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3.0에 대한 인식조사, 2016 : 전문가
https://doi.org/10.22687/KOSSDA-A1-2016-0087-V1.0
임성근 / 한국행정연구원 부연구위원
이 조사는 한국행정연구원이 박근혜 정부가 제시한 정부운영 패러다임인 정부3.0의 추진 현황과 국민들이 체감하는 정부3.0에 대한 인식을 파악함으로써 정부3.0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자 시행한 것이다. 정부3.0이란 공공정보를 적극적으로 개방하고 공유하며 부처간 칸막이를 없애 소통하고 협력함으로써 국민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동시에 일자리 창출과 창조경제를 지원하는 새로운 정부운영 패러다임을 뜻한다. 자료 수집은 공무원과 일반 국민, 전문가를 대상으로 각각 실시되었다.
이 자료는 한국행정학회나 2016년 행정자치부에서 지정한 정부3.0 강사단에 소속된 전문가로부터 수집되었으며, 주요 조사내용은 정부3.0의 이미지, 정부3.0 인지 여부 및 인지 경로, 정부3.0의 필요성, 정부3.0의 3대 목표 중요도, 정부3.0의 8대 핵심과제 중요도 및 만족도, 정부3.0 공공서비스 중요도 및 만족도, 정부3.0 관련 시책 평가, 정부3.0 추진 실태 평가, 정부3.0 추진 성과 평가, 기관의 조직운영 및 정책 경향성, 정부3.0의 효과적 추진 방안 등이다.
파일유형 | 파일명 | 파일내용 | 파일형식 | 파일크기 | 다운로드 |
---|---|---|---|---|---|
관련파일-설문지(한글) | kor_que_20160087.pdf | 설문지 (한글) | 174.19 kB | 다운로드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남성 | 89 | 0 |
88.1%
|
2 | 여성 | 12 | 0 |
11.9%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대학교수(강사 포함) | 81 | 0 |
80.2%
|
2 | 연구기관 소속 연구원 | 14 | 0 |
13.9%
|
3 | 공공기관 임직원(공무원 포함) | 4 | 0 |
4%
|
4 | 시민단체 등 활동가 | 1 | 0 |
1%
|
6 | 민간기관 | 1 | 0 |
1%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행정학 | 84 | 0 |
83.2%
|
2 | 정책학 | 6 | 0 |
5.9%
|
3 | 정치학 | 0 | 0 |
0%
|
4 | 법학 | 0 | 0 |
0%
|
5 | 경영학 | 5 | 0 |
5%
|
6 | 컴퓨터공학(IT 관련 등 포함) | 0 | 0 |
0%
|
7 | 컴퓨터공학 | 4 | 0 |
4%
|
9 | 신학 | 1 | 0 |
1%
|
10 | 공학 | 1 | 0 |
1%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공공정보 공개 | 48 | 0 |
47.5%
|
2 | 부처간 협업 | 19 | 0 |
18.8%
|
3 | 맞춤형 행정서비스 | 16 | 0 |
15.8%
|
4 | 정부혁신 | 6 | 0 |
5.9%
|
5 | 과학적 행정 | 1 | 0 |
1%
|
6 | 전자정부 | 7 | 0 |
6.9%
|
7 | 일자리·신성장동력 창출화 | 0 | 0 |
0%
|
8 | 정부운영의 효율화 | 1 | 0 |
1%
|
9 | 떠오르는 것이 없음 | 3 | 0 |
3%
|
10 | 기타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공공정보 공개 | 15 | 0 |
14.9%
|
2 | 부처간 협업 | 27 | 0 |
26.7%
|
3 | 맞춤형 행정서비스 | 19 | 0 |
18.8%
|
4 | 정부혁신 | 12 | 0 |
11.9%
|
5 | 과학적 행정 | 2 | 0 |
2%
|
6 | 전자정부 | 14 | 0 |
13.9%
|
7 | 일자리·신성장동력 창출화 | 2 | 0 |
2%
|
8 | 정부운영의 효율화 | 7 | 0 |
6.9%
|
9 | 떠오르는 것이 없음 | 3 | 0 |
3%
|
10 | 기타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잘 알고 있다 | 45 | 0 |
44.6%
|
2 | 어느 정도 알고 있다 | 49 | 0 |
48.5%
|
3 | 들어본 적은 있지만, 잘 모른다 | 7 | 0 |
6.9%
|
4 | 전혀 모른다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중앙정부, 지자체의 교육 및 홍보자료를 통해 | 47 | 0 |
46.5%
|
2 | 주변사람을 통해(직장동료, 친구, 가족 등) | 8 | 0 |
7.9%
|
3 | 논문, 세미나 등을 통해서 | 20 | 0 |
19.8%
|
4 | 언론보도를 통해(TV, 라디오, 신문 등) | 12 | 0 |
11.9%
|
5 | 인터넷을 통해(정부 홈페이지, 지자체 홈페이지, 포털사이트 등) | 9 | 0 |
8.9%
|
6 | SNS(트위터, 페이스북, 블로그, 카톡, 라인 등)를 통해 | 1 | 0 |
1%
|
7 | 공공기관, 지하철, 버스정류장 등의 홍보물, 홍보문자 등을 통해 | 1 | 0 |
1%
|
9 | 기타(업무 담당자) | 0 | 0 |
0%
|
11 | 기타(정보화 교육) | 0 | 0 |
0%
|
12 | 기타(서적) | 0 | 0 |
0%
|
13 | 기타(관련과제 작성) | 0 | 0 |
0%
|
14 | 기타(실무부서 자문) | 3 | 0 |
3%
|
15 | 기타(강사단) | 0 | 0 |
0%
|
16 | 기타(라디오광고)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중앙정부, 지자체의 교육 및 홍보자료를 통해 | 23 | 0 |
22.8%
|
2 | 주변사람을 통해(직장동료, 친구, 가족 등) | 6 | 0 |
5.9%
|
3 | 논문, 세미나 등을 통해서 | 26 | 0 |
25.7%
|
4 | 언론보도를 통해(TV, 라디오, 신문 등) | 11 | 0 |
10.9%
|
5 | 인터넷을 통해(정부 홈페이지, 지자체 홈페이지, 포털사이트 등) | 29 | 0 |
28.7%
|
6 | SNS(트위터, 페이스북, 블로그, 카톡, 라인 등)를 통해 | 1 | 0 |
1%
|
7 | 공공기관, 지하철, 버스정류장 등의 홍보물, 홍보문자 등을 통해 | 5 | 0 |
5%
|
9 | 기타(업무 담당자) | 0 | 0 |
0%
|
11 | 기타(정보화 교육) | 0 | 0 |
0%
|
12 | 기타(서적) | 0 | 0 |
0%
|
13 | 기타(관련과제 작성) | 0 | 0 |
0%
|
14 | 기타(실무부서 자문) | 0 | 0 |
0%
|
15 | 기타(강사단) | 0 | 0 |
0%
|
16 | 기타(라디오광고)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 | 실무부서 자문 | 1 | 0 |
33.3%
|
- | 자문 및 평가 참여 | 1 | 0 |
33.3%
|
- | 지수연구 참여 | 1 | 0 |
33.3%
|
This variable is character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필요하지 않다 | 0 | 0 |
0%
|
2 | 필요하지 않다 | 0 | 0 |
0%
|
3 | 그저 그렇다 | 2 | 0 |
2%
|
4 | 필요하다 | 44 | 0 |
43.6%
|
5 | 매우 필요하다 | 55 | 0 |
54.5%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중요하지 않다 | 0 | 0 |
0%
|
2 | 중요하지 않다 | 0 | 0 |
0%
|
3 | 그저 그렇다 | 10 | 0 |
9.9%
|
4 | 중요하다 | 37 | 0 |
36.6%
|
5 | 매우 중요하다 | 54 | 0 |
53.5%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중요하지 않다 | 0 | 0 |
0%
|
2 | 중요하지 않다 | 0 | 0 |
0%
|
3 | 그저 그렇다 | 4 | 0 |
4%
|
4 | 중요하다 | 32 | 0 |
31.7%
|
5 | 매우 중요하다 | 65 | 0 |
64.4%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중요하지 않다 | 0 | 0 |
0%
|
2 | 중요하지 않다 | 1 | 0 |
1%
|
3 | 그저 그렇다 | 2 | 0 |
2%
|
4 | 중요하다 | 26 | 0 |
25.7%
|
5 | 매우 중요하다 | 72 | 0 |
71.3%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중요하지 않다 | 0 | 0 |
0%
|
2 | 중요하지 않다 | 0 | 0 |
0%
|
3 | 그저 그렇다 | 7 | 0 |
6.9%
|
4 | 중요하다 | 48 | 0 |
47.5%
|
5 | 매우 중요하다 | 46 | 0 |
45.5%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중요하지 않다 | 0 | 0 |
0%
|
2 | 중요하지 않다 | 1 | 0 |
1%
|
3 | 그저 그렇다 | 7 | 0 |
6.9%
|
4 | 중요하다 | 46 | 0 |
45.5%
|
5 | 매우 중요하다 | 47 | 0 |
46.5%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중요하지 않다 | 1 | 0 |
1%
|
2 | 중요하지 않다 | 4 | 0 |
4%
|
3 | 그저 그렇다 | 11 | 0 |
10.9%
|
4 | 중요하다 | 56 | 0 |
55.4%
|
5 | 매우 중요하다 | 29 | 0 |
28.7%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중요하지 않다 | 1 | 0 |
1%
|
2 | 중요하지 않다 | 8 | 0 |
7.9%
|
3 | 그저 그렇다 | 29 | 0 |
28.7%
|
4 | 중요하다 | 44 | 0 |
43.6%
|
5 | 매우 중요하다 | 19 | 0 |
18.8%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중요하지 않다 | 0 | 0 |
0%
|
2 | 중요하지 않다 | 0 | 0 |
0%
|
3 | 그저 그렇다 | 3 | 0 |
3%
|
4 | 중요하다 | 33 | 0 |
32.7%
|
5 | 매우 중요하다 | 65 | 0 |
64.4%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중요하지 않다 | 1 | 0 |
1%
|
2 | 중요하지 않다 | 5 | 0 |
5%
|
3 | 그저 그렇다 | 20 | 0 |
19.8%
|
4 | 중요하다 | 44 | 0 |
43.6%
|
5 | 매우 중요하다 | 31 | 0 |
30.7%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중요하지 않다 | 1 | 0 |
1%
|
2 | 중요하지 않다 | 1 | 0 |
1%
|
3 | 그저 그렇다 | 5 | 0 |
5%
|
4 | 중요하다 | 49 | 0 |
48.5%
|
5 | 매우 중요하다 | 45 | 0 |
44.6%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중요하지 않다 | 2 | 0 |
2%
|
2 | 중요하지 않다 | 6 | 0 |
5.9%
|
3 | 그저 그렇다 | 11 | 0 |
10.9%
|
4 | 중요하다 | 59 | 0 |
58.4%
|
5 | 매우 중요하다 | 23 | 0 |
22.8%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만족하지 않는다 | 8 | 0 |
7.9%
|
2 | 만족하지 않는다 | 33 | 0 |
32.7%
|
3 | 그저 그렇다 | 49 | 0 |
48.5%
|
4 | 만족하다 | 10 | 0 |
9.9%
|
5 | 매우 만족한다 | 1 | 0 |
1%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만족하지 않는다 | 4 | 0 |
4%
|
2 | 만족하지 않는다 | 36 | 0 |
35.6%
|
3 | 그저 그렇다 | 46 | 0 |
45.5%
|
4 | 만족하다 | 14 | 0 |
13.9%
|
5 | 매우 만족한다 | 1 | 0 |
1%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만족하지 않는다 | 8 | 0 |
7.9%
|
2 | 만족하지 않는다 | 35 | 0 |
34.7%
|
3 | 그저 그렇다 | 44 | 0 |
43.6%
|
4 | 만족하다 | 13 | 0 |
12.9%
|
5 | 매우 만족한다 | 1 | 0 |
1%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만족하지 않는다 | 12 | 0 |
11.9%
|
2 | 만족하지 않는다 | 35 | 0 |
34.7%
|
3 | 그저 그렇다 | 47 | 0 |
46.5%
|
4 | 만족하다 | 6 | 0 |
5.9%
|
5 | 매우 만족한다 | 1 | 0 |
1%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만족하지 않는다 | 17 | 0 |
16.8%
|
2 | 만족하지 않는다 | 40 | 0 |
39.6%
|
3 | 그저 그렇다 | 36 | 0 |
35.6%
|
4 | 만족하다 | 6 | 0 |
5.9%
|
5 | 매우 만족한다 | 2 | 0 |
2%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만족하지 않는다 | 6 | 0 |
5.9%
|
2 | 만족하지 않는다 | 34 | 0 |
33.7%
|
3 | 그저 그렇다 | 51 | 0 |
50.5%
|
4 | 만족하다 | 9 | 0 |
8.9%
|
5 | 매우 만족한다 | 1 | 0 |
1%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만족하지 않는다 | 6 | 0 |
5.9%
|
2 | 만족하지 않는다 | 38 | 0 |
37.6%
|
3 | 그저 그렇다 | 34 | 0 |
33.7%
|
4 | 만족하다 | 22 | 0 |
21.8%
|
5 | 매우 만족한다 | 1 | 0 |
1%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만족하지 않는다 | 8 | 0 |
7.9%
|
2 | 만족하지 않는다 | 38 | 0 |
37.6%
|
3 | 그저 그렇다 | 47 | 0 |
46.5%
|
4 | 만족하다 | 7 | 0 |
6.9%
|
5 | 매우 만족한다 | 1 | 0 |
1%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중요하지 않다 | 0 | 0 |
0%
|
2 | 중요하지 않다 | 1 | 0 |
1%
|
3 | 그저 그렇다 | 10 | 0 |
9.9%
|
4 | 중요하다 | 51 | 0 |
50.5%
|
5 | 매우 중요하다 | 39 | 0 |
38.6%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중요하지 않다 | 0 | 0 |
0%
|
2 | 중요하지 않다 | 1 | 0 |
1%
|
3 | 그저 그렇다 | 14 | 0 |
13.9%
|
4 | 중요하다 | 54 | 0 |
53.5%
|
5 | 매우 중요하다 | 32 | 0 |
31.7%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중요하지 않다 | 0 | 0 |
0%
|
2 | 중요하지 않다 | 3 | 0 |
3%
|
3 | 그저 그렇다 | 21 | 0 |
20.8%
|
4 | 중요하다 | 53 | 0 |
52.5%
|
5 | 매우 중요하다 | 24 | 0 |
23.8%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중요하지 않다 | 2 | 0 |
2%
|
2 | 중요하지 않다 | 7 | 0 |
6.9%
|
3 | 그저 그렇다 | 23 | 0 |
22.8%
|
4 | 중요하다 | 47 | 0 |
46.5%
|
5 | 매우 중요하다 | 22 | 0 |
21.8%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중요하지 않다 | 0 | 0 |
0%
|
2 | 중요하지 않다 | 2 | 0 |
2%
|
3 | 그저 그렇다 | 10 | 0 |
9.9%
|
4 | 중요하다 | 49 | 0 |
48.5%
|
5 | 매우 중요하다 | 40 | 0 |
39.6%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중요하지 않다 | 0 | 0 |
0%
|
2 | 중요하지 않다 | 5 | 0 |
5%
|
3 | 그저 그렇다 | 17 | 0 |
16.8%
|
4 | 중요하다 | 47 | 0 |
46.5%
|
5 | 매우 중요하다 | 32 | 0 |
31.7%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중요하지 않다 | 0 | 0 |
0%
|
2 | 중요하지 않다 | 2 | 0 |
2%
|
3 | 그저 그렇다 | 16 | 0 |
15.8%
|
4 | 중요하다 | 45 | 0 |
44.6%
|
5 | 매우 중요하다 | 38 | 0 |
37.6%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중요하지 않다 | 0 | 0 |
0%
|
2 | 중요하지 않다 | 3 | 0 |
3%
|
3 | 그저 그렇다 | 7 | 0 |
6.9%
|
4 | 중요하다 | 59 | 0 |
58.4%
|
5 | 매우 중요하다 | 32 | 0 |
31.7%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중요하지 않다 | 0 | 0 |
0%
|
2 | 중요하지 않다 | 0 | 0 |
0%
|
3 | 그저 그렇다 | 8 | 0 |
7.9%
|
4 | 중요하다 | 47 | 0 |
46.5%
|
5 | 매우 중요하다 | 46 | 0 |
45.5%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만족하지 않는다 | 6 | 0 |
5.9%
|
2 | 만족하지 않는다 | 30 | 0 |
29.7%
|
3 | 그저 그렇다 | 47 | 0 |
46.5%
|
4 | 만족하다 | 15 | 0 |
14.9%
|
5 | 매우 만족한다 | 3 | 0 |
3%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만족하지 않는다 | 6 | 0 |
5.9%
|
2 | 만족하지 않는다 | 20 | 0 |
19.8%
|
3 | 그저 그렇다 | 51 | 0 |
50.5%
|
4 | 만족하다 | 20 | 0 |
19.8%
|
5 | 매우 만족한다 | 4 | 0 |
4%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만족하지 않는다 | 5 | 0 |
5%
|
2 | 만족하지 않는다 | 13 | 0 |
12.9%
|
3 | 그저 그렇다 | 56 | 0 |
55.4%
|
4 | 만족하다 | 22 | 0 |
21.8%
|
5 | 매우 만족한다 | 5 | 0 |
5%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만족하지 않는다 | 3 | 0 |
3%
|
2 | 만족하지 않는다 | 9 | 0 |
8.9%
|
3 | 그저 그렇다 | 44 | 0 |
43.6%
|
4 | 만족하다 | 31 | 0 |
30.7%
|
5 | 매우 만족한다 | 14 | 0 |
13.9%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만족하지 않는다 | 7 | 0 |
6.9%
|
2 | 만족하지 않는다 | 20 | 0 |
19.8%
|
3 | 그저 그렇다 | 48 | 0 |
47.5%
|
4 | 만족하다 | 22 | 0 |
21.8%
|
5 | 매우 만족한다 | 4 | 0 |
4%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만족하지 않는다 | 2 | 0 |
2%
|
2 | 만족하지 않는다 | 19 | 0 |
18.8%
|
3 | 그저 그렇다 | 39 | 0 |
38.6%
|
4 | 만족하다 | 32 | 0 |
31.7%
|
5 | 매우 만족한다 | 9 | 0 |
8.9%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만족하지 않는다 | 2 | 0 |
2%
|
2 | 만족하지 않는다 | 14 | 0 |
13.9%
|
3 | 그저 그렇다 | 33 | 0 |
32.7%
|
4 | 만족하다 | 38 | 0 |
37.6%
|
5 | 매우 만족한다 | 14 | 0 |
13.9%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만족하지 않는다 | 3 | 0 |
3%
|
2 | 만족하지 않는다 | 13 | 0 |
12.9%
|
3 | 그저 그렇다 | 40 | 0 |
39.6%
|
4 | 만족하다 | 38 | 0 |
37.6%
|
5 | 매우 만족한다 | 7 | 0 |
6.9%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만족하지 않는다 | 2 | 0 |
2%
|
2 | 만족하지 않는다 | 14 | 0 |
13.9%
|
3 | 그저 그렇다 | 34 | 0 |
33.7%
|
4 | 만족하다 | 35 | 0 |
34.7%
|
5 | 매우 만족한다 | 16 | 0 |
15.8%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그렇지 않다 | 3 | 0 |
3%
|
2 | 그렇지 않다 | 31 | 0 |
30.7%
|
3 | 그저 그렇다 | 24 | 0 |
23.8%
|
4 | 그렇다 | 34 | 0 |
33.7%
|
5 | 매우 그렇다 | 9 | 0 |
8.9%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그렇지 않다 | 2 | 0 |
2%
|
2 | 그렇지 않다 | 13 | 0 |
12.9%
|
