.5%
|
- | 4 | 71 | 0 |
7.1%
|
- | 5 | 75 | 0 |
7.5%
|
- | 6 | 34 | 0 |
3.4%
|
- | 7 | 16 | 0 |
1.6%
|
- | 8 | 37 | 0 |
3.7%
|
- | 9 | 12 | 0 |
1.2%
|
- | 10 | 43 | 0 |
4.3%
|
- | 11 | 13 | 0 |
1.3%
|
- | 12 | 7 | 0 |
0.7%
|
- | 13 | 2 | 0 |
0.2%
|
- | 14 | 3 | 0 |
0.3%
|
- | 15 | 7 | 0 |
0.7%
|
- | 16 | 1 | 0 |
0.1%
|
- | 17 | 7 | 0 |
0.7%
|
- | 18 | 7 | 0 |
0.7%
|
- | 20 | 8 | 0 |
0.8%
|
- | 21 | 2 | 0 |
0.2%
|
- | 23 | 3 | 0 |
0.3%
|
- | 25 | 2 | 0 |
0.2%
|
- | 26 | 1 | 0 |
0.1%
|
- | 27 | 1 | 0 |
0.1%
|
- | 30 | 1 | 0 |
0.1%
|
- | 32 | 1 | 0 |
0.1%
|
- | 35 | 1 | 0 |
0.1%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 | 0 | 715 | 0 |
71.5%
|
- | 1 | 15 | 0 |
1.5%
|
- | 2 | 26 | 0 |
2.6%
|
- | 3 | 47 | 0 |
4.7%
|
- | 4 | 21 | 0 |
2.1%
|
- | 5 | 9 | 0 |
0.9%
|
- | 6 | 79 | 0 |
7.9%
|
- | 7 | 11 | 0 |
1.1%
|
- | 8 | 43 | 0 |
4.3%
|
- | 9 | 12 | 0 |
1.2%
|
- | 10 | 18 | 0 |
1.8%
|
- | 11 | 4 | 0 |
0.4%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 | 0 | 483 | 0 |
48.3%
|
- | 1 | 453 | 0 |
45.3%
|
- | 2 | 61 | 0 |
6.1%
|
- | 3 | 3 | 0 |
0.3%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 | 0 | 382 | 0 |
38.2%
|
- | 5 | 3 | 0 |
0.3%
|
- | 7 | 1 | 0 |
0.1%
|
- | 10 | 45 | 0 |
4.5%
|
- | 15 | 9 | 0 |
0.9%
|
- | 20 | 157 | 0 |
15.7%
|
- | 25 | 3 | 0 |
0.3%
|
- | 30 | 162 | 0 |
16.2%
|
- | 40 | 157 | 0 |
15.7%
|
- | 45 | 5 | 0 |
0.5%
|
- | 50 | 75 | 0 |
7.5%
|
- | 55 | 1 | 0 |
0.1%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매우 사용하기 어렵다 | 17 | 0 |
1.7%
|
2 | 약간 사용하기 어렵다 | 71 | 0 |
7.1%
|
3 | 보통 | 225 | 0 |
22.5%
|
4 | 약간 사용하기 쉽다 | 351 | 0 |
35.1%
|
5 | 매우 사용하기 쉽다 | 336 | 0 |
33.6%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연차 또는 월차 사용에 부정적인 직장문화 | 49 | 0 |
55.7%
|
2 | 많은 업무로 사용할 여유가 없음 | 16 | 0 |
18.2%
|
3 | 연차 또는 월차 사용 대신 보상비 지급 | 19 | 0 |
21.6%
|
4 | 연차 또는 월차 자체가 없음 | 4 | 0 |
4.5%
|
5 | 기타 | 0 | 0 |
0%
|
-1 | 비해당 | 912 | 0 |
10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매우 불만족한다 | 5 | 0 |
0.5%
|
2 | 약간 불만족한다 | 32 | 0 |
3.2%
|
3 | 보통이다 | 387 | 0 |
38.7%
|
4 | 약간 만족한다 | 411 | 0 |
41.1%
|
5 | 매우 만족한다 | 165 | 0 |
16.5%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매우 불만족한다 | 14 | 0 |
1.4%
|
2 | 약간 불만족한다 | 125 | 0 |
12.5%
|
3 | 보통이다 | 480 | 0 |
48%
|
4 | 약간 만족한다 | 261 | 0 |
26.1%
|
5 | 매우 만족한다 | 120 | 0 |
12%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매우 불만족한다 | 9 | 0 |
0.9%
|
2 | 약간 불만족한다 | 36 | 0 |
3.6%
|
3 | 보통이다 | 374 | 0 |
37.4%
|
4 | 약간 만족한다 | 301 | 0 |
30.1%
|
5 | 매우 만족한다 | 280 | 0 |
28%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매우 불만족한다 | 10 | 0 |
1%
|
2 | 약간 불만족한다 | 62 | 0 |
6.2%
|
3 | 보통이다 | 322 | 0 |
32.2%
|
4 | 약간 만족한다 | 339 | 0 |
33.9%
|
5 | 매우 만족한다 | 267 | 0 |
26.7%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매우 불만족한다 | 4 | 0 |
0.4%
|
2 | 약간 불만족한다 | 66 | 0 |
6.6%
|
3 | 보통이다 | 381 | 0 |
38.1%
|
4 | 약간 만족한다 | 345 | 0 |
34.5%
|
5 | 매우 만족한다 | 204 | 0 |
20.4%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매우 불만족한다 | 23 | 0 |
2.3%
|
2 | 약간 불만족한다 | 145 | 0 |
14.5%
|
3 | 보통이다 | 383 | 0 |
38.3%
|
4 | 약간 만족한다 | 281 | 0 |
28.1%
|
5 | 매우 만족한다 | 168 | 0 |
16.8%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매우 불만족한다 | 6 | 0 |
0.6%
|
2 | 약간 불만족한다 | 33 | 0 |
3.3%
|
3 | 보통이다 | 353 | 0 |
35.3%
|
4 | 약간 만족한다 | 389 | 0 |
38.9%
|
5 | 매우 만족한다 | 219 | 0 |
21.9%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예 | 517 | 0 |
51.7%
|
2 | 아니오 | 483 | 0 |
48.3%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1 매우 약함 | 6 | 0 |
1.2%
|
2 | 2 | 36 | 0 |
7%
|
3 | 3 | 51 | 0 |
9.9%
|
4 | 4 | 48 | 0 |
9.3%
|
5 | 5 | 131 | 0 |
25.3%
|
6 | 6 | 104 | 0 |
20.1%
|
7 | 7 | 89 | 0 |
17.2%
|
8 | 8 | 45 | 0 |
8.7%
|
9 | 9 | 6 | 0 |
1.2%
|
10 | 10 매우 강함 | 1 | 0 |
0.2%
|
-1 | 비해당 | 483 | 0 |
93.4%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있다 | 225 | 0 |
22.5%
|
2 | 없다 | 775 | 0 |
77.5%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 | 1 | 127 | 0 |
56.4%
|
- | 2 | 71 | 0 |
31.6%
|
- | 3 | 19 | 0 |
8.4%
|
- | 4 | 4 | 0 |
1.8%
|
- | 5 | 3 | 0 |
1.3%
|
- | 6 | 1 | 0 |
0.4%
|
-1 | 비해당 | 775 | 0 |
10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 | 1 | 30 | 0 |
13.3%
|
- | 2 | 9 | 0 |
4%
|
- | 3 | 6 | 0 |
2.7%
|
- | 4 | 2 | 0 |
0.9%
|
- | 5 | 5 | 0 |
2.2%
|
- | 6 | 1 | 0 |
0.4%
|
- | 7 | 1 | 0 |
0.4%
|
- | 10 | 6 | 0 |
2.7%
|
- | 16 | 1 | 0 |
0.4%
|
99 | 모름/무응답 | 164 | 0 |
72.9%
|
-1 | 비해당 | 775 | 0 |
10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 | 0 | 41 | 0 |
18.2%
|
- | 1 | 58 | 0 |
25.8%
|
- | 2 | 36 | 0 |
16%
|
- | 3 | 35 | 0 |
15.6%
|
- | 4 | 11 | 0 |
4.9%
|
- | 5 | 12 | 0 |
5.3%
|
- | 6 | 14 | 0 |
6.2%
|
- | 7 | 8 | 0 |
3.6%
|
- | 8 | 8 | 0 |
3.6%
|
- | 9 | 1 | 0 |
0.4%
|
- | 10 | 1 | 0 |
0.4%
|
-1 | 비해당 | 775 | 0 |
10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다니던 직장의 경영악화, 폐업, 도산 및 구조조정 | 77 | 0 |
34.2%
|
2 | 급여, 승진 등에서의 성차별 때문에 | 2 | 0 |
0.9%
|
3 | 결혼, 임신, 출산으로 퇴사하는 회사 관행 및 퇴직 압력 때문에 | 17 | 0 |
7.6%
|
