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SSDA Loading

Panel Study of Worker's Compensation Insurance, 2013-2017 : 1st Cohort 1-5th [Cumulative Data]

한영
Data Type
Survey data
ID Number
A1-CUM-0049
Title
Panel Study of Worker's Compensation Insurance, 2013-2017 : 1st Cohort 1-5th [Cumulative Data]
Alternative Title
PSWCI
DOI
https://doi.org/10.22687/KOSSDA-A1-CUM-0049-V1.0
URI
http://hdl.handle.net/20.500.12236/25781
Series
Panel Study of Worker's Compensation Insurance
Citation
근로복지공단 근로복지연구원 노동복지빅데이터센터. Panel Study of Worker's Compensation Insurance, 2013-2017 : 1st Cohort 1-5th [Cumulative Data] [Dataset]. Labor Welfare Research Institute, Korea Workers' Compensation &, Welfare Service [Producers]. Korea Social Science Data Archive (KOSSDA) [Distributors], 2022-11-24, https://doi.org/10.22687/KOSSDA-A1-CUM-0049-V1.0.
Project Title
Panel Study of Worker's Compensation Insurance, 2013-2017 : 1st Cohort 1-5th
Principal Investigator(s)
근로복지공단 근로복지연구원 노동복지빅데이터센터
Producer(s)
Labor Welfare Research Institute, Korea Workers' Compensation &Welfare Service
Fundings
Labor Welfare Research Institute, Korea Workers' Compensation &, Welfare Service
Copyright
Labor Welfare Research Institute, Korea Workers' Compensation &, Welfare Service
Depositor(s)
Labor Welfare Research Institute, Korea Workers' Compensation &Welfare Service
Date of Deposit
2022-09-27
Distributor(s)
Korea Social Science Data Archive (KOSSDA)
Date of Distribution
2022-11-24
Version
V1.0
Date of Version
2022-11-24
Abstract
근로복지공단 근로복지연구원은 산재요양종결자들의 경제활동상태, 개인 및 가구 특성, 소득・지출, 건강, 삶의 질 등을 추적·조사하여 동태적인 변화를 파악하고 산재보험제도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2013년부터 매년 「산재보험패널조사(Panel Study of Worker's Compensation Insurance)」를 시행하고 있다. 이 자료는 업무상재해를 입은 산재근로자의 요양 종결 이후 5년을 추적하고 있는데, 1차 코호트 조사는 2013년부터 2017년까지 5년 동안 시행하여 완결되었고, 표본을 교체하여 2018년부터 2차 코호트 조사가 시행되고 있으며, 2022년 5차년도 조사로 2차 코호트가 종료될 예정이다. 2017년에 국가승인통계로 지정되었다.
이 자료는 2012년도 산재요양종결자 2,000명을 패널로 하여 2013년부터 2017년까지 수집한 1차 코호트 자료로, 1차 코호트 5개년 누적자료(wide type 및 long type)와 5차년도 메인데이터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 조사내용은 산재근로자 인적 사항, 자격증, 요양·보상 내역, 재활서비스 이용, 재해사업장의 직종, 근무형태, 근로계약형태, 구직 여부, 경제활동 가능 여부, 현재 경제활동상태, 일자리의 업종과 직종, 고용상의 특성, 근로시간, 근무형태, 급여수준, 업무만족도, 이직 의사 및 이유, 사업제 정보, 창업 정보, 실업 상황, 경제적 문제 해결방법, 원하는 일자리와 선택 기준, 경제활동 의사가 없는 이유, 구직상의 어려움, 일자리 이력, 건강상태, 만성질환 유무 및 종류, 의료기관 이용 현황 및 사유, 육체적 장해·제약, 운동·수면시간, 여가활동, 일상생활 도움제공자 현황, 흡연·음주, 산업재해가 삶에 미치는 영향, 사회경제적 지위,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일상생활 만족도, 사회적 관계 교류 정도, 단체활동, 종교활동, 노후 생활비 준비, 건강·노후자금·사회관계·취미여가·직업능력 준비, 개인소득, 가구 자산과 부채, 주거형태 등이다.
Keywords
industrial accidents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insurancejob trainingeconomic activityjob searchjob seekingjob huntingseeking employmentsocial insurancelabor unionsintention of job changework satisfactionjob satisfactionreemploymentstartupbusiness start upunpaid family workersjob vacanciesworking environmentunemployed person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health conditionlong term illnessmedical institutionleisure time activitiessocioeconomic statusself-esteemself-efficacydegree of life satisfactionlevel of life satisfactionsocial relationsgroup activitiescollective actionreligious activitiespreparation for old agejob skillsoccupational abilityvocational competency
