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신년특집 한국사회 전반에 대한 여론조사, 2018
https://doi.org/10.22687/KOSSDA-A1-2018-0065-V1.0
KBS 공영미디어연구소
이 조사는 KBS 공영미디어연구소가 한국사회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을 파악하여 <2019 신년대토론> 프로그램 제작에 활용하고자 시행한 것이다. 이 자료는 전국의 만 19세 이상 성인남녀 1,571명으로부터 수집되었으며, 주요 조사내용은 우리 사회의 노력에 대한 보상 여부, 부의 불평등 수준, 부의 불평등 원인, 부의 불평등 완화정책, 우리 사회의 차별과 혐오의 수준, 차별과 혐오가 심각한 분야, 혐오 표현 신조어 인지 및 사용 여부, 혐오 표현 규제에 대한 의견, 혐오 표현 확대에 대한 해결방안, 수저계급론에 대한 동의, 청년세대 고통에 대한 공감, 청년세대 당면 과제, 청년 실업률 원인 등이다.
더 보기파일유형 | 파일명 | 파일내용 | 파일형식 | 파일크기 | 다운로드 |
---|---|---|---|---|---|
관련파일-설문지(한글) | kor_que_20180065.pdf | 설문지 (한글) | 157.48 kB | 다운로드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남성 | 801 | 0 |
51%
|
2 | 여성 | 770 | 0 |
49%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 | 19 | 2 | 0 |
0.1%
|
- | 20 | 7 | 0 |
0.4%
|
- | 21 | 19 | 0 |
1.2%
|
- | 22 | 19 | 0 |
1.2%
|
- | 23 | 21 | 0 |
1.3%
|
- | 24 | 21 | 0 |
1.3%
|
- | 25 | 31 | 0 |
2%
|
- | 26 | 36 | 0 |
2.3%
|
- | 27 | 33 | 0 |
2.1%
|
- | 28 | 33 | 0 |
2.1%
|
- | 29 | 22 | 0 |
1.4%
|
- | 30 | 39 | 0 |
2.5%
|
- | 31 | 33 | 0 |
2.1%
|
- | 32 | 23 | 0 |
1.5%
|
- | 33 | 27 | 0 |
1.7%
|
- | 34 | 29 | 0 |
1.8%
|
- | 35 | 18 | 0 |
1.1%
|
- | 36 | 28 | 0 |
1.8%
|
- | 37 | 23 | 0 |
1.5%
|
- | 38 | 35 | 0 |
2.2%
|
- | 39 | 20 | 0 |
1.3%
|
- | 40 | 27 | 0 |
1.7%
|
- | 41 | 25 | 0 |
1.6%
|
- | 42 | 36 | 0 |
2.3%
|
- | 43 | 46 | 0 |
2.9%
|
- | 44 | 29 | 0 |
1.8%
|
- | 45 | 34 | 0 |
2.2%
|
- | 46 | 37 | 0 |
2.4%
|
- | 47 | 25 | 0 |
1.6%
|
- | 48 | 43 | 0 |
2.7%
|
- | 49 | 19 | 0 |
1.2%
|
- | 50 | 60 | 0 |
3.8%
|
- | 51 | 37 | 0 |
2.4%
|
- | 52 | 33 | 0 |
2.1%
|
- | 53 | 28 | 0 |
1.8%
|
- | 54 | 34 | 0 |
2.2%
|
- | 55 | 27 | 0 |
1.7%
|
- | 56 | 26 | 0 |
1.7%
|
- | 57 | 21 | 0 |
1.3%
|
- | 58 | 22 | 0 |
1.4%
|
- | 59 | 33 | 0 |
2.1%
|
- | 60 | 62 | 0 |
3.9%
|
- | 61 | 49 | 0 |
3.1%
|
- | 62 | 33 | 0 |
2.1%
|
- | 63 | 52 | 0 |
3.3%
|
- | 64 | 24 | 0 |
1.5%
|
- | 65 | 32 | 0 |
2%
|
- | 66 | 25 | 0 |
1.6%
|
- | 67 | 19 | 0 |
1.2%
|
- | 68 | 16 | 0 |
1%
|
- | 69 | 20 | 0 |
1.3%
|
- | 70 | 16 | 0 |
1%
|
- | 71 | 11 | 0 |
0.7%
|
- | 72 | 9 | 0 |
0.6%
|
- | 73 | 12 | 0 |
0.8%
