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벌 경영권 승계에 대한 인식조사, 2020
https://doi.org/10.22687/KOSSDA-A1-2020-0097-V1.0
KBS 공영미디어연구소
이 조사는 KBS 공영미디어연구소가 우리나라 대기업 총수 일가의 경영권 승계 및 기업 경영 관련 이슈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을 파악하여 방송 프로그램을 제작하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한 것이다.
이 자료는 전국의 만 19세 이상 성인남녀들로부터 수집되었으며, 주요 조사내용은 재벌 경영권 승계에 대한 의견, 대기업 총수 일가가 기업 전체를 지배하는 구조에 대한 의견, 외부인사 포함된 대기업 이사회 독립성 강화에 대한 의견, 대기업 총수 일가의 횡령 및 업무상 배임 시 회사 경영 제한에 대한 의견, 대기업 총수 일가의 중범죄 처벌 시 경영 제한에 대한 의견, 경제사범의 취업제한 제도에 대한 의견, 취업제한된 대기업 총수 일가의 재취업 승인에 대한 의견, 대기업 총수 일가의 횡령 및 업무상 배임 시 선고 형량에 대한 의견 등이다.
파일유형 | 파일명 | 파일내용 | 파일형식 | 파일크기 | 다운로드 |
---|---|---|---|---|---|
관련파일-설문지(한글) | kor_que_20200097.pdf | 설문지 (한글) | 407.35 kB | 다운로드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남자 | 537 | 0 |
51.2%
|
2 | 여자 | 511 | 0 |
48.8%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 | 20 | 8 | 0 |
0.8%
|
- | 21 | 10 | 0 |
1%
|
- | 22 | 9 | 0 |
0.9%
|
- | 23 | 14 | 0 |
1.3%
|
- | 24 | 15 | 0 |
1.4%
|
- | 25 | 22 | 0 |
2.1%
|
- | 26 | 16 | 0 |
1.5%
|
- | 27 | 18 | 0 |
1.7%
|
- | 28 | 24 | 0 |
2.3%
|
- | 29 | 16 | 0 |
1.5%
|
- | 30 | 14 | 0 |
1.3%
|
- | 31 | 15 | 0 |
1.4%
|
- | 32 | 20 | 0 |
1.9%
|
- | 33 | 12 | 0 |
1.1%
|
- | 34 | 12 | 0 |
1.1%
|
- | 35 | 13 | 0 |
1.2%
|
- | 36 | 22 | 0 |
2.1%
|
- | 37 | 18 | 0 |
1.7%
|
- | 38 | 23 | 0 |
2.2%
|
- | 39 | 13 | 0 |
1.2%
|
- | 40 | 20 | 0 |
1.9%
|
- | 41 | 16 | 0 |
1.5%
|
- | 42 | 17 | 0 |
1.6%
|
- | 43 | 25 | 0 |
2.4%
|
- | 44 | 17 | 0 |
1.6%
|
- | 45 | 25 | 0 |
2.4%
|
- | 46 | 22 | 0 |
2.1%
|
- | 47 | 20 | 0 |
1.9%
|
- | 48 | 19 | 0 |
1.8%
|
- | 49 | 29 | 0 |
2.8%
|
- | 50 | 38 | 0 |
3.6%
|
- | 51 | 29 | 0 |
2.8%
|
- | 52 | 19 | 0 |
1.8%
|
- | 53 | 23 | 0 |
2.2%
|
- | 54 | 17 | 0 |
1.6%
|
- | 55 | 26 | 0 |
2.5%
|
- | 56 | 16 | 0 |
1.5%
|
- | 57 | 18 | 0 |
1.7%
|
- | 58 | 16 | 0 |
1.5%
|
- | 59 | 16 | 0 |
1.5%
|
- | 60 | 32 | 0 |
3.1%
|
- | 61 | 35 | 0 |
3.3%
|
- | 62 | 33 | 0 |
3.1%
|
- | 63 | 27 | 0 |
2.6%
|
- | 64 | 26 | 0 |
2.5%
|
- | 65 | 38 | 0 |
3.6%
|
- | 66 | 12 | 0 |
1.1%