3 | 그저 그렇다 | 9 | 0 |
8.9%
|
4 | 그렇다 | 50 | 0 |
49.5%
|
5 | 매우 그렇다 | 27 | 0 |
26.7%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그렇지 않다 | 5 | 0 |
5%
|
2 | 그렇지 않다 | 19 | 0 |
18.8%
|
3 | 그저 그렇다 | 46 | 0 |
45.5%
|
4 | 그렇다 | 29 | 0 |
28.7%
|
5 | 매우 그렇다 | 2 | 0 |
2%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그렇지 않다 | 5 | 0 |
5%
|
2 | 그렇지 않다 | 26 | 0 |
25.7%
|
3 | 그저 그렇다 | 37 | 0 |
36.6%
|
4 | 그렇다 | 30 | 0 |
29.7%
|
5 | 매우 그렇다 | 3 | 0 |
3%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그렇지 않다 | 4 | 0 |
4%
|
2 | 그렇지 않다 | 23 | 0 |
22.8%
|
3 | 그저 그렇다 | 39 | 0 |
38.6%
|
4 | 그렇다 | 33 | 0 |
32.7%
|
5 | 매우 그렇다 | 2 | 0 |
2%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그렇지 않다 | 5 | 0 |
5%
|
2 | 그렇지 않다 | 23 | 0 |
22.8%
|
3 | 그저 그렇다 | 36 | 0 |
35.6%
|
4 | 그렇다 | 34 | 0 |
33.7%
|
5 | 매우 그렇다 | 3 | 0 |
3%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그렇지 않다 | 3 | 0 |
3%
|
2 | 그렇지 않다 | 26 | 0 |
25.7%
|
3 | 그저 그렇다 | 32 | 0 |
31.7%
|
4 | 그렇다 | 36 | 0 |
35.6%
|
5 | 매우 그렇다 | 4 | 0 |
4%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그렇지 않다 | 2 | 0 |
2%
|
2 | 그렇지 않다 | 18 | 0 |
17.8%
|
3 | 그저 그렇다 | 38 | 0 |
37.6%
|
4 | 그렇다 | 39 | 0 |
38.6%
|
5 | 매우 그렇다 | 4 | 0 |
4%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그렇지 않다 | 8 | 0 |
7.9%
|
2 | 그렇지 않다 | 24 | 0 |
23.8%
|
3 | 그저 그렇다 | 32 | 0 |
31.7%
|
4 | 그렇다 | 35 | 0 |
34.7%
|
5 | 매우 그렇다 | 2 | 0 |
2%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그렇지 않다 | 8 | 0 |
7.9%
|
2 | 그렇지 않다 | 19 | 0 |
18.8%
|
3 | 그저 그렇다 | 26 | 0 |
25.7%
|
4 | 그렇다 | 37 | 0 |
36.6%
|
5 | 매우 그렇다 | 11 | 0 |
10.9%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그렇지 않다 | 11 | 0 |
10.9%
|
2 | 그렇지 않다 | 24 | 0 |
23.8%
|
3 | 그저 그렇다 | 37 | 0 |
36.6%
|
4 | 그렇다 | 26 | 0 |
25.7%
|
5 | 매우 그렇다 | 3 | 0 |
3%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그렇지 않다 | 7 | 0 |
6.9%
|
2 | 그렇지 않다 | 27 | 0 |
26.7%
|
3 | 그저 그렇다 | 42 | 0 |
41.6%
|
4 | 그렇다 | 25 | 0 |
24.8%
|
5 | 매우 그렇다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그렇지 않다 | 6 | 0 |
5.9%
|
2 | 그렇지 않다 | 28 | 0 |
27.7%
|
3 | 그저 그렇다 | 52 | 0 |
51.5%
|
4 | 그렇다 | 15 | 0 |
14.9%
|
5 | 매우 그렇다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그렇지 않다 | 7 | 0 |
6.9%
|
2 | 그렇지 않다 | 35 | 0 |
34.7%
|
3 | 그저 그렇다 | 51 | 0 |
50.5%
|
4 | 그렇다 | 8 | 0 |
7.9%
|
5 | 매우 그렇다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그렇지 않다 | 6 | 0 |
5.9%
|
2 | 그렇지 않다 | 34 | 0 |
33.7%
|
3 | 그저 그렇다 | 41 | 0 |
40.6%
|
4 | 그렇다 | 18 | 0 |
17.8%
|
5 | 매우 그렇다 | 2 | 0 |
2%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그렇지 않다 | 12 | 0 |
11.9%
|
2 | 그렇지 않다 | 34 | 0 |
33.7%
|
3 | 그저 그렇다 | 39 | 0 |
38.6%
|
4 | 그렇다 | 16 | 0 |
15.8%
|
5 | 매우 그렇다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그렇지 않다 | 12 | 0 |
11.9%
|
2 | 그렇지 않다 | 38 | 0 |
37.6%
|
3 | 그저 그렇다 | 38 | 0 |
37.6%
|
4 | 그렇다 | 12 | 0 |
11.9%
|
5 | 매우 그렇다 | 1 | 0 |
1%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그렇지 않다 | 12 | 0 |
11.9%
|
2 | 그렇지 않다 | 35 | 0 |
34.7%
|
3 | 그저 그렇다 | 41 | 0 |
40.6%
|
4 | 그렇다 | 12 | 0 |
11.9%
|
5 | 매우 그렇다 | 1 | 0 |
1%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그렇지 않다 | 18 | 0 |
17.8%
|
2 | 그렇지 않다 | 31 | 0 |
30.7%
|
3 | 그저 그렇다 | 41 | 0 |
40.6%
|
4 | 그렇다 | 11 | 0 |
10.9%
|
5 | 매우 그렇다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그렇지 않다 | 7 | 0 |
6.9%
|
2 | 그렇지 않다 | 32 | 0 |
31.7%
|
3 | 그저 그렇다 | 43 | 0 |
42.6%
|
4 | 그렇다 | 19 | 0 |
18.8%
|
5 | 매우 그렇다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그렇지 않다 | 5 | 0 |
5%
|
2 | 그렇지 않다 | 24 | 0 |
23.8%
|
3 | 그저 그렇다 | 41 | 0 |
40.6%
|
4 | 그렇다 | 31 | 0 |
30.7%
|
5 | 매우 그렇다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그렇지 않다 | 6 | 0 |
5.9%
|
2 | 그렇지 않다 | 24 | 0 |
23.8%
|
3 | 그저 그렇다 | 52 | 0 |
51.5%
|
4 | 그렇다 | 19 | 0 |
18.8%
|
5 | 매우 그렇다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그렇지 않다 | 15 | 0 |
14.9%
|
2 | 그렇지 않다 | 34 | 0 |
33.7%
|
3 | 그저 그렇다 | 43 | 0 |
42.6%
|
4 | 그렇다 | 9 | 0 |
8.9%
|
5 | 매우 그렇다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그렇지 않다 | 14 | 0 |
13.9%
|
2 | 그렇지 않다 | 36 | 0 |
35.6%
|
3 | 그저 그렇다 | 40 | 0 |
39.6%
|
4 | 그렇다 | 11 | 0 |
10.9%
|
5 | 매우 그렇다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그렇지 않다 | 15 | 0 |
14.9%
|
2 | 그렇지 않다 | 32 | 0 |
31.7%
|
3 | 그저 그렇다 | 41 | 0 |
40.6%
|
4 | 그렇다 | 13 | 0 |
12.9%
|
5 | 매우 그렇다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그렇지 않다 | 6 | 0 |
5.9%
|
2 | 그렇지 않다 | 27 | 0 |
26.7%
|
3 | 그저 그렇다 | 36 | 0 |
35.6%
|
4 | 그렇다 | 30 | 0 |
29.7%
|
5 | 매우 그렇다 | 2 | 0 |
2%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그렇지 않다 | 10 | 0 |
9.9%
|
2 | 그렇지 않다 | 29 | 0 |
28.7%
|
3 | 그저 그렇다 | 51 | 0 |
50.5%
|
4 | 그렇다 | 11 | 0 |
10.9%
|
5 | 매우 그렇다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그렇지 않다 | 4 | 0 |
4%
|
2 | 그렇지 않다 | 26 | 0 |
25.7%
|
3 | 그저 그렇다 | 36 | 0 |
35.6%
|
4 | 그렇다 | 35 | 0 |
34.7%
|
5 | 매우 그렇다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그렇지 않다 | 14 | 0 |
13.9%
|
2 | 그렇지 않다 | 33 | 0 |
32.7%
|
3 | 그저 그렇다 | 39 | 0 |
38.6%
|
4 | 그렇다 | 15 | 0 |
14.9%
|
5 | 매우 그렇다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그렇지 않다 | 16 | 0 |
15.8%
|
2 | 그렇지 않다 | 24 | 0 |
23.8%
|
3 | 그저 그렇다 | 36 | 0 |
35.6%
|
4 | 그렇다 | 25 | 0 |
24.8%
|
5 | 매우 그렇다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그렇지 않다 | 21 | 0 |
20.8%
|
2 | 그렇지 않다 | 34 | 0 |
33.7%
|
3 | 그저 그렇다 | 36 | 0 |
35.6%
|
4 | 그렇다 | 10 | 0 |
9.9%
|
5 | 매우 그렇다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그렇지 않다 | 23 | 0 |
22.8%
|
2 | 그렇지 않다 | 36 | 0 |
35.6%
|
3 | 그저 그렇다 | 36 | 0 |
35.6%
|
4 | 그렇다 | 6 | 0 |
5.9%
|
5 | 매우 그렇다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그렇지 않다 | 4 | 0 |
4%
|
2 | 그렇지 않다 | 23 | 0 |
22.8%
|
3 | 그저 그렇다 | 29 | 0 |
28.7%
|
4 | 그렇다 | 35 | 0 |
34.7%
|
5 | 매우 그렇다 | 10 | 0 |
9.9%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그렇지 않다 | 17 | 0 |
16.8%
|
2 | 그렇지 않다 | 36 | 0 |
35.6%
|
3 | 그저 그렇다 | 34 | 0 |
33.7%
|
4 | 그렇다 | 14 | 0 |
13.9%
|
5 | 매우 그렇다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그렇지 않다 | 1 | 0 |
1%
|
2 | 그렇지 않다 | 14 | 0 |
13.9%
|
3 | 그저 그렇다 | 47 | 0 |
46.5%
|
4 | 그렇다 | 33 | 0 |
32.7%
|
5 | 매우 그렇다 | 6 | 0 |
5.9%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그렇지 않다 | 3 | 0 |
3%
|
2 | 그렇지 않다 | 15 | 0 |
14.9%
|
3 | 그저 그렇다 | 38 | 0 |
37.6%
|
4 | 그렇다 | 40 | 0 |
39.6%
|
5 | 매우 그렇다 | 5 | 0 |
5%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그렇지 않다 | 10 | 0 |
9.9%
|
2 | 그렇지 않다 | 42 | 0 |
41.6%
|
3 | 그저 그렇다 | 35 | 0 |
34.7%
|
4 | 그렇다 | 14 | 0 |
13.9%
|
5 | 매우 그렇다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그렇지 않다 | 9 | 0 |
8.9%
|
2 | 그렇지 않다 | 25 | 0 |
24.8%
|
3 | 그저 그렇다 | 44 | 0 |
43.6%
|
4 | 그렇다 | 21 | 0 |
20.8%
|
5 | 매우 그렇다 | 2 | 0 |
2%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그렇지 않다 | 7 | 0 |
6.9%
|
2 | 그렇지 않다 | 23 | 0 |
22.8%
|
3 | 그저 그렇다 | 43 | 0 |
42.6%
|
4 | 그렇다 | 26 | 0 |
25.7%
|
5 | 매우 그렇다 | 2 | 0 |
2%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그렇지 않다 | 7 | 0 |
6.9%
|
2 | 그렇지 않다 | 29 | 0 |
28.7%
|
3 | 그저 그렇다 | 40 | 0 |
39.6%
|
4 | 그렇다 | 25 | 0 |
24.8%
|
5 | 매우 그렇다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그렇지 않다 | 11 | 0 |
10.9%
|
2 | 그렇지 않다 | 27 | 0 |
26.7%
|
3 | 그저 그렇다 | 42 | 0 |
41.6%
|
4 | 그렇다 | 21 | 0 |
20.8%
|
5 | 매우 그렇다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그렇지 않다 | 19 | 0 |
18.8%
|
2 | 그렇지 않다 | 28 | 0 |
27.7%
|
3 | 그저 그렇다 | 40 | 0 |
39.6%
|
4 | 그렇다 | 12 | 0 |
11.9%
|
5 | 매우 그렇다 | 2 | 0 |
2%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정부30`의 개념과 전략을 보다 명확히 해야 한다 | 32 | 0 |
31.7%
|
2 | `정부30`의 대국민 홍보활동을 강화해야 한다 | 5 | 0 |
5%
|
3 | `정부30`에 대한 기관장 및 단체장 등의 관심을 높여야 한다 | 22 | 0 |
21.8%
|
4 | `정부30`에 대한 공무원의 관심을 높여야 한다 | 3 | 0 |
3%
|
5 | `정부30`에 대한 공무원의 이해도를 높여야 한다 | 9 | 0 |
8.9%
|
6 | `정부30` 추진을 위해 관련 부처 및 부서 간의 적극적인 협력을 | 18 | 0 |
17.8%
|
7 | `정부30`의 체계적 추진을 위해 법·제도를 개선해야 한다 | 8 | 0 |
7.9%
|
8 | `정부30` 관련 예산을 충분히 지원해야 한다 | 1 | 0 |
1%
|
9 | ‘정부30’에 대한 성과평가를 충실히 해야 한다 | 3 | 0 |
3%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정부30`의 개념과 전략을 보다 명확히 해야 한다 | 11 | 0 |
10.9%
|
2 | `정부30`의 대국민 홍보활동을 강화해야 한다 | 4 | 0 |
4%
|
3 | `정부30`에 대한 기관장 및 단체장 등의 관심을 높여야 한다 | 22 | 0 |
21.8%
|
4 | `정부30`에 대한 공무원의 관심을 높여야 한다 | 10 | 0 |
9.9%
|
5 | `정부30`에 대한 공무원의 이해도를 높여야 한다 | 15 | 0 |
14.9%
|
6 | `정부30` 추진을 위해 관련 부처 및 부서 간의 적극적인 협력을 | 19 | 0 |
18.8%
|
7 | `정부30`의 체계적 추진을 위해 법·제도를 개선해야 한다 | 11 | 0 |
10.9%
|
8 | `정부30` 관련 예산을 충분히 지원해야 한다 | 5 | 0 |
5%
|
9 | ‘정부30’에 대한 성과평가를 충실히 해야 한다 | 4 | 0 |
4%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정부30`의 개념과 전략을 보다 명확히 해야 한다 | 13 | 0 |
12.9%
|
2 | `정부30`의 대국민 홍보활동을 강화해야 한다 | 7 | 0 |
6.9%
|
3 | `정부30`에 대한 기관장 및 단체장 등의 관심을 높여야 한다 | 11 | 0 |
10.9%
|
4 | `정부30`에 대한 공무원의 관심을 높여야 한다 | 5 | 0 |
5%
|
5 | `정부30`에 대한 공무원의 이해도를 높여야 한다 | 11 | 0 |
10.9%
|
6 | `정부30` 추진을 위해 관련 부처 및 부서 간의 적극적인 협력을 | 17 | 0 |
16.8%
|
7 | `정부30`의 체계적 추진을 위해 법·제도를 개선해야 한다 | 6 | 0 |
5.9%
|
8 | `정부30` 관련 예산을 충분히 지원해야 한다 | 8 | 0 |
7.9%
|
9 | ‘정부30’에 대한 성과평가를 충실히 해야 한다 | 23 | 0 |
22.8%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 | IT기반 혁신지향 | 1 | 0 |
2.1%
|
- | 공공정보의 활용가치 향상 | 1 | 0 |
2.1%
|
- | 공무원 업무방식의 혁신적인 개선 | 1 | 0 |
2.1%
|
- | 공유, 개방, 협력 등은 기본적으로 강화시켜야 할 것이라는 점에서 방향성은 매우 좋음 | 1 | 0 |
2.1%
|
- | 공직자의 인식 전환 | 1 | 0 |
2.1%
|
- | 국민(고객) 중심으로 하는 행정서비스의 정착 계기 | 1 | 0 |
2.1%
|
- | 기관간 협업의 증대 | 1 | 0 |
2.1%
|
- | 꾸준한 교육과 개념에 대한 노출로 진정성여부는 검증해봐야 하지만, 관료들의 인식변화에는 상당히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됨 | 1 | 0 |
2.1%
|
- | 노정된 문제해결 노력의 이정표 | 1 | 0 |
2.1%
|
- | 눈의 띄는 점 없음 | 1 | 0 |
2.1%
|
- | 다양한 측면에서 정부혁신을 도모한다는 점에서는 의미가 있음. | 1 | 0 |
2.1%
|
- | 대국민 서비스의 질 향상 | 1 | 0 |
2.1%
|
- | 뜻은 좋다. | 1 | 0 |
2.1%
|
- | 명분상 | 1 | 0 |
2.1%
|
- | 모든 게 다 좋은 취지와 목적 | 1 | 0 |
2.1%
|
- | 민간자문단 운영 | 1 | 0 |
2.1%
|
- | 변화하려는 시도는 좋음 | 1 | 0 |
2.1%
|
- | 별로 없다 | 1 | 0 |
2.1%
|
- | 부처간협업 | 1 | 0 |
2.1%
|
- | 분위기 쇄신 | 1 | 0 |
2.1%
|
- | 상징적으로 정부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설정하였다는 점에서 긍정적임 | 1 | 0 |
2.1%
|
- | 새로운 변화에 대한 인식제고 | 1 | 0 |
2.1%
|
- | 서비스개선 | 1 | 0 |
2.1%
|
- | 소통과 참여 | 1 | 0 |
2.1%
|
- | 시대적 흐름과 맞다 | 1 | 0 |
2.1%
|
- | 업무와 서비스의 개선 노력 | 1 | 0 |
2.1%
|
- | 없음 | 2 | 0 |
4.2%
|
- | 일하는 방식의 변화 | 1 | 0 |
2.1%
|
- | 전체적 방향성은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됨 | 1 | 0 |
2.1%
|
- | 정보공개 및 부처간 협업노력 | 1 | 0 |
2.1%
|
- | 정보공개 및 부처간 협치가 확대되었다. | 1 | 0 |
2.1%
|
- | 정보공개, 정부신뢰 증진 | 1 | 0 |
2.1%
|
- | 정보공개가 많이 이루어졌다. | 1 | 0 |
2.1%
|
- | 정보공개와 협업을 통한 행정혁신 | 1 | 0 |
2.1%
|
- | 정보공개의 활성화 노력 필요 | 1 | 0 |
2.1%
|
- | 정부 3.0의 맞춤형 서비스 지향 | 1 | 0 |
2.1%
|
- | 정부 패러다임 변화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제고 | 1 | 0 |
2.1%
|
- | 정부의 공개성 증대에 일부 기여 | 1 | 0 |
2.1%
|
- | 정부정책에 대한 새로운접근시도 | 1 | 0 |
2.1%
|
- | 정책수요자인 국민들을 생각한 발상이라는 점에서 긍정적이다. | 1 | 0 |
2.1%
|
- | 조금씩 개선되어 감 | 1 | 0 |
2.1%
|
- | 취지는 바람직 함 | 1 | 0 |
2.1%
|
- | 필요한 과제 | 1 | 0 |
2.1%
|
- | 행정의 변화 | 1 | 0 |
2.1%
|
- | 행정이 본래 지향해야 되는 것임 | 1 | 0 |
2.1%
|
- | 혁신의 전략으로 유효할 수 있음 | 1 | 0 |
2.1%
|
- | 협업 및 정보공개 자세개선 | 1 | 0 |
2.1%
|
This variable is character
Value | Label | N | WN | |
---|---|---|---|---|
1 | 맞춤형서비스 제공 | 1 | 0 |
1%
|
2 | 맞춤형서비스로 국민의 편리성 제공한다 | 0 | 0 |
0%
|
3 | 맞춤형 서비스를 통한 공무원의 신뢰도 형성에 기여 | 0 | 0 |
0%
|
4 | 맞춤형 서비스를 통한 국민과의 소통 | 0 | 0 |
0%
|
5 | 정보공개 서비스 제공 | 7 | 0 |
6.9%
|
6 | 정보확대 | 0 | 0 |
0%
|
7 | 빅데이터 활용 등 통계자료 확인에 도움 | 0 | 0 |
0%
|
8 | 정보접근성 용이 | 0 | 0 |
0%
|
