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SSDA Loading

Interviews on village residents in the Chungnam Area, 2006 : Hapdeok-maeul in Dangjin

한영
ID Number
B3-2006-0008
Title
Interviews on village residents in the Chungnam Area, 2006 : Hapdeok-maeul in Dangjin
DOI
https://doi.org/10.22687/KOSSDA-B3-2006-0008-V1.0
URI
http://hdl.handle.net/20.500.12236/25879
Series
충남지역 마을연구
Citation
Kim, Pil-Dong. Interviews on village residents in the Chungnam Area, 2006 : Hapdeok-maeul in Dangjin [Dataset]. Chungnam Institute of History and Cultur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Producers]. Korea Social Science Data Archive (KOSSDA) [Distributors], 2023-03-13, https://doi.org/10.22687/KOSSDA-B3-2006-0008-V1.0.
Project Title
The Life and Identity of Village Communities in Chungcheongnam-do
Principal Investigator(s)
Kim, Pil-Dong / Department of Soci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Co-Investigator(s)
Park, Chan Seung / Hanyang University
Kwon, Seonjeong / Department of History
Gwak, Ho je / Chungnam Institute of History and Cultur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Yu, Bo Gyeong
Kwon, Byung-oug
Kim, Hyun Sook
Park, Jong-Ick
Producer(s)
Chungnam Institute of History and Cultur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Fundings
Korea Research Foundation
Copyright
Chungnam Institute of History and Cultur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epositor(s)
Kim, Pil-Dong
Date of Deposit
2011-09-16
Distributor(s)
Korea Social Science Data Archive (KOSSDA)
Date of Distribution
2023-03-13
Version
V1.0
Date of Version
2023-03-13
Abstract
충남대학교 마을연구단은 충남지역 농어촌 마을의 역사와 변천과정을 보여주는 마을지 편찬을 목적으로 마을의 지리, 역사, 경제 및 사회 상황, 일상생활과 민속 등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고자 현지조사를 수행하였다. 현지조사 지역은 역사적으로 중요한 인물과 자취를 간직하거나 문화적으로 가치 있는 민속을 보유한 13개 마을로 선정하였다. 조사지역은 평야마을인 부여군 장정마을, 연기군 솔올마을, 당진군 합덕마을, 금산군 불이마을, 논산시 병사마을, 예산군 동서리와 상중리, 산간마을인 아산시 외암마을, 서산시 초록리, 계룡시 향한리, 공주시 한천리, 어촌마을인 태안군 개미목마을과 홍성군 독배마을, 섬마을인 보령시 원산도이다. 현지조사에서는 지역주민 대상의 인터뷰 자료, 관찰기록, 각종 문서와 사진 등이 수집되었다.
이 자료는 당진군 합덕마을에 관한 인터뷰 자료이다. 인터뷰는 합덕리 거주 주민을 대상하였다. 주요 인터뷰 내용은 1899년 합덕성당이 마을에 들어온 이후 지주-소작관계를 통한 주민이주와 천주교 교우촌 형성 과정, 일제강점기와 해방이후 시기 페랭신부의 마을 운영과 일화, 농지개혁과 성당의 토지분배, 성당 중심으로 재편된 주민생활과 성당 조직, 천주교를 통한 서구문물의 유입과 의례 및 물질문화의 변화 등 교우촌으로의 합덕마을에 대한 것이다. 이외 마을지연구로서 마을의 역사(주요 성씨의 입향, 합덕제의 건설, 일제강점기 강제징용, 한국전쟁 당시 좌우 이념대립), 미작중심의 농업, 교통체계의 변화와 상업활동, 마을조직과 교육, 민속과 의례(생애의례, 구비전승)의 내용을 포함한다.
Keywords
ChungnamChungcheongnam-doregional researchcommunitylocal communitylocal communitiesregional identitycommunity identificationrural societyrural developmentrural associationsrural organizationrural liferural culturefolklorefolk culturestraditionethnographyethnographicJapanese colonial erapeasant movementSaemaeul Movementrural economyKorean Warideological conflictweddingfuneral ritesancestral ritual formalitiesvillage researchethnographyvillage historyCatholicCatholic Faith Villagefaith communityreclamation
Topics
Region/ Community
Date of Collection
2005-02-04~2006-10-26
Countries
South Korea (KOR)
Geographic Coverage
당진군 합덕읍 합덕리
Unit of Analysis
지역
Universe
당진군 합덕읍 합덕리 출신 또는 거주 주민
Time Method
횡단연구 (one time cross-sectional study)
Data Source
Population group
Data Collector(s)
Chungnam Institute of History and Cultur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Mode of Data Collection
fieldwork
Weighting
없음
Data Format
Text
Extent of Collection
전사자료 및 요약문(pdf) 23건 ; 인터뷰 리스트(xlsx ; pdf) 1건
Language
전사자료 및 요약문-한글 ; 인터뷰 리스트-한글
Availability Status
Restricted Use
Usage
자료이용신청에 대한 KOSSDA 승인 후 이용이 가능합니다.
File Information
File Type File Name File Description File Format File Size Download
Related Documents-Other interviewlist_b320060008_v1.0.xlsx interviewlist 21.24 kB 다운로드
Related Documents-Other interviewlist_b320060008_v1.0.pdf interviewlist 220.54 kB 다운로드

충남대학교 마을연구단. 2008. 당진 합덕마을 : 소들강문 평야에 가꾼 천주교 교우촌 (충남지역마을지총서 6). 대원사 KSSL Google

권병욱. 2008. 농촌지역의 자치조직을 통해 본 협동관계의 변용- 한일 농촌마을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일본문화학회 KSSL Google

김현숙. 2008. 식민지시대 합덕리의 토지소유관계와 구합덕본당의 농업경영. 한국역사연구회 KSSL Google

박걸순. 2007. 1894년 합덕 농민항쟁의 동인과 양상.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KSSL Google

Hit79 Download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