|
- | 67 | 15 | 0 |
1.4%
|
- | 68 | 24 | 0 |
2.3%
|
- | 69 | 5 | 0 |
0.5%
|
- | 70 | 14 | 0 |
1.3%
|
- | 71 | 7 | 0 |
0.7%
|
- | 72 | 8 | 0 |
0.8%
|
- | 73 | 4 | 0 |
0.4%
|
- | 74 | 6 | 0 |
0.6%
|
- | 75 | 5 | 0 |
0.5%
|
- | 76 | 5 | 0 |
0.5%
|
- | 77 | 1 | 0 |
0.1%
|
- | 78 | 4 | 0 |
0.4%
|
- | 79 | 1 | 0 |
0.1%
|
- | 80 | 1 | 0 |
0.1%
|
- | 81 | 1 | 0 |
0.1%
|
- | 85 | 2 | 0 |
0.2%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0 | 모름 | 0 | 0 |
0%
|
1 | 서울 | 211 | 0 |
20.1%
|
2 | 부산 | 74 | 0 |
7.1%
|
3 | 대구 | 51 | 0 |
4.9%
|
4 | 인천 | 63 | 0 |
6%
|
5 | 광주 | 30 | 0 |
2.9%
|
6 | 대전 | 32 | 0 |
3.1%
|
7 | 울산 | 21 | 0 |
2%
|
8 | 경기 | 268 | 0 |
25.6%
|
9 | 강원 | 22 | 0 |
2.1%
|
10 | 충북 | 27 | 0 |
2.6%
|
11 | 충남 | 38 | 0 |
3.6%
|
12 | 전북 | 38 | 0 |
3.6%
|
13 | 전남 | 33 | 0 |
3.1%
|
14 | 경북 | 51 | 0 |
4.9%
|
15 | 경남 | 69 | 0 |
6.6%
|
16 | 제주 | 13 | 0 |
1.2%
|
17 | 북한 | 0 | 0 |
0%
|
18 | 외국 | 0 | 0 |
0%
|
19 | 세종 | 7 | 0 |
0.7%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0 | 무학 | 0 | 0 |
0%
|
1 | 초등학교 재학 | 0 | 0 |
0%
|
2 | 초등학교 졸업 | 7 | 0 |
0.7%
|
3 | 중학교 재학 | 0 | 0 |
0%
|
4 | 중학교 졸업 | 12 | 0 |
1.1%
|
5 | 고등학교 재학 | 2 | 0 |
0.2%
|
6 | 고등학교 졸업 | 197 | 0 |
18.8%
|
7 | 대학(2, 3년제) 재학 | 11 | 0 |
1%
|
8 | 대학(2, 3년제) 졸업 | 133 | 0 |
12.7%
|
9 | 대학교(4년제) 재학 | 58 | 0 |
5.5%
|
10 | 대학교(4년제) 졸업 | 488 | 0 |
46.6%
|
11 | 대학원 재학 | 15 | 0 |
1.4%
|
12 | 대학원 졸업 | 123 | 0 |
11.7%
|
13 | 기타(서당, 홈스쿨링 등) | 2 | 0 |
0.2%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0 | 모름 | 48 | 0 |
4.6%
|
1 | 100만원 미만 | 43 | 0 |
4.1%
|
2 | 100만원~200만원 미만 | 93 | 0 |
8.9%
|
3 | 200만원~300만원 미만 | 183 | 0 |
17.5%
|
4 | 300만원~400만원 미만 | 192 | 0 |
18.3%
|
5 | 400만원~500만원 미만 | 168 | 0 |
16%
|
6 | 500만원~600만원 미만 | 115 | 0 |
11%
|
7 | 600만원~700만원 미만 | 67 | 0 |
6.4%
|
8 | 700만원~800만원 미만 | 48 | 0 |
4.6%
|
9 | 800만원 이상 | 91 | 0 |
8.7%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기업체 경영주(10인 이상 고용) | 5 | 0 |
0.5%
|
2 | 자영업주(9인 이하 고용) | 75 | 0 |
7.2%
|
3 | 전문직(준전문직 포함) | 143 | 0 |
13.6%
|
4 | 관리직(기업체 부장 이상 임원, 고위 공무원) | 49 | 0 |
4.7%
|
5 | 사무직(회사원, 일반 공무원 등) | 261 | 0 |
24.9%
|