Topics
Employment/ Labor
Date of Collection
2013~2017
Countries
South Korea (KOR)
Geographic Coverage
South Korea excluding Jeju
Unit of Analysis
individual
Universe
2012년 요양종결 산재근로자 (외국인, 제주도 거주자, 주소 불명자 제외)
Time Method
Longitudinal: Panel
Data Source
Population group
Data Collector(s)
Gallup Korea
Freq. of Data Collection
every year since 2013
Mode of Data Collection
computer-assisted personal interviewing
Sampling Procedure
1. 2012년 1월부터 12월까지 발생한 산재요양종결근로자를 목표모집단으로 정의
2. 연령(20대 이하, 30대, 40대, 50대, 60대 이상), 권역(서울, 부산, 대구/경북, 강원, 울산/경남, 경기, 인천, 전라, 충청), 장해등급(1-3급, 4-7급, 8-9급, 10-12급, 13-14급, 장해등급 없음)별 할당 후 비례배분
3. 2,000명을 1차 패널로 구축
Number of Cases
1,616 (valid cases)
Response Rates
80.8% (원표본 유지율) [1차년도 100.0%, 2차년도 90.2%, 3차년도 85.2%, 4차년도 83.0%, 5차년도 80.8%]
Weighting
yes
Data Format
Numeric
Extent of Collection
Questionnaire(pdf) ; Codebook(xlsx) ; Data(sav, dta, sas7bdat, xlsx) ; Userguide(pdf)
Language
Questionnaire-Korean ; Codebook-Korean ; Data-Korean ; Userguide-Korean
Availability Status
Public Use
Notes
1. 이 자료는 근로복지연구원이 2018년 12월 5일에 공개한 4.0 버전입니다.
2. 「산재보험패널조사」는 반드시 최신 배포 데이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수정된 내용을 반영하여 버전을 업데이트하고, 관련 파일도 업데이트됩니다.
3. 데이터는 1-5차년도 누적데이터와 5차년도의 메인데이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누적데이터는 통합 형태에 따라 long type과 wide type으로 구분하여 제공합니다.
4. 「산재보험패널조사」는 산재근로자의 요양 종결 후 특성을 고려하여 5년마다 표본을 교체합니다. 1차 코호트(2013~2017)와 2차 코호트(2018~2022)간의 조사대상 및 표본설계틀, 조사내용 등에 차이가 있으므로 자료 활용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자세한 사항은 「유저 가이드」를 참조하십시오.
File Information
File Type File Name File Description File Format File Size Download
Related Documents-Questionnaire(Korean) kor_que_cum0049_pswci_main_1st.pdf 설문지-1차 (한글) PDF 1.8 MB 다운로드
Related Documents-Questionnaire(Korean) kor_que_cum0049_pswci_main_2nd.pdf 설문지-2차 (한글) PDF 36.97 MB 다운로드
Related Documents-Questionnaire(Korean) kor_que_cum0049_pswci_main_3rd.pdf 설문지-3차 (한글) PDF 53.3 MB 다운로드
Related Documents-Questionnaire(Korean) kor_que_cum0049_pswci_main_4th.pdf 설문지-4차 (한글) PDF 34.07 MB 다운로드
Related Documents-Questionnaire(Korean) kor_que_cum0049_pswci_main_5th.pdf 설문지-5차 (한글) PDF 60.19 MB 다운로드
Related Documents-Codebook(Korean) kor_codebook_cum0049_pswci_main_5th_v2.xlsx 코드북-메인데이터 (한글) EXCEL 37.2 MB 다운로드
Related Documents-Codebook(Korean) kor_codebook_cum0049_pswci_wide_long_v2.xlsx 코드북-통합데이터 (한글) EXCEL 20.98 MB 다운로드
Related Documents-Other kor_user_guide_cum0049_pswci_main_1st.pdf 유저가이드-1차 (한글) PDF 716.41 kB 다운로드
Related Documents-Other kor_user_guide_cum0049_pswci_main_2nd.pdf 유저가이드-2차 (한글) PDF 3.5 MB 다운로드
Related Documents-Other kor_user_guide_cum0049_pswci_main_3rd.pdf 유저가이드-3차 (한글) PDF 2.56 MB 다운로드
Related Documents-Other kor_user_guide_cum0049_pswci_main_4th.pdf 유저가이드-4차 (한글) PDF 7.4 MB 다운로드
Related Documents-Other kor_user_guide_cum0049_pswci_main_5th.pdf 유저가이드-5차 (한글) PDF 7.73 MB 다운로드