9 | 체계적인 정보 | 0 | 0 |
0%
|
10 | 원스톱 서비스 | 0 | 0 |
0%
|
11 | 대국민 서비스 향상 | 1 | 0 |
1%
|
12 | 행정서비스 확대 | 1 | 0 |
1%
|
13 | 자료에 근거한 과학적 행정 분위기 조성 | 0 | 0 |
0%
|
14 | 창의적인 국정운영 논리 추진 | 0 | 0 |
0%
|
15 | 국민에 대한 정부의 대한 적극적인 구애활동 | 0 | 0 |
0%
|
16 | 정부의 신뢰도 증진 | 0 | 0 |
0%
|
17 |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 0 | 0 |
0%
|
18 | 관료들의 인식변화 | 1 | 0 |
1%
|
19 | 부처간 칸막이 폐지 | 0 | 0 |
0%
|
20 | 부처/기관간 협업 | 2 | 0 |
2%
|
21 | 민간 협업 | 0 | 0 |
0%
|
22 | 민간 참여확대 | 1 | 0 |
1%
|
23 | 부처간 교류/소통 확대 | 0 | 0 |
0%
|
24 | 조직 화합 | 0 | 0 |
0%
|
26 | 부서이기주의 타파 | 0 | 0 |
0%
|
27 | 부서간 떠넘기기 감소 | 0 | 0 |
0%
|
33 | 업무방식의 변화 | 2 | 0 |
2%
|
34 | 업무처리 신속 | 0 | 0 |
0%
|
35 | 업무 효율성 확대 | 0 | 0 |
0%
|
36 | 업무 협의 | 0 | 0 |
0%
|
37 | 민원 업무 신속화 | 0 | 0 |
0%
|
38 | 민원접수/민원시스템 편리 | 0 | 0 |
0%
|
39 | 민원 만족 | 0 | 0 |
0%
|
40 | 영상 회의 | 0 | 0 |
0%
|
41 | 간소한 서류 | 0 | 0 |
0%
|
46 | 정부기관에대한 이해제고 | 0 | 0 |
0%
|
47 | 좀더 나은 정부 | 0 | 0 |
0%
|
48 | 정부활동 활성화 | 0 | 0 |
0%
|
49 | 정부 주최 | 0 | 0 |
0%
|
50 | 열린 정부 | 0 | 0 |
0%
|
51 | 전자정부 | 0 | 0 |
0%
|
52 | 행정의 변화 | 1 | 0 |
1%
|
53 | 행정의 공개 | 0 | 0 |
0%
|
54 | 행정의 편의성 | 0 | 0 |
0%
|
55 | 행정 선진화 | 0 | 0 |
0%
|
56 | 신속정확한 행정 | 0 | 0 |
0%
|
60 | 다양한 정보 | 0 | 0 |
0%
|
61 | 일자리 정보 연계 | 0 | 0 |
0%
|
62 | 정보의 효율적 관리 | 0 | 0 |
0%
|
63 | 신속한 정보 공개 | 0 | 0 |
0%
|
64 | 공공정보의 활용가치 향상 | 1 | 0 |
1%
|
70 | 경제발전 | 0 | 0 |
0%
|
71 | 실업률 해소 | 0 | 0 |
0%
|
72 | 일자리 창출 | 0 | 0 |
0%
|
73 | 환경문제 해소 | 0 | 0 |
0%
|
75 | 기술발달 | 0 | 0 |
0%
|
76 | 온라인 | 0 | 0 |
0%
|
77 | IT기반 혁신지향 | 1 | 0 |
1%
|
85 | 공공문제 해결 | 0 | 0 |
0%
|
86 | 외교 | 0 | 0 |
0%
|
87 | 선제적 대응 | 0 | 0 |
0%
|
88 | 적극적인 문제대처 | 0 | 0 |
0%
|
89 | 찾아가는 서비스 | 0 | 0 |
0%
|
90 | 복지제도 확대 | 0 | 0 |
0%
|
91 | 소외계층 지원 | 0 | 0 |
0%
|
92 | 전국호환교통카드 | 0 | 0 |
0%
|
94 | 홍보 | 0 | 0 |
0%
|
95 | 다양한 의견수렴 | 0 | 0 |
0%
|
96 | 다양한 정책 | 1 | 0 |
1%
|
97 | 정책의 취지는 좋다 | 4 | 0 |
4%
|
100 | 투명성 확대 | 0 | 0 |
0%
|
101 | 국민 편익 추구 | 0 | 0 |
0%
|
102 | 소통 | 1 | 0 |
1%
|
103 | 개방 | 0 | 0 |
0%
|
104 | 효율화 | 0 | 0 |
0%
|
105 | 정부개혁 방향제시 | 0 | 0 |
0%
|
106 | 국민의 삶의 질 향상 | 0 | 0 |
0%
|
107 | 공공데이터에 대한 국민 접근성이 용이 | 0 | 0 |
0%
|
108 | 의식변화 | 2 | 0 |
2%
|
109 | 제도 개선 | 0 | 0 |
0%
|
110 | 공공서비스의 편리성 | 0 | 0 |
0%
|
111 | 국민의 알권리 충족 | 0 | 0 |
0%
|
112 | 수요자 중심으로의 패러다임 전환 | 2 | 0 |
2%
|
113 | 공공부문에 대한 관심도 제고 | 0 | 0 |
0%
|
114 | 개념적 가치 높아짐 | 0 | 0 |
0%
|
115 | 국민 행복 증진 | 0 | 0 |
0%
|
116 | 협력 | 1 | 0 |
1%
|
117 | 공정하다 | 0 | 0 |
0%
|
118 | 과학적이다 | 0 | 0 |
0%
|
119 | 국민과 함께 한다 | 1 | 0 |
1%
|
120 | 국민의견 반영 | 0 | 0 |
0%
|
121 | 노력한다/시도한다 | 3 | 0 |
3%
|
122 | 미래지향적이다 | 0 | 0 |
0%
|
123 | 발전가능성 있다 | 0 | 0 |
0%
|
124 | 친절하다 | 0 | 0 |
0%
|
125 | 혁신적 | 1 | 0 |
1%
|
126 | 멋지다 | 0 | 0 |
0%
|
127 | 점점 발전한다 | 0 | 0 |
0%
|
128 | 변화한다/개선되고있다 | 2 | 0 |
2%
|
129 | 비전이 좋다 | 1 | 0 |
1%
|
130 | 전자 정부 | 0 | 0 |
0%
|
131 | 정부3.0으로 견인하기 위한 과정으로 이해 | 0 | 0 |
0%
|
132 | 비전 제시 | 1 | 0 |
1%
|
133 | 시간절약 | 0 | 0 |
0%
|
134 | 시대적 흐름에 맞다 | 1 | 0 |
1%
|
135 | 시민의식 높아짐 | 0 | 0 |
0%
|
136 | 전문적이다 | 0 | 0 |
0%
|
137 | 정부 지도력 | 0 | 0 |
0%
|
138 | 진취적이다 | 0 | 0 |
0%
|
139 | 참신하다 | 0 | 0 |
0%
|
140 | 지속적인 추진 | 0 | 0 |
0%
|
141 | 정직하다 | 0 | 0 |
0%
|
142 | 선진화 | 0 | 0 |
0%
|
143 | 기대감 | 0 | 0 |
0%
|
144 | 자세한 의견 전달 | 0 | 0 |
0%
|
145 | 구체화 | 0 | 0 |
0%
|
146 | 국민 인식 제고 | 0 | 0 |
0%
|
147 | 누구나 이용가능 | 0 | 0 |
0%
|
148 | 어디서나 사용가능 | 0 | 0 |
0%
|
149 | 통합적이다 | 0 | 0 |
0%
|
150 | 간소화 | 0 | 0 |
0%
|
151 | 폭넓은 시도 | 0 | 0 |
0%
|
152 | 한눈에 볼수있다 | 0 | 0 |
0%
|
153 | 업그레이드 | 0 | 0 |
0%
|
154 | 새로운 시도 | 1 | 0 |
1%
|
155 | 필요한 서비스 | 1 | 0 |
1%
|
156 | 데이터 활용 | 0 | 0 |
0%
|
157 | 실천한다 | 0 | 0 |
0%
|
158 | 계획성 | 0 | 0 |
0%
|
159 | 거리감해소 | 0 | 0 |
0%
|
160 | 안심이 된다 | 0 | 0 |
0%
|
161 | 장소 | 0 | 0 |
0%
|
180 | 개선의지 | 1 | 0 |
1%
|
181 | 잘하고있다 | 0 | 0 |
0%
|
182 | 적당하다 | 0 | 0 |
0%
|
998 | 없다 | 5 | 0 |
5%
|
999 | 모름 | 53 | 0 |
52.5%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맞춤형서비스 제공 | 0 | 0 |
0%
|
2 | 맞춤형서비스로 국민의 편리성 제공한다 | 0 | 0 |
0%
|
3 | 맞춤형 서비스를 통한 공무원의 신뢰도 형성에 기여 | 0 | 0 |
0%
|
4 | 맞춤형 서비스를 통한 국민과의 소통 | 0 | 0 |
0%
|
5 | 정보공개 서비스 제공 | 1 | 0 |
1%
|
6 | 정보확대 | 0 | 0 |
0%
|
7 | 빅데이터 활용 등 통계자료 확인에 도움 | 0 | 0 |
0%
|
8 | 정보접근성 용이 | 0 | 0 |
0%
|
9 | 체계적인 정보 | 0 | 0 |
0%
|
10 | 원스톱 서비스 | 0 | 0 |
0%
|
11 | 대국민 서비스 향상 | 0 | 0 |
0%
|
12 | 행정서비스 확대 | 0 | 0 |
0%
|
13 | 자료에 근거한 과학적 행정 분위기 조성 | 0 | 0 |
0%
|
14 | 창의적인 국정운영 논리 추진 | 0 | 0 |
0%
|
15 | 국민에 대한 정부의 대한 적극적인 구애활동 | 0 | 0 |
0%
|
16 | 정부의 신뢰도 증진 | 1 | 0 |
1%
|
17 |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 0 | 0 |
0%
|
18 | 관료들의 인식변화 | 0 | 0 |
0%
|
19 | 부처간 칸막이 폐지 | 0 | 0 |
0%
|
20 | 부처/기관간 협업 | 2 | 0 |
2%
|
21 | 민간 협업 | 0 | 0 |
0%
|
22 | 민간 참여확대 | 0 | 0 |
0%
|
23 | 부처간 교류/소통 확대 | 0 | 0 |
0%
|
24 | 조직 화합 | 0 | 0 |
0%
|
26 | 부서이기주의 타파 | 0 | 0 |
0%
|
27 | 부서간 떠넘기기 감소 | 0 | 0 |
0%
|
33 | 업무방식의 변화 | 0 | 0 |
0%
|
34 | 업무처리 신속 | 0 | 0 |
0%
|
35 | 업무 효율성 확대 | 0 | 0 |
0%
|
36 | 업무 협의 | 0 | 0 |
0%
|
37 | 민원 업무 신속화 | 0 | 0 |
0%
|
38 | 민원접수/민원시스템 편리 | 0 | 0 |
0%
|
39 | 민원 만족 | 0 | 0 |
0%
|
40 | 영상 회의 | 0 | 0 |
0%
|
41 | 간소한 서류 | 0 | 0 |
0%
|
46 | 정부기관에대한 이해제고 | 0 | 0 |
0%
|
47 | 좀더 나은 정부 | 0 | 0 |
0%
|
48 | 정부활동 활성화 | 0 | 0 |
0%
|
49 | 정부 주최 | 0 | 0 |
0%
|
50 | 열린 정부 | 0 | 0 |
0%
|
51 | 전자정부 | 0 | 0 |
0%
|
52 | 행정의 변화 | 0 | 0 |
0%
|
53 | 행정의 공개 | 0 | 0 |
0%
|
54 | 행정의 편의성 | 0 | 0 |
0%
|
55 | 행정 선진화 | 0 | 0 |
0%
|
56 | 신속정확한 행정 | 0 | 0 |
0%
|
60 | 다양한 정보 | 0 | 0 |
0%
|
61 | 일자리 정보 연계 | 0 | 0 |
0%
|
62 | 정보의 효율적 관리 | 0 | 0 |
0%
|
63 | 신속한 정보 공개 | 0 | 0 |
0%
|
64 | 공공정보의 활용가치 향상 | 0 | 0 |
0%
|
70 | 경제발전 | 0 | 0 |
0%
|
71 | 실업률 해소 | 0 | 0 |
0%
|
72 | 일자리 창출 | 0 | 0 |
0%
|
73 | 환경문제 해소 | 0 | 0 |
0%
|
75 | 기술발달 | 0 | 0 |
0%
|
76 | 온라인 | 0 | 0 |
0%
|
77 | IT기반 혁신지향 | 0 | 0 |
0%
|
85 | 공공문제 해결 | 0 | 0 |
0%
|
86 | 외교 | 0 | 0 |
0%
|
87 | 선제적 대응 | 0 | 0 |
0%
|
88 | 적극적인 문제대처 | 0 | 0 |
0%
|
89 | 찾아가는 서비스 | 0 | 0 |
0%
|
90 | 복지제도 확대 | 0 | 0 |
0%
|
91 | 소외계층 지원 | 0 | 0 |
0%
|
92 | 전국호환교통카드 | 0 | 0 |
0%
|
94 | 홍보 | 0 | 0 |
0%
|
95 | 다양한 의견수렴 | 0 | 0 |
0%
|
96 | 다양한 정책 | 0 | 0 |
0%
|
97 | 정책의 취지는 좋다 | 0 | 0 |
0%
|
100 | 투명성 확대 | 0 | 0 |
0%
|
101 | 국민 편익 추구 | 0 | 0 |
0%
|
102 | 소통 | 0 | 0 |
0%
|
103 | 개방 | 0 | 0 |
0%
|
104 | 효율화 | 0 | 0 |
0%
|
105 | 정부개혁 방향제시 | 0 | 0 |
0%
|
106 | 국민의 삶의 질 향상 | 0 | 0 |
0%
|
107 | 공공데이터에 대한 국민 접근성이 용이 | 0 | 0 |
0%
|
108 | 의식변화 | 0 | 0 |
0%
|
109 | 제도 개선 | 0 | 0 |
0%
|
110 | 공공서비스의 편리성 | 0 | 0 |
0%
|
111 | 국민의 알권리 충족 | 0 | 0 |
0%
|
112 | 수요자 중심으로의 패러다임 전환 | 0 | 0 |
0%
|
113 | 공공부문에 대한 관심도 제고 | 0 | 0 |
0%
|
114 | 개념적 가치 높아짐 | 0 | 0 |
0%
|
115 | 국민 행복 증진 | 0 | 0 |
0%
|
116 | 협력 | 1 | 0 |
1%
|
117 | 공정하다 | 0 | 0 |
0%
|
118 | 과학적이다 | 0 | 0 |
0%
|
119 | 국민과 함께 한다 | 1 | 0 |
1%
|
120 | 국민의견 반영 | 0 | 0 |
0%
|
121 | 노력한다/시도한다 | 0 | 0 |
0%
|
122 | 미래지향적이다 | 0 | 0 |
0%
|
123 | 발전가능성 있다 | 0 | 0 |
0%
|
124 | 친절하다 | 0 | 0 |
0%
|
125 | 혁신적 | 0 | 0 |
0%
|
126 | 멋지다 | 0 | 0 |
0%
|
127 | 점점 발전한다 | 0 | 0 |
0%
|
128 | 변화한다/개선되고있다 | 0 | 0 |
0%
|
129 | 비전이 좋다 | 0 | 0 |
0%
|
130 | 전자 정부 | 0 | 0 |
0%
|
131 | 정부3.0으로 견인하기 위한 과정으로 이해 | 0 | 0 |
0%
|
132 | 비전 제시 | 0 | 0 |
0%
|
133 | 시간절약 | 0 | 0 |
0%
|
134 | 시대적 흐름에 맞다 | 0 | 0 |
0%
|
135 | 시민의식 높아짐 | 0 | 0 |
0%
|
136 | 전문적이다 | 0 | 0 |
0%
|
137 | 정부 지도력 | 0 | 0 |
0%
|
138 | 진취적이다 | 0 | 0 |
0%
|
139 | 참신하다 | 0 | 0 |
0%
|
140 | 지속적인 추진 | 0 | 0 |
0%
|
141 | 정직하다 | 0 | 0 |
0%
|
142 | 선진화 | 0 | 0 |
0%
|
143 | 기대감 | 0 | 0 |
0%
|
144 | 자세한 의견 전달 | 0 | 0 |
0%
|
145 | 구체화 | 0 | 0 |
0%
|
146 | 국민 인식 제고 | 0 | 0 |
0%
|
147 | 누구나 이용가능 | 0 | 0 |
0%
|
148 | 어디서나 사용가능 | 0 | 0 |
0%
|
149 | 통합적이다 | 0 | 0 |
0%
|
150 | 간소화 | 0 | 0 |
0%
|
151 | 폭넓은 시도 | 0 | 0 |
0%
|
152 | 한눈에 볼수있다 | 0 | 0 |
0%
|
153 | 업그레이드 | 0 | 0 |
0%
|
154 | 새로운 시도 | 0 | 0 |
0%
|
155 | 필요한 서비스 | 0 | 0 |
0%
|
156 | 데이터 활용 | 0 | 0 |
0%
|
157 | 실천한다 | 0 | 0 |
0%
|
158 | 계획성 | 0 | 0 |
0%
|
159 | 거리감해소 | 0 | 0 |
0%
|
160 | 안심이 된다 | 0 | 0 |
0%
|
161 | 장소 | 0 | 0 |
0%
|
180 | 개선의지 | 0 | 0 |
0%
|
181 | 잘하고있다 | 0 | 0 |
0%
|
182 | 적당하다 | 0 | 0 |
0%
|
998 | 없다 | 42 | 0 |
41.6%
|
999 | 모름 | 53 | 0 |
52.5%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 | 개념의 모호성, 예산지원의 한계, 공무원의 이해도가 문제점으로 지적 | 1 | 0 |
2.2%
|
- | 개념의 모호성과 활용의 모호성 | 1 | 0 |
2.2%
|
- | 개념의 어려움과 대체적인 무관심 | 1 | 0 |
2.2%
|
- | 개념이 잘 와 닿지 않는다. | 1 | 0 |
2.2%
|
- | 개념이 포괄적, 산발적 진행 | 1 | 0 |
2.2%
|
- | 개별적인 정책 간 유기적인 시너지가 나타나지 않고 있으며, 상호의사소통을 통하여 이루어지지 않고, 주도집단에 의하여 무리하게 이끌려 가는 상황인 것 같다. | 1 | 0 |
2.2%
|
- | 공무원들의 이해부족 | 1 | 0 |
2.2%
|
- | 공무원의 열정과 의지 부족 | 1 | 0 |
2.2%
|
- | 공무원의 형식적이고 낮은 관심 | 1 | 0 |
2.2%
|
- | 공직자의 자발적 참여 부족 | 1 | 0 |
2.2%
|
- | 과제중심으로 기관전체가 움직이지는 않음 | 1 | 0 |
2.2%
|
- | 관련 당사자들 조차 정확한 개념 이해 없이 시키니까 하는 일 정도의 무지 | 1 | 0 |
2.2%
|
- | 관심부족 | 1 | 0 |
2.2%
|
- | 관행 타파가 필요 | 1 | 0 |
2.2%
|
- | 구호에 그쳐서는 안 될 것임 | 1 | 0 |
2.2%
|
- | 너무 넓게 접근 | 1 | 0 |
2.2%
|
- | 너무나 많음. 실제 공무원들의 사고 및 행태는 정부3.0과는 아직도 거리가 멀고도 먼 상황임. | 1 | 0 |
2.2%
|
- | 말로만 3.0 | 1 | 0 |
2.2%
|
- | 명확한 개념과 전략의 부재 | 1 | 0 |
2.2%
|
- | 무분별한 빅데이터 논의 확산 | 1 | 0 |
2.2%
|
- | 법/제도적 규정 미흡으로 각종 감사에 대한 두려움으로 소신적 행정 집행 위축 | 1 | 0 |
2.2%
|
- | 보다 적극적인 정부서비스의 탐색 및 개발 필요 | 1 | 0 |
2.2%
|
- | 부처 간의 소극적인 협업 | 1 | 0 |
2.2%
|
- | 상징성을 넘어 실질적인 효과가 나타나고 있지 않음 | 1 | 0 |
2.2%
|
- | 성과평가 위주로 실질적인 서비스 개선보다는 지나치게 정책자체 대해 집착하는 경향이 있다. | 1 | 0 |
2.2%
|
- | 소리만 요란하지 성과 수반하는 구체적인 정책이 없다. | 1 | 0 |
2.2%
|
- | 실제적 효과가 없다 | 1 | 0 |
2.2%
|
- | 어떻게 제대로 실행시킬 수 있는가? 집행도를 평가하가 어려움 | 1 | 0 |
2.2%
|
- | 여전히 정부3.0을 이해못하는 점 | 1 | 0 |
2.2%
|
- | 예산과 인력 부족 | 1 | 0 |
2.2%
|
- | 일부 정보의 폐쇄성 | 1 | 0 |
2.2%
|
- | 일회성에 그치는 정치적 유행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여전히 있음 | 1 | 0 |
2.2%
|
- | 정보공개 빅데이터 등에 몰입 | 1 | 0 |
2.2%
|
- | 정보공개가 더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 1 | 0 |
2.2%
|
- | 정보공개미흡 | 1 | 0 |
2.2%
|
- | 정부 3.0의 아이템 발굴이나 전략들이 국민의 요구와 수요를 예측 및 반영하지 않고 대부분 공무원들에 의해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지금까지와의 정책들과 차별화되지 않는다. | 1 | 0 |
2.2%
|
- | 정부 3.0이 무엇인지, 그리고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한 내용이나 계획이 전혀 없으며, 공무원 등 이를 수행할 사람들의 이해나 동조가 없는 상황에서 일방적 주어진 것이기 때문에 성 | 1 | 0 |
2.2%
|
- | 정부3.0에 대한 형식적인 대처 | 1 | 0 |
2.2%
|
- | 정부3.0의 내용은 특정정부의 국정과제에 한정될 필요가 없다. 향후 정부가 지속적으로 추진해야할 내용이다. 기존 관례처럼 특정정부 일회성으로 개혁의식으로 진행되지 않길 바란다. | 1 | 0 |
2.2%
|
- | 지속가능성 | 1 | 0 |
2.2%
|
- | 통합적 관점과 전략이 보이지 않음. | 1 | 0 |
2.2%
|
- | 통합적 리더십 부재, 중앙부처구조를 넘지못하는 추진구조 | 1 | 0 |
2.2%
|
- | 한건주의, 형식주의로 흐르는 부분 | 1 | 0 |
2.2%
|
- | 형식적인 기관들의 관심과 혁신 | 1 | 0 |
2.2%
|
- | 홍보가 잘 안되어 있음 | 1 | 0 |
2.2%
|
- | 홍보부족, 이해부족 | 1 | 0 |
2.2%
|
This variable is character
Value | Label | N | WN | |
---|---|---|---|---|
501 | 부처간 협업 부족 | 2 | 0 |
2%
|
502 | 부처 이기주의 | 0 | 0 |
0%
|
503 | 부처의 무능력 | 0 | 0 |
0%
|
504 | 부처간 소통 부족 | 0 | 0 |
0%
|
505 | 필요이상의 협업강요로 효율성 저하 | 0 | 0 |
0%
|
506 | 상부층의 솔선수범 필요 | 0 | 0 |
0%
|
507 | 기관장의 관심과 점검 | 0 | 0 |
0%
|
508 | 5급(팀장)까지 성과연봉제가 확대되면 팀간 칸막이 우려된다 | 0 | 0 |
0%
|
509 | 책임자들의 마인드개선 | 0 | 0 |
0%
|
510 | 고위직의 부정부패 | 0 | 0 |
0%
|
511 | 부정부패시 처벌 강화 필요 | 0 | 0 |
0%
|
512 | 정보공개에 대한 국민의 요구와 행정기관의 입장을 절충한 개선안 필요 | 0 | 0 |
0%
|
513 | 데이터 개방이 민간사업에 크게 영향주지 못한다 | 0 | 0 |
0%
|
514 | 합리적인 평가 부족 | 0 | 0 |
0%
|
515 | 민간과의 협업 부족 | 0 | 0 |
0%
|
516 | 양적평가아닌 질적평가 필요 | 0 | 0 |
0%
|
517 | 평가기준 강화필요 | 0 | 0 |
0%
|
518 | 평가체계 개선 | 0 | 0 |
0%
|
519 | 단기성과주의 개선 | 0 | 0 |
0%
|
520 | 평가위주의 정책 개선 | 0 | 0 |
0%
|
521 | 성과위주의 정책 개선 | 1 | 0 |
1%
|
522 | 보여주기식 정책 개선 | 0 | 0 |
0%
|
523 | 탁상공론 개선 | 0 | 0 |
0%
|
524 | 형식적인 정책 | 3 | 0 |
3%
|