4 | 일보다는 육아와 자녀교육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했기 때문 | 2 | 0 |
0.9%
|
5 | 아이를 맡길 데가 없어서 | 4 | 0 |
1.8%
|
6 | 가족들이 직장생활을 반대해서 | 0 | 0 |
0%
|
7 | 근무시간이 너무 길어서 | 25 | 0 |
11.1%
|
8 | 수입이 본인의 기대에 미치지 못해서 | 35 | 0 |
15.6%
|
9 | 업무가 적성에 맞지 않아서 | 41 | 0 |
18.2%
|
10 | 시부모 또는 친정부모 등 가족의 간호를 해야 하므로 | 2 | 0 |
0.9%
|
11 | 상사 및 동료와의 갈등 | 0 | 0 |
0%
|
12 | 건강 때문에 | 3 | 0 |
1.3%
|
13 | 고용계약 만료 | 5 | 0 |
2.2%
|
14 | 기타 | 12 | 0 |
5.3%
|
-1 | 비해당 | 775 | 0 |
10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다니던 직장의 경영악화, 폐업, 도산 및 구조조정 | 0 | 0 |
0%
|
2 | 급여, 승진 등에서의 성차별 때문에 | 0 | 0 |
0%
|
3 | 결혼, 임신, 출산으로 퇴사하는 회사 관행 및 퇴직 압력 때문에 | 3 | 0 |
1.3%
|
4 | 일보다는 육아와 자녀교육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했기 때문 | 6 | 0 |
2.7%
|
5 | 아이를 맡길 데가 없어서 | 0 | 0 |
0%
|
6 | 가족들이 직장생활을 반대해서 | 0 | 0 |
0%
|
7 | 근무시간이 너무 길어서 | 3 | 0 |
1.3%
|
8 | 수입이 본인의 기대에 미치지 못해서 | 5 | 0 |
2.2%
|
9 | 업무가 적성에 맞지 않아서 | 1 | 0 |
0.4%
|
10 | 시부모 또는 친정부모 등 가족의 간호를 해야 하므로 | 4 | 0 |
1.8%
|
11 | 상사 및 동료와의 갈등 | 0 | 0 |
0%
|
12 | 건강 때문에 | 2 | 0 |
0.9%
|
13 | 고용계약 만료 | 3 | 0 |
1.3%
|
14 | 기타 | 4 | 0 |
1.8%
|
99 | 모름/무응답 | 194 | 0 |
86.2%
|
-1 | 비해당 | 775 | 0 |
10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다니던 직장의 경영악화, 폐업, 도산 및 구조조정 | 0 | 0 |
0%
|
2 | 급여, 승진 등에서의 성차별 때문에 | 0 | 0 |
0%
|
3 | 결혼, 임신, 출산으로 퇴사하는 회사 관행 및 퇴직 압력 때문에 | 0 | 0 |
0%
|
4 | 일보다는 육아와 자녀교육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했기 때문 | 0 | 0 |
0%
|
5 | 아이를 맡길 데가 없어서 | 1 | 0 |
0.4%
|
6 | 가족들이 직장생활을 반대해서 | 0 | 0 |
0%
|
7 | 근무시간이 너무 길어서 | 0 | 0 |
0%
|
8 | 수입이 본인의 기대에 미치지 못해서 | 1 | 0 |
0.4%
|
9 | 업무가 적성에 맞지 않아서 | 0 | 0 |
0%
|
10 | 시부모 또는 친정부모 등 가족의 간호를 해야 하므로 | 1 | 0 |
0.4%
|
11 | 상사 및 동료와의 갈등 | 0 | 0 |
0%
|
12 | 건강 때문에 | 0 | 0 |
0%
|
13 | 고용계약 만료 | 0 | 0 |
0%
|
14 | 기타 | 0 | 0 |
0%
|
99 | 모름/무응답 | 222 | 0 |
98.7%
|
-1 | 비해당 | 775 | 0 |
10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 | 감정노동 및 극심한 스트레스 | 1 | 0 |
5.9%
|
- | 개인사업 | 1 | 0 |
5.9%
|
- | 개인사정 | 3 | 0 |
17.6%
|
- | 결혼 | 1 | 0 |
5.9%
|
- | 급성기병원 이직 희망 | 1 | 0 |
5.9%
|
- | 사업장 이전 | 1 | 0 |
5.9%
|
- | 업무 과다 | 1 | 0 |
5.9%
|
- | 이사 | 2 | 0 |
11.8%
|
- | 이직 | 1 | 0 |
5.9%
|
- | 자기계발 부족 | 1 | 0 |
5.9%
|
- | 지역이동 | 1 | 0 |
5.9%
|
- | 직장연계 | 1 | 0 |
5.9%
|
- | 직장연계, 개인사정 | 1 | 0 |
5.9%
|
- | 해외취업 계약 종료 후 귀국, 출산, 이사 | 1 | 0 |
5.9%
|
This variable is character
Value | Label | N | WN | |
---|---|---|---|---|
- | 0 | 114 | 0 |
11.4%
|
- | 1 | 567 | 0 |
56.7%
|
- | 2 | 204 | 0 |
20.4%
|
- | 3 | 96 | 0 |
9.6%
|
- | 4 | 7 | 0 |
0.7%
|
- | 5 | 6 | 0 |
0.6%
|
- | 6 | 4 | 0 |
0.4%
|
- | 8 | 2 | 0 |
0.2%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 | 0 | 847 | 0 |
84.7%
|
- | 10 | 1 | 0 |
0.1%
|
- | 20 | 1 | 0 |
0.1%
|
- | 30 | 150 | 0 |
15%
|
- | 40 | 1 | 0 |
0.1%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 | 0 | 672 | 0 |
67.2%
|
- | 1 | 131 | 0 |
13.1%
|
- | 2 | 118 | 0 |
11.8%
|
- | 3 | 54 | 0 |
5.4%
|
- | 4 | 9 | 0 |
0.9%
|
- | 5 | 9 | 0 |
0.9%
|
- | 6 | 3 | 0 |
0.3%
|
- | 8 | 1 | 0 |
0.1%
|
- | 9 | 1 | 0 |
0.1%
|
- | 10 | 1 | 0 |
0.1%
|
- | 12 | 1 | 0 |
0.1%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 | 0 | 954 | 0 |
95.4%
|
- | 30 | 46 | 0 |
4.6%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일에 매우 중점 | 13 | 0 |
1.3%
|
2 | 일에 약간 중점 | 305 | 0 |
30.5%
|
3 | 균형 | 458 | 0 |
45.8%
|
4 | 생활에 약간 중점 | 222 | 0 |
22.2%
|
5 | 생활에 매우 중점 | 2 | 0 |
0.2%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성과 및 실적 관리 강조 | 139 | 0 |
25.6%
|
2 | 절대절으로 일할 인원 부족 | 46 | 0 |
8.5%
|
3 | 휴직, 휴가시 대체인력 부족 | 86 | 0 |
15.9%
|
4 | 일·생활 균형에 부정적인 직장문화 | 38 | 0 |
7%
|
5 | 나에게 집중되는 가사부담 | 25 | 0 |
4.6%
|
6 | 환자, 고령가족 돌봄시설 부족 | 0 | 0 |
0%
|
7 | 믿고 맡길 수 있는 보육시설 부족 | 22 | 0 |
4.1%
|
8 | 부적절한 근무시간(잦은 초과근무, 주말 및 휴일 근무) | 3 | 0 |
0.6%
|
9 | 기타 | 183 | 0 |
33.8%
|
-1 | 비해당 | 458 | 0 |
84.5%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성과 및 실적 관리 강조 | 13 | 0 |
2.4%
|
2 | 절대절으로 일할 인원 부족 | 17 | 0 |
3.1%
|
3 | 휴직, 휴가시 대체인력 부족 | 10 | 0 |
1.8%
|
4 | 일·생활 균형에 부정적인 직장문화 | 7 | 0 |
1.3%
|
5 | 나에게 집중되는 가사부담 | 2 | 0 |
0.4%
|
6 | 환자, 고령가족 돌봄시설 부족 | 2 | 0 |
0.4%
|
7 | 믿고 맡길 수 있는 보육시설 부족 | 3 | 0 |
0.6%
|
8 | 부적절한 근무시간(잦은 초과근무, 주말 및 휴일 근무) | 6 | 0 |
1.1%
|
9 | 기타 | 4 | 0 |
0.7%
|
99 | 모름/무응답 | 478 | 0 |
88.2%
|
-1 | 비해당 | 458 | 0 |
84.5%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 | 개인생활 중시 | 169 | 0 |
91.8%
|
- | 개인적으로 생활이 더 중요하다 | 1 | 0 |
0.5%
|
- | 개인적으로 생활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 | 1 | 0 |
0.5%
|
- | 건강 | 1 | 0 |
0.5%
|
- | 나에게 투자하고 싶어서 | 1 | 0 |
0.5%
|
- | 내 시간이 중요하다고 생각해서 일이 잘 됨 | 1 | 0 |
0.5%
|
- | 보육시설 시간이 길어서 | 1 | 0 |
0.5%
|
- | 본인만이 처리할 수 있는 업무 많음 | 1 | 0 |
0.5%
|
- | 일부 인원에 대한 업무 과밀 | 1 | 0 |
0.5%
|
- | 일은 공적 영역이므로 일을 먼저 생각함 | 1 | 0 |
0.5%
|
- | 주어진 업무에 최선을 다하고 싶어서 | 1 | 0 |
0.5%
|
- | 첫 직장이므로 일에 중점 둠 | 1 | 0 |
0.5%
|
- | 체력저하 | 1 | 0 |
0.5%
|
- | 출퇴근 소요시간 많음 | 1 | 0 |
0.5%
|
- | 코로나 관련 업무 과중 | 1 | 0 |
0.5%
|
- | 현 직장의 특성 | 1 | 0 |
0.5%
|
This variable is character