|
- | 74 | 4 | 0 |
0.3%
|
- | 75 | 8 | 0 |
0.5%
|
- | 76 | 3 | 0 |
0.2%
|
- | 77 | 2 | 0 |
0.1%
|
- | 78 | 2 | 0 |
0.1%
|
- | 79 | 6 | 0 |
0.4%
|
- | 80 | 1 | 0 |
0.1%
|
- | 81 | 3 | 0 |
0.2%
|
- | 86 | 1 | 0 |
0.1%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0 | 모름 | 0 | 0 |
0%
|
1 | 서울 | 328 | 0 |
20.9%
|
2 | 부산 | 110 | 0 |
7%
|
3 | 대구 | 77 | 0 |
4.9%
|
4 | 인천 | 92 | 0 |
5.9%
|
5 | 광주 | 45 | 0 |
2.9%
|
6 | 대전 | 45 | 0 |
2.9%
|
7 | 울산 | 35 | 0 |
2.2%
|
8 | 경기 | 394 | 0 |
25.1%
|
9 | 강원 | 38 | 0 |
2.4%
|
10 | 충북 | 49 | 0 |
3.1%
|
11 | 충남 | 52 | 0 |
3.3%
|
12 | 전북 | 53 | 0 |
3.4%
|
13 | 전남 | 53 | 0 |
3.4%
|
14 | 경북 | 77 | 0 |
4.9%
|
15 | 경남 | 100 | 0 |
6.4%
|
16 | 제주 | 11 | 0 |
0.7%
|
17 | 북한 | 0 | 0 |
0%
|
18 | 외국 | 0 | 0 |
0%
|
19 | 세종 | 12 | 0 |
0.8%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기업체 경영주(10인이상 고용) | 6 | 0 |
0.4%
|
2 | 자영업주(9인이하 고용) | 90 | 0 |
5.7%
|
3 | 전문직(준전문직 포함) | 159 | 0 |
10.1%
|
4 | 관리직(기업체 부장이상 임원,고급공무원) | 67 | 0 |
4.3%
|
5 | 사무직(회사원, 일반공무원 등) | 414 | 0 |
26.4%
|
6 | 서비스직 | 82 | 0 |
5.2%
|
7 | 기술/기능직 | 73 | 0 |
4.6%
|
8 | 판매직 | 14 | 0 |
0.9%
|
9 | 생산직 | 25 | 0 |
1.6%
|
10 | 농업/임업/어업/수산업/축산업 | 23 | 0 |
1.5%
|
11 | 군인, 경찰 | 5 | 0 |
0.3%
|
12 | 학생 | 95 | 0 |
6%
|
13 | 전업 주부 | 266 | 0 |
16.9%
|
14 | 무직/실업상태 | 146 | 0 |
9.3%
|
15 | 기타 | 106 | 0 |
6.7%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0 | 모름/무응답 | 61 | 0 |
3.9%
|
1 | 100만원 미만 | 95 | 0 |
6%
|
2 | 100만원~200만원 미만 | 192 | 0 |
12.2%
|
3 | 200만원~300만원 미만 | 285 | 0 |
18.1%
|
4 | 300만원~400만원 미만 | 285 | 0 |
18.1%
|
5 | 400만원~500만원 미만 | 244 | 0 |
15.5%
|
6 | 500만원~600만원 미만 | 155 | 0 |
9.9%
|
7 | 600만원~700만원 미만 | 97 | 0 |
6.2%
|
8 | 700만원~800만원 미만 | 57 | 0 |
3.6%
|
9 | 800만원 이상 | 100 | 0 |
6.4%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미혼 | 585 | 0 |
37.2%
|
2 | 기혼 | 901 | 0 |
57.4%
|
3 | 이혼 | 57 | 0 |
3.6%
|
4 | 사별 | 28 | 0 |
1.8%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0 | 무학 | 1 | 0 |
0.1%
|
1 | 초등학교 재학 | 0 | 0 |
0%
|
2 | 초등학교 졸업 | 5 | 0 |
0.3%
|
3 | 중학교 재학 | 3 | 0 |
0.2%
|
4 | 중학교 졸업 | 21 | 0 |
1.3%
|
5 | 고등학교 재학 | 2 | 0 |
0.1%
|
6 | 고등학교 졸업 | 306 | 0 |
19.5%
|
7 | 대학(2,3년제) 재학 | 24 | 0 |
1.5%
|
8 | 대학(2,3년제) 졸업 | 236 | 0 |