525 | 말뿐인 구호행정 | 2 | 0 |
2%
|
526 | 복잡한 행정절차 개선 | 0 | 0 |
0%
|
527 | 누구나 도움되는 정책필요 | 0 | 0 |
0%
|
528 | 친화적인 정책 필요 | 0 | 0 |
0%
|
529 | 행정서비스의 질적 개선 필요 | 0 | 0 |
0%
|
530 | 과도한 정보공개 | 1 | 0 |
1%
|
531 | 적극적인 공개 부족 | 3 | 0 |
3%
|
532 | 선별적 공개 필요 | 0 | 0 |
0%
|
533 | 정확한 정보공개 필요 | 0 | 0 |
0%
|
534 | 공공정보 개방에대한 가이드라인 필요 | 0 | 0 |
0%
|
535 | 하향식 운영 필요 | 0 | 0 |
0%
|
536 | 서류 중심 업무 | 0 | 0 |
0%
|
537 | 업무 과중 | 0 | 0 |
0%
|
538 | 업무연계성이 모호하다 | 0 | 0 |
0%
|
539 | 기존 업무의 짜집기 | 0 | 0 |
0%
|
540 | 업무처리가 느리다 | 0 | 0 |
0%
|
541 | 유연근무 확산 등을 통한 업무 효율화 | 0 | 0 |
0%
|
542 | 주민자치단체에서도 업무 가능해야한다 | 0 | 0 |
0%
|
543 | 관련 예산 및 평가 등에 대한 체계 미흡 | 0 | 0 |
0%
|
544 | 투명한 자금경영 필요 | 0 | 0 |
0%
|
545 | 예산부족 | 1 | 0 |
1%
|
546 | 세금낭비 | 0 | 0 |
0%
|
547 | 세금 증대 | 0 | 0 |
0%
|
548 | 적극적인 행정지원 부족 | 0 | 0 |
0%
|
549 | 법/제도 개선 | 1 | 0 |
1%
|
550 | 인력 부족 | 0 | 0 |
0%
|
551 | 지자체에 전담인력 배치 | 0 | 0 |
0%
|
552 | 법제도화 통한 추동력 확보 필요 | 0 | 0 |
0%
|
553 | 홈페이지 이용이 어렵다 | 0 | 0 |
0%
|
554 | 홈페이지 간소화 | 0 | 0 |
0%
|
555 | 전산처리 미숙하다 | 0 | 0 |
0%
|
556 | 접속이 불안/오류 많다 | 0 | 0 |
0%
|
557 | 접속이 느리다 | 0 | 0 |
0%
|
558 | 서버 확대 | 0 | 0 |
0%
|
559 | 협업 시스템 개선 | 0 | 0 |
0%
|
560 | 홍보 부재 | 2 | 0 |
2%
|
561 | 적용성 확대 | 0 | 0 |
0%
|
562 | 온라인 자유 게시판 필요 | 0 | 0 |
0%
|
563 | 설치해야할 프로그램이 많다 | 0 | 0 |
0%
|
564 | 액티브 액스, 공인인증서 등의 기법보다 더욱 선진화된 웹보안 적용 필요 | 0 | 0 |
0%
|
565 | 개인정보 보안 부족 | 0 | 0 |
0%
|
566 | 개인정보 입력 최소화 | 0 | 0 |
0%
|
567 | 홈페이지가 깔끔했으면 한다 | 0 | 0 |
0%
|
568 | 국가자료 보안성 취약점 증가 | 0 | 0 |
0%
|
569 | 국가안보에 관한 정보는 따로 관리 | 0 | 0 |
0%
|
570 | 오류에대한 방안과 안내 필요 | 0 | 0 |
0%
|
572 | 사례 집중육성 | 0 | 0 |
0%
|
573 | 협업가능한 사업 발굴 필요 | 0 | 0 |
0%
|
574 | 중앙부처구조를 넘지못하는 구조 | 0 | 0 |
0%
|
575 | 핵심사안에 집중 필요 | 0 | 0 |
0%
|
576 | 실질적으로 협업에 도움이 될만한 제도 등 개선방안 강구 | 0 | 0 |
0%
|
577 | 사례 보급 확대 | 0 | 0 |
0%
|
578 | 실천가능한 과제 설정 | 0 | 0 |
0%
|
579 | 실질적인 운영 | 0 | 0 |
0%
|
580 | 구체적 실천사항이 미비하다 | 1 | 0 |
1%
|
581 | 통합 처리/통합적 체계 필요 | 1 | 0 |
1%
|
582 | 각 부처 및 행정 연계성 | 0 | 0 |
0%
|
583 | 스마트폰 연계 서비스 개발 | 0 | 0 |
0%
|
584 | 수요자 입장 고려한 행정서비스 제공 | 0 | 0 |
0%
|
585 | 맞춤형 서비스 안된다 | 0 | 0 |
0%
|
586 | 찾아가는 서비스 안된다 | 0 | 0 |
0%
|
587 | 공공서비스의 혁신 필요 | 0 | 0 |
0%
|
588 | 공무원 1인의 짜내기식 시책개발이 문제다 | 0 | 0 |
0%
|
589 | 공무원 퇴출 | 0 | 0 |
0%
|
590 | 공무원의 적극성 부족 | 1 | 0 |
1%
|
591 | 공무원의 자질 문제 | 0 | 0 |
0%
|
592 | 공무원의 자발적 참여 부족 | 1 | 0 |
1%
|
593 | 공무원의 복지부동 | 0 | 0 |
0%
|
594 | 공무원의 이기주의 | 0 | 0 |
0%
|
595 | 공무원의 무사안일주의 | 1 | 0 |
1%
|
596 | 공무원의 이해부족 | 1 | 0 |
1%
|
597 | 공무원의 관심부족 | 0 | 0 |
0%
|
598 | 공무원의 불친절 | 0 | 0 |
0%
|
599 | 공무원의 고착된 의식 개선 | 1 | 0 |
1%
|
600 | 공무원 교육강화 | 0 | 0 |
0%
|
601 | 공무원 마인드 개선 | 0 | 0 |
0%
|
602 | 공무원 인원 축소 | 0 | 0 |
0%
|
603 | 공무원의 투명성 부족 | 0 | 0 |
0%
|
604 | 공무원의 애로사항 인식필요 | 0 | 0 |
0%
|
605 | 리더의 적극적인 추진 부족 | 0 | 0 |
0%
|
606 | 국회의원 특권 내려놓아야한다 | 0 | 0 |
0%
|
607 | 정부3.0에 과제추진 담당자에 대한 인센티브 확대 | 0 | 0 |
0%
|
608 | 체감할 수 있는 인센티브의 한계 | 0 | 0 |
0%
|
609 | 통합적 리터쉽 부재 | 1 | 0 |
1%
|
610 | 적극적인 감사활동 부족 | 0 | 0 |
0%
|
611 | 과감한 인사혁신 필요 | 0 | 0 |
0%
|
612 | 정책 우선순위 결정 | 0 | 0 |
0%
|
613 | 개별정책간 유기적인 시너지 나타나지않는다 | 1 | 0 |
1%
|
614 | 나태한 공무원 징계와 해고 강화 | 0 | 0 |
0%
|
615 | 국민의 관심부족 | 0 | 0 |
0%
|
616 | 국민 체감되지않는 정책 | 0 | 0 |
0%
|
617 | 국민들의 개방요청 창구가 너무 다수임 | 0 | 0 |
0%
|
618 | 국민 만족도 낮다 | 0 | 0 |
0%
|
619 | 국민들이 잘알지못한다 | 0 | 0 |
0%
|
620 | 국민 행복감 부족 | 0 | 0 |
0%
|
621 | 국민 참여 부족 | 0 | 0 |
0%
|
622 | 국민 섬기는 자세 낮다 | 0 | 0 |
0%
|
624 | 계층간 위화감 | 0 | 0 |
0%
|
625 | 복지 사각지대 | 0 | 0 |
0%
|
626 | 소외계층 복지부족 | 0 | 0 |
0%
|
627 | 서민들 목소리에 귀기울여야한다 | 0 | 0 |
0%
|
628 | 현실적인 복지정책 필요 | 0 | 0 |
0%
|
629 | 강력한 통치력 필요 | 0 | 0 |
0%
|
630 | 경제발전 필요 | 0 | 0 |
0%
|
631 | 폭넓은 혜택 | 0 | 0 |
0%
|
632 | 사생활 간섭 | 0 | 0 |
0%
|
633 | 운전면허의 엄격함 필요 | 0 | 0 |
0%
|
638 | 정기적인 자질향상 테스트 | 0 | 0 |
0%
|
639 | 신상필벌이 원칙 개선 | 0 | 0 |
0%
|
640 | 교육강화 | 0 | 0 |
0%
|
641 | 정부3.0 용어 정비 | 0 | 0 |
0%
|
642 | 용어와 내용이 일치하는 제목설정 | 0 | 0 |
0%
|
643 | 전문적이고 행정적인 용어 배제 | 0 | 0 |
0%
|
644 | 직관적인 표어로 변경 | 0 | 0 |
0%
|
649 | 개인및 조직의 역량강화 | 0 | 0 |
0%
|
650 | 정권교체 | 0 | 0 |
0%
|
651 | 국무총리실의 콘트롤타워 역할 중요 | 0 | 0 |
0%
|
652 | 정부의 인식전환 필요 | 0 | 0 |
0%
|
653 | 정부의 역할이 부족 | 1 | 0 |
1%
|
654 | 정부의 획일적인 주도 | 0 | 0 |
0%
|
655 | 지나치게 세분화된 조직 운영 지양 | 0 | 0 |
0%
|
656 | 운영이 부실하다 | 0 | 0 |
0%
|
657 | 정부부처일을 민간에 떠넘기려한다 | 0 | 0 |
0%
|
658 | 정책의 일관성 유지 필요 | 0 | 0 |
0%
|
659 | 여론 수렴과 기반시설 확보 후 정책 실시 | 0 | 0 |
0%
|
660 | 지도자의 독단, 고집 | 0 | 0 |
0%
|
661 | 정치인들 정신 차려야한다 | 0 | 0 |
0%
|
662 | 분야별 전문가 및 시민사회 참여 | 0 | 0 |
0%
|
670 | 업무부서의 명확한 설정 | 0 | 0 |
0%
|
701 | 체계가 부족하다 | 0 | 0 |
0%
|
702 | 인식이 부족하다 | 0 | 0 |
0%
|
703 | 중구난방 서비스 | 0 | 0 |
0%
|
704 | 개념이 모호하다/개념 정립필요 | 6 | 0 |
5.9%
|
705 | 지나치게 포괄적이다 | 2 | 0 |
2%
|
706 | 방향이 명확하지않다 | 0 | 0 |
0%
|
707 | 형식적이다 | 1 | 0 |
1%
|
708 | 추상적이다 | 0 | 0 |
0%
|
709 | 소통부족 | 0 | 0 |
0%
|
710 | 이해부족 | 1 | 0 |
1%
|
711 | 현실성 부족 | 0 | 0 |
0%
|
712 | 투명성 부족 | 0 | 0 |
0%
|
713 | 정부기능 부재 | 0 | 0 |
0%
|
714 | 신뢰성 부족 | 0 | 0 |
0%
|
715 | 실천 저조 | 2 | 0 |
2%
|
716 | 협업 부족 | 0 | 0 |
0%
|
717 | 활용성 모호하다 | 0 | 0 |
0%
|
718 | 무관심하다 | 1 | 0 |
1%
|
719 | 산발적 진행 | 0 | 0 |
0%
|
720 | 관리가 잘안된다 | 0 | 0 |
0%
|
721 | 개별적이다 | 0 | 0 |
0%
|
722 | 내용이 너무 이상적이다 | 0 | 0 |
0%
|
723 | 개방이 덜 되었다/개방범위 확대 | 0 | 0 |
0%
|
724 | 개방속도가 더디다 | 0 | 0 |
0%
|
725 | 관행 타파 부족 | 1 | 0 |
1%
|
726 | 무능한 정부 | 0 | 0 |
0%
|
727 | 발전가능성이 없다 | 0 | 0 |
0%
|
728 | 불안한 미래 | 0 | 0 |
0%
|
729 | 타의에 의한 추진력 | 0 | 0 |
0%
|
730 | 참여부족 | 0 | 0 |
0%
|
731 | 실용성 부족 | 0 | 0 |
0%
|
732 | 노력부족 | 0 | 0 |
0%
|
733 | 개선의지 부족 | 0 | 0 |
0%
|
734 | 대중적 인지도 부족 | 0 | 0 |
0%
|
735 | 사명감 부족 | 0 | 0 |
0%
|
736 | 개방성 부족 | 0 | 0 |
0%
|
737 | 책임의식 부족 | 0 | 0 |
0%
|
738 | 내실화 부족 | 0 | 0 |
0%
|
739 | 결과가 없다 | 0 | 0 |
0%
|
740 | 적극성 부족 | 0 | 0 |
0%
|
741 | 개혁의지 부족 | 0 | 0 |
0%
|
742 | 집중 필요 | 0 | 0 |
0%
|
743 | 빠른 개편 필요 | 0 | 0 |
0%
|
744 | 신고의무화 | 0 | 0 |
0%
|
745 | 실시후 결과 개시 | 0 | 0 |
0%
|
746 | 실질적인 성과 내기 | 2 | 0 |
2%
|
747 | 추진방향에대한 선택과 집중 필요 | 0 | 0 |
0%
|
748 | 다양성 강화 | 0 | 0 |
0%
|
749 | 안전 개선 | 0 | 0 |
0%
|
750 | 문의시 답변이 느리다 | 0 | 0 |
0%
|
751 | 접근용이성 마련 | 0 | 0 |
0%
|
752 | 정직 | 0 | 0 |
0%
|
753 | 효율성 부족 | 0 | 0 |
0%
|
754 | 자발적 참여 필요 | 0 | 0 |
0%
|
755 | 패널티 부과 | 0 | 0 |
0%
|
756 | 근본적인 문제해결이 안된다 | 0 | 0 |
0%
|
757 | 전략 부족 | 0 | 0 |
0%
|
758 | 정보가 부족하다 | 0 | 0 |
0%
|
759 | 획일적이다 | 0 | 0 |
0%
|
760 | 제한적이다 | 0 | 0 |
0%
|
761 | 무분별한 데이터수집 | 0 | 0 |
0%
|
762 | 시간 지체 | 0 | 0 |
0%
|
763 | 인터넷 사용못하는 사람들에대한 대처 | 0 | 0 |
0%
|
764 | 점검하는 시간 필요 | 0 | 0 |
0%
|
765 | 외화내빈 우려 | 0 | 0 |
0%
|
766 | 산업경제적 가치창출 미흡 | 0 | 0 |
0%
|
767 | 정보공개 빅데이터에만 몰입 | 1 | 0 |
1%
|
768 | 범죄 악용 | 0 | 0 |
0%
|
769 | 문제발생 막아야한다 | 0 | 0 |
0%
|
770 | 너무 민원 편의주의이다 | 0 | 0 |
0%
|
771 | 현장과 여건에맞는 능동적인 개선 필요 | 0 | 0 |
0%
|
772 | 건강한 사회 조성 | 0 | 0 |
0%
|
773 | 당장 개선해야할것들을 시차를 두고 범위와 사업을 줄여야한다 | 0 | 0 |
0%
|
774 | 청렴한 사회 조성 | 0 | 0 |
0%
|
775 | 신속정확 해야한다 | 0 | 0 |
0%
|
776 | 진정성 | 0 | 0 |
0%
|
777 | 편리해야한다 | 0 | 0 |
0%
|
778 | 정상적인 사고 | 0 | 0 |
0%
|
779 | 문제점파악이 우선이다 | 0 | 0 |
0%
|
780 | 일자리 창출 부족 | 0 | 0 |
0%
|
781 | 부족한 면 보완 | 0 | 0 |
0%
|
782 | 불필요한것 제거 | 0 | 0 |
0%
|
783 | 올바른 시행 필요 | 0 | 0 |
0%
|
784 | 연구통한 문제해결 | 0 | 0 |
0%
|
785 | 시행률 상승 및 현황보고 | 0 | 0 |
0%
|
788 | 성과관리식 접근체계 필요 | 0 | 0 |
0%
|
789 | 목표, 내용, 방법에 대해 전면적 재고 필요 | 0 | 0 |
0%
|
790 | 3.0 폐지 | 0 | 0 |
0%
|
791 | 지속적인 추진필요 | 3 | 0 |
3%
|
792 | 지속적인 개발과 노력 | 0 | 0 |
0%
|
793 | 국가기관이 먼저 시행해야한다 | 0 | 0 |
0%
|
794 | 지속추진 가능한 체계와 시스템 구축 | 0 | 0 |
0%
|
795 | 분야별 3.0추진 필요 | 0 | 0 |
0%
|
796 | 모든 것을 정부3.0과 연관시키려고 한다 | 0 | 0 |
0%
|
797 | 절충안 마련 | 0 | 0 |
0%
|
798 | 모든 국가기관의 동참이 미흡하다 | 0 | 0 |
0%
|
799 | 정부3.0 에 대한 기관평가는 의미없음 | 0 | 0 |
0%
|
800 | 정부3.0 네이밍부터 어려움. | 0 | 0 |
0%
|
801 | 일부 우수기관에서만 적극 추진되는 경향 | 0 | 0 |
0%
|
802 | 정부 중심이다 | 0 | 0 |
0%
|
803 | 규제강화 | 0 | 0 |
0%
|
804 | 일괄적으로 정부3.0 기준적용 금지 | 0 | 0 |
0%
|
805 | 정부3.0 평가를 지금보다 세밀하게 개선한다. | 0 | 0 |
0%
|
806 | 업데이트 | 0 | 0 |
0%
|
847 | 한걸음 더 다가가야한다 | 0 | 0 |
0%
|
848 | 다양한 의견수렴 | 0 | 0 |
0%
|
849 | 숫자가 아닌 문자로 알려야한다 | 0 | 0 |
0%
|
850 | 부족한면이 많다 | 0 | 0 |
0%
|
851 | 벽이 많다 | 0 | 0 |
0%
|
852 | 부작용 | 0 | 0 |
0%
|
853 | 차이가 없다 | 0 | 0 |
0%
|
854 | 행자부만 좋다 | 0 | 0 |
0%
|
855 | 기대에 미치지못한다 | 0 | 0 |
0%
|
856 | 기회주의 | 0 | 0 |
0%
|
857 | 남은 임기 빨리 지나갔으면 | 0 | 0 |
0%
|
858 | 빨리 대선이 왔으면 | 0 | 0 |
0%
|
859 | 모든점에 만전을 기했으면 | 0 | 0 |
0%
|
998 | 없다 | 1 | 0 |
1%
|
999 | 모름 | 54 | 0 |
53.5%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501 | 부처간 협업 부족 | 0 | 0 |
0%
|
502 | 부처 이기주의 | 0 | 0 |
0%
|
503 | 부처의 무능력 | 0 | 0 |
0%
|
504 | 부처간 소통 부족 | 0 | 0 |
0%
|
505 | 필요이상의 협업강요로 효율성 저하 | 0 | 0 |
0%
|
506 | 상부층의 솔선수범 필요 | 0 | 0 |
0%
|
507 | 기관장의 관심과 점검 | 0 | 0 |
0%
|
508 | 5급(팀장)까지 성과연봉제가 확대되면 팀간 칸막이 우려된다 | 0 | 0 |
0%
|
509 | 책임자들의 마인드개선 | 0 | 0 |
0%
|
510 | 고위직의 부정부패 | 0 | 0 |
0%
|
511 | 부정부패시 처벌 강화 필요 | 0 | 0 |
0%
|
512 | 정보공개에 대한 국민의 요구와 행정기관의 입장을 절충한 개선안 필요 | 0 | 0 |
0%
|
513 | 데이터 개방이 민간사업에 크게 영향주지 못한다 | 0 | 0 |
0%
|
514 | 합리적인 평가 부족 | 0 | 0 |
0%
|
515 | 민간과의 협업 부족 | 0 | 0 |
0%
|
516 | 양적평가아닌 질적평가 필요 | 0 | 0 |
0%
|
517 | 평가기준 강화필요 | 0 | 0 |
0%
|
518 | 평가체계 개선 | 0 | 0 |
0%
|
519 | 단기성과주의 개선 | 0 | 0 |
0%
|
520 | 평가위주의 정책 개선 | 0 | 0 |
0%
|
521 | 성과위주의 정책 개선 | 1 | 0 |
1%
|
522 | 보여주기식 정책 개선 | 0 | 0 |
0%
|
523 | 탁상공론 개선 | 0 | 0 |
0%
|
524 | 형식적인 정책 | 0 | 0 |
0%
|
525 | 말뿐인 구호행정 | 0 | 0 |
0%
|
526 | 복잡한 행정절차 개선 | 0 | 0 |
0%
|
527 | 누구나 도움되는 정책필요 | 0 | 0 |
0%
|
528 | 친화적인 정책 필요 | 0 | 0 |
0%
|
529 | 행정서비스의 질적 개선 필요 | 0 | 0 |
0%
|
530 | 과도한 정보공개 | 0 | 0 |
0%
|
531 | 적극적인 공개 부족 | 0 | 0 |
0%
|
532 | 선별적 공개 필요 | 0 | 0 |
0%
|
533 | 정확한 정보공개 필요 | 0 | 0 |
0%
|
534 | 공공정보 개방에대한 가이드라인 필요 | 0 | 0 |
0%
|
535 | 하향식 운영 필요 | 0 | 0 |
0%
|
536 | 서류 중심 업무 | 0 | 0 |
0%
|
537 | 업무 과중 | 0 | 0 |
0%
|
538 | 업무연계성이 모호하다 | 0 | 0 |
0%
|
539 | 기존 업무의 짜집기 | 0 | 0 |
0%
|
540 | 업무처리가 느리다 | 0 | 0 |
0%
|
541 | 유연근무 확산 등을 통한 업무 효율화 | 0 | 0 |
0%
|
542 | 주민자치단체에서도 업무 가능해야한다 | 0 | 0 |
0%
|
543 | 관련 예산 및 평가 등에 대한 체계 미흡 | 0 | 0 |
0%
|
544 | 투명한 자금경영 필요 | 0 | 0 |
0%
|
545 | 예산부족 | 1 | 0 |
1%
|
546 | 세금낭비 | 0 | 0 |
0%
|
547 | 세금 증대 | 0 | 0 |
0%
|
548 | 적극적인 행정지원 부족 | 0 | 0 |
0%
|
549 | 법/제도 개선 | 0 | 0 |
0%
|
550 | 인력 부족 | 1 | 0 |
1%
|
551 | 지자체에 전담인력 배치 | 0 | 0 |
0%
|
552 | 법제도화 통한 추동력 확보 필요 | 0 | 0 |
0%
|
553 | 홈페이지 이용이 어렵다 | 0 | 0 |
0%
|
554 | 홈페이지 간소화 | 0 | 0 |
0%
|
555 | 전산처리 미숙하다 | 0 | 0 |
0%
|
556 | 접속이 불안/오류 많다 | 0 | 0 |
0%
|
557 | 접속이 느리다 | 0 | 0 |
0%
|
558 | 서버 확대 | 0 | 0 |
0%
|
559 | 협업 시스템 개선 | 0 | 0 |
0%
|
560 | 홍보 부재 | 0 | 0 |
0%
|
561 | 적용성 확대 | 0 | 0 |
0%
|
562 | 온라인 자유 게시판 필요 | 0 | 0 |
0%
|
563 | 설치해야할 프로그램이 많다 | 0 | 0 |
0%
|
564 | 액티브 액스, 공인인증서 등의 기법보다 더욱 선진화된 웹보안 적용 필요 | 0 | 0 |
0%
|
565 | 개인정보 보안 부족 | 0 | 0 |
0%
|
566 | 개인정보 입력 최소화 | 0 | 0 |
0%
|
567 | 홈페이지가 깔끔했으면 한다 | 0 | 0 |
0%
|
568 | 국가자료 보안성 취약점 증가 | 0 | 0 |
0%
|
569 | 국가안보에 관한 정보는 따로 관리 | 0 | 0 |
0%
|
570 | 오류에대한 방안과 안내 필요 | 0 | 0 |
0%
|
572 | 사례 집중육성 | 0 | 0 |
0%
|
573 | 협업가능한 사업 발굴 필요 | 0 | 0 |
0%
|
574 | 중앙부처구조를 넘지못하는 구조 | 1 | 0 |
1%
|
575 | 핵심사안에 집중 필요 | 0 | 0 |
0%
|
576 | 실질적으로 협업에 도움이 될만한 제도 등 개선방안 강구 | 0 | 0 |
0%
|
577 | 사례 보급 확대 | 0 | 0 |
0%
|
578 | 실천가능한 과제 설정 | 0 | 0 |
0%
|
579 | 실질적인 운영 | 0 | 0 |
0%
|
580 | 구체적 실천사항이 미비하다 | 0 | 0 |
0%
|
581 | 통합 처리/통합적 체계 필요 | 0 | 0 |
0%
|
582 | 각 부처 및 행정 연계성 | 0 | 0 |
0%
|
583 | 스마트폰 연계 서비스 개발 | 0 | 0 |
0%
|
584 | 수요자 입장 고려한 행정서비스 제공 | 0 | 0 |
0%
|
585 | 맞춤형 서비스 안된다 | 0 | 0 |
0%
|
586 | 찾아가는 서비스 안된다 | 0 | 0 |
0%
|
587 | 공공서비스의 혁신 필요 | 0 | 0 |
0%
|
588 | 공무원 1인의 짜내기식 시책개발이 문제다 | 0 | 0 |
0%
|
589 | 공무원 퇴출 | 0 | 0 |