Value | Label | N | WN | |
---|---|---|---|---|
1 | 알고 있음 | 981 | 0 |
98.1%
|
2 | 모름 | 19 | 0 |
1.9%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알고 있음 | 778 | 0 |
77.8%
|
2 | 모름 | 222 | 0 |
22.2%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알고 있음 | 951 | 0 |
95.1%
|
2 | 모름 | 49 | 0 |
4.9%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알고 있음 | 912 | 0 |
91.2%
|
2 | 모름 | 88 | 0 |
8.8%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알고 있음 | 906 | 0 |
90.6%
|
2 | 모름 | 94 | 0 |
9.4%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이용함 | 62 | 0 |
6.3%
|
2 | 이용 못함 | 43 | 0 |
4.4%
|
3 | 이용대상 아님 | 876 | 0 |
89.3%
|
-1 | 비해당 | 19 | 0 |
1.9%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이용함 | 19 | 0 |
2.4%
|
2 | 이용 못함 | 38 | 0 |
4.9%
|
3 | 이용대상 아님 | 721 | 0 |
92.7%
|
-1 | 비해당 | 222 | 0 |
28.5%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이용함 | 38 | 0 |
4%
|
2 | 이용 못함 | 123 | 0 |
12.9%
|
3 | 이용대상 아님 | 790 | 0 |
83.1%
|
-1 | 비해당 | 49 | 0 |
5.2%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이용함 | 40 | 0 |
4.4%
|
2 | 이용 못함 | 114 | 0 |
12.5%
|
3 | 이용대상 아님 | 758 | 0 |
83.1%
|
-1 | 비해당 | 88 | 0 |
9.6%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이용함 | 15 | 0 |
1.7%
|
2 | 이용 못함 | 84 | 0 |
9.3%
|
3 | 이용대상 아님 | 807 | 0 |
89.1%
|
-1 | 비해당 | 94 | 0 |
10.4%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동의하지 않는다 | 2 | 0 |
0.2%
|
2 | 약간 동의하지 않는다 | 14 | 0 |
1.4%
|
3 | 보통 | 248 | 0 |
24.8%
|
4 | 약간 동의한다 | 545 | 0 |
54.5%
|
5 | 매우 동의한다 | 191 | 0 |
19.1%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동의하지 않는다 | 3 | 0 |
0.3%
|
2 | 약간 동의하지 않는다 | 15 | 0 |
1.5%
|
3 | 보통 | 287 | 0 |
28.7%
|
4 | 약간 동의한다 | 511 | 0 |
51.1%
|
5 | 매우 동의한다 | 184 | 0 |
18.4%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남성이 매우 불평등 | 1 | 0 |
0.1%
|
2 | 남성이 약간 불평등 | 42 | 0 |
4.2%
|
3 | 남성과 여성이 평등 | 531 | 0 |
53.1%
|
4 | 여성이 약간 불평등 | 336 | 0 |
33.6%
|
5 | 여성이 매우 불평등 | 90 | 0 |
9%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남성이 매우 불평등 | 2 | 0 |
0.2%
|
2 | 남성이 약간 불평등 | 44 | 0 |
4.4%
|
3 | 남성과 여성이 평등 | 490 | 0 |
49%
|
4 | 여성이 약간 불평등 | 270 | 0 |
27%
|
5 | 여성이 매우 불평등 | 194 | 0 |
19.4%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남성이 매우 불평등 | 0 | 0 |
0%
|
2 | 남성이 약간 불평등 | 31 | 0 |
3.1%
|
3 | 남성과 여성이 평등 | 711 | 0 |
71.1%
|
4 | 여성이 약간 불평등 | 235 | 0 |
23.5%
|
5 | 여성이 매우 불평등 | 23 | 0 |
2.3%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남성이 매우 불평등 | 7 | 0 |
0.7%
|
2 | 남성이 약간 불평등 | 15 | 0 |
1.5%
|
3 | 남성과 여성이 평등 | 682 | 0 |
68.2%
|
4 | 여성이 약간 불평등 | 221 | 0 |
22.1%
|
5 | 여성이 매우 불평등 | 75 | 0 |
7.5%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남성이 매우 불평등 | 13 | 0 |
1.3%
|
2 | 남성이 약간 불평등 | 58 | 0 |
5.8%
|
3 | 남성과 여성이 평등 | 804 | 0 |
80.4%
|
4 | 여성이 약간 불평등 | 101 | 0 |
10.1%
|
5 | 여성이 매우 불평등 | 24 | 0 |
2.4%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남성이 매우 불평등 | 10 | 0 |
1%
|
2 | 남성이 약간 불평등 | 67 | 0 |
6.7%
|
3 | 남성과 여성이 평등 | 872 | 0 |
87.2%
|
4 | 여성이 약간 불평등 | 41 | 0 |
4.1%
|
5 | 여성이 매우 불평등 | 10 | 0 |
1%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남성이 매우 불평등 | 5 | 0 |
0.5%
|
2 | 남성이 약간 불평등 | 15 | 0 |
1.5%
|
3 | 남성과 여성이 평등 | 929 | 0 |
92.9%
|
4 | 여성이 약간 불평등 | 45 | 0 |
4.5%
|
5 | 여성이 매우 불평등 | 6 | 0 |
0.6%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남성이 매우 불평등 | 2 | 0 |
0.2%
|
2 | 남성이 약간 불평등 | 40 | 0 |
4%
|
3 | 남성과 여성이 평등 | 894 | 0 |
89.4%
|
4 | 여성이 약간 불평등 | 55 | 0 |
5.5%
|
5 | 여성이 매우 불평등 | 9 | 0 |
0.9%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남성이 매우 불평등 | 2 | 0 |
0.2%
|
2 | 남성이 약간 불평등 | 23 | 0 |
2.3%
|
3 | 남성과 여성이 평등 | 811 | 0 |
81.1%
|
4 | 여성이 약간 불평등 | 140 | 0 |
14%
|
5 | 여성이 매우 불평등 | 24 | 0 |
2.4%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 | 50 | 3 | 0 |
0.3%
|
- | 60 | 5 | 0 |
0.5%
|
- | 70 | 46 | 0 |
4.6%
|
- | 75 | 5 | 0 |
0.5%
|
- | 80 | 117 | 0 |
11.7%
|
- | 85 | 13 | 0 |
1.3%
|
- | 90 | 180 | 0 |
18%
|
- | 95 | 35 | 0 |
3.5%
|
- | 100 | 596 | 0 |
59.6%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남성이 매우 불평등 | 3 | 0 |
0.3%
|
2 | 남성이 약간 불평등 | 39 | 0 |
3.9%
|
3 | 남성과 여성이 평등 | 407 | 0 |
40.7%
|
4 | 여성이 약간 불평등 | 426 | 0 |
42.6%
|
5 | 여성이 매우 불평등 | 125 | 0 |
12.5%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남성이 매우 불평등 | 2 | 0 |
0.2%
|
2 | 남성이 약간 불평등 | 42 | 0 |
4.2%
|
3 | 남성과 여성이 평등 | 390 | 0 |
39%
|
4 | 여성이 약간 불평등 | 349 | 0 |
34.9%
|
5 | 여성이 매우 불평등 | 217 | 0 |
21.7%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남성이 매우 불평등 | 6 | 0 |
0.6%
|
2 | 남성이 약간 불평등 | 24 | 0 |
2.4%
|
3 | 남성과 여성이 평등 | 602 | 0 |
60.2%
|
4 | 여성이 약간 불평등 | 317 | 0 |
31.7%
|
5 | 여성이 매우 불평등 | 51 | 0 |
5.1%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남성이 매우 불평등 | 6 | 0 |
0.6%
|
2 | 남성이 약간 불평등 | 13 | 0 |
1.3%
|
3 | 남성과 여성이 평등 | 586 | 0 |
58.6%
|
4 | 여성이 약간 불평등 | 303 | 0 |
30.3%
|
5 | 여성이 매우 불평등 | 92 | 0 |
9.2%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남성이 매우 불평등 | 11 | 0 |
1.1%
|
2 | 남성이 약간 불평등 | 38 | 0 |
3.8%
|
3 | 남성과 여성이 평등 | 704 | 0 |
70.4%
|
4 | 여성이 약간 불평등 | 201 | 0 |