15%
|
9 | 대학교 (4년제) 재학 | 100 | 0 |
6.4%
|
10 | 대학교 (4년제) 졸업 | 668 | 0 |
42.5%
|
11 | 대학원 재학 | 20 | 0 |
1.3%
|
12 | 대학원 졸업 | 183 | 0 |
11.6%
|
13 | 기타(서당,홈스쿨링등) | 2 | 0 |
0.1%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매우 진보 | 41 | 0 |
2.6%
|
2 | 진보 | 404 | 0 |
25.7%
|
3 | 중도 | 826 | 0 |
52.6%
|
4 | 보수 | 271 | 0 |
17.3%
|
5 | 매우 보수 | 29 | 0 |
1.8%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매우 그렇다 | 36 | 0 |
2.3%
|
2 | 대체로 그렇다 | 450 | 0 |
28.6%
|
3 | 대체로 그렇지 않다 | 879 | 0 |
56%
|
4 | 전혀 그렇지 않다 | 206 | 0 |
13.1%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매우 심각하다 | 617 | 0 |
39.3%
|
2 | 대체로 심각한 편이다 | 837 | 0 |
53.3%
|
3 | 별로 심각하지 않은 편이다 | 111 | 0 |
7.1%
|
4 | 전혀 심각하지 않다 | 6 | 0 |
0.4%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부의 불평등 문제가 현재보다 심각해질 것이다 | 940 | 0 |
59.8%
|
2 | 부의 불평등 문제가 현재와 비슷할 것이다 | 498 | 0 |
31.7%
|
3 | 부의 불평등 문제가 현재보다 개선될 것이다 | 133 | 0 |
8.5%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부동산, 주식 등 자산을 통한 부의 격차 심화 | 368 | 0 |
23.4%
|
2 |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 고용시장의 불평등 | 320 | 0 |
20.4%
|
3 | 부의 세습, 교육 기회의 불균형 등으로 인한 계층 이동의 어려움 | 708 | 0 |
45.1%
|
4 | 부자 감세, 종합부동산세 인하 등 소득재분배 정책의 실패 | 148 | 0 |
9.4%
|
5 | 각종 권력을 이용한 부당한 부의 축적 | 4 | 0 |
0.3%
|
6 | 개인의 노력 부족 | 4 | 0 |
0.3%
|
8 | 모두 | 15 | 0 |
1%
|
9 | 무응답 | 4 | 0 |
0.3%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부자 증세, 종합부동산세 인상 등 소득재분배 정책 강화 | 785 | 0 |
50%
|
2 | 고용시장의 불평등 해소 | 509 | 0 |
32.4%
|
3 | 교육 개혁 | 106 | 0 |
6.7%
|
4 | 저소득층 대상 복지 강화 등 사회 안전망 확충 | 171 | 0 |
10.9%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매우 심각하다 | 498 | 0 |
31.7%
|
2 | 비교적 심각하다 | 930 | 0 |
59.2%
|
3 | 별로 심각하지 않다 | 138 | 0 |
8.8%
|
4 | 전혀 심각하지 않다 | 5 | 0 |
0.3%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여성 | 298 | 0 |
19%
|
2 | 장애인 | 538 | 0 |
34.2%
|
3 | 난민·이주민 | 295 | 0 |
18.8%
|
4 | 노인 | 241 | 0 |
15.3%
|
5 | 성소수자 | 142 | 0 |
9%
|
6 | 아동 | 57 | 0 |
3.6%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잘 알고 있다 | 525 | 0 |
33.4%
|
2 | 어느 정도 알고 있다 | 691 | 0 |
44%
|
3 | 들어본 적은 있으나 잘 모른다 | 260 | 0 |
16.5%
|
4 | 전혀 모르겠다 | 95 | 0 |
6%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있다 | 242 | 0 |
