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SSDA Loading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212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Korea Social Enterprise Promotion Agency, KoSEA)은 2010년 설립된 국가공공기관으로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위한 정부 정책과 사회적경제 현장을 연결하는 통합지원기관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KoSEA는 사회적기업 통합정보시스템(SEIS)을 구축하여 사회적기업의 인증 및 지원을 관리하고 이를 기반으로 매년 사회적기업 성과분석 보고서를 작성하고 있습니다. 또한 사회적기업이 사회가치 측정을 통해 사회적영향을 자가진단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사회적기업 실태조사, 경기동향조사 등 정책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자료 검색  Search Tips Start a new search
  • 결과수
  • 정렬 기준
  • 정렬

검색결과 212건 중 161-180 (소요 시간: 0.005 초)

변수명 / 변수설명/ 문항 / 자료명
q2_s14

지난 1년간 조직활동 참여여부14: 일반협동조합/마을기업/영농조합법인/농어촌공동체회사

Q2. 귀하께서는 지난 1년간 참여하신 모임 또는 조직활동 유형은 무엇입니까? 해당되는 곳에 √표시를 해주십시오.14) 일반협동조합, 마을기업, 영농조합법인, 농어촌공동체회사

사회적경제 지역자원조사, 2020 : 지역주민

q10_s13

기관 및 사람들에 대한 신뢰도13: 검찰

Q10. 귀하는 다음의 제시된 기관 및 사람들에 대해 얼마나 신뢰하는지 해당되는 곳에 √표시 해주십시오.13) 검찰

사회적경제 지역자원조사, 2020 : 지역주민

q10_s14

기관 및 사람들에 대한 신뢰도14: 경찰

Q10. 귀하는 다음의 제시된 기관 및 사람들에 대해 얼마나 신뢰하는지 해당되는 곳에 √표시 해주십시오.14) 경찰

사회적경제 지역자원조사, 2020 : 지역주민

q2_s15

지난 1년간 조직활동 참여여부15: 사회적기업/사회적협동조합/생협/의료생협/자활기업

Q2. 귀하께서는 지난 1년간 참여하신 모임 또는 조직활동 유형은 무엇입니까? 해당되는 곳에 √표시를 해주십시오.15) 사회적기업, 사회적협동조합, 생협, 의료생협, 자활기업

사회적경제 지역자원조사, 2020 : 지역주민

q10_s15

기관 및 사람들에 대한 신뢰도15: 시민사회단체

Q10. 귀하는 다음의 제시된 기관 및 사람들에 대해 얼마나 신뢰하는지 해당되는 곳에 √표시 해주십시오.15) 시민사회단체

사회적경제 지역자원조사, 2020 : 지역주민

q3_s1

사회적경제 지원정책 인지1: 사회적경제 활성화 방안(`17.10.18) 정책에 관해 알고 있다

Q3. 다음은 사회적경제 지원정책 이해에 관한 내용입니다. 귀하의 판단과 가장 가까운 곳에 √표시를 해주십시오.1) 나는 범부처 차원에서 발표한 사회적경제 활성화 방안(`17.10.18) 정책에 관해 알고 있다

사회적경제 지역자원조사, 2020 : 담당공무원

q5

지역 사회적경제 생태계 강화를 위해 우선 지원이 필요한 정책

Q5. 다음은 지역 사회적경제 생태계 강화에 필요한 정책에 관한 내용입니다. 현재 지역의 상황을 고려하여 우선 지원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정책은 무엇입니까? 우선순위 한 가지만 말씀해주십시오.

사회적경제 지역자원조사, 2020 : 담당공무원

q7_s1

자치단체 내 사회적경제 기업 물품(서비스) 중 주요 구매 품목

Q7. 다음은 사회적경제 제품(서비스) 공공조달에 관한 내용입니다. 귀하가 근무하고 계시는 자치단체 내 사회적경제 기업의 물품(서비스)중 구매경험 및 구매를 희망하는 주요품목은 무엇입니까? 아래 보기에 해당하는 번호를 골라 기재해주십시오.주요 구매품목 1순위