20.1%
|
5 | 여성이 매우 불평등 | 46 | 0 |
4.6%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남성이 매우 불평등 | 10 | 0 |
1%
|
2 | 남성이 약간 불평등 | 101 | 0 |
10.1%
|
3 | 남성과 여성이 평등 | 780 | 0 |
78%
|
4 | 여성이 약간 불평등 | 94 | 0 |
9.4%
|
5 | 여성이 매우 불평등 | 15 | 0 |
1.5%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남성이 매우 불평등 | 4 | 0 |
0.4%
|
2 | 남성이 약간 불평등 | 18 | 0 |
1.8%
|
3 | 남성과 여성이 평등 | 870 | 0 |
87%
|
4 | 여성이 약간 불평등 | 98 | 0 |
9.8%
|
5 | 여성이 매우 불평등 | 10 | 0 |
1%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남성이 매우 불평등 | 4 | 0 |
0.4%
|
2 | 남성이 약간 불평등 | 61 | 0 |
6.1%
|
3 | 남성과 여성이 평등 | 817 | 0 |
81.7%
|
4 | 여성이 약간 불평등 | 100 | 0 |
10%
|
5 | 여성이 매우 불평등 | 18 | 0 |
1.8%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남성이 매우 불평등 | 2 | 0 |
0.2%
|
2 | 남성이 약간 불평등 | 22 | 0 |
2.2%
|
3 | 남성과 여성이 평등 | 727 | 0 |
72.7%
|
4 | 여성이 약간 불평등 | 197 | 0 |
19.7%
|
5 | 여성이 매우 불평등 | 52 | 0 |
5.2%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현재보다 남성이 매우 불평등 | 2 | 0 |
0.2%
|
2 | 현재보다 남성이 약간 불평등 | 36 | 0 |
3.6%
|
3 | 현재보다 남성과 여성이 평등 | 827 | 0 |
82.7%
|
4 | 현재보다 여성이 약간 불평등 | 133 | 0 |
13.3%
|
5 | 현재보다 여성이 매우 불평등 | 2 | 0 |
0.2%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 | 10년 후에도 크게 바뀔거라 생각하지 않음 | 1 | 0 |
0.1%
|
- | 10년후에는 평등해질것같다 | 5 | 0 |
0.6%
|
- | 각종 제도가 생기기 때문 | 27 | 0 |
3.2%
|
- | 같다고 생각함 | 3 | 0 |
0.4%
|
- | 같은일을하기때문 | 2 | 0 |
0.2%
|
- | 개선 법안,정책들이 나오고 있음 | 1 | 0 |
0.1%
|
- | 개선이 안될거 같아서 | 2 | 0 |
0.2%
|
- | 거의 변화가 없을 것이라 생각된다 | 1 | 0 |
0.1%
|
- | 건설업이 남성위주 쉽게 변할 것 같지않다 | 1 | 0 |
0.1%
|
- | 결혼,출산 포기함으로써 | 3 | 0 |
0.4%
|
- | 계속적인 사회 방향성 및 여성계의 요구 | 1 | 0 |
0.1%
|
- | 과거보다 좋아짐 미래에도 좋아질듯 | 5 | 0 |
0.6%
|
- | 그냥 그렇게 될거 같아서 | 4 | 0 |
0.5%
|
- | 그런쪽으로 가는 추세 | 6 | 0 |
0.7%
|
- | 근로 여성 인력이 적어서 | 5 | 0 |
0.6%
|
- | 기업가치관이 향후 변할 듯 | 1 | 0 |
0.1%
|
- | 기업가치관이 향후 변할것같다 | 1 | 0 |
0.1%
|
- | 기업대표의 연령이 낮아짐으로 성평등에 대한 인식 개선되는 듯 | 1 | 0 |
0.1%
|
- | 기업대표의 연령이 낮아짐으로 성평등에 대한 인식이 많이 개선되는거 같음 | 1 | 0 |
0.1%
|
- | 기업체들의 관리자들이 젊은 층 보다는 나이가 있는 분들이 많아서 보수적인 분위기는 잘 바뀌지 않을 것 같음 | 1 | 0 |
0.1%
|
- | 기존 남성에 대한 노동정책이나 환경,지원제도가 상대적으로 역차별 받아 차이가 더 날것이다. | 1 | 0 |
0.1%
|
- | 나아져야한다고 생각해서 | 3 | 0 |
0.4%
|
- | 나아지고있다 | 6 | 0 |
0.7%
|
- | 나아지길 희망해서 | 4 | 0 |
0.5%
|
- | 남녀고용평등법, 양성평등기본법 등 양성별에 대한 평등을 강조하는 국가정책, 인식 등이 강화되고 있는 현 상황을 고려할 때 향후에 성평등 수준이 더욱 높아질 것이라 판단됨 | 1 | 0 |
0.1%
|
- | 남녀평등 문제 이슈화 | 3 | 0 |
0.4%
|
- | 남녀평등 이슈회로 개선되고 있기 때문 | 3 | 0 |
0.4%
|
- | 남녀평등 인식 등이 개선되고 있다고 느낌 | 3 | 0 |
0.4%
|
- | 남녀평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기 때문 | 3 | 0 |
0.4%
|
- | 남녀평등이 점차 자리잡아가고있는 실정이라 생각함 | 2 | 0 |
0.2%
|
- | 남녀평등해 질 것 같음 | 1 | 0 |
0.1%
|
- | 노동자가 느끼기에 평등하게 변화된다본다 | 1 | 0 |
0.1%
|
- | 노동환경이 개선되는 환경이 쉬운곳(대기업, 공기업, 학교) 등의 유치가 거의 없음 | 1 | 0 |
0.1%
|
- | 능력에 따른 평등 | 3 | 0 |
0.4%
|
- | 더 좋아질듯 | 21 | 0 |
2.5%
|
- | 동일업무가주어져서 | 7 | 0 |
0.8%
|
- | 동일한 업무 | 5 | 0 |
0.6%
|
- | 동일한성과를냄 | 4 | 0 |
0.5%
|
- | 미래 전망 좋음 | 4 | 0 |
0.5%
|
- | 미래에는 평등으로 갈것같다 | 4 | 0 |
0.5%
|
- | 바뀌어야됨 | 3 | 0 |
0.4%
|
- | 바란다 | 3 | 0 |
0.4%
|
- | 바램입니다 | 5 | 0 |
0.6%
|
- | 발전 | 4 | 0 |
0.5%
|
- | 법과제도가 바뀌어서 | 3 | 0 |
0.4%
|
- | 변하고 있다고 본다 | 4 | 0 |
0.5%
|
- | 변함없을거같아서 | 2 | 0 |
0.2%
|
- | 변해야된다생각 | 3 | 0 |
0.4%
|
- | 변화가 없을 것 같음 | 3 | 0 |
0.4%
|
- | 변화가 없을거 같아서 | 4 | 0 |
0.5%
|
- | 변화가 없을거라 생각함 | 5 | 0 |
0.6%
|
- | 변화가 있기를 바래서 | 2 | 0 |
0.2%
|
- | 변화가 평등쪽으로 | 5 | 0 |
0.6%
|
- | 변화되고 있음 | 6 | 0 |
0.7%
|
- | 변화되기를 희망 | 4 | 0 |
0.5%
|
- | 변화없을듯 | 3 | 0 |
0.4%
|
- | 변화의 추세 | 3 | 0 |
0.4%
|
- | 별로 변화없을듯 | 1 | 0 |
0.1%
|
- | 병원이라 동일하게 적용 | 3 | 0 |
0.4%
|
- | 병원이라 평등 | 4 | 0 |
0.5%
|
- | 보수적인 부산노동환경에 있어 여성을 지원하는제도가 별로 없고 이를 위한 노력도 보이지 않음 | 1 | 0 |
0.1%
|
- | 보수적제조업 | 1 | 0 |
0.1%
|
- | 부계에서 모계로 사회흐름이 이어지고 있다 | 1 | 0 |
0.1%
|
- | 비슷할거같음 | 2 | 0 |
0.2%
|
- | 비슷해질거라봄 | 41 | 0 |
4.9%
|
- | 사회 문화적 인식의 변화 | 2 | 0 |
0.2%
|
- | 사회 인식이 바뀌고 있으므로 | 4 | 0 |
0.5%
|
- | 사회 전반적인 인식이 변하지 않음 | 6 | 0 |
0.7%
|
- | 사회 환경의 변화로 | 2 | 0 |
0.2%
|
- | 사회가 변하고 인식은 개선되고 있음 | 5 | 0 |
0.6%
|
- | 사회가 점점 남녀차별의 해소를 위해 노력하는것같다 | 2 | 0 |
0.2%
|
- | 사회변화가 평등 | 8 | 0 |
1%
|
- | 사회변화추세 | 7 | 0 |
0.8%
|
- | 사회변화추세라서 | 3 | 0 |
0.4%
|
- | 사회분위기로 | 3 | 0 |
0.4%
|
- | 사회의 흐름으로 인식개선 | 1 | 0 |
0.1%
|
- | 사회의분위기 | 1 | 0 |
0.1%
|
- | 사회인식 변화 | 1 | 0 |
0.1%
|
- | 사회인식과 환경의 변화로 | 4 | 0 |
0.5%
|
- | 사회인식의 변화로 | 2 | 0 |
0.2%
|
- | 사회인식의 변화와정책의 변화로 | 3 | 0 |
0.4%
|
- | 사회인식의변화 | 5 | 0 |
0.6%
|
- | 사회인식이 같아져서 | 6 | 0 |
0.7%
|
- | 사회인식이변화 | 6 | 0 |
0.7%
|
- | 사회적 인식변화 조직문화 변화(남녀평등) | 1 | 0 |
0.1%
|
- | 사회적 환경으로 봤을때 여성의 힘이 커질거라고 | 1 | 0 |
0.1%
|
- | 사회적인식의변화로 | 5 | 0 |
0.6%
|
- | 사회적인식이 개선되고 있음 | 4 | 0 |
0.5%
|
- | 사회전반적인 인식개선이 이루어지고있음 | 7 | 0 |
0.8%
|
- | 사회전반적인 흐름이다 라고 생각함 | 4 | 0 |
0.5%
|
- | 사회추세 | 9 | 0 |
1.1%
|
- | 사회추세가 그렇다 | 5 | 0 |
0.6%
|
- | 사회추세가 평등으로 흐를 것 같다 | 2 | 0 |
0.2%
|
- | 사회추세따라갈것같다 | 6 | 0 |
0.7%
|
- | 사회흐름 | 6 | 0 |
0.7%
|
- | 사회흐름상 | 2 | 0 |
0.2%
|
- | 상대적업무강도 역차별 변화없을것같다 | 2 | 0 |
0.2%
|
- | 생각이바뀜 | 3 | 0 |
0.4%
|
- | 성별보다 능력위주로 변할것 같음 | 3 | 0 |
0.4%
|
- | 성별위주의 정책 난무 | 1 | 0 |
0.1%
|
- | 성불평등이 있는지 잘 못느낌 | 1 | 0 |