이예람. 2022. (The) effect of policy improvements in occupational disease approval process on benefits and household debt.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석사 KSSL Google

강다솔, 정창률, 황성환. 2021. 산재근로자의 직업복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불안정 근로자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KSSL Google

안윤주. 2021. 산재요양자의 취업과 직업복귀형태의 상태변화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KSSL Google

S. W. Bae, I. Jeong, J. H. Yoon, S. W. Lee, T. H. Kim, J. U. Won. 2021. Relationship between workers’ return to work, job retention and income in industrial accidents in Korea: A longitudinal study. BMJ Publishing Group/ BMJ Open KSSL Google

유성렬, 임대철, 이동훈. 2021. 산재보험패널조사 2021년 정기통계품질진단 결과보고서. 통계청 통계정책국 품질관리과 KSSL Google

최령, 황병덕. 2021. 산재근로자의 의료서비스 경험에 따른 삶의 질 분석. 한국보건사회학회 KSSL Google

H. K. Kim, K. M. Kim, J. H. Kim, H. S. Rhee. 2021. The effect of changes in employment on health of work-related injured workers: A longitudinal perspectives. MDPI/ AGHealthcare (Switzerland) KSSL Google

김진숙. 2021. 산재근로자의 직업복귀 이후 직무만족도 변화 및 영향요인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변소연. 2021. 산재근로자의 원직복귀와 빈곤.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S. W. Bae. 2021. Effect of professional certification on employees’ return-to-work rate after occupational injuries in Korea: focusing on vulnerable groups. BioMed Central Ltd/ Environmental Health and Preventive Medicine KSSL Google

김종욱. 2020. 산재보험 재활사업 효과성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이진화. 2020. 자격증 보유 여부가 산재 이후 직장복귀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 KSSL Google

황재건. 2020. 산업재해 근로자의 재활서비스 이용의 예측요인.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최령, 황병덕. 2020. 산업재해 환자의 의료서비스 경험과 주관적 건강 인식과의 관계. 보건의료산업학회 KSSL Google

김승완. 2020. 원직장복귀 및 재취업 산재근로자의 재활서비스 욕구가 일상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중소기업융합학회 KSSL Google

박지연, 이명선. 2020. 직장복귀 산재근로자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생태학적 요인. 사단법인 대한보건협회 KSSL Google

송인화 and 남해성. 2020. 산재근로자들의 재활서비스 경험 및 욕구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忠南大學校 大學院 석사 KSSL Google

고민석. 2019. 산재근로자의 일상생활수행 장애가 일상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분석. 한국보건복지학회 KSSL Google