6 | 서비스직 | 58 | 0 |
5.5%
|
7 | 기술 및 기능직 | 39 | 0 |
3.7%
|
8 | 판매직 | 8 | 0 |
0.8%
|
9 | 생산직 | 15 | 0 |
1.4%
|
10 | 농업/임업/어업/수산업/축산업 | 15 | 0 |
1.4%
|
11 | 군인 및 경찰 | 2 | 0 |
0.2%
|
12 | 학생 | 68 | 0 |
6.5%
|
13 | 전업 주부 | 170 | 0 |
16.2%
|
14 | 무직 및 실업상태 | 130 | 0 |
12.4%
|
15 | 기타 | 10 | 0 |
1%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대기업 | 7 | 0 |
13%
|
2 | 중견기업 | 8 | 0 |
14.8%
|
3 | 중소기업 | 37 | 0 |
68.5%
|
4 | 기업에 소속되지 않음 | 2 | 0 |
3.7%
|
-1 | 비해당 | 994 | 0 |
10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매우 긍정적이다 | 49 | 0 |
4.7%
|
2 | 긍정적인 편이다 | 374 | 0 |
35.7%
|
3 | 부정적인 편이다 | 371 | 0 |
35.4%
|
4 | 매우 부정적이다 | 172 | 0 |
16.4%
|
5 | 잘 모르겠다 | 82 | 0 |
7.8%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경영권은 총수 일가의 재산처럼 행사할 수 있는 자유가 있기 때문에 | 37 | 0 |
8.7%
|
2 | 재벌 3, 4세는 체계적 훈련을 받아 경영능력을 갖추었기 때문에 | 87 | 0 |
20.6%
|
3 | 총수 일가는 주인의식을 가지고 장기적 성장의 관점에서 기업을 경영하므로 | 211 | 0 |
49.9%
|
4 | 재벌 경영권 보호로 외부 투기세력으로부터 기업을 보호할 수 있기 때문에 | 88 | 0 |
20.8%
|
-1 | 비해당 | 625 | 0 |
10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기업의 경영권은 총수 일가가 사유재산처럼 세습할 수 있는 대상이 아니므로 | 176 | 0 |
32.4%
|
2 | 재벌 3, 4세의 경영 능력이나 자질이 객관적으로 검증되지 않았으므로 | 123 | 0 |
22.7%
|
3 | 경영권 승계 과정이 공정하지 않고 편법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 195 | 0 |
35.9%
|
4 | 총수 일가의 사익 추구로 회사나 주주들이 손해를 입는 경우가 많으므로 | 47 | 0 |
8.7%
|
5 | 제시된 이유 모두 해당됨 | 2 | 0 |
0.4%
|
-1 | 비해당 | 505 | 0 |
93%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지배구조 개선이 매우 필요하다 | 488 | 0 |
46.6%
|
2 | 지배구조 개선이 약간 필요하다 | 373 | 0 |
35.6%
|
3 | 지배구조 개선이 별로 필요하지 않다 | 107 | 0 |
10.2%
|
4 | 지배구조 개선이 매우 필요하지 않다 | 22 | 0 |
2.1%
|
5 | 잘 모르겠다 | 58 | 0 |
5.5%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매우 동의한다 | 515 | 0 |
49.1%
|
2 | 약간 동의한다 | 376 | 0 |
35.9%
|
3 | 별로 동의하지 않는다 | 93 | 0 |
8.9%
|
4 | 전혀 동의하지 않는다 | 26 | 0 |
2.5%
|
5 | 잘 모르겠다 | 38 | 0 |
3.6%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감사위원 등 감독 권한을 가진 이사 선임 시 대주주의 의결권을 제한 | 181 | 0 |
20.3%
|
2 | 회사 경영을 결정하는 경영 이사회와 주주 및 노동자 대표로 구성된 감독 이사회를 이원화하여 구성 | 342 | 0 |
38.4%
|
3 | 이사에게 소수 주주의 이익에 충실해야 하는 법적 의무를 부여 | 151 | 0 |
16.9%