0%
|
590 | 공무원의 적극성 부족 | 0 | 0 |
0%
|
591 | 공무원의 자질 문제 | 0 | 0 |
0%
|
592 | 공무원의 자발적 참여 부족 | 0 | 0 |
0%
|
593 | 공무원의 복지부동 | 0 | 0 |
0%
|
594 | 공무원의 이기주의 | 0 | 0 |
0%
|
595 | 공무원의 무사안일주의 | 2 | 0 |
2%
|
596 | 공무원의 이해부족 | 0 | 0 |
0%
|
597 | 공무원의 관심부족 | 1 | 0 |
1%
|
598 | 공무원의 불친절 | 0 | 0 |
0%
|
599 | 공무원의 고착된 의식 개선 | 0 | 0 |
0%
|
600 | 공무원 교육강화 | 0 | 0 |
0%
|
601 | 공무원 마인드 개선 | 0 | 0 |
0%
|
602 | 공무원 인원 축소 | 0 | 0 |
0%
|
603 | 공무원의 투명성 부족 | 0 | 0 |
0%
|
604 | 공무원의 애로사항 인식필요 | 0 | 0 |
0%
|
605 | 리더의 적극적인 추진 부족 | 0 | 0 |
0%
|
606 | 국회의원 특권 내려놓아야한다 | 0 | 0 |
0%
|
607 | 정부3.0에 과제추진 담당자에 대한 인센티브 확대 | 0 | 0 |
0%
|
608 | 체감할 수 있는 인센티브의 한계 | 0 | 0 |
0%
|
609 | 통합적 리터쉽 부재 | 0 | 0 |
0%
|
610 | 적극적인 감사활동 부족 | 0 | 0 |
0%
|
611 | 과감한 인사혁신 필요 | 0 | 0 |
0%
|
612 | 정책 우선순위 결정 | 0 | 0 |
0%
|
613 | 개별정책간 유기적인 시너지 나타나지않는다 | 0 | 0 |
0%
|
614 | 나태한 공무원 징계와 해고 강화 | 0 | 0 |
0%
|
615 | 국민의 관심부족 | 0 | 0 |
0%
|
616 | 국민 체감되지않는 정책 | 0 | 0 |
0%
|
617 | 국민들의 개방요청 창구가 너무 다수임 | 0 | 0 |
0%
|
618 | 국민 만족도 낮다 | 0 | 0 |
0%
|
619 | 국민들이 잘알지못한다 | 0 | 0 |
0%
|
620 | 국민 행복감 부족 | 0 | 0 |
0%
|
621 | 국민 참여 부족 | 0 | 0 |
0%
|
622 | 국민 섬기는 자세 낮다 | 0 | 0 |
0%
|
624 | 계층간 위화감 | 0 | 0 |
0%
|
625 | 복지 사각지대 | 0 | 0 |
0%
|
626 | 소외계층 복지부족 | 0 | 0 |
0%
|
627 | 서민들 목소리에 귀기울여야한다 | 0 | 0 |
0%
|
628 | 현실적인 복지정책 필요 | 0 | 0 |
0%
|
629 | 강력한 통치력 필요 | 0 | 0 |
0%
|
630 | 경제발전 필요 | 0 | 0 |
0%
|
631 | 폭넓은 혜택 | 0 | 0 |
0%
|
632 | 사생활 간섭 | 0 | 0 |
0%
|
633 | 운전면허의 엄격함 필요 | 0 | 0 |
0%
|
638 | 정기적인 자질향상 테스트 | 0 | 0 |
0%
|
639 | 신상필벌이 원칙 개선 | 0 | 0 |
0%
|
640 | 교육강화 | 0 | 0 |
0%
|
641 | 정부3.0 용어 정비 | 0 | 0 |
0%
|
642 | 용어와 내용이 일치하는 제목설정 | 0 | 0 |
0%
|
643 | 전문적이고 행정적인 용어 배제 | 0 | 0 |
0%
|
644 | 직관적인 표어로 변경 | 0 | 0 |
0%
|
649 | 개인및 조직의 역량강화 | 0 | 0 |
0%
|
650 | 정권교체 | 0 | 0 |
0%
|
651 | 국무총리실의 콘트롤타워 역할 중요 | 0 | 0 |
0%
|
652 | 정부의 인식전환 필요 | 0 | 0 |
0%
|
653 | 정부의 역할이 부족 | 0 | 0 |
0%
|
654 | 정부의 획일적인 주도 | 0 | 0 |
0%
|
655 | 지나치게 세분화된 조직 운영 지양 | 0 | 0 |
0%
|
656 | 운영이 부실하다 | 0 | 0 |
0%
|
657 | 정부부처일을 민간에 떠넘기려한다 | 0 | 0 |
0%
|
658 | 정책의 일관성 유지 필요 | 0 | 0 |
0%
|
659 | 여론 수렴과 기반시설 확보 후 정책 실시 | 0 | 0 |
0%
|
660 | 지도자의 독단, 고집 | 0 | 0 |
0%
|
661 | 정치인들 정신 차려야한다 | 0 | 0 |
0%
|
662 | 분야별 전문가 및 시민사회 참여 | 0 | 0 |
0%
|
670 | 업무부서의 명확한 설정 | 0 | 0 |
0%
|
701 | 체계가 부족하다 | 0 | 0 |
0%
|
702 | 인식이 부족하다 | 0 | 0 |
0%
|
703 | 중구난방 서비스 | 0 | 0 |
0%
|
704 | 개념이 모호하다/개념 정립필요 | 0 | 0 |
0%
|
705 | 지나치게 포괄적이다 | 0 | 0 |
0%
|
706 | 방향이 명확하지않다 | 0 | 0 |
0%
|
707 | 형식적이다 | 0 | 0 |
0%
|
708 | 추상적이다 | 0 | 0 |
0%
|
709 | 소통부족 | 1 | 0 |
1%
|
710 | 이해부족 | 1 | 0 |
1%
|
711 | 현실성 부족 | 0 | 0 |
0%
|
712 | 투명성 부족 | 0 | 0 |
0%
|
713 | 정부기능 부재 | 0 | 0 |
0%
|
714 | 신뢰성 부족 | 0 | 0 |
0%
|
715 | 실천 저조 | 0 | 0 |
0%
|
716 | 협업 부족 | 0 | 0 |
0%
|
717 | 활용성 모호하다 | 1 | 0 |
1%
|
718 | 무관심하다 | 1 | 0 |
1%
|
719 | 산발적 진행 | 1 | 0 |
1%
|
720 | 관리가 잘안된다 | 0 | 0 |
0%
|
721 | 개별적이다 | 0 | 0 |
0%
|
722 | 내용이 너무 이상적이다 | 0 | 0 |
0%
|
723 | 개방이 덜 되었다/개방범위 확대 | 0 | 0 |
0%
|
724 | 개방속도가 더디다 | 0 | 0 |
0%
|
725 | 관행 타파 부족 | 0 | 0 |
0%
|
726 | 무능한 정부 | 0 | 0 |
0%
|
727 | 발전가능성이 없다 | 0 | 0 |
0%
|
728 | 불안한 미래 | 0 | 0 |
0%
|
729 | 타의에 의한 추진력 | 0 | 0 |
0%
|
730 | 참여부족 | 0 | 0 |
0%
|
731 | 실용성 부족 | 0 | 0 |
0%
|
732 | 노력부족 | 0 | 0 |
0%
|
733 | 개선의지 부족 | 0 | 0 |
0%
|
734 | 대중적 인지도 부족 | 0 | 0 |
0%
|
735 | 사명감 부족 | 0 | 0 |
0%
|
736 | 개방성 부족 | 0 | 0 |
0%
|
737 | 책임의식 부족 | 0 | 0 |
0%
|
738 | 내실화 부족 | 0 | 0 |
0%
|
739 | 결과가 없다 | 0 | 0 |
0%
|
740 | 적극성 부족 | 0 | 0 |
0%
|
741 | 개혁의지 부족 | 0 | 0 |
0%
|
742 | 집중 필요 | 0 | 0 |
0%
|
743 | 빠른 개편 필요 | 0 | 0 |
0%
|
744 | 신고의무화 | 0 | 0 |
0%
|
745 | 실시후 결과 개시 | 0 | 0 |
0%
|
746 | 실질적인 성과 내기 | 1 | 0 |
1%
|
747 | 추진방향에대한 선택과 집중 필요 | 0 | 0 |
0%
|
748 | 다양성 강화 | 0 | 0 |
0%
|
749 | 안전 개선 | 0 | 0 |
0%
|
750 | 문의시 답변이 느리다 | 0 | 0 |
0%
|
751 | 접근용이성 마련 | 0 | 0 |
0%
|
752 | 정직 | 0 | 0 |
0%
|
753 | 효율성 부족 | 0 | 0 |
0%
|
754 | 자발적 참여 필요 | 0 | 0 |
0%
|
755 | 패널티 부과 | 0 | 0 |
0%
|
756 | 근본적인 문제해결이 안된다 | 0 | 0 |
0%
|
757 | 전략 부족 | 1 | 0 |
1%
|
758 | 정보가 부족하다 | 0 | 0 |
0%
|
759 | 획일적이다 | 0 | 0 |
0%
|
760 | 제한적이다 | 0 | 0 |
0%
|
761 | 무분별한 데이터수집 | 0 | 0 |
0%
|
762 | 시간 지체 | 0 | 0 |
0%
|
763 | 인터넷 사용못하는 사람들에대한 대처 | 0 | 0 |
0%
|
764 | 점검하는 시간 필요 | 0 | 0 |
0%
|
765 | 외화내빈 우려 | 0 | 0 |
0%
|
766 | 산업경제적 가치창출 미흡 | 0 | 0 |
0%
|
767 | 정보공개 빅데이터에만 몰입 | 0 | 0 |
0%
|
768 | 범죄 악용 | 0 | 0 |
0%
|
769 | 문제발생 막아야한다 | 0 | 0 |
0%
|
770 | 너무 민원 편의주의이다 | 0 | 0 |
0%
|
771 | 현장과 여건에맞는 능동적인 개선 필요 | 0 | 0 |
0%
|
772 | 건강한 사회 조성 | 0 | 0 |
0%
|
773 | 당장 개선해야할것들을 시차를 두고 범위와 사업을 줄여야한다 | 0 | 0 |
0%
|
774 | 청렴한 사회 조성 | 0 | 0 |
0%
|
775 | 신속정확 해야한다 | 0 | 0 |
0%
|
776 | 진정성 | 0 | 0 |
0%
|
777 | 편리해야한다 | 0 | 0 |
0%
|
778 | 정상적인 사고 | 0 | 0 |
0%
|
779 | 문제점파악이 우선이다 | 0 | 0 |
0%
|
780 | 일자리 창출 부족 | 0 | 0 |
0%
|
781 | 부족한 면 보완 | 0 | 0 |
0%
|
782 | 불필요한것 제거 | 0 | 0 |
0%
|
783 | 올바른 시행 필요 | 0 | 0 |
0%
|
784 | 연구통한 문제해결 | 0 | 0 |
0%
|
785 | 시행률 상승 및 현황보고 | 0 | 0 |
0%
|
788 | 성과관리식 접근체계 필요 | 0 | 0 |
0%
|
789 | 목표, 내용, 방법에 대해 전면적 재고 필요 | 0 | 0 |
0%
|
790 | 3.0 폐지 | 0 | 0 |
0%
|
791 | 지속적인 추진필요 | 0 | 0 |
0%
|
792 | 지속적인 개발과 노력 | 1 | 0 |
1%
|
793 | 국가기관이 먼저 시행해야한다 | 0 | 0 |
0%
|
794 | 지속추진 가능한 체계와 시스템 구축 | 0 | 0 |
0%
|
795 | 분야별 3.0추진 필요 | 0 | 0 |
0%
|
796 | 모든 것을 정부3.0과 연관시키려고 한다 | 0 | 0 |
0%
|
797 | 절충안 마련 | 0 | 0 |
0%
|
798 | 모든 국가기관의 동참이 미흡하다 | 0 | 0 |
0%
|
799 | 정부3.0 에 대한 기관평가는 의미없음 | 0 | 0 |
0%
|
800 | 정부3.0 네이밍부터 어려움. | 0 | 0 |
0%
|
801 | 일부 우수기관에서만 적극 추진되는 경향 | 0 | 0 |
0%
|
802 | 정부 중심이다 | 0 | 0 |
0%
|
803 | 규제강화 | 0 | 0 |
0%
|
804 | 일괄적으로 정부3.0 기준적용 금지 | 0 | 0 |
0%
|
805 | 정부3.0 평가를 지금보다 세밀하게 개선한다. | 0 | 0 |
0%
|
806 | 업데이트 | 0 | 0 |
0%
|
847 | 한걸음 더 다가가야한다 | 0 | 0 |
0%
|
848 | 다양한 의견수렴 | 0 | 0 |
0%
|
849 | 숫자가 아닌 문자로 알려야한다 | 0 | 0 |
0%
|
850 | 부족한면이 많다 | 0 | 0 |
0%
|
851 | 벽이 많다 | 0 | 0 |
0%
|
852 | 부작용 | 0 | 0 |
0%
|
853 | 차이가 없다 | 0 | 0 |
0%
|
854 | 행자부만 좋다 | 0 | 0 |
0%
|
855 | 기대에 미치지못한다 | 0 | 0 |
0%
|
856 | 기회주의 | 0 | 0 |
0%
|
857 | 남은 임기 빨리 지나갔으면 | 0 | 0 |
0%
|
858 | 빨리 대선이 왔으면 | 0 | 0 |
0%
|
859 | 모든점에 만전을 기했으면 | 0 | 0 |
0%
|
998 | 없다 | 32 | 0 |
31.7%
|
999 | 모름 | 54 | 0 |
53.5%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501 | 부처간 협업 부족 | 0 | 0 |
0%
|
502 | 부처 이기주의 | 0 | 0 |
0%
|
503 | 부처의 무능력 | 0 | 0 |
0%
|
504 | 부처간 소통 부족 | 0 | 0 |
0%
|
505 | 필요이상의 협업강요로 효율성 저하 | 0 | 0 |
0%
|
506 | 상부층의 솔선수범 필요 | 0 | 0 |
0%
|
507 | 기관장의 관심과 점검 | 0 | 0 |
0%
|
508 | 5급(팀장)까지 성과연봉제가 확대되면 팀간 칸막이 우려된다 | 0 | 0 |
0%
|
509 | 책임자들의 마인드개선 | 0 | 0 |
0%
|
510 | 고위직의 부정부패 | 0 | 0 |
0%
|
511 | 부정부패시 처벌 강화 필요 | 0 | 0 |
0%
|
512 | 정보공개에 대한 국민의 요구와 행정기관의 입장을 절충한 개선안 필요 | 0 | 0 |
0%
|
513 | 데이터 개방이 민간사업에 크게 영향주지 못한다 | 0 | 0 |
0%
|
514 | 합리적인 평가 부족 | 0 | 0 |
0%
|
515 | 민간과의 협업 부족 | 0 | 0 |
0%
|
516 | 양적평가아닌 질적평가 필요 | 0 | 0 |
0%
|
517 | 평가기준 강화필요 | 0 | 0 |
0%
|
518 | 평가체계 개선 | 0 | 0 |
0%
|
519 | 단기성과주의 개선 | 0 | 0 |
0%
|
520 | 평가위주의 정책 개선 | 0 | 0 |
0%
|
521 | 성과위주의 정책 개선 | 0 | 0 |
0%
|
522 | 보여주기식 정책 개선 | 0 | 0 |
0%
|
523 | 탁상공론 개선 | 0 | 0 |
0%
|
524 | 형식적인 정책 | 0 | 0 |
0%
|
525 | 말뿐인 구호행정 | 0 | 0 |
0%
|
526 | 복잡한 행정절차 개선 | 0 | 0 |
0%
|
527 | 누구나 도움되는 정책필요 | 0 | 0 |
0%
|
528 | 친화적인 정책 필요 | 0 | 0 |
0%
|
529 | 행정서비스의 질적 개선 필요 | 0 | 0 |
0%
|
530 | 과도한 정보공개 | 0 | 0 |
0%
|
531 | 적극적인 공개 부족 | 0 | 0 |
0%
|
532 | 선별적 공개 필요 | 0 | 0 |
0%
|
533 | 정확한 정보공개 필요 | 0 | 0 |
0%
|
534 | 공공정보 개방에대한 가이드라인 필요 | 0 | 0 |
0%
|
535 | 하향식 운영 필요 | 0 | 0 |
0%
|
536 | 서류 중심 업무 | 0 | 0 |
0%
|
537 | 업무 과중 | 0 | 0 |
0%
|
538 | 업무연계성이 모호하다 | 0 | 0 |
0%
|
539 | 기존 업무의 짜집기 | 0 | 0 |
0%
|
540 | 업무처리가 느리다 | 0 | 0 |
0%
|
541 | 유연근무 확산 등을 통한 업무 효율화 | 0 | 0 |
0%
|
542 | 주민자치단체에서도 업무 가능해야한다 | 0 | 0 |
0%
|
543 | 관련 예산 및 평가 등에 대한 체계 미흡 | 0 | 0 |
0%
|
544 | 투명한 자금경영 필요 | 0 | 0 |
0%
|
545 | 예산부족 | 0 | 0 |
0%
|
546 | 세금낭비 | 0 | 0 |
0%
|
547 | 세금 증대 | 0 | 0 |
0%
|
548 | 적극적인 행정지원 부족 | 0 | 0 |
0%
|
549 | 법/제도 개선 | 0 | 0 |
0%
|
550 | 인력 부족 | 0 | 0 |
0%
|
551 | 지자체에 전담인력 배치 | 0 | 0 |
0%
|
552 | 법제도화 통한 추동력 확보 필요 | 0 | 0 |
0%
|
553 | 홈페이지 이용이 어렵다 | 0 | 0 |
0%
|
554 | 홈페이지 간소화 | 0 | 0 |
0%
|
555 | 전산처리 미숙하다 | 0 | 0 |
0%
|
556 | 접속이 불안/오류 많다 | 0 | 0 |
0%
|
557 | 접속이 느리다 | 0 | 0 |
0%
|
558 | 서버 확대 | 0 | 0 |
0%
|
559 | 협업 시스템 개선 | 0 | 0 |
0%
|
560 | 홍보 부재 | 0 | 0 |
0%
|
561 | 적용성 확대 | 0 | 0 |
0%
|
562 | 온라인 자유 게시판 필요 | 0 | 0 |
0%
|
563 | 설치해야할 프로그램이 많다 | 0 | 0 |
0%
|
564 | 액티브 액스, 공인인증서 등의 기법보다 더욱 선진화된 웹보안 적용 필요 | 0 | 0 |
0%
|
565 | 개인정보 보안 부족 | 0 | 0 |
0%
|
566 | 개인정보 입력 최소화 | 0 | 0 |
0%
|
567 | 홈페이지가 깔끔했으면 한다 | 0 | 0 |
0%
|
568 | 국가자료 보안성 취약점 증가 | 0 | 0 |
0%
|
569 | 국가안보에 관한 정보는 따로 관리 | 0 | 0 |
0%
|
570 | 오류에대한 방안과 안내 필요 | 0 | 0 |
0%
|
572 | 사례 집중육성 | 0 | 0 |
0%
|
573 | 협업가능한 사업 발굴 필요 | 0 | 0 |
0%
|
574 | 중앙부처구조를 넘지못하는 구조 | 0 | 0 |
0%
|
575 | 핵심사안에 집중 필요 | 0 | 0 |
0%
|
576 | 실질적으로 협업에 도움이 될만한 제도 등 개선방안 강구 | 0 | 0 |
0%
|
577 | 사례 보급 확대 | 0 | 0 |
0%
|
578 | 실천가능한 과제 설정 | 0 | 0 |
0%
|
579 | 실질적인 운영 | 0 | 0 |
0%
|
580 | 구체적 실천사항이 미비하다 | 0 | 0 |
0%
|
581 | 통합 처리/통합적 체계 필요 | 0 | 0 |
0%
|
582 | 각 부처 및 행정 연계성 | 0 | 0 |
0%
|
583 | 스마트폰 연계 서비스 개발 | 0 | 0 |
0%
|
584 | 수요자 입장 고려한 행정서비스 제공 | 0 | 0 |
0%
|
585 | 맞춤형 서비스 안된다 | 0 | 0 |
0%
|
586 | 찾아가는 서비스 안된다 | 0 | 0 |
0%
|
587 | 공공서비스의 혁신 필요 | 0 | 0 |
0%
|
588 | 공무원 1인의 짜내기식 시책개발이 문제다 | 0 | 0 |
0%
|
589 | 공무원 퇴출 | 0 | 0 |
0%
|
590 | 공무원의 적극성 부족 | 0 | 0 |
0%
|
591 | 공무원의 자질 문제 | 0 | 0 |
0%
|
592 | 공무원의 자발적 참여 부족 | 0 | 0 |
0%
|
593 | 공무원의 복지부동 | 0 | 0 |
0%
|
594 | 공무원의 이기주의 | 0 | 0 |
0%
|
595 | 공무원의 무사안일주의 | 0 | 0 |
0%
|
596 | 공무원의 이해부족 | 1 | 0 |
1%
|
597 | 공무원의 관심부족 | 0 | 0 |
0%
|
598 | 공무원의 불친절 | 0 | 0 |
0%
|
599 | 공무원의 고착된 의식 개선 | 0 | 0 |
0%
|
600 | 공무원 교육강화 | 0 | 0 |
0%
|
601 | 공무원 마인드 개선 | 0 | 0 |
0%
|
602 | 공무원 인원 축소 | 0 | 0 |
0%
|
603 | 공무원의 투명성 부족 | 0 | 0 |
0%
|
604 | 공무원의 애로사항 인식필요 | 0 | 0 |
0%
|
605 | 리더의 적극적인 추진 부족 | 0 | 0 |
0%
|
606 | 국회의원 특권 내려놓아야한다 | 0 | 0 |
0%
|
607 | 정부3.0에 과제추진 담당자에 대한 인센티브 확대 | 0 | 0 |
0%
|
608 | 체감할 수 있는 인센티브의 한계 | 0 | 0 |
0%
|
609 | 통합적 리터쉽 부재 | 0 | 0 |
0%
|
610 | 적극적인 감사활동 부족 | 0 | 0 |
0%
|
611 | 과감한 인사혁신 필요 | 0 | 0 |
0%
|
612 | 정책 우선순위 결정 | 0 | 0 |
0%
|
613 | 개별정책간 유기적인 시너지 나타나지않는다 | 0 | 0 |
0%
|
614 | 나태한 공무원 징계와 해고 강화 | 0 | 0 |
0%
|
615 | 국민의 관심부족 | 0 | 0 |
0%
|
616 | 국민 체감되지않는 정책 | 0 | 0 |
0%
|
617 | 국민들의 개방요청 창구가 너무 다수임 | 0 | 0 |
0%
|
618 | 국민 만족도 낮다 | 0 | 0 |
0%
|
619 | 국민들이 잘알지못한다 | 0 | 0 |
0%
|
620 | 국민 행복감 부족 | 0 | 0 |
0%
|
621 | 국민 참여 부족 | 0 | 0 |
0%
|
622 | 국민 섬기는 자세 낮다 | 0 | 0 |
0%
|
624 | 계층간 위화감 | 0 | 0 |
0%
|
625 | 복지 사각지대 | 0 | 0 |
0%
|
626 | 소외계층 복지부족 | 0 | 0 |
0%
|
627 | 서민들 목소리에 귀기울여야한다 | 0 | 0 |
0%
|
628 | 현실적인 복지정책 필요 | 0 | 0 |
0%
|
629 | 강력한 통치력 필요 | 0 | 0 |
0%
|
630 | 경제발전 필요 | 0 | 0 |
0%
|
631 | 폭넓은 혜택 | 0 | 0 |
0%
|
632 | 사생활 간섭 | 0 | 0 |
0%
|
633 | 운전면허의 엄격함 필요 | 0 | 0 |
0%
|
638 | 정기적인 자질향상 테스트 | 0 | 0 |
0%
|
639 | 신상필벌이 원칙 개선 | 0 | 0 |
0%
|
640 | 교육강화 | 0 | 0 |
0%
|
641 | 정부3.0 용어 정비 | 0 | 0 |
0%
|
642 | 용어와 내용이 일치하는 제목설정 | 0 | 0 |
0%
|
643 | 전문적이고 행정적인 용어 배제 | 0 | 0 |
0%
|
644 | 직관적인 표어로 변경 | 0 | 0 |
0%
|
649 | 개인및 조직의 역량강화 | 0 | 0 |
0%
|
650 | 정권교체 | 0 | 0 |
0%
|
651 | 국무총리실의 콘트롤타워 역할 중요 | 0 | 0 |
0%
|
652 | 정부의 인식전환 필요 | 0 | 0 |
0%
|
653 | 정부의 역할이 부족 | 0 | 0 |
0%
|
654 | 정부의 획일적인 주도 | 0 | 0 |
0%
|
655 | 지나치게 세분화된 조직 운영 지양 | 0 | 0 |
0%
|
656 | 운영이 부실하다 | 0 | 0 |
0%
|
657 | 정부부처일을 민간에 떠넘기려한다 | 0 | 0 |
0%
|
658 | 정책의 일관성 유지 필요 | 0 | 0 |
0%
|
659 | 여론 수렴과 기반시설 확보 후 정책 실시 | 0 | 0 |
0%
|
660 | 지도자의 독단, 고집 | 0 | 0 |
0%
|
661 | 정치인들 정신 차려야한다 | 0 | 0 |
0%
|
662 | 분야별 전문가 및 시민사회 참여 | 0 | 0 |