노동희, 조은주, 차윤준, 한승협, 감경윤. 2019. 산재노동자의 직장복귀 형태 및 원직장 고용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한작업치료학회 KSSL Google

S. W. Bae, S. S. Oh, W. M. Park, J. Roh, J. U. Won. 2019. Changes in income after an industrial accident according to industry and return-to-work status. MDPI AG/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KSSL Google

S. K. Park, C. K. Lee. 2019. Pre-injury job characteristics and return to work among injured workers in South Korea: differences by socio-demographic and injury-related characteristics. Taylor and Francis Ltd/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KSSL Google

J. W. Noh, K. B. Kim, J. Cheon, Y. Lee, Y. D. Kwon. 2019. Sex differences in factors associated with general life satisfaction among occupationally injured workers in korea: A panel analysis of the 2013–2017 panel study of worker’s compensation insurance. MDPI AG/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KSSL Google

I. Jeong, J. H. Yoon, J. Roh, J. Rhie, J. U. Won. 2019. Association between the return-to-work hierarchy and self-rated health, self-esteem, and self-efficacy. Springer Verlag/ International Archive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ealth KSSL Google

남예지, 이청아, 홍세희. 2019. 산재 근로자의 직장복귀 후 일자리 만족도의 종단적 변화 및 영향요인 검증: 다집단 잠재성장모형을 통한 원직복귀와 재취업 간 차이 분석.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김지원. 2019. 재취업 산재근로자의 직무적합성이 일자리만족도 및 자발적 이직에 미치는 영향. 한국행정학회 KSSL Google

김수동, 박지환, 최상옥. 2019. 산재근로자의 사회적 관계 요인과 직장복귀에 관한 연구. 한국인사행정학회 KSSL Google

조성희, 김경휘. 2019. 산재근로자의 사회관계 변화와 삶의 만족 변화. 사회과학연구소 KSSL Google

정은혜, 김미옥. 2019. 산재노동자의 자기효능감 변화궤적: 직업 및 관계요인의 시간효과 및 구조관계.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KSSL Google

이정화. 2019. 산재근로자의 직업복귀 성과와 젠더 특성에 관한 종단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KSSL Google

강윤경, 김지원, 홍세희. 2019. 산재근로자의 일자리 만족도에 따른 프로파일의 잠재전이분석과 영향요인 검증.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KSSL Google

이준상. 2019. 산재근로자의 직업복귀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KSSL Google

김미옥, 정은혜. 2019. 직업 복귀 산재노동자의 일만족 영향요인: 가족관계의 종단적 영향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사회복지연구회 KSSL Google

안영신, 조성재, 김민. 2019. 산재장애인의 직업복귀 형태에 따른 직업만족도 비교연구. 한국직업재활학회 KSSL Google

신슬비. 2019. 산재보험패널조사 데이터의 품질개선 연구. 근로복지공단 근로복지연구원 KSSL Google

조영인. 2019. 직업복귀 산재근로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 KSSL Google

박지연. 2019. 직장복귀 산재근로자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생태학적 요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 KSSL Google

S. W. Bae, S. Yun, Y. S. Lee, J. H. Yoon, J. Roh, J. U. Won. 2018. Income changes due to disability ratings and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caused by industrial accidents: A population-based study of data from the fourth panel study of workers’ compensation insurance (PSWCI). MDPI AG/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KSSL Google

I. Jeong, J. B. Park, H. R. Kim, J. H. Yoon, J. U. Won, J. Roh. 2018. Impacts of return-to-work type and period on job retention in workers with occupational injuries and diseases. Korean Academy of Medical Science/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KSSL Google

J. Lee, H. R. Kim. 2018. Prediction of return-to-original-work after an industrial accident using machine learning and comparison of techniques. Korean Academy of Medical Science/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KSSL Google