사회적경제 지역자원조사, 2020 : 담당공무원

id

응답자 아이디

사회적경제 지역자원조사, 2020 : 담당공무원

q1_s1

자치단체의 사회적경제 지원환경1: 사회적경제 관련 조례 등 지원제도가 잘 정비되어 있다

Q1. 현재 귀하가 근무하시는 자치단체의 전반적인 사회적경제 지원환경에 대한 내용입니다. 귀하의 판단과 가장 가까운 곳에 √표시를 해주십시오.1) 내가 속한 자치단체는 사회적경제 관련 조례 등 지원제도가 잘 정비되어 있다

사회적경제 지역자원조사, 2020 : 담당공무원

q2_s1

자치단체의 사회적경제 협력체계1: 관계부서간 협의 위원회 설치

Q2. 현재 귀하가 근무하시는 자치단체의 전반적인 사회적경제 협력체계에 대한 내용입니다. 귀하의 판단과 가장 가까운 곳에 √표시를 해주십시오.1) 내가 속한 자치단체는 사회적경제 정책의 책임 있는 추진을 위해 관계부서 간 협의할 수 있는 위원회가 설치되어 있다

사회적경제 지역자원조사, 2020 : 담당공무원

sq1

응답자 성별

성별

사회적경제 지역자원조사, 2020 : 담당공무원

q7_s2

자치단체 내 사회적경제 기업 물품(서비스) 중 주요 구매 희망 품목

Q7. 다음은 사회적경제 제품(서비스) 공공조달에 관한 내용입니다. 귀하가 근무하고 계시는 자치단체 내 사회적경제 기업의 물품(서비스)중 구매경험 및 구매를 희망하는 주요품목은 무엇입니까? 아래 보기에 해당하는 번호를 골라 기재해주십시오.주요 희망품목 1순위

사회적경제 지역자원조사, 2020 : 담당공무원

sq2_area1

조사지역: 광역시도

조사지역: 광역시도

사회적경제 지역자원조사, 2020 : 담당공무원

q2_s2

자치단체의 사회적경제 협력체계2: 관계부서간 협의 위원회 정기적으로 개최

Q2. 현재 귀하가 근무하시는 자치단체의 전반적인 사회적경제 협력체계에 대한 내용입니다. 귀하의 판단과 가장 가까운 곳에 √표시를 해주십시오.2) 내가 속한 자치단체는 사회적경제 정책의 책임 있는 추진을 위해 관계부서 간 협의할 수 있는 위원회가 정기적으로 개최되고 있다

사회적경제 지역자원조사, 2020 : 담당공무원

q1_s2

자치단체의 사회적경제 지원환경2: 다양한 사업모델,지역 기반 사회적경제 기업 발굴/육성 계획 수립

Q1. 현재 귀하가 근무하시는 자치단체의 전반적인 사회적경제 지원환경에 대한 내용입니다. 귀하의 판단과 가장 가까운 곳에 √표시를 해주십시오.2) 내가 속한 자치단체는 정부의 사회적경제 활성화 의지를 반영해 다양한 사업모델과 지역에 기반한 사회적경제 기업을 발굴, 육성하려는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사회적경제 지역자원조사, 2020 : 담당공무원

q3_s2

사회적경제 지원정책 인지2: 사회적경제 인재양성 종합계획(`18.7.3) 정책에 관해 알고 있다

Q3. 다음은 사회적경제 지원정책 이해에 관한 내용입니다. 귀하의 판단과 가장 가까운 곳에 √표시를 해주십시오.2) 나는 범부처 차원에서 발표한 사회적경제 인재양성 종합계획(`18.7.3) 정책에 관해 알고 있다

사회적경제 지역자원조사, 2020 : 담당공무원

q6

소속 지방자치단체 사회적경제 지원 정책의 향후 변화 예상

Q6. 귀하는 소속 지방자치단체 사회적경제 지원 정책의 향후 변화에 대해 어떻게 예상하고 계십니까?

사회적경제 지역자원조사, 2020 : 담당공무원

q3_s3

사회적경제 지원정책 인지3: 사회적금융 활성화방안(`18.2.8)에 관해 알고 있다

Q3. 다음은 사회적경제 지원정책 이해에 관한 내용입니다. 귀하의 판단과 가장 가까운 곳에 √표시를 해주십시오.3) 나는 사회적금융 활성화방안(`18.2.8)에 관해 알고 있다

사회적경제 지역자원조사, 2020 : 담당공무원

sq2

소속기관

소속기관

사회적경제 지역자원조사, 2020 : 담당공무원

<< < 1 2 3 4 5 6 7 8 9 1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