0.1%
|
- | 성불평등이 있는지 피부에 와닿지는 않음 | 1 | 0 |
0.1%
|
- | 성인식이 개선될 것이나 교육적인 부분과 위의 인식개선이 있어야 바뀔 것 같다 | 1 | 0 |
0.1%
|
- | 성평등 사회의 도래 | 4 | 0 |
0.5%
|
- | 성평등 인식의 변화 | 5 | 0 |
0.6%
|
- | 성평등에 대한 인식이 나아지고 있으므로 | 4 | 0 |
0.5%
|
- | 성평등에 대한 인식이 바뀌어 가려고 하는것 같음 | 3 | 0 |
0.4%
|
- | 성평등이 점차적으로 개선되고있음 | 6 | 0 |
0.7%
|
- | 성평등함 | 2 | 0 |
0.2%
|
- | 쉽게 바뀌지 않을 거 같아서 | 6 | 0 |
0.7%
|
- | 쉽게 변하지 않을 것 같다 | 3 | 0 |
0.4%
|
- | 시대정신 | 5 | 0 |
0.6%
|
- | 시민의식 변화, 법제도개선등 | 1 | 0 |
0.1%
|
- | 앞으로 더 평등해질꺼 같아서 | 3 | 0 |
0.4%
|
- | 업무강도가 더 높아질 거 같습니다 | 2 | 0 |
0.2%
|
- | 업무내용이 다른데 임금 평등만 주장하는 것 같다 | 1 | 0 |
0.1%
|
- | 업무량같아서 | 3 | 0 |
0.4%
|
- | 업무수행능력에서 남녀 차별은 없어질것 같습니다. | 4 | 0 |
0.5%
|
- | 업무자체가 달라서 쉽게 변하지 않을듯 | 1 | 0 |
0.1%
|
- | 여권신장에 따라 | 2 | 0 |
0.2%
|
- | 여권신장으로 평등해짐 | 2 | 0 |
0.2%
|
- | 여성 관련 정책 난무, 실력 능력을 고려한 입사 x,성별 위주의 정책 | 1 | 0 |
0.1%
|
- | 여성들의 적극적인 경제활동으로 | 4 | 0 |
0.5%
|
- | 여성우대정책 지속 | 4 | 0 |
0.5%
|
- | 여성우위시대 | 2 | 0 |
0.2%
|
- | 여성을 위한 정책이많아서 | 3 | 0 |
0.4%
|
- | 여성의 노동환경에 대한 법, 제도적 지원은 증가하는 반면, 남성에 대한 별도 지원책은 없다고 느껴짐. 사회적으로 남성이 가지는 가장으로서의 책임감등이 노동의 질을 악화(자의에 의해서든 타의에 의해서든) | 1 | 0 |
0.1%
|
- | 여성의 노동환경이 점차적으로 개선될 것으로 예상됨 | 2 | 0 |
0.2%
|
- | 여성의 능력과 회사에서 위치가 점점 나아질 것 같아 그렇게 생각합니다. | 1 | 0 |
0.1%
|
- | 여성의 사회진출 속도, 양 등이 증가하면서 여성의 힘을 발휘할 것이다 | 1 | 0 |
0.1%
|
- | 여성이 관리고위직에 많이 진출해서 점점 평등해질것이다 | 1 | 0 |
0.1%
|
- | 여성평등 때문에 남성이 피해보는 경우도 발생될것 같음 | 2 | 0 |
0.2%
|
- | 예전보다 인식이 좋아졌다고는 하나 기업에서 남성 우선시 하는건 변하지 않을것 같다는 생각이 듦 | 1 | 0 |
0.1%
|
- | 예전보다 인식이 좋아졌지만 기업에서 남성 우선시 하는건 크게 변하지 않을것 같다 | 1 | 0 |
0.1%
|
- | 예전에는 남성위주였지만 점점 기업에서 여성 존중으로 변화해 가고 있음 | 1 | 0 |
0.1%
|
- |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갈 것 같아서 | 6 | 0 |
0.7%
|
- | 육아부담이 평등해지고 노동환경도 평등해진다고봄 | 7 | 0 |
0.8%
|
- | 육아와 출산이 여성 위주라 바뀌기 힘들다고 본다 | 2 | 0 |
0.2%
|
- | 의식수준 개선 | 5 | 0 |
0.6%
|
- | 이렇게 설문조사라도 하기 때문에 노력을 한다고 봅니다 | 1 | 0 |
0.1%
|
- | 인식 변화에 대한 현재 과도기 단계 | 4 | 0 |
0.5%
|
- | 인식(생각)은 급진적으로 변하지 않음 | 1 | 0 |
0.1%
|
- | 인식개선 | 36 | 0 |
4.3%
|
- | 인식개선으로 | 4 | 0 |
0.5%
|
- | 인식변화 | 5 | 0 |
0.6%
|
- | 인식의 변화 | 4 | 0 |
0.5%
|
- | 인식의 변화로 | 4 | 0 |
0.5%
|
- | 인식이 나아져서 | 4 | 0 |
0.5%
|
- | 인식이 변해서 | 3 | 0 |
0.4%
|
- | 인식이 변해야 본질적인 문제가 해결 되는데 여전히 변하지 않은 인식이 많아 보임 | 1 | 0 |
0.1%
|
- | 인식이 완전히 개선되지 않기 때문 | 4 | 0 |
0.5%
|
- | 인식자체가 변해야 본질적인 문제가 해결 되는데 이전보다 좋아졌다 해도 여전히 변하지 않은 인식이 많은 것으로 생각됨 | 1 | 0 |
0.1%
|
- | 인식향샹 | 2 | 0 |
0.2%
|
- | 일과 육아 병행에 있어 육아를 위한(육아휴직,근로단축)배려가 아직 부족함 | 1 | 0 |
0.1%
|
- | 일의 양과 질적으로 여성의 진출(사회)이 더 가속화 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 1 | 0 |
0.1%
|
- | 일하는 현장에서는 남성 여성 나누어 생각하지 않는다. 모두 근로자로 생각한다. | 1 | 0 |
0.1%
|
- | 일하는데 남성 여성 따질 이유가 없다. 일자리가 생기면 남자든 여자든 모두 근무하고 싶어한다. | 1 | 0 |
0.1%
|
- | 임금 및 승진 등의 상황이 갑자기 좋아질거라는 기대감이 없음 | 1 | 0 |
0.1%
|
- | 임금, 업무차이 없을 수 없다 | 7 | 0 |
0.8%
|
- | 장기적인식개선 | 3 | 0 |
0.4%
|
- | 전문직이라 성평등함 | 1 | 0 |
0.1%
|
- | 전문직이라평등함 | 1 | 0 |
0.1%
|
- | 전반적 노동환경이 여성이 유리 | 2 | 0 |
0.2%
|
- | 전반적 인식변화 | 3 | 0 |
0.4%
|
- | 전반적으로 인식 개선이 될것으로 생각합니다 | 6 | 0 |
0.7%
|
- | 전반적인 성평등기준이 여성위주이며 여성의 일과 업무에 대한 태도가 본인생활위주의 인식 강화 | 1 | 0 |
0.1%
|
- | 전반적인 인식변화로 | 1 | 0 |
0.1%
|
- | 전반적인인식개선 | 3 | 0 |
0.4%
|
- | 점점 개선됨으로 10년후는 평등할것 같음 | 3 | 0 |
0.4%
|
- | 점점 남녀평등에 대한 문제가 이슈회되고 개선되기때문 | 21 | 0 |
2.5%
|
- | 점점 더 성차별이 사라질것 같습니다 | 4 | 0 |
0.5%
|
- | 점점 바뀔거라고 본다 | 7 | 0 |
0.8%
|
- | 점점 변화하길 기대함 | 4 | 0 |
0.5%
|
- | 점점 좋아지고 있음 | 4 | 0 |
0.5%
|
- | 점점 평등해 질것이다 | 1 | 0 |
0.1%
|
- | 점점변화되어가는거 같음 | 5 | 0 |
0.6%
|
- | 점점평등해지는것같다 | 2 | 0 |
0.2%
|
- | 점점평등해질것같다 | 6 | 0 |
0.7%
|
- | 점진적으로 평등한 사회로 가고 있다는 막연한 기대 때문 | 1 | 0 |
0.1%
|
- | 점차 개선되는 법안,정책들이 나오고 있음 | 1 | 0 |
0.1%
|
- | 점차개선이일어남 | 1 | 0 |
0.1%
|
- | 정부에서 노력, 사람들의 인식변화로 | 3 | 0 |
0.4%
|
- | 정부의 지원으로 | 2 | 0 |
0.2%
|
- | 정책과 제도의 개선으로 | 2 | 0 |
0.2%
|
- | 정책발전으로 | 2 | 0 |
0.2%
|
- | 정책의변화 | 1 | 0 |
0.1%
|
- | 정책이 바뀔것 | 4 | 0 |
0.5%
|
- | 정책이나 환경의 변화로 | 3 | 0 |
0.4%
|
- | 정책적변화가 클듯 | 5 | 0 |
0.6%
|
- | 정책적변화로 | 4 | 0 |
0.5%
|
- | 정책적인 변화로 | 5 | 0 |
0.6%
|
- | 제도와 사회흐름이 그래서 | 2 | 0 |
0.2%
|
- | 제도와 환경의 변화로 | 1 | 0 |
0.1%
|
- | 제도의 개선으로 | 3 | 0 |
0.4%
|
- | 제도의변화 | 3 | 0 |
0.4%
|
- | 조직문화가 쉽게 바뀌지 않을것 | 7 | 0 |
0.8%
|
- | 좋은 변화라고 본다 | 7 | 0 |
0.8%
|
- | 좋은방향으로 변화리라 봄 | 1 | 0 |
0.1%
|
- | 좋은쪽으로 발전할 것 같다 | 4 | 0 |
0.5%
|
- | 지금 30-40기준 남성들의 인식이 많이 바뀜(부모세대에 비해) | 1 | 0 |
0.1%
|
- | 지금 추세를 감시 역차별 문제 발생여지가 있음 | 1 | 0 |
0.1%
|
- | 지금과 같다 본다 | 5 | 0 |
0.6%
|
- | 지금도 인식이 완전한 평등시대는 아니기 때문에 크게 달라질게 없다 생각함 | 1 | 0 |
0.1%
|
- | 지금도별다른차이없다본다 | 5 | 0 |
0.6%
|
- | 지역사회의 인식의 변화로 | 2 | 0 |
0.2%
|
- | 직종에 따라 다르겠지만 아직까지 차이가 나는 곳이 있다고 들은적이 있기 때문, 좀더 변할거라 생각이 들어서 | 1 | 0 |
0.1%
|
- | 초과근로도 같아져야함 | 1 | 0 |
0.1%
|
- | 추세 | 8 | 0 |
1%
|
- | 추세다 | 16 | 0 |
1.9%
|
- | 크게 변하지 않을거 같다 | 4 | 0 |
0.5%
|
- | 페미니즘 강세로 모계사회 될것 | 1 | 0 |
0.1%
|
- | 페미니즘문화 | 2 | 0 |
0.2%
|
- | 평등의 기준이 모호함, 각종 제한사항은 사람 개개인마다 다르므로 모두에게 만족감을 주는 형평성이 만들어지기 힘들것 | 1 | 0 |
0.1%
|
- | 평등이 당연하기 때문 | 8 | 0 |
1%
|
- | 평등하게 긍정적으로 변화라 생각합니다 | 5 | 0 |
0.6%
|
- | 평등해질것 같아서 | 7 | 0 |
0.8%
|
- | 평등해질듯 | 3 | 0 |
0.4%
|
- | 표면적으로라도 평등해질것같다 | 1 | 0 |