0%
|
670 | 업무부서의 명확한 설정 | 0 | 0 |
0%
|
701 | 체계가 부족하다 | 0 | 0 |
0%
|
702 | 인식이 부족하다 | 0 | 0 |
0%
|
703 | 중구난방 서비스 | 0 | 0 |
0%
|
704 | 개념이 모호하다/개념 정립필요 | 0 | 0 |
0%
|
705 | 지나치게 포괄적이다 | 0 | 0 |
0%
|
706 | 방향이 명확하지않다 | 0 | 0 |
0%
|
707 | 형식적이다 | 0 | 0 |
0%
|
708 | 추상적이다 | 0 | 0 |
0%
|
709 | 소통부족 | 0 | 0 |
0%
|
710 | 이해부족 | 0 | 0 |
0%
|
711 | 현실성 부족 | 0 | 0 |
0%
|
712 | 투명성 부족 | 0 | 0 |
0%
|
713 | 정부기능 부재 | 0 | 0 |
0%
|
714 | 신뢰성 부족 | 0 | 0 |
0%
|
715 | 실천 저조 | 0 | 0 |
0%
|
716 | 협업 부족 | 0 | 0 |
0%
|
717 | 활용성 모호하다 | 0 | 0 |
0%
|
718 | 무관심하다 | 0 | 0 |
0%
|
719 | 산발적 진행 | 0 | 0 |
0%
|
720 | 관리가 잘안된다 | 0 | 0 |
0%
|
721 | 개별적이다 | 0 | 0 |
0%
|
722 | 내용이 너무 이상적이다 | 0 | 0 |
0%
|
723 | 개방이 덜 되었다/개방범위 확대 | 0 | 0 |
0%
|
724 | 개방속도가 더디다 | 0 | 0 |
0%
|
725 | 관행 타파 부족 | 0 | 0 |
0%
|
726 | 무능한 정부 | 0 | 0 |
0%
|
727 | 발전가능성이 없다 | 0 | 0 |
0%
|
728 | 불안한 미래 | 0 | 0 |
0%
|
729 | 타의에 의한 추진력 | 0 | 0 |
0%
|
730 | 참여부족 | 0 | 0 |
0%
|
731 | 실용성 부족 | 0 | 0 |
0%
|
732 | 노력부족 | 0 | 0 |
0%
|
733 | 개선의지 부족 | 0 | 0 |
0%
|
734 | 대중적 인지도 부족 | 0 | 0 |
0%
|
735 | 사명감 부족 | 0 | 0 |
0%
|
736 | 개방성 부족 | 0 | 0 |
0%
|
737 | 책임의식 부족 | 0 | 0 |
0%
|
738 | 내실화 부족 | 0 | 0 |
0%
|
739 | 결과가 없다 | 0 | 0 |
0%
|
740 | 적극성 부족 | 0 | 0 |
0%
|
741 | 개혁의지 부족 | 0 | 0 |
0%
|
742 | 집중 필요 | 0 | 0 |
0%
|
743 | 빠른 개편 필요 | 0 | 0 |
0%
|
744 | 신고의무화 | 0 | 0 |
0%
|
745 | 실시후 결과 개시 | 0 | 0 |
0%
|
746 | 실질적인 성과 내기 | 0 | 0 |
0%
|
747 | 추진방향에대한 선택과 집중 필요 | 0 | 0 |
0%
|
748 | 다양성 강화 | 0 | 0 |
0%
|
749 | 안전 개선 | 0 | 0 |
0%
|
750 | 문의시 답변이 느리다 | 0 | 0 |
0%
|
751 | 접근용이성 마련 | 0 | 0 |
0%
|
752 | 정직 | 0 | 0 |
0%
|
753 | 효율성 부족 | 0 | 0 |
0%
|
754 | 자발적 참여 필요 | 0 | 0 |
0%
|
755 | 패널티 부과 | 0 | 0 |
0%
|
756 | 근본적인 문제해결이 안된다 | 0 | 0 |
0%
|
757 | 전략 부족 | 0 | 0 |
0%
|
758 | 정보가 부족하다 | 0 | 0 |
0%
|
759 | 획일적이다 | 0 | 0 |
0%
|
760 | 제한적이다 | 0 | 0 |
0%
|
761 | 무분별한 데이터수집 | 0 | 0 |
0%
|
762 | 시간 지체 | 0 | 0 |
0%
|
763 | 인터넷 사용못하는 사람들에대한 대처 | 0 | 0 |
0%
|
764 | 점검하는 시간 필요 | 0 | 0 |
0%
|
765 | 외화내빈 우려 | 0 | 0 |
0%
|
766 | 산업경제적 가치창출 미흡 | 0 | 0 |
0%
|
767 | 정보공개 빅데이터에만 몰입 | 0 | 0 |
0%
|
768 | 범죄 악용 | 0 | 0 |
0%
|
769 | 문제발생 막아야한다 | 0 | 0 |
0%
|
770 | 너무 민원 편의주의이다 | 0 | 0 |
0%
|
771 | 현장과 여건에맞는 능동적인 개선 필요 | 0 | 0 |
0%
|
772 | 건강한 사회 조성 | 0 | 0 |
0%
|
773 | 당장 개선해야할것들을 시차를 두고 범위와 사업을 줄여야한다 | 0 | 0 |
0%
|
774 | 청렴한 사회 조성 | 0 | 0 |
0%
|
775 | 신속정확 해야한다 | 0 | 0 |
0%
|
776 | 진정성 | 0 | 0 |
0%
|
777 | 편리해야한다 | 0 | 0 |
0%
|
778 | 정상적인 사고 | 0 | 0 |
0%
|
779 | 문제점파악이 우선이다 | 0 | 0 |
0%
|
780 | 일자리 창출 부족 | 0 | 0 |
0%
|
781 | 부족한 면 보완 | 0 | 0 |
0%
|
782 | 불필요한것 제거 | 0 | 0 |
0%
|
783 | 올바른 시행 필요 | 0 | 0 |
0%
|
784 | 연구통한 문제해결 | 0 | 0 |
0%
|
785 | 시행률 상승 및 현황보고 | 0 | 0 |
0%
|
788 | 성과관리식 접근체계 필요 | 0 | 0 |
0%
|
789 | 목표, 내용, 방법에 대해 전면적 재고 필요 | 0 | 0 |
0%
|
790 | 3.0 폐지 | 0 | 0 |
0%
|
791 | 지속적인 추진필요 | 0 | 0 |
0%
|
792 | 지속적인 개발과 노력 | 0 | 0 |
0%
|
793 | 국가기관이 먼저 시행해야한다 | 0 | 0 |
0%
|
794 | 지속추진 가능한 체계와 시스템 구축 | 0 | 0 |
0%
|
795 | 분야별 3.0추진 필요 | 0 | 0 |
0%
|
796 | 모든 것을 정부3.0과 연관시키려고 한다 | 0 | 0 |
0%
|
797 | 절충안 마련 | 0 | 0 |
0%
|
798 | 모든 국가기관의 동참이 미흡하다 | 0 | 0 |
0%
|
799 | 정부3.0 에 대한 기관평가는 의미없음 | 0 | 0 |
0%
|
800 | 정부3.0 네이밍부터 어려움. | 0 | 0 |
0%
|
801 | 일부 우수기관에서만 적극 추진되는 경향 | 0 | 0 |
0%
|
802 | 정부 중심이다 | 0 | 0 |
0%
|
803 | 규제강화 | 0 | 0 |
0%
|
804 | 일괄적으로 정부3.0 기준적용 금지 | 0 | 0 |
0%
|
805 | 정부3.0 평가를 지금보다 세밀하게 개선한다. | 0 | 0 |
0%
|
806 | 업데이트 | 0 | 0 |
0%
|
847 | 한걸음 더 다가가야한다 | 0 | 0 |
0%
|
848 | 다양한 의견수렴 | 0 | 0 |
0%
|
849 | 숫자가 아닌 문자로 알려야한다 | 0 | 0 |
0%
|
850 | 부족한면이 많다 | 0 | 0 |
0%
|
851 | 벽이 많다 | 0 | 0 |
0%
|
852 | 부작용 | 0 | 0 |
0%
|
853 | 차이가 없다 | 0 | 0 |
0%
|
854 | 행자부만 좋다 | 0 | 0 |
0%
|
855 | 기대에 미치지못한다 | 0 | 0 |
0%
|
856 | 기회주의 | 0 | 0 |
0%
|
857 | 남은 임기 빨리 지나갔으면 | 0 | 0 |
0%
|
858 | 빨리 대선이 왔으면 | 0 | 0 |
0%
|
859 | 모든점에 만전을 기했으면 | 0 | 0 |
0%
|
998 | 없다 | 46 | 0 |
45.5%
|
999 | 모름 | 54 | 0 |
53.5%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 | 3.0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하기 위한 법제도 마련 | 1 | 0 |
2.3%
|
- | 가능한 구체적인 사례발굴 및 집중적인 육성 | 1 | 0 |
2.3%
|
- | 개념의 명확성과 구체성을 제고하여 정책방향을 새롭게 할 필요가 있음 | 1 | 0 |
2.3%
|
- | 개념정립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일을 만듦으로 인해서 혼락인 가중된 문제를 해결해야 하지만 이를 위한 시간과 노력이 부족함. | 1 | 0 |
2.3%
|
- | 개인 및 조직 역량 강화 | 1 | 0 |
2.3%
|
- | 거시적/미시적 방향과 성과관리식 접근체계가 필요함 | 1 | 0 |
2.3%
|
- | 공무원 대상 세미나, 토론회 필요 | 1 | 0 |
2.3%
|
- | 공무원들의 변화없이는 정부3.0의 성공은 없음 | 1 | 0 |
2.3%
|
- | 공무원의 관심과 국민들에 대한 홍보를 철저히 할 것 | 1 | 0 |
2.3%
|
- | 공무원의 관심과 이해도의 지속적 향상 | 1 | 0 |
2.3%
|
- | 공익적 목적을 위한 법/제도 보완을 통하여 협업체계 확립필요 | 1 | 0 |
2.3%
|
- | 교육 강화(롤 플레이닝 등) | 1 | 0 |
2.3%
|
- | 국민들의 요구와 수요를 적극 반영하기 위해 민간과의 협업이 필요하고, 단기적인 양적 성과를 중요하게 생각하지 말아야 한다. | 1 | 0 |
2.3%
|
- | 국민에게 적극홍보와 공무원들에게 이해를 높이고 적극시행을 강조할것 | 1 | 0 |
2.3%
|
- | 국정과제로 국가차원의 통합적 추진체계를 구축하고 이를 예산이나 인사제도 등과 연계하여야 할 것임. | 1 | 0 |
2.3%
|
- | 기관장의 관심과 점검 | 1 | 0 |
2.3%
|
- | 기존 사업의 내실화와 연계 강화 | 1 | 0 |
2.3%
|
- | 명확한 개념정의제시와 적극적인 활용필요 | 1 | 0 |
2.3%
|
- | 목표, 내용, 방법에 대해 전면적 재고 필요 | 1 | 0 |
2.3%
|
- | 민간부문과의 연계 협력 | 1 | 0 |
2.3%
|
- | 법제도 및 평가 | 1 | 0 |
2.3%
|
- | 법제도화를 통한 추동력 확보 필요 | 1 | 0 |
2.3%
|
- | 변화관리 | 1 | 0 |
2.3%
|
- | 보다 적극적이고 구체적인 개념과 방식의 보급(공무원 포함) | 1 | 0 |
2.3%
|
- | 부서 및 부처간 협업의 활성화 필요 | 1 | 0 |
2.3%
|
- | 비밀 이외의 모든 행정정보공개를 과감히 추진하고, 협업시스템 구축에만 총력을 기울였으면 한다. | 1 | 0 |
2.3%
|
- | 숫자가 아닌 문자로 알려야함 | 1 | 0 |
2.3%
|
- | 쉬운 용어로 다가가기 | 1 | 0 |
2.3%
|
- | 실질적인 협업이 이루어져야 할 것임 | 1 | 0 |
2.3%
|
- | 예산지원하에 리더의 책임하에 적극적인 추진이 필요 | 1 | 0 |
2.3%
|
- | 유용성에 대한 지속적 홍보 | 1 | 0 |
2.3%
|
- | 이번정부에서만 끝내지말고 정권이 바뀌어도 계속갈수있는 정책이 되었으면 함 | 1 | 0 |
2.3%
|
- | 이에 대한 개선방안은 행정, 정책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데에는 한계가 있고, 차기 행정부에서도 이와의 연장선상에서의 정부개혁에 대한 청사진이 그려져서 정책적 일관성과 계속성을 유지 | 1 | 0 |
2.3%
|
- | 정보의 적극적 공개 | 1 | 0 |
2.3%
|
- | 정부 3.0의 전체 방향성은 바람직하기 때문에 시간을 고려한 로드맵을 설정하고 중요한 것과 당장 개선해야 할 것들을 시차를 고려하여 접근하여야 한다. 범위와 사업을 줄일 필요있음 | 1 | 0 |
2.3%
|
- | 정부3.0 본래 취지에 맞게 법제도를 개선하고 공무원 교육확대를 통한 실질적인 행정서비스의 질적확대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 1 | 0 |
2.3%
|
- | 정부3.0 지원정책 강화 | 1 | 0 |
2.3%
|
- | 평가 기준 강화 | 1 | 0 |
2.3%
|
- | 합리적 평가를 하지 못한다 | 1 | 0 |
2.3%
|
- | 핵심적 사안에 집중 | 1 | 0 |
2.3%
|
- | 혁신역량을 높이기 위한 조직구성원관심과 노력 | 1 | 0 |
2.3%
|
- | 협업가능한 사업을 적극 발굴 | 1 | 0 |
2.3%
|
- | 홍보만 한다고 해서 정부3.0이 달성되는 것이 아님. 협업 구조를 구축하기 위한 기반이 마련되어 있지 않았다는 점에서 이를 개선하는 것이 가장 시급함. | 1 | 0 |
2.3%
|
- | 홍보와 교육 정착화 | 1 | 0 |
2.3%
|
This variable is character
Value | Label | N | WN | |
---|---|---|---|---|
501 | 부처간 협업 부족 | 1 | 0 |
1%
|
502 | 부처 이기주의 | 0 | 0 |
0%
|
503 | 부처의 무능력 | 0 | 0 |
0%
|
504 | 부처간 소통 부족 | 0 | 0 |
0%
|
505 | 필요이상의 협업강요로 효율성 저하 | 0 | 0 |
0%
|
506 | 상부층의 솔선수범 필요 | 0 | 0 |
0%
|
507 | 기관장의 관심과 점검 | 1 | 0 |
1%
|
508 | 5급(팀장)까지 성과연봉제가 확대되면 팀간 칸막이 우려된다 | 0 | 0 |
0%
|
509 | 책임자들의 마인드개선 | 0 | 0 |
0%
|
510 | 고위직의 부정부패 | 0 | 0 |
0%
|
511 | 부정부패시 처벌 강화 필요 | 0 | 0 |
0%
|
512 | 정보공개에 대한 국민의 요구와 행정기관의 입장을 절충한 개선안 필요 | 0 | 0 |
0%
|
513 | 데이터 개방이 민간사업에 크게 영향주지 못한다 | 0 | 0 |
0%
|
514 | 합리적인 평가 부족 | 1 | 0 |
1%
|
515 | 민간과의 협업 부족 | 2 | 0 |
2%
|
516 | 양적평가아닌 질적평가 필요 | 0 | 0 |
0%
|
517 | 평가기준 강화필요 | 1 | 0 |
1%
|
518 | 평가체계 개선 | 0 | 0 |
0%
|
519 | 단기성과주의 개선 | 0 | 0 |
0%
|
520 | 평가위주의 정책 개선 | 0 | 0 |
0%
|
521 | 성과위주의 정책 개선 | 0 | 0 |
0%
|
522 | 보여주기식 정책 개선 | 0 | 0 |
0%
|
523 | 탁상공론 개선 | 0 | 0 |
0%
|
524 | 형식적인 정책 | 0 | 0 |
0%
|
525 | 말뿐인 구호행정 | 0 | 0 |
0%
|
526 | 복잡한 행정절차 개선 | 0 | 0 |
0%
|
527 | 누구나 도움되는 정책필요 | 0 | 0 |
0%
|
528 | 친화적인 정책 필요 | 0 | 0 |
0%
|
529 | 행정서비스의 질적 개선 필요 | 0 | 0 |
0%
|
530 | 과도한 정보공개 | 0 | 0 |
0%
|
531 | 적극적인 공개 부족 | 2 | 0 |
2%
|
532 | 선별적 공개 필요 | 0 | 0 |
0%
|
533 | 정확한 정보공개 필요 | 0 | 0 |
0%
|
534 | 공공정보 개방에대한 가이드라인 필요 | 0 | 0 |
0%
|
535 | 하향식 운영 필요 | 0 | 0 |
0%
|
536 | 서류 중심 업무 | 0 | 0 |
0%
|
537 | 업무 과중 | 0 | 0 |
0%
|
538 | 업무연계성이 모호하다 | 0 | 0 |
0%
|
539 | 기존 업무의 짜집기 | 0 | 0 |
0%
|
540 | 업무처리가 느리다 | 0 | 0 |
0%
|
541 | 유연근무 확산 등을 통한 업무 효율화 | 0 | 0 |
0%
|
542 | 주민자치단체에서도 업무 가능해야한다 | 0 | 0 |
0%
|
543 | 관련 예산 및 평가 등에 대한 체계 미흡 | 0 | 0 |
0%
|
544 | 투명한 자금경영 필요 | 0 | 0 |
0%
|
545 | 예산부족 | 0 | 0 |
0%
|
546 | 세금낭비 | 0 | 0 |
0%
|
547 | 세금 증대 | 0 | 0 |
0%
|
548 | 적극적인 행정지원 부족 | 1 | 0 |
1%
|
549 | 법/제도 개선 | 3 | 0 |
3%
|
550 | 인력 부족 | 0 | 0 |
0%
|
551 | 지자체에 전담인력 배치 | 0 | 0 |
0%
|
552 | 법제도화 통한 추동력 확보 필요 | 2 | 0 |
2%
|
553 | 홈페이지 이용이 어렵다 | 0 | 0 |
0%
|
554 | 홈페이지 간소화 | 0 | 0 |
0%
|
555 | 전산처리 미숙하다 | 0 | 0 |
0%
|
556 | 접속이 불안/오류 많다 | 0 | 0 |
0%
|
557 | 접속이 느리다 | 0 | 0 |
0%
|
558 | 서버 확대 | 0 | 0 |
0%
|
559 | 협업 시스템 개선 | 1 | 0 |
1%
|
560 | 홍보 부재 | 2 | 0 |
2%
|
561 | 적용성 확대 | 0 | 0 |
0%
|
562 | 온라인 자유 게시판 필요 | 1 | 0 |
1%
|
563 | 설치해야할 프로그램이 많다 | 0 | 0 |
0%
|
564 | 액티브 액스, 공인인증서 등의 기법보다 더욱 선진화된 웹보안 적용 필요 | 0 | 0 |
0%
|
565 | 개인정보 보안 부족 | 0 | 0 |
0%
|
566 | 개인정보 입력 최소화 | 0 | 0 |
0%
|
567 | 홈페이지가 깔끔했으면 한다 | 0 | 0 |
0%
|
568 | 국가자료 보안성 취약점 증가 | 0 | 0 |
0%
|
569 | 국가안보에 관한 정보는 따로 관리 | 0 | 0 |
0%
|
570 | 오류에대한 방안과 안내 필요 | 0 | 0 |
0%
|
572 | 사례 집중육성 | 0 | 0 |
0%
|
573 | 협업가능한 사업 발굴 필요 | 1 | 0 |
1%
|
574 | 중앙부처구조를 넘지못하는 구조 | 0 | 0 |
0%
|
575 | 핵심사안에 집중 필요 | 1 | 0 |
1%
|
576 | 실질적으로 협업에 도움이 될만한 제도 등 개선방안 강구 | 0 | 0 |
0%
|
577 | 사례 보급 확대 | 1 | 0 |
1%
|
578 | 실천가능한 과제 설정 | 0 | 0 |
0%
|
579 | 실질적인 운영 | 0 | 0 |
0%
|
580 | 구체적 실천사항이 미비하다 | 0 | 0 |
0%
|
581 | 통합 처리/통합적 체계 필요 | 1 | 0 |
1%
|
582 | 각 부처 및 행정 연계성 | 0 | 0 |
0%
|
583 | 스마트폰 연계 서비스 개발 | 0 | 0 |
0%
|
584 | 수요자 입장 고려한 행정서비스 제공 | 0 | 0 |
0%
|
585 | 맞춤형 서비스 안된다 | 0 | 0 |
0%
|
586 | 찾아가는 서비스 안된다 | 0 | 0 |
0%
|
587 | 공공서비스의 혁신 필요 | 0 | 0 |
0%
|
588 | 공무원 1인의 짜내기식 시책개발이 문제다 | 0 | 0 |
0%
|
589 | 공무원 퇴출 | 0 | 0 |
0%
|
590 | 공무원의 적극성 부족 | 0 | 0 |
0%
|
591 | 공무원의 자질 문제 | 0 | 0 |
0%
|
592 | 공무원의 자발적 참여 부족 | 0 | 0 |
0%
|
593 | 공무원의 복지부동 | 0 | 0 |
0%
|
594 | 공무원의 이기주의 | 0 | 0 |
0%
|
595 | 공무원의 무사안일주의 | 0 | 0 |
0%
|
596 | 공무원의 이해부족 | 0 | 0 |
0%
|
597 | 공무원의 관심부족 | 3 | 0 |
3%
|
598 | 공무원의 불친절 | 0 | 0 |
0%
|
599 | 공무원의 고착된 의식 개선 | 0 | 0 |
0%
|
600 | 공무원 교육강화 | 1 | 0 |
1%
|
601 | 공무원 마인드 개선 | 1 | 0 |
1%
|
602 | 공무원 인원 축소 | 0 | 0 |
0%
|
603 | 공무원의 투명성 부족 | 0 | 0 |
0%
|
604 | 공무원의 애로사항 인식필요 | 0 | 0 |
0%
|
605 | 리더의 적극적인 추진 부족 | 1 | 0 |
1%
|
606 | 국회의원 특권 내려놓아야한다 | 0 | 0 |
0%
|
607 | 정부3.0에 과제추진 담당자에 대한 인센티브 확대 | 0 | 0 |
0%
|
608 | 체감할 수 있는 인센티브의 한계 | 0 | 0 |
0%
|
609 | 통합적 리터쉽 부재 | 0 | 0 |
0%
|
610 | 적극적인 감사활동 부족 | 0 | 0 |
0%
|
611 | 과감한 인사혁신 필요 | 0 | 0 |
0%
|
612 | 정책 우선순위 결정 | 0 | 0 |
0%
|
613 | 개별정책간 유기적인 시너지 나타나지않는다 | 0 | 0 |
0%
|
614 | 나태한 공무원 징계와 해고 강화 | 0 | 0 |
0%
|
615 | 국민의 관심부족 | 0 | 0 |
0%
|
616 | 국민 체감되지않는 정책 | 0 | 0 |
0%
|
617 | 국민들의 개방요청 창구가 너무 다수임 | 0 | 0 |
0%
|
618 | 국민 만족도 낮다 | 0 | 0 |
0%
|
619 | 국민들이 잘알지못한다 | 0 | 0 |
0%
|
620 | 국민 행복감 부족 | 0 | 0 |
0%
|
621 | 국민 참여 부족 | 0 | 0 |
0%
|
622 | 국민 섬기는 자세 낮다 | 0 | 0 |
0%
|
624 | 계층간 위화감 | 0 | 0 |
0%
|
625 | 복지 사각지대 | 0 | 0 |
0%
|
626 | 소외계층 복지부족 | 0 | 0 |
0%
|
627 | 서민들 목소리에 귀기울여야한다 | 0 | 0 |
0%
|
628 | 현실적인 복지정책 필요 | 0 | 0 |
0%
|
629 | 강력한 통치력 필요 | 0 | 0 |
0%
|
630 | 경제발전 필요 | 0 | 0 |
0%
|
631 | 폭넓은 혜택 | 0 | 0 |
0%
|
632 | 사생활 간섭 | 0 | 0 |
0%
|
633 | 운전면허의 엄격함 필요 | 0 | 0 |
0%
|
638 | 정기적인 자질향상 테스트 | 0 | 0 |
0%
|
639 | 신상필벌이 원칙 개선 | 0 | 0 |
0%
|
640 | 교육강화 | 1 | 0 |
1%
|
641 | 정부3.0 용어 정비 | 1 | 0 |
1%
|
642 | 용어와 내용이 일치하는 제목설정 | 0 | 0 |
0%
|
643 | 전문적이고 행정적인 용어 배제 | 0 | 0 |
0%
|
644 | 직관적인 표어로 변경 | 0 | 0 |
0%
|
649 | 개인및 조직의 역량강화 | 1 | 0 |
1%
|
650 | 정권교체 | 0 | 0 |
0%
|
651 | 국무총리실의 콘트롤타워 역할 중요 | 0 | 0 |
0%
|
652 | 정부의 인식전환 필요 | 0 | 0 |
0%
|
653 | 정부의 역할이 부족 | 0 | 0 |