16.4%
|
2 | 없다 | 1,234 | 0 |
83.6%
|
-1 | 비해당 | 95 | 0 |
6.4%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있다 | 496 | 0 |
31.6%
|
2 | 없다 | 1,075 | 0 |
68.4%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법과 제도를 마련해서라도 규제해야 한다 | 1,106 | 0 |
70.4%
|
2 | 표현의 자유이므로 규제해서는 안 된다 | 465 | 0 |
29.6%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언론에서 혐오와 관련하여 정확한 보도를 하고 과잉보도를 자제한다 | 689 | 0 |
43.9%
|
2 | 혐오에 관한 인식개선을 위한 대국민 교육을 실시한다 | 376 | 0 |
23.9%
|
3 | 혐오표현금지법 등을 제정해 엄격히 규제한다 | 255 | 0 |
16.2%
|
4 | 인터넷에서 이용자들의 혐오와 관련된 표현을 차단 삭제한다 | 229 | 0 |
14.6%
|
5 | 불평등과 갈등, 혐오에 대해 근본적으로 해결한다 | 3 | 0 |
0.2%
|
6 | 댓글 실명제, 법적 처벌 강화 등과 같은 제도적 장치를 보완한다 | 9 | 0 |
0.6%
|
7 | 혐오를 확대재생산하는 사이트 폐쇄, 정치인 발언 자제 등이 필요하다 | 5 | 0 |
0.3%
|
9 | 무응답 | 5 | 0 |
0.3%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매우 동의한다 | 565 | 0 |
36%
|
2 | 대체로 동의한다 | 769 | 0 |
48.9%
|
3 | 별로 동의하지 않는다 | 181 | 0 |
11.5%
|
4 | 전혀 동의하지 않는다 | 56 | 0 |
3.6%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매우 공감한다 | 661 | 0 |
42.1%
|
2 | 대체로 공감한다 | 752 | 0 |
47.9%
|
3 | 별로 공감하지 않는다 | 134 | 0 |
8.5%
|
4 | 전혀 공감하지 않는다 | 24 | 0 |
1.5%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일자리의 부족 | 547 | 0 |
34.8%
|
2 | 비정규직 등 일자리의 질과 고용 차별 | 650 | 0 |
41.4%
|
3 | 주거 문제 | 148 | 0 |
9.4%
|
4 | 등록금 등 학비 부담 | 69 | 0 |
4.4%
|
5 | 결혼 문제 | 120 | 0 |
7.6%
|
6 | 모두와 계층사다리 부재 | 8 | 0 |
0.5%
|
7 | 청년세대의 어려운 일은 기피하는 풍조와 노력 부족 | 23 | 0 |
1.5%
|
9 | 무응답 | 6 | 0 |
0.4%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성장동력 약화로 인한 일자리의 부족 | 380 | 0 |
24.2%
|
2 | 청년들의 대기업이나 공공기관 선호 | 535 | 0 |
34.1%
|
3 | 고용세습 등 사회 부조리 때문 | 231 | 0 |
14.7%
|
4 | 정부의 경제정책 실패 때문 | 290 | 0 |
18.5%
|
5 | 글로벌 경기 불황 | 86 | 0 |
5.5%
|
6 | 고용 불평등과 양질의 일자리 부족 | 21 | 0 |
1.3%
|
7 | 청년세대의 3D업종 기피 및 취업노력 부족 | 8 | 0 |
0.5%
|
8 | 일자리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 | 6 | 0 |
0.4%
|
9 | 대기업의 독과점, 제조업 공동화, 하청 등 산업구조 문제 | 8 | 0 |
0.5%
|
99 | 무응답 | 6 | 0 |
0.4%
|
This variable is numeric
(08826) 서울시 관악구 관악로 1, 101동 250호 서울대학교 한국사회과학자료원
TEL 02-880-2111 FAX 02-883-2694 Email kossda@snu.ac.kr
Copyright ⓒ Korea Social Science Data Archiv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