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SSDA Loading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212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Korea Social Enterprise Promotion Agency, KoSEA)은 2010년 설립된 국가공공기관으로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위한 정부 정책과 사회적경제 현장을 연결하는 통합지원기관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KoSEA는 사회적기업 통합정보시스템(SEIS)을 구축하여 사회적기업의 인증 및 지원을 관리하고 이를 기반으로 매년 사회적기업 성과분석 보고서를 작성하고 있습니다. 또한 사회적기업이 사회가치 측정을 통해 사회적영향을 자가진단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사회적기업 실태조사, 경기동향조사 등 정책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자료 검색  Search Tips Start a new search
  • 결과수
  • 정렬 기준
  • 정렬

검색결과 212건 중 41-60 (소요 시간: 0.005 초)

변수명 / 변수설명/ 문항 / 자료명
q10_s4

지역내 사회적경제 활성화 지원환경4: 정책관련 사업과 사회적경제 영역과의 연계 기회가 점차 늘어나고 있음

Q10. 귀 사회적경제 조직이 소재한 지역 내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위한 지원환경에 관한 내용입니다. 해당되는 곳에 √ 표시를 해주십시오.4) 내가 속한 지역은 도시재생 뉴딜 등 정책관련 사업과 사회적경제 영역과의 연계 기회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

사회적경제 지역자원조사, 2020 : 사회적경제기업

sq2_s2_1

사회적경제기업 유형2: 사회적기업

SQ2. 사회적경제기업 유형2) 사회적기업 등(예비사회적기업, 인증사회적기업, 마을기업, 자활기업, 기타(지원농어업법인 등)

사회적경제 지역자원조사, 2020 : 사회적경제기업

q5_1_s2

(협의체 가입 및 활동 참여했을 경우) 정기적, 적극적 활동 협의체(연합회) 명: 2순위

Q5-1. 귀 사회적경제 조직이 정기적이며 적극적으로 활동하고 있는 협의체(연합회) 명을 적어주십시오.2순위

사회적경제 지역자원조사, 2020 : 사회적경제기업

q19_s6

사회적가치 실현노력 중요도6: 대기업/중소기업 간의 상생과 협력

Q19. 귀 조직은 사회적경제 기업으로서 아래에 제시된 사회적가치 실현 노력을 얼마나 중요하게 고려하고 계십니까?06) 대기업·중소기업 간의 상생과 협력

사회적경제 지역자원조사, 2020 : 사회적경제기업

sq3

주요 사업지역

SQ3. 주요 사업지역

사회적경제 지역자원조사, 2020 : 사회적경제기업

q16_s4_s2

2019년 12월 기준 유급 근로자 현황4: 해당지역 출신 취약계층 근로자 비중(%)

Q16. 귀 조직의 유급 근로자 현황(2019년 12월 기준)에 대한 내용입니다. 가능한 구체적으로 작성해주시길 부탁드립니다.4) 전체 취약계층 근로자 중 해당지역 출신 취약계층 근로자 비중 (%)

사회적경제 지역자원조사, 2020 : 사회적경제기업

q10_s5

지역내 사회적경제 활성화 지원환경5: 지역형 사회적경제 기금 조성, 필요시 활용할 수 있도록 연계하고 있음

Q10. 귀 사회적경제 조직이 소재한 지역 내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위한 지원환경에 관한 내용입니다. 해당되는 곳에 √ 표시를 해주십시오.5) 내가 속한 지역은 지역형 사회적경제 기금을 조성, 사회적경제 조직들이 필요시 활용할 수 있도록 연계해주고 있다

사회적경제 지역자원조사, 2020 : 사회적경제기업

q6_s1

지역내 기관들과 연계정도1: 지역 자치단체

Q6. 귀 사회적경제 조직은 조직운영에 있어 지역내 타 기관들과 얼마나 연계되어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각 항목별로 지역의 타 기관과의 연계정도가 매우 강하다고 생각할 경우 10점 방향으로, 연계가 매우 약하다고 생각할 경우 0점 방향으로 평가해주십시오.1) 지역 자치단체