최령, 황병덕. 2018. 산재보험패널을 이용한 산업재해 근로자의 이직의사 영향 요인. 보건의료산업학회 KSSL Google

김지원. 2018. 산재근로자 직업재활서비스 지원이 동태적 고용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행정학회 KSSL Google

배화숙. 2018. 산재근로자의 재활서비스 이용욕구 변동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KSSL Google

이상진. 2018. 원직장 복귀 산재근로자의원직장 이탈 결정요인 분석 연구. 한국직업재활학회 KSSL Google

이정화, 신슬비. 2018. 제5차 산재보험패널조사 이용자 안내서. 근로복지공단 근로복지연구원 KSSL Google

이정화, 신슬비. 2018. 제5차 산재보험패널조사 기초분석 보고서. 근로복지공단 근로복지연구원 KSSL Google

박애선. 2018. 재취업 산재근로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웰니스학회 KSSL Google

김영춘. 2018. 산재 근로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KSSL Google

박은주. 2018. 산재근로자의 요양종결 후 재취업 소요기간 및 영향요인 분석. 한국사회보장학회 KSSL Google

이정화. 2017. ‘괜찮은 직업복귀(Decent Return-To-Work)’: 개인, 분절된 노동시장, 제도 차원의 접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KSSL Google

박수경, 이충권, 이성민. 2017. 산재근로자의 인구사회학적, 재해 관련, 근무환경 특성이 직업복귀 유형에 미치는 영향. (사)위기관리이론과실천 KSSL Google

배화숙. 2017. 산업재해근로자 노동시장이행의 성격과 영향요인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KSSL Google

전동일, 김상용. 2017. 산재근로자의 산재재활서비스 욕구 유형과 설명요인.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KSSL Google

한기명, 이민아. 2017. 산재근로자의 직업복귀 이후 고용유지 영향 요인: 재발사건생존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연구회 KSSL Google

정인철. 2017. Return-to-work and job retention in workers with occupational injuries and diseases.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박사 KSSL Google

이정화, 신슬비. 2017. 제4차 산재보험패널조사 기초분석 보고서. 근로복지공단 근로복지연구원 KSSL Google

이정화, 신슬비. 2017. 제4차 산재보험패널조사 이용자 안내서. 근로복지공단 근로복지연구원 KSSL Google

석홍덕. 2017. Health inequity of occupational injured workers according to perceived socioeconomic status.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박사 KSSL Google

H. Seok, J. H. Yoon, J. Roh, J. Kim, Y. K. Kim, W. Lee, J. Rhie, J. U. Won. 2017. The association between su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and health inequity in victims of occupational accidents in Korea. Japan Society for Occupational Health/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KSSL Google

이은혜, 이현실, 양지안. 2017. 산재근로자의 직장복귀형태에 따른 일상생활 및 직무만족도 영향 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KSSL Google

박유진, 임예직. 2017. 산재근로자의 신체, 심리, 직업적 요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구조방정식 모형 구축을 통해. 한국직업재활학회 KSSL Google

최령, 황병덕. 2017. 산재장애인의 사회경제적 지위 인식과 주관적 건강상태와의 관련성. 보건의료산업학회 KSSL Google

김경희, 송진영. 2017. 장해를 가진 산업재해근로자의 경제활동과 사회경제적 지위상태의 변화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KSSL Google

최근호, 유동희. 2016. 산재근로자의 원직장 복귀 후 지속적인 고용유지를 위한 데이터 마이닝 기반의 주요 요인 및 패턴 도출 연구. 한국직업재활학회 KSSL Google

이웅, 엄명용. 2016. 산재근로자의 직업복귀 이후 일자리만족도 영향요인 탐색 - 원직장복귀자와 타직장재취업자 간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학회 KSSL Google

최길용, 양경수. 2016. 비정규직 여성근로자의 고용특성 및 건강에 미치는 인자: 산재보험패널조사. 보건의료산업학회 KSSL Google

송진영. 2016. 산업재해요양 이후 원직장복귀자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KSSL Google