0.1%
|
- | 향상될걸기대함 | 4 | 0 |
0.5%
|
- | 현 정부의 정량적 여성우대정책 | 1 | 0 |
0.1%
|
- | 현재 그렇고, 가사부담이 평등해지지않는 이상 쉽게 바뀌지 않을 것 같아서 | 1 | 0 |
0.1%
|
- | 현재 유지 | 3 | 0 |
0.4%
|
- | 현재보다는 조금 여성의 수준이 나아질듯 | 2 | 0 |
0.2%
|
- | 현재와 달라지지 않을 것 같다 | 2 | 0 |
0.2%
|
- | 현재와 동일 | 6 | 0 |
0.7%
|
- | 현재와 동일할 것이라 생각함 | 3 | 0 |
0.4%
|
- | 현재와 비슷할것 같음 | 5 | 0 |
0.6%
|
This variable is character
Value | Label | N | WN | |
---|---|---|---|---|
1 | 매우 좋아졌다 | 32 | 0 |
3.2%
|
2 | 약간 좋아졌다 | 187 | 0 |
18.7%
|
3 | 변화 없다 | 569 | 0 |
56.9%
|
4 | 약간 나빠졌다 | 174 | 0 |
17.4%
|
5 | 매우 나빠졌다 | 38 | 0 |
3.8%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매우 좋아졌다 | 50 | 0 |
5%
|
2 | 약간 좋아졌다 | 217 | 0 |
21.7%
|
3 | 변화 없다 | 466 | 0 |
46.6%
|
4 | 약간 나빠졌다 | 142 | 0 |
14.2%
|
5 | 매우 나빠졌다 | 125 | 0 |
12.5%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매우 좋아졌다 | 70 | 0 |
7%
|
2 | 약간 좋아졌다 | 141 | 0 |
14.1%
|
3 | 변화 없다 | 614 | 0 |
61.4%
|
4 | 약간 나빠졌다 | 122 | 0 |
12.2%
|
5 | 매우 나빠졌다 | 53 | 0 |
5.3%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매우 좋아졌다 | 54 | 0 |
5.4%
|
2 | 약간 좋아졌다 | 207 | 0 |
20.7%
|
3 | 변화 없다 | 487 | 0 |
48.7%
|
4 | 약간 나빠졌다 | 133 | 0 |
13.3%
|
5 | 매우 나빠졌다 | 119 | 0 |
11.9%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매우 좋아졌다 | 41 | 0 |
4.1%
|
2 | 약간 좋아졌다 | 134 | 0 |
13.4%
|
3 | 변화 없다 | 779 | 0 |
77.9%
|
4 | 약간 나빠졌다 | 34 | 0 |
3.4%
|
5 | 매우 나빠졌다 | 12 | 0 |
1.2%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매우 좋아졌다 | 29 | 0 |
2.9%
|
2 | 약간 좋아졌다 | 127 | 0 |
12.7%
|
3 | 변화 없다 | 565 | 0 |
56.5%
|
4 | 약간 나빠졌다 | 224 | 0 |
22.4%
|
5 | 매우 나빠졌다 | 55 | 0 |
5.5%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매우 좋아졌다 | 30 | 0 |
3%
|
2 | 약간 좋아졌다 | 95 | 0 |
9.5%
|
3 | 변화 없다 | 821 | 0 |
82.1%
|
4 | 약간 나빠졌다 | 46 | 0 |
4.6%
|
5 | 매우 나빠졌다 | 8 | 0 |
0.8%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구조조정 | 57 | 0 |
5.7%
|
2 | 휴가 및 휴직(유급·무급) | 134 | 0 |
13.4%
|
3 | 근로시간 단축 | 63 | 0 |
6.3%
|
4 | 임금 삭감(반납) | 12 | 0 |
1.2%
|
5 | 재택근무 | 146 | 0 |
14.6%
|
6 | 가족돌봄휴가 | 12 | 0 |
1.2%
|
7 | 휴업 | 15 | 0 |
1.5%
|
8 | 해당사항 없음 | 561 | 0 |
56.1%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구조조정 | 0 | 0 |
0%
|
2 | 휴가 및 휴직(유급·무급) | 13 | 0 |
1.3%
|
3 | 근로시간 단축 | 40 | 0 |
4%
|
4 | 임금 삭감(반납) | 10 | 0 |
1%
|
5 | 재택근무 | 26 | 0 |
2.6%
|
6 | 가족돌봄휴가 | 22 | 0 |
2.2%
|
7 | 휴업 | 25 | 0 |
2.5%
|
8 | 해당사항 없음 | 0 | 0 |
0%
|
9 | 모름/무응답 | 864 | 0 |
86.4%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구조조정 | 0 | 0 |
0%
|
2 | 휴가 및 휴직(유급·무급) | 0 | 0 |
0%
|
3 | 근로시간 단축 | 9 | 0 |
0.9%
|
4 | 임금 삭감(반납) | 9 | 0 |
0.9%
|
5 | 재택근무 | 10 | 0 |
1%
|
6 | 가족돌봄휴가 | 12 | 0 |
1.2%
|
7 | 휴업 | 10 | 0 |
1%
|
8 | 해당사항 없음 | 0 | 0 |
0%
|
9 | 모름/무응답 | 950 | 0 |
95%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구조조정 | 0 | 0 |
0%
|
2 | 휴가 및 휴직(유급·무급) | 0 | 0 |
0%
|
3 | 근로시간 단축 | 0 | 0 |
0%
|
4 | 임금 삭감(반납) | 6 | 0 |
0.6%
|
5 | 재택근무 | 6 | 0 |
0.6%
|
6 | 가족돌봄휴가 | 5 | 0 |
0.5%
|
7 | 휴업 | 12 | 0 |
1.2%
|
8 | 해당사항 없음 | 0 | 0 |
0%
|
9 | 모름/무응답 | 971 | 0 |
97.1%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구조조정 | 0 | 0 |
0%
|
2 | 휴가 및 휴직(유급·무급) | 0 | 0 |
0%
|
3 | 근로시간 단축 | 0 | 0 |
0%
|
4 | 임금 삭감(반납) | 0 | 0 |
0%
|
5 | 재택근무 | 4 | 0 |
0.4%
|
6 | 가족돌봄휴가 | 1 | 0 |
0.1%
|
7 | 휴업 | 4 | 0 |
0.4%
|
8 | 해당사항 없음 | 0 | 0 |
0%
|
9 | 모름/무응답 | 991 | 0 |
99.1%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구조조정 | 0 | 0 |
0%
|
2 | 휴가 및 휴직(유급·무급) | 0 | 0 |
0%
|
3 | 근로시간 단축 | 0 | 0 |
0%
|
4 | 임금 삭감(반납) | 0 | 0 |
0%
|
5 | 재택근무 | 0 | 0 |
0%
|
6 | 가족돌봄휴가 | 0 | 0 |
0%
|
7 | 휴업 | 1 | 0 |
0.1%
|
8 | 해당사항 없음 | 0 | 0 |
0%
|
9 | 모름/무응답 | 999 | 0 |
99.9%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남성에 매우 더 많은 영향 | 2 | 0 |
0.2%
|
2 | 남성에 약간 더 많은 영향 | 31 | 0 |
3.1%
|
3 | 남성과 여성 모두에 동일한 영향 | 866 | 0 |
86.6%
|
4 | 여성에 약간 더 많은 영향 | 96 | 0 |
9.6%
|
5 | 여성에 매우 더 많은 영향 | 5 | 0 |
0.5%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 | 가족 돌볼 인원이 필요하므로 여성의 사회 활동이 제한됨 | 2 | 0 |
0.3%
|
- | 가족돌봄과 관련하여 퇴사와 휴직을 하는 경우가 많음 | 1 | 0 |
0.2%
|
- | 같다고 생각 | 6 | 0 |
0.9%
|
- | 같다고생각 | 5 | 0 |
0.8%
|
- | 같다고생각함 | 11 | 0 |
1.7%
|
- | 경기악화로 실직 늘어남 | 3 | 0 |
0.5%
|
- | 경영난 | 5 | 0 |
0.8%
|
- | 계약직, 단순직에 종사하는 경우가 여성이 더 많아서 | 1 | 0 |
0.2%
|
- | 고용시장 불안정 | 5 | 0 |
0.8%
|
- | 구조조정대상 성차별보다 업무차별인듯 | 1 | 0 |
0.2%
|
- | 구직사이트만 봐도 여성을 구하는 채용이 별로없음 | 1 | 0 |
0.2%
|
- | 구체적 사항에 대한 통계 자료인지 부족 | 1 | 0 |
0.2%
|
- | 그냥그렇다 | 1 | 0 |
0.2%
|
- | 그런경우를 봤기 때문에 | 4 | 0 |
0.6%
|
- | 남녀 관계없이 모두 힘들어서 | 2 | 0 |
0.3%
|
- | 남녀 모두 실직에 영향 | 5 | 0 |
0.8%
|
- | 남녀관계없이 코로나에 영향받음 | 3 | 0 |
0.5%
|
- | 남녀모두에게 같은 영향 | 4 | 0 |
0.6%
|
- | 남성 임금이 더 높아서 | 1 | 0 |
0.2%
|
- | 남성근로자가 많아서 | 3 | 0 |
0.5%
|
- | 남성인력이 더 많았기 때문 | 1 | 0 |
0.2%
|
- | 높은급여때문 | 1 | 0 |
0.2%
|
- | 뉴스에 조차 보도되지 않는 실직한 여성들의 자살율을 근거로 | 1 | 0 |
0.2%
|
- | 다 같다 | 5 | 0 |
0.8%
|
- | 다 같이 어려움에 남녀를 구분할 필요가 있는지 의문 | 1 | 0 |
0.2%
|
- | 다 힘들다 | 19 | 0 |
3%
|
- | 다 힘들다 생각함 | 14 | 0 |
2.2%
|
- | 다르지않다본다 | 5 | 0 |
0.8%
|
- | 단기 일자리는 모두 사라졌다고 봄 | 1 | 0 |
0.2%
|
- | 단순노동이 여성이 많다 | 1 | 0 |
