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rvey on the Economic Activities of Women in Busan, 2018 : Unemployed
한영
- Data Type
- Survey data
- ID Number
- A1-2018-0047
- Title
- Survey on the Economic Activities of Women in Busan, 2018 : Unemployed
- DOI
- https://doi.org/10.22687/KOSSDA-A1-2018-0047-V1.0
- URI
- http://hdl.handle.net/20.500.12236/25221
- Series
- 부산지역 여성경제활동 실태조사
- Citation
- Choi, Cheong-Rak. Survey on the Economic Activities of Women in Busan, 2018 : Unemployed [Dataset]. Busan Women and Family Development Institute [Producers]. Korea Social Science Data Archive (KOSSDA) [Distributors], 2021-12-23, https://doi.org/10.22687/KOSSDA-A1-2018-0047-V1.0.
- Project Title
- Research on Economic Activity of Women in Busan
- Principal Investigator(s)
- Choi, Cheong-Rak / Busan Women and Family Development Institute
- Co-Investigator(s)
- Bak, Nari / Busan Women and Family Development Institute
- Producer(s)
- Busan Women and Family Development Institute
- Fundings
- Busan Women and Family Development Institute
- Copyright
- Busan Women and Family Development Institute
- Depositor(s)
- Busan Women and Family Development Institute
- Date of Deposit
- 2020-01-29
- Distributor(s)
- Korea Social Science Data Archive (KOSSDA)
- Date of Distribution
- 2021-12-23
- Version
- V1.0
- Date of Version
- 2021-12-23
- Abstract
- 이 조사는 부산지역 여성의 경제활동 실태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부산여성가족개발원이 주기적으로 시행하는 실태조사로, 2010년과 2015년에 2차례 시행되었고, ‘부산광역시 경력단절여성 등의 경제활동촉진에 관한 조례’에 의거 2018년부터는 3년 주기로 시행되고 있다. 조사대상은 부산시에 거주하는 만 20-64세 여성이며, 취업상태에 따라 취업자와 미취업자별로 설문문항을 구성하고, 취업상태, 미취업자 구직활동 및 취업욕구, 직업교육훈련 관련 동일반복문항들을 포함함으로써 시계열 연구가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이 자료는 2018년에 미취업자로부터 수집된 것으로 구체적인 설문문항은 아래와 같다.
1. 취업 및 창업 관련 사항
취업 및 창업 경험 및 횟수, 최근 1개월 이상 근무 취업 형태 및 직종(업종), 근무조건(보수, 직장규모, 근무시간, 근속기간, 업무만족도 등)
2. 경력단절 및 일과 생활의 균형 관련 사항
경력단절 기간, 경력단절 이유, 경력단절 시기, 직장과 가정 양립의 어려움으로 인한 퇴사 경험, 일과 생활의 균형 상태, 가사 일 소요 시간, 가족 내 가사일 분담 비율, 돌봄 대상 존재 여부 및 주체
3. 구직 활동 및 취업 욕구
구직 활동 경험, 구직 정보획득 경로, 미취업 이유, 창업(준비)활동 경험, 창업 정보획득 경로, 미창업 이유, 구직 및 창업 활동 미참여 이유, 경제활동 계획 여부, 취업거부 이유, 취직 목적, 희망 취직 직종, 취직 시 희망 근무조건, 취직 시 필요 지원 사항, 취직 결정 조건, 창업 희망 목적, 희망 창업 업종 및 형태, 근무조건, 창업 시 필요 지원 사항
4. 직업교육훈련 관련 사항
직업교육훈련 참여 경험 및 목적, 직업교육훈련 참여기관, 직업교육훈련의 취업 및 창업 도움 정도, 미참여 이유, 직업교육훈련 참여 희망 여부, 직업교육훈련 희망 직종
5. 여성경제활동지원정책 관련 사항
여성경제활동지원정책의 도움 인식, 여성의 성공적인 취업 및 창업을 위한 부산시의 추진 희망 정책, 시간선택제 일자리 취직 의향, 취직희망이유, 희망 근무조건
6. 일반적 사항
연령, 최종학력, 혼인상태, 배우자 취업 형태 및 보수, 배우자 학력
- Keywords
- female employment, women's employment, career interruption, career discontinuity, job training, vocational education, job training, work and life balance, work-life balance, work-family balance, work and life balance, working conditions, job satisfaction, employment contracts, labor contract, certification, flexible working hours system, labor flexibility, flexibility of labor, startup, business start up, policy on women, employment policy, employment support, employment service, female workforce, female human resource, job search, seeking work, job search, job seeking, job hunting, seeking employment, reemployment, family-friendly, women-friendly, economic activities of women
- Topics
- Employment/ Labor
- Date of Collection
- 2018-06-14~2018-07-14
- Countries
- South Korea (KOR)
- Geographic Coverage
- Busan Metro Politan City
- Unit of Analysis
- individual
- Universe
- unemployed women aged 20-64 in Busan
- Time Method
- Repeated Cross-sectional
- Data Source
- Population group
- Data Collector(s)
- Dresearch Inc.
- Freq. of Data Collection
- 5년주기에서 3년주기로 변경
- Mode of Data Collection
- face to face interview
- Sampling Procedure
- proportional quota sampling
- Number of Cases
- 770 (valid cases)
- Weighting
- no
- Data Format
- Numeric
- Extent of Collection
- Questionnaire (PDF) ; Data (sav, dta)
- Language
- Questionnaire-Korean ; Data-Korean
- Availability Status
- Public Use
File Information
File Type |
File Name |
File Description |
File Format |
File Size |
Download |
Related Documents-Questionnaire(Korean) |
kor_que_20180047.pdf |
설문지 (한글) |
PDF |
251.96 kB |
다운로드 |
-
최청락; 박나리. 2018. 부산지역 경력단절여성 등의 경제활동 실태조사. 부산여성가족개발원
KSSL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