사회적경제 지역자원조사, 2020 : 사회적경제기업

q14_s1_2

재무상태2: 2019년 총자산

Q14. 귀 사회적경제조직의 재무상태에 대한 내용입니다. (2019년 설립기업은 2019년에만 응답)2019년 총자산

사회적경제 지역자원조사, 2020 : 사회적경제기업

q3_s3

귀 조직의 강점3: 지역주민의 참여를 유도하는 사업모델 기획

Q3. 귀 사회적경제 조직이 가지는 강점은 무엇입니까? 귀하의 생각과 가장 가까운 곳에 √ 표시를 해주십시오.3) 지역주민의 참여를 유도하는 사업모델을 기획할 수 있다

사회적경제 지역자원조사, 2020 : 사회적경제기업

sq4

법적 형태

SQ4. 법적 형태

사회적경제 지역자원조사, 2020 : 사회적경제기업

q6_s2

지역내 기관들과 연계정도2: 지역 시민단체

Q6. 귀 사회적경제 조직은 조직운영에 있어 지역내 타 기관들과 얼마나 연계되어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각 항목별로 지역의 타 기관과의 연계정도가 매우 강하다고 생각할 경우 10점 방향으로, 연계가 매우 약하다고 생각할 경우 0점 방향으로 평가해주십시오.2) 지역 시민단체

사회적경제 지역자원조사, 2020 : 사회적경제기업

q3_s4

귀 조직의 강점4: 지역사회의 신뢰에 기반한 자원봉사나 기부 등 외부자원 동원이 용이함

Q3. 귀 사회적경제 조직이 가지는 강점은 무엇입니까? 귀하의 생각과 가장 가까운 곳에 √ 표시를 해주십시오.4) 지역사회의 신뢰에 기반한 자원봉사나 기부 등 외부자원을 동원하기에 용이하다

사회적경제 지역자원조사, 2020 : 사회적경제기업

q17_s1

귀 조직의 사회적 성과1: 제공하는 서비스 중 사회서비스의 비중이 높은 편

Q17. 사회적 성과와 관련, 귀 조직이 아래에 동의하시는 정도는 어떠합니까? 해당되는 곳에 √ 표시를 해주십시오.1) 제공하는 서비스 중 사회서비스의 비중이 높은 편이다

사회적경제 지역자원조사, 2020 : 사회적경제기업

q19_s7

사회적가치 실현노력 중요도7: 품위 있는 삶을 누릴 수 있는 양질의 일자리 창출

Q19. 귀 조직은 사회적경제 기업으로서 아래에 제시된 사회적가치 실현 노력을 얼마나 중요하게 고려하고 계십니까?07) 품위 있는 삶을 누릴 수 있는 양질의 일자리 창출

사회적경제 지역자원조사, 2020 : 사회적경제기업

q14_s2_1

재무상태3: 2018년 자본총계

Q14. 귀 사회적경제조직의 재무상태에 대한 내용입니다. (2019년 설립기업은 2019년에만 응답)2018년 자본총계

사회적경제 지역자원조사, 2020 : 사회적경제기업

q11

지역기반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위해 가장 필요한 정책(사업) 지원방향

Q11. 귀 조직은 지역기반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위해 가장 필요한 정책(사업)지원방향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우선순위 1가지만 표시해주십시오.

사회적경제 지역자원조사, 2020 : 사회적경제기업

q17_s2

귀 조직의 사회적 성과2: 지역 창업활동에 기여하는 정도가 큰 편

Q17. 사회적 성과와 관련, 귀 조직이 아래에 동의하시는 정도는 어떠합니까? 해당되는 곳에 √ 표시를 해주십시오.2) 지역 창업활동에 기여하는 정도가 큰 편이다

사회적경제 지역자원조사, 2020 : 사회적경제기업

q19_s8

사회적가치 실현노력 중요도8: 지역사회 활성화와 공동체 복원

Q19. 귀 조직은 사회적경제 기업으로서 아래에 제시된 사회적가치 실현 노력을 얼마나 중요하게 고려하고 계십니까?08) 지역사회 활성화와 공동체 복원

사회적경제 지역자원조사, 2020 : 사회적경제기업

sq4_etc

법적 형태: 기타내용

SQ4. 법적 형태11) 기타___________

사회적경제 지역자원조사, 2020 : 사회적경제기업

<< < 1 2 3 4 5 6 7 8 9 1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