0.2%
|
- | 단순업무로 인해 실직이 더 쉽게 되는 것 같음 | 1 | 0 |
0.2%
|
- | 도소매업은 여성이 불리하다 | 1 | 0 |
0.2%
|
- | 동일 | 19 | 0 |
3%
|
- | 동일하다 | 13 | 0 |
2%
|
- | 동일하다 생각함 | 8 | 0 |
1.3%
|
- | 동일하다고 생각함 | 5 | 0 |
0.8%
|
- | 동일하다고봄 | 8 | 0 |
1.3%
|
- | 동일하다본다 | 49 | 0 |
7.7%
|
- | 동일하다봄 | 7 | 0 |
1.1%
|
- | 동일하다생각 | 34 | 0 |
5.3%
|
- | 동일하다생각함 | 45 | 0 |
7%
|
- | 동일함 | 15 | 0 |
2.3%
|
- | 등교,등원의 제한이 많아져서 아이들을 맡길 곳이 마땅히 없는 맞벌이 부부 중 여성에게 역할이 더 강요되는 분위기 | 1 | 0 |
0.2%
|
- | 많은회사가 어려웠다고 생각한다 | 7 | 0 |
1.1%
|
- | 모두에게 힘든 상황이어서 | 3 | 0 |
0.5%
|
- | 못느낌 | 17 | 0 |
2.7%
|
- | 바이러스는 성별과 관계없음 | 1 | 0 |
0.2%
|
- | 변화없음 | 6 | 0 |
0.9%
|
- | 보수가 작은 여성이 아이 양육 문제로 퇴사하는 경우가 생김 | 1 | 0 |
0.2%
|
- | 부산은 조선업, 남성 실직자가 많아짐 | 1 | 0 |
0.2%
|
- | 부산주력업종이 남성직군(조선해양)이 많아서 | 2 | 0 |
0.3%
|
- | 부서휴업했을때, 남녀차별없이 함 | 1 | 0 |
0.2%
|
- | 비슷할것같다 | 8 | 0 |
1.3%
|
- | 비슷해서 | 8 | 0 |
1.3%
|
- | 비정규직, 임시직 일자리가 축소되어 신규채용에 여성일자리가 줄어든것으로 판단 | 1 | 0 |
0.2%
|
- | 사회 모든 분야에서 채용이 감소 | 1 | 0 |
0.2%
|
- | 산업전반에 대한 영향으로 성별에 따라 차별은 없다고 생각 | 1 | 0 |
0.2%
|
- | 생각안함 | 9 | 0 |
1.4%
|
- | 생산직 관련 업무량(일감)저하 | 9 | 0 |
1.4%
|
- | 선별적이지는 않을것같다 | 3 | 0 |
0.5%
|
- | 성별에 따라 다르진 않았을것 같다 | 7 | 0 |
1.1%
|
- | 속한회사에 구조 조정이 없었다 | 1 | 0 |
0.2%
|
- | 신문기사를 보고 | 6 | 0 |
0.9%
|
- | 실적이 없는 사람에만 영향이 있는것 같아서 | 1 | 0 |
0.2%
|
- | 실직은 본인의사와 관계없는 만큼 성과도 관계없다 | 1 | 0 |
0.2%
|
- | 업무가 틀려 상관없다 | 4 | 0 |
0.6%
|
- | 업무가 틀려서 알수 없음 | 8 | 0 |
1.3%
|
- | 업무능력이 없는 사람부터 구조조정대상이다. 성이랑 관련 없다 | 1 | 0 |
0.2%
|
- | 업무업종에 따라 틀리다 | 9 | 0 |
1.4%
|
- | 업무의 동질성 多 | 1 | 0 |
0.2%
|
- | 업종별차이이지 성별차이는 아님 | 1 | 0 |
0.2%
|
- | 업종에 따라 다를 순 있겠지만 대체적으로 비슷하게 영향을 끼쳤다고 생각함 | 1 | 0 |
0.2%
|
- | 업종에 특이영향없음 | 1 | 0 |
0.2%
|
- | 업종이 여성에게 유리 | 2 | 0 |
0.3%
|
- | 여성 일자리를 더 쉽게 생각하는 경향이 많아서 | 3 | 0 |
0.5%
|
- | 여성근로자 비중이 높은 산업에 영향을많이 끼칠 것 같음 | 1 | 0 |
0.2%
|
- | 여성보다 임금이 높은 남성들의 실직이 많아보임 | 3 | 0 |
0.5%
|
- | 여성시장이 더 좁아서 | 2 | 0 |
0.3%
|
- | 여성위주의 대면 직종에서 큰 타격을 입었기 때문 | 4 | 0 |
0.6%
|
- | 여성이 구조조정우선순위대상자 | 1 | 0 |
0.2%
|
- | 여성이 단순업무에 종사하다보니 | 3 | 0 |
0.5%
|
- | 여성이 비정규직에 더 많아서 | 3 | 0 |
0.5%
|
- | 여성이 일용직 근무가 많아서 | 4 | 0 |
0.6%
|
- | 영향없음 | 7 | 0 |
1.1%
|
- | 예상일뿐 | 1 | 0 |
0.2%
|
- | 유지하려고 노력 | 3 | 0 |
0.5%
|
- | 육아나 가사등 | 1 | 0 |
0.2%
|
- | 육아나가정돌봄 | 3 | 0 |
0.5%
|
- | 육아때문 | 4 | 0 |
0.6%
|
- | 육아때문에 | 3 | 0 |
0.5%
|
- | 일,가정 다힘드니 | 1 | 0 |
0.2%
|
- | 일하는 현장에서는 남성 여성 구별없이 일하고 있음 | 2 | 0 |
0.3%
|
- | 임금이 더 높아서 | 2 | 0 |
0.3%
|
- | 자녀 원격수업으로 여성이 경력이 단절된 경우가 많음 | 1 | 0 |
0.2%
|
- | 자녀돌봄부담증가 | 2 | 0 |
0.3%
|
- | 자녀돌봄이라든지 가정을 돌보는 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상대적으로 임금이 적은 여성 근로자의 실직이 많은 것으로 생각됨 | 1 | 0 |
0.2%
|
- | 자녀보육 관련 문제 등 | 3 | 0 |
0.5%
|
- | 자녀의 돌봄으로 인하여 가정에 더 관심을 가져야 하는 상황이 됨 | 1 | 0 |
0.2%
|
- | 전 직원 단축근무한다는 얘기는 들어봤는데 실무직은 모르겠음 | 2 | 0 |
0.3%
|
- | 전반적인 경기침체, 일자리 부족 | 3 | 0 |
0.5%
|
- | 전반적인 노동환경이 남성에게 유리 | 4 | 0 |
0.6%
|
- | 전세계적 펜데믹 현상이고 성별과는 무관하다고 봅니다 | 5 | 0 |
0.8%
|
- | 전체적인 경기침체 | 7 | 0 |
1.1%
|
- | 정규직이 없어서 더 많이 실직 | 7 | 0 |
1.1%
|
- | 제조업 부진 | 1 | 0 |
0.2%
|
- | 주변 지인들의 상황 | 4 | 0 |
0.6%
|
- | 주변에 실직하는 남자가 많다 | 1 | 0 |
0.2%
|
- | 주변에 없음 | 8 | 0 |
1.3%
|
- | 주변에서 못느낌 | 4 | 0 |
0.6%
|
- | 주변인이 육아휴가 후 실직으로 많이 이어짐 | 4 | 0 |
0.6%
|
- | 주위근로자를 보면 남녀부분실직하신분이 많음 | 1 | 0 |
0.2%
|
- | 직장에서 남성 근무 선호 | 1 | 0 |
0.2%
|
- | 차이 없을 것이라 생각 | 5 | 0 |
0.8%
|
- | 차이없다 | 7 | 0 |
1.1%
|
- | 코로나 19의 영향을 받는 업종에 따라 차이가 있다고 생각됨. 업종이 남자와 여자의 성비율이 다를 수 있어 큰 차이는 없다고 생각함 | 1 | 0 |
0.2%
|
- | 코로나 영향으로 구조조정 성별 상관없이 함 | 1 | 0 |
0.2%
|
- | 코로나 영향은 성별 상관없이 동일 | 4 | 0 |
0.6%
|
- | 코로나 이후 자살하는 여자율 증가 | 1 | 0 |
0.2%
|
- | 코로나19는 남녀성별 구분없이 모두에게 악영향 | 6 | 0 |
0.9%
|
- | 코로나19는 성별을 따지지 않고 관련업종에 타격을 주었다고 생각함 | 2 | 0 |
0.3%
|
- | 코로나가 남녀 실직에 불평등하게 영향을 주었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 4 | 0 |
0.6%
|
- | 코로나는 남성, 여성과 관계없이 동일하게 영향 | 5 | 0 |
0.8%
|
- | 코로나는 동일조건이다 | 5 | 0 |
0.8%
|
- | 코로나는 양성평등 | 8 | 0 |
1.3%
|
- | 코로나로 인한 남녀 실직에 관해서는 체감하고 있는 것이 없기 때문입니다 | 1 | 0 |
0.2%
|
- | 코로나로 인해서 성별의 실직 여부의 차이는 없을것 같습니다. | 6 | 0 |
0.9%
|
- | 코로나영향은 동일하다 | 3 | 0 |
0.5%
|
- | 코로나와 남여실직 영향무관 | 9 | 0 |
1.4%
|
- | 코로나와 딱히 상관없는것 같아서 | 3 | 0 |
0.5%
|
- | 특별한 이유는 없다 | 8 | 0 |
1.3%
|
- | 폐업하는 회사를 많이 봐서 남녀동일하다고 봄 | 1 | 0 |
0.2%
|
- | 현장근무가 소멸되어 남성일자리가 부족해질 것으로 예상됨 | 1 | 0 |
0.2%
|
- | 현장에서 남성 여성 따질 여유가 없다 | 2 | 0 |
0.3%
|
- | 회사의 사정으로 직원감축 등을 실시하였을 경우 남성과 여성에게 동일한 영향을 끼쳤을 것이라 판단합니다 | 1 | 0 |
0.2%
|
- | 효율성에 입각하여 영향을 받음 | 1 | 0 |
0.2%
|
This variable is character
Value | Label | N | WN | |
---|---|---|---|---|
1 | 남성이 매우 불평등 | 0 | 0 |
0%
|
2 | 남성이 약간 불평등 | 10 | 0 |
1%
|
3 | 남성과 여성이 평등 | 852 | 0 |
85.2%
|
4 | 여성이 약간 불평등 | 121 | 0 |
12.1%
|
5 | 여성이 매우 불평등 | 17 | 0 |
1.7%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 | 같다고 생각 | 6 | 0 |
1%
|
- | 같다고본다 | 17 | 0 |
2.9%
|
- | 같다고생각 | 3 | 0 |
0.5%
|
- | 같다고생각함 | 4 | 0 |
0.7%
|
- | 같은조건에서 여성을 먼저 해고함 | 2 | 0 |
0.3%
|
- | 계약직, 단순직이 여성이 더 많아서 | 1 | 0 |
0.2%
|
- | 급여에서 차이 발생 | 1 | 0 |
0.2%
|
- | 남녀 모두 직장생활의 불안감이 있음 | 1 | 0 |
0.2%
|
- | 남녀 모두의 노동환경이 악화됨 | 4 | 0 |
0.7%
|
- | 남성과 여성의 노동환경에 같은 악영향을 받아도 현재 노동환경은 여성이 약간 불평등 상태이기 때문에 | 4 | 0 |