0%
|
654 | 정부의 획일적인 주도 | 0 | 0 |
0%
|
655 | 지나치게 세분화된 조직 운영 지양 | 0 | 0 |
0%
|
656 | 운영이 부실하다 | 0 | 0 |
0%
|
657 | 정부부처일을 민간에 떠넘기려한다 | 0 | 0 |
0%
|
658 | 정책의 일관성 유지 필요 | 1 | 0 |
1%
|
659 | 여론 수렴과 기반시설 확보 후 정책 실시 | 0 | 0 |
0%
|
660 | 지도자의 독단, 고집 | 0 | 0 |
0%
|
661 | 정치인들 정신 차려야한다 | 0 | 0 |
0%
|
662 | 분야별 전문가 및 시민사회 참여 | 0 | 0 |
0%
|
670 | 업무부서의 명확한 설정 | 0 | 0 |
0%
|
701 | 체계가 부족하다 | 0 | 0 |
0%
|
702 | 인식이 부족하다 | 0 | 0 |
0%
|
703 | 중구난방 서비스 | 0 | 0 |
0%
|
704 | 개념이 모호하다/개념 정립필요 | 4 | 0 |
4%
|
705 | 지나치게 포괄적이다 | 0 | 0 |
0%
|
706 | 방향이 명확하지않다 | 1 | 0 |
1%
|
707 | 형식적이다 | 0 | 0 |
0%
|
708 | 추상적이다 | 0 | 0 |
0%
|
709 | 소통부족 | 0 | 0 |
0%
|
710 | 이해부족 | 0 | 0 |
0%
|
711 | 현실성 부족 | 0 | 0 |
0%
|
712 | 투명성 부족 | 0 | 0 |
0%
|
713 | 정부기능 부재 | 0 | 0 |
0%
|
714 | 신뢰성 부족 | 0 | 0 |
0%
|
715 | 실천 저조 | 0 | 0 |
0%
|
716 | 협업 부족 | 1 | 0 |
1%
|
717 | 활용성 모호하다 | 0 | 0 |
0%
|
718 | 무관심하다 | 0 | 0 |
0%
|
719 | 산발적 진행 | 0 | 0 |
0%
|
720 | 관리가 잘안된다 | 0 | 0 |
0%
|
721 | 개별적이다 | 0 | 0 |
0%
|
722 | 내용이 너무 이상적이다 | 0 | 0 |
0%
|
723 | 개방이 덜 되었다/개방범위 확대 | 0 | 0 |
0%
|
724 | 개방속도가 더디다 | 0 | 0 |
0%
|
725 | 관행 타파 부족 | 0 | 0 |
0%
|
726 | 무능한 정부 | 0 | 0 |
0%
|
727 | 발전가능성이 없다 | 0 | 0 |
0%
|
728 | 불안한 미래 | 0 | 0 |
0%
|
729 | 타의에 의한 추진력 | 0 | 0 |
0%
|
730 | 참여부족 | 0 | 0 |
0%
|
731 | 실용성 부족 | 0 | 0 |
0%
|
732 | 노력부족 | 0 | 0 |
0%
|
733 | 개선의지 부족 | 1 | 0 |
1%
|
734 | 대중적 인지도 부족 | 0 | 0 |
0%
|
735 | 사명감 부족 | 0 | 0 |
0%
|
736 | 개방성 부족 | 0 | 0 |
0%
|
737 | 책임의식 부족 | 0 | 0 |
0%
|
738 | 내실화 부족 | 1 | 0 |
1%
|
739 | 결과가 없다 | 0 | 0 |
0%
|
740 | 적극성 부족 | 0 | 0 |
0%
|
741 | 개혁의지 부족 | 0 | 0 |
0%
|
742 | 집중 필요 | 0 | 0 |
0%
|
743 | 빠른 개편 필요 | 0 | 0 |
0%
|
744 | 신고의무화 | 0 | 0 |
0%
|
745 | 실시후 결과 개시 | 0 | 0 |
0%
|
746 | 실질적인 성과 내기 | 0 | 0 |
0%
|
747 | 추진방향에대한 선택과 집중 필요 | 0 | 0 |
0%
|
748 | 다양성 강화 | 0 | 0 |
0%
|
749 | 안전 개선 | 0 | 0 |
0%
|
750 | 문의시 답변이 느리다 | 0 | 0 |
0%
|
751 | 접근용이성 마련 | 0 | 0 |
0%
|
752 | 정직 | 0 | 0 |
0%
|
753 | 효율성 부족 | 0 | 0 |
0%
|
754 | 자발적 참여 필요 | 0 | 0 |
0%
|
755 | 패널티 부과 | 0 | 0 |
0%
|
756 | 근본적인 문제해결이 안된다 | 0 | 0 |
0%
|
757 | 전략 부족 | 0 | 0 |
0%
|
758 | 정보가 부족하다 | 0 | 0 |
0%
|
759 | 획일적이다 | 0 | 0 |
0%
|
760 | 제한적이다 | 0 | 0 |
0%
|
761 | 무분별한 데이터수집 | 0 | 0 |
0%
|
762 | 시간 지체 | 0 | 0 |
0%
|
763 | 인터넷 사용못하는 사람들에대한 대처 | 0 | 0 |
0%
|
764 | 점검하는 시간 필요 | 0 | 0 |
0%
|
765 | 외화내빈 우려 | 0 | 0 |
0%
|
766 | 산업경제적 가치창출 미흡 | 0 | 0 |
0%
|
767 | 정보공개 빅데이터에만 몰입 | 0 | 0 |
0%
|
768 | 범죄 악용 | 0 | 0 |
0%
|
769 | 문제발생 막아야한다 | 0 | 0 |
0%
|
770 | 너무 민원 편의주의이다 | 0 | 0 |
0%
|
771 | 현장과 여건에맞는 능동적인 개선 필요 | 0 | 0 |
0%
|
772 | 건강한 사회 조성 | 0 | 0 |
0%
|
773 | 당장 개선해야할것들을 시차를 두고 범위와 사업을 줄여야한다 | 1 | 0 |
1%
|
774 | 청렴한 사회 조성 | 0 | 0 |
0%
|
775 | 신속정확 해야한다 | 0 | 0 |
0%
|
776 | 진정성 | 0 | 0 |
0%
|
777 | 편리해야한다 | 0 | 0 |
0%
|
778 | 정상적인 사고 | 0 | 0 |
0%
|
779 | 문제점파악이 우선이다 | 0 | 0 |
0%
|
780 | 일자리 창출 부족 | 0 | 0 |
0%
|
781 | 부족한 면 보완 | 0 | 0 |
0%
|
782 | 불필요한것 제거 | 0 | 0 |
0%
|
783 | 올바른 시행 필요 | 0 | 0 |
0%
|
784 | 연구통한 문제해결 | 0 | 0 |
0%
|
785 | 시행률 상승 및 현황보고 | 0 | 0 |
0%
|
788 | 성과관리식 접근체계 필요 | 0 | 0 |
0%
|
789 | 목표, 내용, 방법에 대해 전면적 재고 필요 | 1 | 0 |
1%
|
790 | 3.0 폐지 | 0 | 0 |
0%
|
791 | 지속적인 추진필요 | 0 | 0 |
0%
|
792 | 지속적인 개발과 노력 | 1 | 0 |
1%
|
793 | 국가기관이 먼저 시행해야한다 | 0 | 0 |
0%
|
794 | 지속추진 가능한 체계와 시스템 구축 | 0 | 0 |
0%
|
795 | 분야별 3.0추진 필요 | 0 | 0 |
0%
|
796 | 모든 것을 정부3.0과 연관시키려고 한다 | 0 | 0 |
0%
|
797 | 절충안 마련 | 0 | 0 |
0%
|
798 | 모든 국가기관의 동참이 미흡하다 | 0 | 0 |
0%
|
799 | 정부3.0 에 대한 기관평가는 의미없음 | 0 | 0 |
0%
|
800 | 정부3.0 네이밍부터 어려움. | 0 | 0 |
0%
|
801 | 일부 우수기관에서만 적극 추진되는 경향 | 0 | 0 |
0%
|
802 | 정부 중심이다 | 0 | 0 |
0%
|
803 | 규제강화 | 0 | 0 |
0%
|
804 | 일괄적으로 정부3.0 기준적용 금지 | 0 | 0 |
0%
|
805 | 정부3.0 평가를 지금보다 세밀하게 개선한다. | 0 | 0 |
0%
|
806 | 업데이트 | 0 | 0 |
0%
|
847 | 한걸음 더 다가가야한다 | 0 | 0 |
0%
|
848 | 다양한 의견수렴 | 0 | 0 |
0%
|
849 | 숫자가 아닌 문자로 알려야한다 | 1 | 0 |
1%
|
850 | 부족한면이 많다 | 0 | 0 |
0%
|
851 | 벽이 많다 | 0 | 0 |
0%
|
852 | 부작용 | 0 | 0 |
0%
|
853 | 차이가 없다 | 0 | 0 |
0%
|
854 | 행자부만 좋다 | 0 | 0 |
0%
|
855 | 기대에 미치지못한다 | 0 | 0 |
0%
|
856 | 기회주의 | 0 | 0 |
0%
|
857 | 남은 임기 빨리 지나갔으면 | 0 | 0 |
0%
|
858 | 빨리 대선이 왔으면 | 0 | 0 |
0%
|
859 | 모든점에 만전을 기했으면 | 0 | 0 |
0%
|
998 | 없다 | 0 | 0 |
0%
|
999 | 모름 | 57 | 0 |
56.4%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501 | 부처간 협업 부족 | 0 | 0 |
0%
|
502 | 부처 이기주의 | 0 | 0 |
0%
|
503 | 부처의 무능력 | 0 | 0 |
0%
|
504 | 부처간 소통 부족 | 0 | 0 |
0%
|
505 | 필요이상의 협업강요로 효율성 저하 | 0 | 0 |
0%
|
506 | 상부층의 솔선수범 필요 | 0 | 0 |
0%
|
507 | 기관장의 관심과 점검 | 0 | 0 |
0%
|
508 | 5급(팀장)까지 성과연봉제가 확대되면 팀간 칸막이 우려된다 | 0 | 0 |
0%
|
509 | 책임자들의 마인드개선 | 0 | 0 |
0%
|
510 | 고위직의 부정부패 | 0 | 0 |
0%
|
511 | 부정부패시 처벌 강화 필요 | 0 | 0 |
0%
|
512 | 정보공개에 대한 국민의 요구와 행정기관의 입장을 절충한 개선안 필요 | 0 | 0 |
0%
|
513 | 데이터 개방이 민간사업에 크게 영향주지 못한다 | 0 | 0 |
0%
|
514 | 합리적인 평가 부족 | 0 | 0 |
0%
|
515 | 민간과의 협업 부족 | 0 | 0 |
0%
|
516 | 양적평가아닌 질적평가 필요 | 0 | 0 |
0%
|
517 | 평가기준 강화필요 | 1 | 0 |
1%
|
518 | 평가체계 개선 | 0 | 0 |
0%
|
519 | 단기성과주의 개선 | 1 | 0 |
1%
|
520 | 평가위주의 정책 개선 | 0 | 0 |
0%
|
521 | 성과위주의 정책 개선 | 0 | 0 |
0%
|
522 | 보여주기식 정책 개선 | 0 | 0 |
0%
|
523 | 탁상공론 개선 | 0 | 0 |
0%
|
524 | 형식적인 정책 | 0 | 0 |
0%
|
525 | 말뿐인 구호행정 | 0 | 0 |
0%
|
526 | 복잡한 행정절차 개선 | 0 | 0 |
0%
|
527 | 누구나 도움되는 정책필요 | 0 | 0 |
0%
|
528 | 친화적인 정책 필요 | 0 | 0 |
0%
|
529 | 행정서비스의 질적 개선 필요 | 0 | 0 |
0%
|
530 | 과도한 정보공개 | 0 | 0 |
0%
|
531 | 적극적인 공개 부족 | 0 | 0 |
0%
|
532 | 선별적 공개 필요 | 0 | 0 |
0%
|
533 | 정확한 정보공개 필요 | 0 | 0 |
0%
|
534 | 공공정보 개방에대한 가이드라인 필요 | 0 | 0 |
0%
|
535 | 하향식 운영 필요 | 0 | 0 |
0%
|
536 | 서류 중심 업무 | 0 | 0 |
0%
|
537 | 업무 과중 | 0 | 0 |
0%
|
538 | 업무연계성이 모호하다 | 0 | 0 |
0%
|
539 | 기존 업무의 짜집기 | 0 | 0 |
0%
|
540 | 업무처리가 느리다 | 0 | 0 |
0%
|
541 | 유연근무 확산 등을 통한 업무 효율화 | 0 | 0 |
0%
|
542 | 주민자치단체에서도 업무 가능해야한다 | 0 | 0 |
0%
|
543 | 관련 예산 및 평가 등에 대한 체계 미흡 | 1 | 0 |
1%
|
544 | 투명한 자금경영 필요 | 0 | 0 |
0%
|
545 | 예산부족 | 0 | 0 |
0%
|
546 | 세금낭비 | 0 | 0 |
0%
|
547 | 세금 증대 | 0 | 0 |
0%
|
548 | 적극적인 행정지원 부족 | 0 | 0 |
0%
|
549 | 법/제도 개선 | 0 | 0 |
0%
|
550 | 인력 부족 | 0 | 0 |
0%
|
551 | 지자체에 전담인력 배치 | 0 | 0 |
0%
|
552 | 법제도화 통한 추동력 확보 필요 | 0 | 0 |
0%
|
553 | 홈페이지 이용이 어렵다 | 0 | 0 |
0%
|
554 | 홈페이지 간소화 | 0 | 0 |
0%
|
555 | 전산처리 미숙하다 | 0 | 0 |
0%
|
556 | 접속이 불안/오류 많다 | 0 | 0 |
0%
|
557 | 접속이 느리다 | 0 | 0 |
0%
|
558 | 서버 확대 | 0 | 0 |
0%
|
559 | 협업 시스템 개선 | 1 | 0 |
1%
|
560 | 홍보 부재 | 1 | 0 |
1%
|
561 | 적용성 확대 | 0 | 0 |
0%
|
562 | 온라인 자유 게시판 필요 | 0 | 0 |
0%
|
563 | 설치해야할 프로그램이 많다 | 0 | 0 |
0%
|
564 | 액티브 액스, 공인인증서 등의 기법보다 더욱 선진화된 웹보안 적용 필요 | 0 | 0 |
0%
|
565 | 개인정보 보안 부족 | 0 | 0 |
0%
|
566 | 개인정보 입력 최소화 | 0 | 0 |
0%
|
567 | 홈페이지가 깔끔했으면 한다 | 0 | 0 |
0%
|
568 | 국가자료 보안성 취약점 증가 | 0 | 0 |
0%
|
569 | 국가안보에 관한 정보는 따로 관리 | 0 | 0 |
0%
|
570 | 오류에대한 방안과 안내 필요 | 0 | 0 |
0%
|
572 | 사례 집중육성 | 1 | 0 |
1%
|
573 | 협업가능한 사업 발굴 필요 | 0 | 0 |
0%
|
574 | 중앙부처구조를 넘지못하는 구조 | 0 | 0 |
0%
|
575 | 핵심사안에 집중 필요 | 0 | 0 |
0%
|
576 | 실질적으로 협업에 도움이 될만한 제도 등 개선방안 강구 | 0 | 0 |
0%
|
577 | 사례 보급 확대 | 0 | 0 |
0%
|
578 | 실천가능한 과제 설정 | 0 | 0 |
0%
|
579 | 실질적인 운영 | 0 | 0 |
0%
|
580 | 구체적 실천사항이 미비하다 | 1 | 0 |
1%
|
581 | 통합 처리/통합적 체계 필요 | 0 | 0 |
0%
|
582 | 각 부처 및 행정 연계성 | 0 | 0 |
0%
|
583 | 스마트폰 연계 서비스 개발 | 0 | 0 |
0%
|
584 | 수요자 입장 고려한 행정서비스 제공 | 0 | 0 |
0%
|
585 | 맞춤형 서비스 안된다 | 0 | 0 |
0%
|
586 | 찾아가는 서비스 안된다 | 0 | 0 |
0%
|
587 | 공공서비스의 혁신 필요 | 0 | 0 |
0%
|
588 | 공무원 1인의 짜내기식 시책개발이 문제다 | 0 | 0 |
0%
|
589 | 공무원 퇴출 | 0 | 0 |
0%
|
590 | 공무원의 적극성 부족 | 0 | 0 |
0%
|
591 | 공무원의 자질 문제 | 0 | 0 |
0%
|
592 | 공무원의 자발적 참여 부족 | 0 | 0 |
0%
|
593 | 공무원의 복지부동 | 0 | 0 |
0%
|
594 | 공무원의 이기주의 | 0 | 0 |
0%
|
595 | 공무원의 무사안일주의 | 0 | 0 |
0%
|
596 | 공무원의 이해부족 | 2 | 0 |
2%
|
597 | 공무원의 관심부족 | 0 | 0 |
0%
|
598 | 공무원의 불친절 | 0 | 0 |
0%
|
599 | 공무원의 고착된 의식 개선 | 0 | 0 |
0%
|
600 | 공무원 교육강화 | 1 | 0 |
1%
|
601 | 공무원 마인드 개선 | 0 | 0 |
0%
|
602 | 공무원 인원 축소 | 0 | 0 |
0%
|
603 | 공무원의 투명성 부족 | 0 | 0 |
0%
|
604 | 공무원의 애로사항 인식필요 | 0 | 0 |
0%
|
605 | 리더의 적극적인 추진 부족 | 0 | 0 |
0%
|
606 | 국회의원 특권 내려놓아야한다 | 0 | 0 |
0%
|
607 | 정부3.0에 과제추진 담당자에 대한 인센티브 확대 | 0 | 0 |
0%
|
608 | 체감할 수 있는 인센티브의 한계 | 0 | 0 |
0%
|
609 | 통합적 리터쉽 부재 | 0 | 0 |
0%
|
610 | 적극적인 감사활동 부족 | 0 | 0 |
0%
|
611 | 과감한 인사혁신 필요 | 0 | 0 |
0%
|
612 | 정책 우선순위 결정 | 0 | 0 |
0%
|
613 | 개별정책간 유기적인 시너지 나타나지않는다 | 0 | 0 |
0%
|
614 | 나태한 공무원 징계와 해고 강화 | 0 | 0 |
0%
|
615 | 국민의 관심부족 | 0 | 0 |
0%
|
616 | 국민 체감되지않는 정책 | 0 | 0 |
0%
|
617 | 국민들의 개방요청 창구가 너무 다수임 | 0 | 0 |
0%
|
618 | 국민 만족도 낮다 | 0 | 0 |
0%
|
619 | 국민들이 잘알지못한다 | 0 | 0 |
0%
|
620 | 국민 행복감 부족 | 0 | 0 |
0%
|
621 | 국민 참여 부족 | 0 | 0 |
0%
|
622 | 국민 섬기는 자세 낮다 | 0 | 0 |
0%
|
624 | 계층간 위화감 | 0 | 0 |
0%
|
625 | 복지 사각지대 | 0 | 0 |
0%
|
626 | 소외계층 복지부족 | 0 | 0 |
0%
|
627 | 서민들 목소리에 귀기울여야한다 | 0 | 0 |
0%
|
628 | 현실적인 복지정책 필요 | 0 | 0 |
0%
|
629 | 강력한 통치력 필요 | 0 | 0 |
0%
|
630 | 경제발전 필요 | 0 | 0 |
0%
|
631 | 폭넓은 혜택 | 0 | 0 |
0%
|
632 | 사생활 간섭 | 0 | 0 |
0%
|
633 | 운전면허의 엄격함 필요 | 0 | 0 |
0%
|
638 | 정기적인 자질향상 테스트 | 0 | 0 |
0%
|
639 | 신상필벌이 원칙 개선 | 0 | 0 |
0%
|
640 | 교육강화 | 1 | 0 |
1%
|
641 | 정부3.0 용어 정비 | 0 | 0 |
0%
|
642 | 용어와 내용이 일치하는 제목설정 | 0 | 0 |
0%
|
643 | 전문적이고 행정적인 용어 배제 | 0 | 0 |
0%
|
644 | 직관적인 표어로 변경 | 0 | 0 |
0%
|
649 | 개인및 조직의 역량강화 | 0 | 0 |
0%
|
650 | 정권교체 | 0 | 0 |
0%
|
651 | 국무총리실의 콘트롤타워 역할 중요 | 0 | 0 |
0%
|
652 | 정부의 인식전환 필요 | 0 | 0 |
0%
|
653 | 정부의 역할이 부족 | 0 | 0 |
0%
|
654 | 정부의 획일적인 주도 | 0 | 0 |
0%
|
655 | 지나치게 세분화된 조직 운영 지양 | 0 | 0 |
0%
|
656 | 운영이 부실하다 | 0 | 0 |
0%
|
657 | 정부부처일을 민간에 떠넘기려한다 | 0 | 0 |
0%
|
658 | 정책의 일관성 유지 필요 | 0 | 0 |
0%
|
659 | 여론 수렴과 기반시설 확보 후 정책 실시 | 0 | 0 |
0%
|
660 | 지도자의 독단, 고집 | 0 | 0 |
0%
|
661 | 정치인들 정신 차려야한다 | 0 | 0 |
0%
|
662 | 분야별 전문가 및 시민사회 참여 | 0 | 0 |
0%
|
670 | 업무부서의 명확한 설정 | 0 | 0 |
0%
|
701 | 체계가 부족하다 | 0 | 0 |
0%
|
702 | 인식이 부족하다 | 0 | 0 |
0%
|
703 | 중구난방 서비스 | 0 | 0 |
0%
|
704 | 개념이 모호하다/개념 정립필요 | 0 | 0 |
0%
|
705 | 지나치게 포괄적이다 | 0 | 0 |
0%
|
706 | 방향이 명확하지않다 | 1 | 0 |
1%
|
707 | 형식적이다 | 0 | 0 |
0%
|
708 | 추상적이다 | 0 | 0 |
0%
|
709 | 소통부족 | 0 | 0 |
0%
|
710 | 이해부족 | 0 | 0 |
0%
|
711 | 현실성 부족 | 0 | 0 |
0%
|
712 | 투명성 부족 | 0 | 0 |
0%
|
713 | 정부기능 부재 | 0 | 0 |
0%
|
714 | 신뢰성 부족 | 0 | 0 |
0%
|
715 | 실천 저조 | 0 | 0 |
0%
|
716 | 협업 부족 | 0 | 0 |
0%
|
717 | 활용성 모호하다 | 1 | 0 |
1%
|
718 | 무관심하다 | 0 | 0 |
0%
|
719 | 산발적 진행 | 0 | 0 |
0%
|
720 | 관리가 잘안된다 | 0 | 0 |
0%
|
721 | 개별적이다 | 0 | 0 |
0%
|
722 | 내용이 너무 이상적이다 | 0 | 0 |
0%
|
723 | 개방이 덜 되었다/개방범위 확대 | 0 | 0 |
0%
|
724 | 개방속도가 더디다 | 0 | 0 |
0%
|
725 | 관행 타파 부족 | 0 | 0 |
0%
|
726 | 무능한 정부 | 0 | 0 |
0%
|
727 | 발전가능성이 없다 | 0 | 0 |
0%
|
728 | 불안한 미래 | 0 | 0 |
0%
|
729 | 타의에 의한 추진력 | 0 | 0 |
0%
|
730 | 참여부족 | 0 | 0 |
0%
|
731 | 실용성 부족 | 0 | 0 |
0%
|
732 | 노력부족 | 2 | 0 |
2%
|
733 | 개선의지 부족 | 0 | 0 |
0%
|
734 | 대중적 인지도 부족 | 0 | 0 |
0%
|
735 | 사명감 부족 | 0 | 0 |
0%
|
736 | 개방성 부족 | 0 | 0 |
0%
|
737 | 책임의식 부족 | 0 | 0 |
0%
|
738 | 내실화 부족 | 0 | 0 |
0%
|
739 | 결과가 없다 | 0 | 0 |
0%
|
740 | 적극성 부족 | 0 | 0 |
0%
|
741 | 개혁의지 부족 | 0 | 0 |
0%
|
742 | 집중 필요 | 0 | 0 |
0%
|
743 | 빠른 개편 필요 | 0 | 0 |
0%
|
744 | 신고의무화 | 0 | 0 |
0%
|
745 | 실시후 결과 개시 | 0 | 0 |
0%
|
746 | 실질적인 성과 내기 | 0 | 0 |
0%
|
747 | 추진방향에대한 선택과 집중 필요 | 0 | 0 |
0%
|
748 | 다양성 강화 | 0 | 0 |
0%
|
749 | 안전 개선 | 0 | 0 |
0%
|
750 | 문의시 답변이 느리다 | 0 | 0 |
0%
|
751 | 접근용이성 마련 | 0 | 0 |
0%
|
752 | 정직 | 0 | 0 |
0%
|
753 | 효율성 부족 | 0 | 0 |
0%
|
754 | 자발적 참여 필요 | 0 | 0 |
0%
|
755 | 패널티 부과 | 0 | 0 |
0%
|
756 | 근본적인 문제해결이 안된다 | 0 | 0 |
0%
|
757 | 전략 부족 | 0 | 0 |
0%
|
758 | 정보가 부족하다 | 0 | 0 |
0%
|
759 | 획일적이다 | 0 | 0 |
0%
|
760 | 제한적이다 | 0 | 0 |
0%
|
761 | 무분별한 데이터수집 | 0 | 0 |