|
4 | 소수 주주의 의결권이 강화되는 집중투표제 도입 등 이사회 운영방식 개선 | 210 | 0 |
23.6%
|
5 | 이사회 구성원의 다양화(독립성과 전문성 전제된 제3의 인물, 비영리 시민단체 소속 등) | 3 | 0 |
0.3%
|
6 | 잘 모르겠다 | 4 | 0 |
0.4%
|
-1 | 비해당 | 157 | 0 |
17.6%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매우 찬성한다 | 540 | 0 |
51.5%
|
2 | 찬성하는 편이다 | 399 | 0 |
38.1%
|
3 | 반대하는 편이다 | 58 | 0 |
5.5%
|
4 | 매우 반대한다 | 24 | 0 |
2.3%
|
5 | 잘 모르겠다 | 27 | 0 |
2.6%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집행유예 기간까지(5년) | 303 | 0 |
32.3%
|
2 | 집행유예 기간 종료 후 2년까지(7년) | 157 | 0 |
16.7%
|
3 | 집행유예 기간 종료 후 5년까지(10년) | 230 | 0 |
24.5%
|
4 | 유죄 판결 이후 무제한 금지 | 240 | 0 |
25.6%
|
5 | 징역 기간 이하(3년 이하) | 4 | 0 |
0.4%
|
6 | 집행유예 기간 종료 후 15년까지(20년) | 1 | 0 |
0.1%
|
7 | 잘 모르겠다 | 4 | 0 |
0.4%
|
-1 | 비해당 | 109 | 0 |
11.6%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매우 많다 | 11 | 0 |
1%
|
2 | 많은 편이다 | 53 | 0 |
5.1%
|
3 | 적절하다 | 252 | 0 |
24%
|
4 | 적은 편이다 | 382 | 0 |
36.5%
|
5 | 매우 적다 | 304 | 0 |
29%
|
6 | 잘 모르겠다 | 46 | 0 |
4.4%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매우 찬성한다 | 672 | 0 |
64.1%
|
2 | 찬성하는 편이다 | 265 | 0 |
25.3%
|
3 | 반대하는 편이다 | 49 | 0 |
4.7%
|
4 | 매우 반대한다 | 42 | 0 |
4%
|
5 | 잘 모르겠다 | 20 | 0 |
1.9%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집행유예 기간까지(4년) | 162 | 0 |
17.3%
|
2 | 집행유예 기간 종료 후 2년까지(6년) | 127 | 0 |
13.6%
|
3 | 집행유예 기간 종료 후 5년까지(9년) | 188 | 0 |
20.1%
|
4 | 유죄 판결 이후 무제한 금지 | 459 | 0 |
49%
|
5 | 잘 모르겠다 | 1 | 0 |
0.1%
|
-1 | 비해당 | 111 | 0 |
11.8%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매우 찬성한다 | 331 | 0 |
31.6%
|
2 | 찬성하는 편이다 | 350 | 0 |
33.4%
|
3 | 반대하는 편이다 | 196 | 0 |
18.7%
|
4 | 매우 반대한다 | 123 | 0 |
11.7%
|
5 | 잘 모르겠다 | 48 | 0 |
4.6%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장기간 경영 공백으로 인한 회사의 손실을 고려했을 때 재취업 승인은 적절하다 | 180 | 0 |
17.2%
|
2 | 재범 우려가 있어 취업을 제한한 기업인을 복귀시킨 것으로 재취업 승인이 적절하지 않다 | 790 | 0 |
75.4%
|
3 | 잘 모르겠다 | 78 | 0 |
7.4%
|
This variable is numeric
(08826) 서울시 관악구 관악로 1, 101동 250호 서울대학교 한국사회과학자료원
TEL 02-880-2111 FAX 02-883-2694 Email kossda@snu.ac.kr
Copyright ⓒ Korea Social Science Data Archiv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