0.7%
|
- | 남성근로자가 많아서 | 3 | 0 |
0.5%
|
- | 남성도 일할곳이 없는데 여성은 더 일할곳이 없음 | 1 | 0 |
0.2%
|
- | 남성보다 먼저 사직을 권함 | 2 | 0 |
0.3%
|
- | 노동환경은 코로나 이전과 유사함 | 8 | 0 |
1.4%
|
- | 노동환경이 남성에게 유리 | 6 | 0 |
1%
|
- | 다 같다 | 8 | 0 |
1.4%
|
- | 다 힘들다 | 19 | 0 |
3.2%
|
- | 다르지않다본다 | 6 | 0 |
1%
|
- | 다를게 없다 | 7 | 0 |
1.2%
|
- | 단순노동부터정리 | 2 | 0 |
0.3%
|
- | 돌봄처제한 | 2 | 0 |
0.3%
|
- | 동일 | 16 | 0 |
2.7%
|
- | 동일하다 | 14 | 0 |
2.4%
|
- | 동일하다 생각함 | 9 | 0 |
1.5%
|
- | 동일하다고 생각함 | 2 | 0 |
0.3%
|
- | 동일하다고봄 | 6 | 0 |
1%
|
- | 동일하다본다 | 46 | 0 |
7.8%
|
- | 동일하다봄 | 8 | 0 |
1.4%
|
- | 동일하다생각 | 23 | 0 |
3.9%
|
- | 동일하다생각함 | 44 | 0 |
7.5%
|
- | 동일한 조건이다 | 5 | 0 |
0.8%
|
- | 동일함 | 15 | 0 |
2.5%
|
- | 둘다 실직 및 직장생활의 불안감이 있음 | 1 | 0 |
0.2%
|
- | 똑같다생각함 | 5 | 0 |
0.8%
|
- | 똑같이 영향을 주었을듯 | 6 | 0 |
1%
|
- | 모두가 힘든 상황입니다 | 3 | 0 |
0.5%
|
- | 모두에게 같은 영향 | 2 | 0 |
0.3%
|
- | 못느낌 | 15 | 0 |
2.5%
|
- | 바이러스는 성별과 관계없음 | 2 | 0 |
0.3%
|
- | 변함이 없는것 같아서 | 5 | 0 |
0.8%
|
- | 변화없음 | 5 | 0 |
0.8%
|
- | 별다른 영향이 없는것 같음 | 7 | 0 |
1.2%
|
- | 별영향없음 | 2 | 0 |
0.3%
|
- | 부산은 제조업보다는 관광업,서비스업쪽으로 주업종이 바뀌었습니다. 여기에 여성이 더 많은 직업선택을 할 기회가 많습니다. | 1 | 0 |
0.2%
|
- | 부산이 우선하는 업종자체가(조선) 여성에게 불평등하다 | 1 | 0 |
0.2%
|
- | 비슷할것같다 | 6 | 0 |
1%
|
- | 비슷해서 | 1 | 0 |
0.2%
|
- | 사회에 깔려있는 성역할(특히 어머니의 역할)에 변화가 없어 여성들이 힘들어짐 | 1 | 0 |
0.2%
|
- | 상관관계가 없다고 생각함 | 4 | 0 |
0.7%
|
- | 서로 힘든 상황입니다 | 6 | 0 |
1%
|
- | 성별에 따라 다르진 않았을것 같다 | 1 | 0 |
0.2%
|
- | 성평등 노동환경에 대하여 코로나 19로 인하여는 관계가 없을것 같습니다 | 2 | 0 |
0.3%
|
- | 성평등 사회 | 6 | 0 |
1%
|
- | 식당등의 폐업이 많아서 여성 근로자의 실업과 노동환경이 안좋아짐 | 3 | 0 |
0.5%
|
- | 아직은 그렇다고 본다 | 5 | 0 |
0.8%
|
- | 어느 한쪽이 불평등한 환경조성은 없다고 생각하며, 단지 코로나19 투입 직원(간호사 등)이 상대적으로 여성직원들이 많고 중요도가 높아짐에 따라 여성의 지위와 인식 개선에 좋은 영향을 끼쳤다고 생각합니다. | 1 | 0 |
0.2%
|
- | 업무가 달라서 영향없다 | 4 | 0 |
0.7%
|
- | 업무업종에 따라 틀리다 | 5 | 0 |
0.8%
|
- | 업종상 영향없음 | 2 | 0 |
0.3%
|
- | 여성 근로자의 일자리 축소 | 2 | 0 |
0.3%
|
- | 여성들의 일자리가 많이 사라졌고, 실직 후 재취업이 더 힘들어지며, 취업의 질이 낮아진다 | 1 | 0 |
0.2%
|
- | 여성의 일자리가 더 없는것 같음 | 6 | 0 |
1%
|
- | 여성이 계약직이 많다 | 3 | 0 |
0.5%
|
- | 여성이 더 책임지는 쪽으로 흐르고 있는거 같다 | 3 | 0 |
0.5%
|
- | 여성이 비정규직에 더 많아서 | 3 | 0 |
0.5%
|
- | 영향 없다고 생각함 | 7 | 0 |
1.2%
|
- | 영향없음 | 6 | 0 |
1%
|
- | 유지 | 9 | 0 |
1.5%
|
- | 육아 맡는 쪽이 불리함 | 1 | 0 |
0.2%
|
- | 육아를 주로 여성이 담당해서 불평등 | 4 | 0 |
0.7%
|
- | 육아를 주로 여성이 해서 불평등하다돔 | 4 | 0 |
0.7%
|
- | 이전과 변화없다 | 3 | 0 |
0.5%
|
- | 일자리,임금 면에서 남성보다 근로조건이 불리해진 것으로 판단, 코로나로 육아부담에 여성이 증가 | 3 | 0 |
0.5%
|
- | 일자리가 더 없을것 같습니다 | 2 | 0 |
0.3%
|
- | 임금이 더 높아서 | 2 | 0 |
0.3%
|
- | 자녀돌봄증가 | 3 | 0 |
0.5%
|
- | 자녀보육 관련 문제 등 | 4 | 0 |
0.7%
|
- | 자녀양육부담으로 노동환경 악화 | 5 | 0 |
0.8%
|
- | 자녀양육에 대한 여성부담이 커짐 | 2 | 0 |
0.3%
|
- | 자녀양육에 있어 여성비중이 많다 생각함(온라인 수업 등) | 1 | 0 |
0.2%
|
- | 잘 못느낌 | 5 | 0 |
0.8%
|
- | 잘모르겠음 | 2 | 0 |
0.3%
|
- | 전과 다를것이 없다고 생각함 | 6 | 0 |
1%
|
- | 지역특성상 보수적 편해가 심함 | 3 | 0 |
0.5%
|
- | 직무에 다라 틀리지 성별은 모르겠다 | 5 | 0 |
0.8%
|
- | 직장이 줄면서 필수업무가 아닌 여성이 실직 | 3 | 0 |
0.5%
|
- | 직종에 따라 다를것 같아서 | 7 | 0 |
1.2%
|
- | 차별을 느껴보지 못해서 | 2 | 0 |
0.3%
|
- | 출산,임신하면 퇴사해야하는 회사가 아직도 많이 있다 | 1 | 0 |
0.2%
|
- | 코로나 때문에 남성 여성 구분하지는 않는다 | 3 | 0 |
0.5%
|
- | 코로나 사태와 성평등과의 상관관계는 없다고 생각 | 8 | 0 |
1.4%
|
- | 코로나 영향은 성별 상관없이 동일 | 1 | 0 |
0.2%
|
- | 코로나19 유행이 성평등 노동환경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 | 1 | 0 |
0.2%
|
- | 코로나19 유행이 영향을 미쳐지는 영향을 모르겠음 | 4 | 0 |
0.7%
|
- | 코로나19로 인해 자녀 양육 부담은 증가하는데, 공공기관 외에서는 가정이 있는 여성을 배려하는 제도를 적극적으로 시행하고 있지 않아서. | 1 | 0 |
0.2%
|
- | 코로나19와 성평등 노동환경의 상관관계를 모르겠음 | 1 | 0 |
0.2%
|
- | 코로나19와 성평등간의 합리적 인과관계를 모르겠음(없다고 생각) | 1 | 0 |
0.2%
|
- | 코로나가 남성 여성 안따지더라 | 1 | 0 |
0.2%
|
- | 코로나가 성평등 노동환경에 영향을 주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 2 | 0 |
0.3%
|
- | 코로나는 남녀 관계없이 영향을 준것 같다 | 4 | 0 |
0.7%
|
- | 코로나로 현장업무가 줄어들어서 | 4 | 0 |
0.7%
|
- | 코로나영향은 동일하다 | 2 | 0 |
0.3%
|
- | 코로나와 설별은 관계없이 동일할듯 | 6 | 0 |
1%
|
- | 코로나와 성평등 무관 | 7 | 0 |
1.2%
|
- | 코로나와 성평등은 관계없음 | 4 | 0 |
0.7%
|
- | 큰차이는 없음 | 7 | 0 |
1.2%
|
- | 타 지역에 비해 부산은 평등하게 느껴짐 | 5 | 0 |
0.8%
|
- | 특별한 이유는 없다 | 4 | 0 |
0.7%
|
- | 평등하게 악영향 | 8 | 0 |
1.4%
|
- | 피부로 느끼기 때문에 | 3 | 0 |
0.5%
|
- | 한국은 여성이 육아를 전담하는 경우가 많아 불평등할것같기도함 | 2 | 0 |
0.3%
|
- | 해직이후에 일자리가 없음 | 3 | 0 |
0.5%
|
- | 환경 코로나 이전과 과업무는 같다 | 1 | 0 |
0.2%
|
- | 회사도 힘들고 가정도 힘들어지고 | 1 | 0 |
0.2%
|
This variable is character
Value | Label | N | WN | |
---|---|---|---|---|
1 | 해당사항 없음(자녀 없음) | 2 | 0 |
0.2%
|
2 | 매우 그렇지 않다 | 3 | 0 |
0.3%
|
3 | 약간 그렇지 않다 | 30 | 0 |
3%
|
4 | 보통 | 77 | 0 |
7.7%
|
5 | 약간 그렇다 | 55 | 0 |
5.5%
|
6 | 매우 그렇다 | 0 | 0 |
0%
|
9 | 모름/무응답 | 833 | 0 |
83.3%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해당사항 없음(자녀 없음) | 6 | 0 |
0.6%
|
2 | 매우 그렇지 않다 | 4 | 0 |
0.4%
|
3 | 약간 그렇지 않다 | 44 | 0 |
4.4%
|
4 | 보통 | 77 | 0 |
7.7%
|
5 | 약간 그렇다 | 36 | 0 |
3.6%
|
6 | 매우 그렇다 | 0 | 0 |
0%
|
9 | 모름/무응답 | 833 | 0 |
83.3%
|
This variable is numeric
(08826) 서울시 관악구 관악로 1, 101동 250호 서울대학교 한국사회과학자료원
TEL 02-880-2111 FAX 02-883-2694 Email kossda@snu.ac.kr
Copyright ⓒ Korea Social Science Data Archiv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