김채봉, 양정희, 최보람, 한성민. 2016. 산업재해 직업복귀자의 업무수행능력 융합적 영향 요인. 한국융합학회 KSSL Google

안성아, 염동문. 2016. 산업재해 근로자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재활복지공학회 KSSL Google

최길용, 양경수. 2016. 산업재해 남성 근로자의 작업환경의 특성에 관한 연구: 산재보험패널조사. 보건의료산업학회 KSSL Google

심현진, 이현실. 2016. 산재보험 재활사업 프로그램 질적 정보격차가 직무와 일상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향 - 자존감의 매개효과 검정. 보건의료산업학회 KSSL Google

임정연, 이영민. 2016. 원직복귀 산재근로자의 직장적응 영향요인 분석. 인문사회과학연구소 KSSL Google

심정민. 2016. 산재근로자의 원직복귀와 직업복귀 영향 요인 연구. 한림대학교 보건과학대학원 석사 KSSL Google

H. Seok, J. H. Yoon, W. Lee, J. H. Lee, P. K. Jung, J. Roh, J. U. Won. 2016. The perceived socioeconomic status is an important factor of health recovery for victims of occupational accidents in Korea. Korean Academy of Medical Science/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KSSL Google

이정화, 신슬비, 지영수. 2016. 제3차 산재보험패널조사 이용자안내서. 근로복지공단 근로복지연구원 KSSL Google

이정화, 신슬비, 지영수. 2016. 제3차 산재보험패널조사 기초분석보고서. 근로복지공단 근로복지연구원 KSSL Google

안준기, 오세미. 2015. 산재근로자의 경제활동 변동 및 자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보장학회 KSSL Google

이윤진, 이다미. 2015. 산재근로자의 재활서비스 이용 욕구와 성공적인 직업복귀: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KSSL Google

권택순. 2015. 산재근로자의 요양 종결 후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신혜리, 김명일. 2015. 산재근로자들의 재활서비스 경험이 직장복귀 및 원직장복귀에 미치는 효과: 성향점수매칭(PSM)을 중심으로. 한국직업재활학회 KSSL Google

W. Lee, J. H. Yoon, J. Roh, Y. K. Kim, H. Seok, J. H. Lee, J. U. Won. 2015. Factors related to the physician and the employer influencing successful return to work in Korea: Results from the first panel study of workers' compensation insurance (PSWCI). BioMed Central Ltd./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KSSL Google

J. Lee, M. Choi, S. H. Park, H. R. Kim, H. E. Lee. 2015. The effects of individual, occupational, and supportive factors on successful return to work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BioMed Central Ltd./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KSSL Google

배화숙. 2015. 산업재해 후 실직・비경제활동인구의 욕구분석과 노동시장이행서비스 개선방안. 한국직업재활학회 KSSL Google

문용필, 원서진. 2015. 산재경험 고령자의 경제적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앤더슨 모형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KSSL Google

고길곤, 탁현우, 강세진. 2015. 설문조사에서 문항의 역코딩 여부가 응답결과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 측정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KSSL Google

김선미, 김은하. 2015. 산재근로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심리사회적 요인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KSSL Google

도기쁨, 김수연, 김양진. 2015. 경쟁위험분석을 이용한산재 근로자의 원직장복귀에 대한 연구.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KSSL Google

장유미, 염동문. 2015. 산재장애인 재활서비스와 일상생활만족도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한국재활복지공학회 KSSL Google

임찬수; 신슬비; 지영수. 2015. 제2차 산재보험패널조사 기초분석보고서. 근로복지공단 근로복지정책연구센터 KSSL Google

임찬수, 신슬비, 김관석, 마경태, 지영수. 2014. 제1차 산재보험패널조사 기초분석 보고서. 근로복지공단 근로복지정책연구센터 KSSL Google

배화숙. 2014. 산업재해 근로자의 노동시장이행 관련 요인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KSSL Google

Hit374 Download9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