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Future Values Survey, 2020
한영
- Data Type
- Survey data
- ID Number
- A1-2020-0063
- Title
- Korean Future Values Survey, 2020
- DOI
- https://doi.org/10.22687/KOSSDA-A1-2020-0063-V1.0
- URI
- http://hdl.handle.net/20.500.12236/25452
- Series
- Korean Future Values Survey
- Citation
- Min, Bo-gyeong . Korean Future Values Survey, 2020 [Dataset]. National Assembly Futures Institute[Producers]. Korea Social Science Data Archive (KOSSDA) [Distributors], 2022-04-08, https://doi.org/10.22687/KOSSDA-A1-2020-0063-V1.0
- Project Title
- A Study of Values in Korea: A Future Look
- Principal Investigator(s)
- Min, Bo-gyeong / National Assembly Futures Institute
- Co-Investigator(s)
- Heo, Jongho / National Assembly Futures Institute
- Lee, Chae-jeong / National Assembly Futures Institute
- Park, Seongwon / National Assembly Futures Institute
- Producer(s)
- National Assembly Futures Institute
- Fundings
- National Assembly Futures Institute
- Copyright
- National Assembly Futures Institute
- Depositor(s)
- National Assembly Futures Institute
- Date of Deposit
- 2022-02-23
- Distributor(s)
- Korea Social Science Data Archive (KOSSDA)
- Date of Distribution
- 2022-04-08
- Version
- V1.0
- Date of Version
- 2022-04-08
- Abstract
- 이 조사는 미래 가치관의 진단과 예측을 통해 한국인의 가치 체계 흐름을 이해하고 국가 미래 설계 및 장기 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국회미래연구원이 2020년 처음 시행한 대규모 전국단위 표본조사이다. 특히 한국인의 미래 인식과 세대별 가치관의 차이를 도출하여 국민들이 지향하는 다양한 가치를 이해하고, 10대와 20대로 대표되는 미래 세대의 특징을 파악할 수 있도록 만 13세 이상의 청소년을 조사대상에 포함하고 있다.
설문지는 미래에 대한 인식과 이미지, 개인과 가치관, 주관적 웰빙 및 10년 후/30년 후 미래 전망, 사회와 가치관, 국가 및 정치에 대한 가치관 등의 총 5개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요 조사내용은 아래와 같다.
1) 미래에 대한 인식과 이미지: 미래에 대한 시기적 인식, 미래에 대한 이미지, 미래에 대한 관심도, 나의 미래 결정 요인
2) 개인과 가치관: 좋은 학교에 대한 의견, 직업 선택 시 중요 요소, 일과 여가에 대한 인식, 삶에 대한 가치관, 배우자 선택 시 중요 요소, 가족 범주에 대한 인식
3) 주관적 웰빙 및 미래전망: 주관적 건강상태, 희망하는 삶의 유형, 삶에 대한 만족도, 행복도, 현재와 비교하여 10년후/30년후의 나의 행복
4) 사회와 가치관: 타인에 대한 신뢰, 집단별 신뢰, 사회 및 집단에 대한 인식, 사회의 수용 범위에 대한 인식, 우리사회의 다양성/갈등/공정성에 대한 인식과 전망, 환경에 대한 인식, 과학기술에 대한 인식
5) 국가와 가치관: 정치 참여 의식, 민주주의 특성에 대한 인식, 국가의 업무 중요도, 공익 목적 시 국가의 권리 범위, 국가관 및 정치의식, 세계시민/통일에 대한 인식, 남북통일 시기 전망, 우리나라의 국제적 위상, 30년 후 인류 삶 위협요인
- Keywords
- future society, values, change in values, value change, occupational choice, leisure, selection of spouse, social well-being, degree of life satisfaction, level of life satisfaction, social trust, social distance, conflict, fairness, environment, science and technology, participation in politics, democracy, national prestige, political attitude, political consciousness, reunification, Korean reunification, Reunification of Korea, intimidation, occupational value, family value, COVID-19, diversity, views of the country, future values, personal value, social value, national values
- Topics
- General
- Date of Collection
- 2020-09-10~2020-10-31
- Countries
- South Korea (KOR)
- Geographic Coverage
- South Korea including Jeju
- Unit of Analysis
- individual
- Universe
- person aged between 13 and 69
- Time Method
- Repeated Cross-Sectional
- Data Source
- Population group
- Data Collector(s)
- Gallup Korea
- Mode of Data Collection
- face to face interview
- Sampling Procedure
- multi stage cluster sampling
- Number of Cases
- 5,321 (valid cases)
- Weighting
- yes
- Data Format
- Numeric
- Extent of Collection
- Questionnaire (pdf); Data (sav, dta)
- Language
- Questionnaire-Korean; Data-Korean
- Availability Status
- Public Use
File Information
File Type |
File Name |
File Description |
File Format |
File Size |
Download |
Related Documents-Questionnaire(Korean) |
kor_que_20200063.pdf |
설문지 (한글) |
PDF |
781.21 kB |
다운로드 |
-
민보경, 허종호, 이채정, 박성원. 2020. 한국인의 미래 가치관 연구. 국회미래연구원
KSSL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