0%
|
762 | 시간 지체 | 0 | 0 |
0%
|
763 | 인터넷 사용못하는 사람들에대한 대처 | 0 | 0 |
0%
|
764 | 점검하는 시간 필요 | 0 | 0 |
0%
|
765 | 외화내빈 우려 | 0 | 0 |
0%
|
766 | 산업경제적 가치창출 미흡 | 0 | 0 |
0%
|
767 | 정보공개 빅데이터에만 몰입 | 0 | 0 |
0%
|
768 | 범죄 악용 | 0 | 0 |
0%
|
769 | 문제발생 막아야한다 | 0 | 0 |
0%
|
770 | 너무 민원 편의주의이다 | 0 | 0 |
0%
|
771 | 현장과 여건에맞는 능동적인 개선 필요 | 0 | 0 |
0%
|
772 | 건강한 사회 조성 | 0 | 0 |
0%
|
773 | 당장 개선해야할것들을 시차를 두고 범위와 사업을 줄여야한다 | 0 | 0 |
0%
|
774 | 청렴한 사회 조성 | 0 | 0 |
0%
|
775 | 신속정확 해야한다 | 0 | 0 |
0%
|
776 | 진정성 | 0 | 0 |
0%
|
777 | 편리해야한다 | 0 | 0 |
0%
|
778 | 정상적인 사고 | 0 | 0 |
0%
|
779 | 문제점파악이 우선이다 | 0 | 0 |
0%
|
780 | 일자리 창출 부족 | 0 | 0 |
0%
|
781 | 부족한 면 보완 | 0 | 0 |
0%
|
782 | 불필요한것 제거 | 0 | 0 |
0%
|
783 | 올바른 시행 필요 | 0 | 0 |
0%
|
784 | 연구통한 문제해결 | 0 | 0 |
0%
|
785 | 시행률 상승 및 현황보고 | 0 | 0 |
0%
|
788 | 성과관리식 접근체계 필요 | 1 | 0 |
1%
|
789 | 목표, 내용, 방법에 대해 전면적 재고 필요 | 0 | 0 |
0%
|
790 | 3.0 폐지 | 0 | 0 |
0%
|
791 | 지속적인 추진필요 | 1 | 0 |
1%
|
792 | 지속적인 개발과 노력 | 0 | 0 |
0%
|
793 | 국가기관이 먼저 시행해야한다 | 0 | 0 |
0%
|
794 | 지속추진 가능한 체계와 시스템 구축 | 0 | 0 |
0%
|
795 | 분야별 3.0추진 필요 | 0 | 0 |
0%
|
796 | 모든 것을 정부3.0과 연관시키려고 한다 | 0 | 0 |
0%
|
797 | 절충안 마련 | 0 | 0 |
0%
|
798 | 모든 국가기관의 동참이 미흡하다 | 0 | 0 |
0%
|
799 | 정부3.0 에 대한 기관평가는 의미없음 | 0 | 0 |
0%
|
800 | 정부3.0 네이밍부터 어려움. | 0 | 0 |
0%
|
801 | 일부 우수기관에서만 적극 추진되는 경향 | 0 | 0 |
0%
|
802 | 정부 중심이다 | 0 | 0 |
0%
|
803 | 규제강화 | 0 | 0 |
0%
|
804 | 일괄적으로 정부3.0 기준적용 금지 | 0 | 0 |
0%
|
805 | 정부3.0 평가를 지금보다 세밀하게 개선한다. | 0 | 0 |
0%
|
806 | 업데이트 | 0 | 0 |
0%
|
847 | 한걸음 더 다가가야한다 | 0 | 0 |
0%
|
848 | 다양한 의견수렴 | 0 | 0 |
0%
|
849 | 숫자가 아닌 문자로 알려야한다 | 0 | 0 |
0%
|
850 | 부족한면이 많다 | 0 | 0 |
0%
|
851 | 벽이 많다 | 0 | 0 |
0%
|
852 | 부작용 | 0 | 0 |
0%
|
853 | 차이가 없다 | 0 | 0 |
0%
|
854 | 행자부만 좋다 | 0 | 0 |
0%
|
855 | 기대에 미치지못한다 | 0 | 0 |
0%
|
856 | 기회주의 | 0 | 0 |
0%
|
857 | 남은 임기 빨리 지나갔으면 | 0 | 0 |
0%
|
858 | 빨리 대선이 왔으면 | 0 | 0 |
0%
|
859 | 모든점에 만전을 기했으면 | 0 | 0 |
0%
|
998 | 없다 | 27 | 0 |
26.7%
|
999 | 모름 | 57 | 0 |
56.4%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501 | 부처간 협업 부족 | 0 | 0 |
0%
|
502 | 부처 이기주의 | 0 | 0 |
0%
|
503 | 부처의 무능력 | 0 | 0 |
0%
|
504 | 부처간 소통 부족 | 0 | 0 |
0%
|
505 | 필요이상의 협업강요로 효율성 저하 | 0 | 0 |
0%
|
506 | 상부층의 솔선수범 필요 | 0 | 0 |
0%
|
507 | 기관장의 관심과 점검 | 0 | 0 |
0%
|
508 | 5급(팀장)까지 성과연봉제가 확대되면 팀간 칸막이 우려된다 | 0 | 0 |
0%
|
509 | 책임자들의 마인드개선 | 0 | 0 |
0%
|
510 | 고위직의 부정부패 | 0 | 0 |
0%
|
511 | 부정부패시 처벌 강화 필요 | 0 | 0 |
0%
|
512 | 정보공개에 대한 국민의 요구와 행정기관의 입장을 절충한 개선안 필요 | 0 | 0 |
0%
|
513 | 데이터 개방이 민간사업에 크게 영향주지 못한다 | 0 | 0 |
0%
|
514 | 합리적인 평가 부족 | 0 | 0 |
0%
|
515 | 민간과의 협업 부족 | 0 | 0 |
0%
|
516 | 양적평가아닌 질적평가 필요 | 0 | 0 |
0%
|
517 | 평가기준 강화필요 | 0 | 0 |
0%
|
518 | 평가체계 개선 | 0 | 0 |
0%
|
519 | 단기성과주의 개선 | 0 | 0 |
0%
|
520 | 평가위주의 정책 개선 | 0 | 0 |
0%
|
521 | 성과위주의 정책 개선 | 0 | 0 |
0%
|
522 | 보여주기식 정책 개선 | 0 | 0 |
0%
|
523 | 탁상공론 개선 | 0 | 0 |
0%
|
524 | 형식적인 정책 | 0 | 0 |
0%
|
525 | 말뿐인 구호행정 | 0 | 0 |
0%
|
526 | 복잡한 행정절차 개선 | 0 | 0 |
0%
|
527 | 누구나 도움되는 정책필요 | 0 | 0 |
0%
|
528 | 친화적인 정책 필요 | 0 | 0 |
0%
|
529 | 행정서비스의 질적 개선 필요 | 0 | 0 |
0%
|
530 | 과도한 정보공개 | 0 | 0 |
0%
|
531 | 적극적인 공개 부족 | 0 | 0 |
0%
|
532 | 선별적 공개 필요 | 0 | 0 |
0%
|
533 | 정확한 정보공개 필요 | 0 | 0 |
0%
|
534 | 공공정보 개방에대한 가이드라인 필요 | 0 | 0 |
0%
|
535 | 하향식 운영 필요 | 0 | 0 |
0%
|
536 | 서류 중심 업무 | 0 | 0 |
0%
|
537 | 업무 과중 | 0 | 0 |
0%
|
538 | 업무연계성이 모호하다 | 0 | 0 |
0%
|
539 | 기존 업무의 짜집기 | 0 | 0 |
0%
|
540 | 업무처리가 느리다 | 0 | 0 |
0%
|
541 | 유연근무 확산 등을 통한 업무 효율화 | 0 | 0 |
0%
|
542 | 주민자치단체에서도 업무 가능해야한다 | 0 | 0 |
0%
|
543 | 관련 예산 및 평가 등에 대한 체계 미흡 | 0 | 0 |
0%
|
544 | 투명한 자금경영 필요 | 0 | 0 |
0%
|
545 | 예산부족 | 0 | 0 |
0%
|
546 | 세금낭비 | 0 | 0 |
0%
|
547 | 세금 증대 | 0 | 0 |
0%
|
548 | 적극적인 행정지원 부족 | 0 | 0 |
0%
|
549 | 법/제도 개선 | 0 | 0 |
0%
|
550 | 인력 부족 | 0 | 0 |
0%
|
551 | 지자체에 전담인력 배치 | 0 | 0 |
0%
|
552 | 법제도화 통한 추동력 확보 필요 | 0 | 0 |
0%
|
553 | 홈페이지 이용이 어렵다 | 0 | 0 |
0%
|
554 | 홈페이지 간소화 | 0 | 0 |
0%
|
555 | 전산처리 미숙하다 | 0 | 0 |
0%
|
556 | 접속이 불안/오류 많다 | 0 | 0 |
0%
|
557 | 접속이 느리다 | 0 | 0 |
0%
|
558 | 서버 확대 | 0 | 0 |
0%
|
559 | 협업 시스템 개선 | 0 | 0 |
0%
|
560 | 홍보 부재 | 0 | 0 |
0%
|
561 | 적용성 확대 | 0 | 0 |
0%
|
562 | 온라인 자유 게시판 필요 | 0 | 0 |
0%
|
563 | 설치해야할 프로그램이 많다 | 0 | 0 |
0%
|
564 | 액티브 액스, 공인인증서 등의 기법보다 더욱 선진화된 웹보안 적용 필요 | 0 | 0 |
0%
|
565 | 개인정보 보안 부족 | 0 | 0 |
0%
|
566 | 개인정보 입력 최소화 | 0 | 0 |
0%
|
567 | 홈페이지가 깔끔했으면 한다 | 0 | 0 |
0%
|
568 | 국가자료 보안성 취약점 증가 | 0 | 0 |
0%
|
569 | 국가안보에 관한 정보는 따로 관리 | 0 | 0 |
0%
|
570 | 오류에대한 방안과 안내 필요 | 0 | 0 |
0%
|
572 | 사례 집중육성 | 0 | 0 |
0%
|
573 | 협업가능한 사업 발굴 필요 | 0 | 0 |
0%
|
574 | 중앙부처구조를 넘지못하는 구조 | 0 | 0 |
0%
|
575 | 핵심사안에 집중 필요 | 0 | 0 |
0%
|
576 | 실질적으로 협업에 도움이 될만한 제도 등 개선방안 강구 | 0 | 0 |
0%
|
577 | 사례 보급 확대 | 0 | 0 |
0%
|
578 | 실천가능한 과제 설정 | 0 | 0 |
0%
|
579 | 실질적인 운영 | 0 | 0 |
0%
|
580 | 구체적 실천사항이 미비하다 | 0 | 0 |
0%
|
581 | 통합 처리/통합적 체계 필요 | 0 | 0 |
0%
|
582 | 각 부처 및 행정 연계성 | 0 | 0 |
0%
|
583 | 스마트폰 연계 서비스 개발 | 0 | 0 |
0%
|
584 | 수요자 입장 고려한 행정서비스 제공 | 0 | 0 |
0%
|
585 | 맞춤형 서비스 안된다 | 0 | 0 |
0%
|
586 | 찾아가는 서비스 안된다 | 0 | 0 |
0%
|
587 | 공공서비스의 혁신 필요 | 0 | 0 |
0%
|
588 | 공무원 1인의 짜내기식 시책개발이 문제다 | 0 | 0 |
0%
|
589 | 공무원 퇴출 | 0 | 0 |
0%
|
590 | 공무원의 적극성 부족 | 1 | 0 |
1%
|
591 | 공무원의 자질 문제 | 0 | 0 |
0%
|
592 | 공무원의 자발적 참여 부족 | 0 | 0 |
0%
|
593 | 공무원의 복지부동 | 0 | 0 |
0%
|
594 | 공무원의 이기주의 | 0 | 0 |
0%
|
595 | 공무원의 무사안일주의 | 0 | 0 |
0%
|
596 | 공무원의 이해부족 | 0 | 0 |
0%
|
597 | 공무원의 관심부족 | 0 | 0 |
0%
|
598 | 공무원의 불친절 | 0 | 0 |
0%
|
599 | 공무원의 고착된 의식 개선 | 0 | 0 |
0%
|
600 | 공무원 교육강화 | 0 | 0 |
0%
|
601 | 공무원 마인드 개선 | 0 | 0 |
0%
|
602 | 공무원 인원 축소 | 0 | 0 |
0%
|
603 | 공무원의 투명성 부족 | 0 | 0 |
0%
|
604 | 공무원의 애로사항 인식필요 | 0 | 0 |
0%
|
605 | 리더의 적극적인 추진 부족 | 0 | 0 |
0%
|
606 | 국회의원 특권 내려놓아야한다 | 0 | 0 |
0%
|
607 | 정부3.0에 과제추진 담당자에 대한 인센티브 확대 | 0 | 0 |
0%
|
608 | 체감할 수 있는 인센티브의 한계 | 0 | 0 |
0%
|
609 | 통합적 리터쉽 부재 | 0 | 0 |
0%
|
610 | 적극적인 감사활동 부족 | 0 | 0 |
0%
|
611 | 과감한 인사혁신 필요 | 0 | 0 |
0%
|
612 | 정책 우선순위 결정 | 0 | 0 |
0%
|
613 | 개별정책간 유기적인 시너지 나타나지않는다 | 0 | 0 |
0%
|
614 | 나태한 공무원 징계와 해고 강화 | 0 | 0 |
0%
|
615 | 국민의 관심부족 | 0 | 0 |
0%
|
616 | 국민 체감되지않는 정책 | 0 | 0 |
0%
|
617 | 국민들의 개방요청 창구가 너무 다수임 | 0 | 0 |
0%
|
618 | 국민 만족도 낮다 | 0 | 0 |
0%
|
619 | 국민들이 잘알지못한다 | 0 | 0 |
0%
|
620 | 국민 행복감 부족 | 0 | 0 |
0%
|
621 | 국민 참여 부족 | 0 | 0 |
0%
|
622 | 국민 섬기는 자세 낮다 | 0 | 0 |
0%
|
624 | 계층간 위화감 | 0 | 0 |
0%
|
625 | 복지 사각지대 | 0 | 0 |
0%
|
626 | 소외계층 복지부족 | 0 | 0 |
0%
|
627 | 서민들 목소리에 귀기울여야한다 | 0 | 0 |
0%
|
628 | 현실적인 복지정책 필요 | 0 | 0 |
0%
|
629 | 강력한 통치력 필요 | 0 | 0 |
0%
|
630 | 경제발전 필요 | 0 | 0 |
0%
|
631 | 폭넓은 혜택 | 0 | 0 |
0%
|
632 | 사생활 간섭 | 0 | 0 |
0%
|
633 | 운전면허의 엄격함 필요 | 0 | 0 |
0%
|
638 | 정기적인 자질향상 테스트 | 0 | 0 |
0%
|
639 | 신상필벌이 원칙 개선 | 0 | 0 |
0%
|
640 | 교육강화 | 0 | 0 |
0%
|
641 | 정부3.0 용어 정비 | 0 | 0 |
0%
|
642 | 용어와 내용이 일치하는 제목설정 | 0 | 0 |
0%
|
643 | 전문적이고 행정적인 용어 배제 | 0 | 0 |
0%
|
644 | 직관적인 표어로 변경 | 0 | 0 |
0%
|
649 | 개인및 조직의 역량강화 | 0 | 0 |
0%
|
650 | 정권교체 | 0 | 0 |
0%
|
651 | 국무총리실의 콘트롤타워 역할 중요 | 0 | 0 |
0%
|
652 | 정부의 인식전환 필요 | 0 | 0 |
0%
|
653 | 정부의 역할이 부족 | 0 | 0 |
0%
|
654 | 정부의 획일적인 주도 | 0 | 0 |
0%
|
655 | 지나치게 세분화된 조직 운영 지양 | 0 | 0 |
0%
|
656 | 운영이 부실하다 | 0 | 0 |
0%
|
657 | 정부부처일을 민간에 떠넘기려한다 | 0 | 0 |
0%
|
658 | 정책의 일관성 유지 필요 | 0 | 0 |
0%
|
659 | 여론 수렴과 기반시설 확보 후 정책 실시 | 0 | 0 |
0%
|
660 | 지도자의 독단, 고집 | 0 | 0 |
0%
|
661 | 정치인들 정신 차려야한다 | 0 | 0 |
0%
|
662 | 분야별 전문가 및 시민사회 참여 | 0 | 0 |
0%
|
670 | 업무부서의 명확한 설정 | 0 | 0 |
0%
|
701 | 체계가 부족하다 | 0 | 0 |
0%
|
702 | 인식이 부족하다 | 0 | 0 |
0%
|
703 | 중구난방 서비스 | 0 | 0 |
0%
|
704 | 개념이 모호하다/개념 정립필요 | 0 | 0 |
0%
|
705 | 지나치게 포괄적이다 | 0 | 0 |
0%
|
706 | 방향이 명확하지않다 | 0 | 0 |
0%
|
707 | 형식적이다 | 0 | 0 |
0%
|
708 | 추상적이다 | 0 | 0 |
0%
|
709 | 소통부족 | 0 | 0 |
0%
|
710 | 이해부족 | 0 | 0 |
0%
|
711 | 현실성 부족 | 0 | 0 |
0%
|
712 | 투명성 부족 | 0 | 0 |
0%
|
713 | 정부기능 부재 | 0 | 0 |
0%
|
714 | 신뢰성 부족 | 0 | 0 |
0%
|
715 | 실천 저조 | 0 | 0 |
0%
|
716 | 협업 부족 | 0 | 0 |
0%
|
717 | 활용성 모호하다 | 0 | 0 |
0%
|
718 | 무관심하다 | 0 | 0 |
0%
|
719 | 산발적 진행 | 0 | 0 |
0%
|
720 | 관리가 잘안된다 | 0 | 0 |
0%
|
721 | 개별적이다 | 0 | 0 |
0%
|
722 | 내용이 너무 이상적이다 | 0 | 0 |
0%
|
723 | 개방이 덜 되었다/개방범위 확대 | 0 | 0 |
0%
|
724 | 개방속도가 더디다 | 0 | 0 |
0%
|
725 | 관행 타파 부족 | 0 | 0 |
0%
|
726 | 무능한 정부 | 0 | 0 |
0%
|
727 | 발전가능성이 없다 | 0 | 0 |
0%
|
728 | 불안한 미래 | 0 | 0 |
0%
|
729 | 타의에 의한 추진력 | 0 | 0 |
0%
|
730 | 참여부족 | 0 | 0 |
0%
|
731 | 실용성 부족 | 0 | 0 |
0%
|
732 | 노력부족 | 0 | 0 |
0%
|
733 | 개선의지 부족 | 0 | 0 |
0%
|
734 | 대중적 인지도 부족 | 0 | 0 |
0%
|
735 | 사명감 부족 | 0 | 0 |
0%
|
736 | 개방성 부족 | 0 | 0 |
0%
|
737 | 책임의식 부족 | 0 | 0 |
0%
|
738 | 내실화 부족 | 0 | 0 |
0%
|
739 | 결과가 없다 | 0 | 0 |
0%
|
740 | 적극성 부족 | 0 | 0 |
0%
|
741 | 개혁의지 부족 | 0 | 0 |
0%
|
742 | 집중 필요 | 0 | 0 |
0%
|
743 | 빠른 개편 필요 | 0 | 0 |
0%
|
744 | 신고의무화 | 0 | 0 |
0%
|
745 | 실시후 결과 개시 | 0 | 0 |
0%
|
746 | 실질적인 성과 내기 | 0 | 0 |
0%
|
747 | 추진방향에대한 선택과 집중 필요 | 0 | 0 |
0%
|
748 | 다양성 강화 | 0 | 0 |
0%
|
749 | 안전 개선 | 0 | 0 |
0%
|
750 | 문의시 답변이 느리다 | 0 | 0 |
0%
|
751 | 접근용이성 마련 | 0 | 0 |
0%
|
752 | 정직 | 0 | 0 |
0%
|
753 | 효율성 부족 | 0 | 0 |
0%
|
754 | 자발적 참여 필요 | 0 | 0 |
0%
|
755 | 패널티 부과 | 0 | 0 |
0%
|
756 | 근본적인 문제해결이 안된다 | 0 | 0 |
0%
|
757 | 전략 부족 | 0 | 0 |
0%
|
758 | 정보가 부족하다 | 0 | 0 |
0%
|
759 | 획일적이다 | 0 | 0 |
0%
|
760 | 제한적이다 | 0 | 0 |
0%
|
761 | 무분별한 데이터수집 | 0 | 0 |
0%
|
762 | 시간 지체 | 0 | 0 |
0%
|
763 | 인터넷 사용못하는 사람들에대한 대처 | 0 | 0 |
0%
|
764 | 점검하는 시간 필요 | 0 | 0 |
0%
|
765 | 외화내빈 우려 | 0 | 0 |
0%
|
766 | 산업경제적 가치창출 미흡 | 0 | 0 |
0%
|
767 | 정보공개 빅데이터에만 몰입 | 0 | 0 |
0%
|
768 | 범죄 악용 | 0 | 0 |
0%
|
769 | 문제발생 막아야한다 | 0 | 0 |
0%
|
770 | 너무 민원 편의주의이다 | 0 | 0 |
0%
|
771 | 현장과 여건에맞는 능동적인 개선 필요 | 0 | 0 |
0%
|
772 | 건강한 사회 조성 | 0 | 0 |
0%
|
773 | 당장 개선해야할것들을 시차를 두고 범위와 사업을 줄여야한다 | 0 | 0 |
0%
|
774 | 청렴한 사회 조성 | 0 | 0 |
0%
|
775 | 신속정확 해야한다 | 0 | 0 |
0%
|
776 | 진정성 | 0 | 0 |
0%
|
777 | 편리해야한다 | 0 | 0 |
0%
|
778 | 정상적인 사고 | 0 | 0 |
0%
|
779 | 문제점파악이 우선이다 | 0 | 0 |
0%
|
780 | 일자리 창출 부족 | 0 | 0 |
0%
|
781 | 부족한 면 보완 | 0 | 0 |
0%
|
782 | 불필요한것 제거 | 0 | 0 |
0%
|
783 | 올바른 시행 필요 | 0 | 0 |
0%
|
784 | 연구통한 문제해결 | 0 | 0 |
0%
|
785 | 시행률 상승 및 현황보고 | 0 | 0 |
0%
|
788 | 성과관리식 접근체계 필요 | 0 | 0 |
0%
|
789 | 목표, 내용, 방법에 대해 전면적 재고 필요 | 0 | 0 |
0%
|
790 | 3.0 폐지 | 0 | 0 |
0%
|
791 | 지속적인 추진필요 | 0 | 0 |
0%
|
792 | 지속적인 개발과 노력 | 0 | 0 |
0%
|
793 | 국가기관이 먼저 시행해야한다 | 0 | 0 |
0%
|
794 | 지속추진 가능한 체계와 시스템 구축 | 0 | 0 |
0%
|
795 | 분야별 3.0추진 필요 | 0 | 0 |
0%
|
796 | 모든 것을 정부3.0과 연관시키려고 한다 | 0 | 0 |
0%
|
797 | 절충안 마련 | 0 | 0 |
0%
|
798 | 모든 국가기관의 동참이 미흡하다 | 0 | 0 |
0%
|
799 | 정부3.0 에 대한 기관평가는 의미없음 | 0 | 0 |
0%
|
800 | 정부3.0 네이밍부터 어려움. | 0 | 0 |
0%
|
801 | 일부 우수기관에서만 적극 추진되는 경향 | 0 | 0 |
0%
|
802 | 정부 중심이다 | 0 | 0 |
0%
|
803 | 규제강화 | 0 | 0 |
0%
|
804 | 일괄적으로 정부3.0 기준적용 금지 | 0 | 0 |
0%
|
805 | 정부3.0 평가를 지금보다 세밀하게 개선한다. | 0 | 0 |
0%
|
806 | 업데이트 | 0 | 0 |
0%
|
847 | 한걸음 더 다가가야한다 | 0 | 0 |
0%
|
848 | 다양한 의견수렴 | 0 | 0 |
0%
|
849 | 숫자가 아닌 문자로 알려야한다 | 0 | 0 |
0%
|
850 | 부족한면이 많다 | 0 | 0 |
0%
|
851 | 벽이 많다 | 0 | 0 |
0%
|
852 | 부작용 | 0 | 0 |
0%
|
853 | 차이가 없다 | 0 | 0 |
0%
|
854 | 행자부만 좋다 | 0 | 0 |
0%
|
855 | 기대에 미치지못한다 | 0 | 0 |
0%
|
856 | 기회주의 | 0 | 0 |
0%
|
857 | 남은 임기 빨리 지나갔으면 | 0 | 0 |
0%
|
858 | 빨리 대선이 왔으면 | 0 | 0 |
0%
|
859 | 모든점에 만전을 기했으면 | 0 | 0 |
0%
|
998 | 없다 | 43 | 0 |
42.6%
|
999 | 모름 | 57 | 0 |
56.4%
|
This variable is numeric
(08826) 서울시 관악구 관악로 1, 101동 250호 서울대학교 한국사회과학자료원
TEL 02-880-2111 FAX 02-883-2694 Email kossda@snu.ac.kr
Copyright ⓒ Korea Social Science Data Archiv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