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13_s1_2
매출현황2: 2019년 매출액
Q13. 귀 사회적경제조직의 매출액에 대한 내용입니다. (2019년 설립기업은 2019년에만 응답)2019년 매출액
사회적경제 지역자원조사, 2020 : 사회적경제기업
q2
귀 조직이 우선 해결하고자 하는 지역문제
Q2. 귀 사회적경제 조직이 우선 해결하고자 노력하는 지역의 문제는 어디에 해당된다고 생각하십니까? 우선순위 1가지만 표시해주십시오.
사회적경제 지역자원조사, 2020 : 사회적경제기업
q2_etc
귀 조직이 우선 해결하고자 하는 지역문제: 기타내용
Q2. 귀 사회적경제 조직이 우선 해결하고자 노력하는 지역의 문제는 어디에 해당된다고 생각하십니까? 우선순위 1가지만 표시해주십시오.11) 기타_______________
사회적경제 지역자원조사, 2020 : 사회적경제기업
q16_s3_s1
2019년 12월 기준 유급 근로자 현황4: 취약계층 근로자 수(명)
Q16. 귀 조직의 유급 근로자 현황(2019년 12월 기준)에 대한 내용입니다. 가능한 구체적으로 작성해주시길 부탁드립니다.3) 취약계층 근로자 수 (명)
사회적경제 지역자원조사, 2020 : 사회적경제기업
q13_s2_1
매출현황3: 2018년 영업이익
Q13-1. 귀 사회적경제조직의 영업이익에 대한 내용입니다. 2019년 설립기업은 2019년에만 응답)2018 영업이익
사회적경제 지역자원조사, 2020 : 사회적경제기업
q19_s3
사회적가치 실현노력 중요도3: 건강한 생활이 가능한 보건복지의 제공
Q19. 귀 조직은 사회적경제 기업으로서 아래에 제시된 사회적가치 실현 노력을 얼마나 중요하게 고려하고 계십니까?03) 건강한 생활이 가능한 보건복지의 제공
사회적경제 지역자원조사, 2020 : 사회적경제기업
sq1_s5
조직 설립년도
SQ1. 기업 개요 - 조직 설립년도
사회적경제 지역자원조사, 2020 : 사회적경제기업
q5
업종, 지역, 조직유형별 협의체(연합회) 가입 및 활동 참여 여부
Q5. 귀 사회적경제 조직은 현재 업종, 지역 또는 조직유형별 협의체(or 연합체)에 가입, 활동에 참여하고 있습니까?
사회적경제 지역자원조사, 2020 : 사회적경제기업
q10_s2
지역내 사회적경제 활성화 지원환경2: 다양한 사업모델과 지역에 기반한 사회적경제 기업 발굴, 육성 계획 수립함
Q10. 귀 사회적경제 조직이 소재한 지역 내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위한 지원환경에 관한 내용입니다. 해당되는 곳에 √ 표시를 해주십시오.2) 내가 속한 지역은 정부의 사회적경제 활성화 의지를 반영해 다양한 사업모델과 지역에 기반한 사회적경제 기업을 발굴, 육성하려는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사회적경제 지역자원조사, 2020 : 사회적경제기업
q16_s3_s2
2019년 12월 기준 유급 근로자 현황4: 취약계층 근로자 비중(%)
Q16. 귀 조직의 유급 근로자 현황(2019년 12월 기준)에 대한 내용입니다. 가능한 구체적으로 작성해주시길 부탁드립니다.3) 취약계층 근로자 수 비중(%)
사회적경제 지역자원조사, 2020 : 사회적경제기업
q19_s4
사회적가치 실현노력 중요도4: 노동권의 보장과 근로조건의 향상
Q19. 귀 조직은 사회적경제 기업으로서 아래에 제시된 사회적가치 실현 노력을 얼마나 중요하게 고려하고 계십니까?04) 노동권의 보장과 근로조건의 향상
사회적경제 지역자원조사, 2020 : 사회적경제기업
sq2_s1_1
사회적경제기업 유형1: 협동조합
SQ2. 사회적경제기업 유형1) 협동조합 등(협동조합, 소비자생협, 중소기업협동조합, 농축협, 수협, 엽연초생산협동조합, 산림조합, 신협, 새마을금고 등)
사회적경제 지역자원조사, 2020 : 사회적경제기업
q10_s3
지역내 사회적경제 활성화 지원환경3: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위해 수립한 지원계획 이행이 잘 이루어지고 있음
Q10. 귀 사회적경제 조직이 소재한 지역 내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위한 지원환경에 관한 내용입니다. 해당되는 곳에 √ 표시를 해주십시오.3) 내가 속한 지역은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위해 수립한 지원계획에 관한 이행이 잘 이루어지고 있다
사회적경제 지역자원조사, 2020 : 사회적경제기업
q5_1_s1
(협의체 가입 및 활동 참여했을 경우) 정기적, 적극적 활동 협의체(연합회) 명: 1순위
Q5-1. 귀 사회적경제 조직이 정기적이며 적극적으로 활동하고 있는 협의체(연합회) 명을 적어주십시오.1순위
사회적경제 지역자원조사, 2020 : 사회적경제기업
q13_s2_2
매출현황4: 2019년 영업이익
Q13-1. 귀 사회적경제조직의 영업이익에 대한 내용입니다. 2019년 설립기업은 2019년에만 응답)2019 영업이익
사회적경제 지역자원조사, 2020 : 사회적경제기업
q3_s1
귀 조직의 강점1: 이윤분배의 제한으로 사회적 목적에 집중할 수 있음
Q3. 귀 사회적경제 조직이 가지는 강점은 무엇입니까? 귀하의 생각과 가장 가까운 곳에 √ 표시를 해주십시오.1) 이윤분배의 제한으로 사회적 목적에 집중할 수 있다
사회적경제 지역자원조사, 2020 : 사회적경제기업
q3_s2
귀 조직의 강점2: 민주적 의사결정구조와 내재적 동기부여로 직원들이 높은 생산성 가짐
Q3. 귀 사회적경제 조직이 가지는 강점은 무엇입니까? 귀하의 생각과 가장 가까운 곳에 √ 표시를 해주십시오.2) 민주적 의사결정구조와 내재적 동기부여로 직원들이 높은 생산성을 가질 수 있다
사회적경제 지역자원조사, 2020 : 사회적경제기업
q14_s1_1
재무상태1: 2018년 총자산
Q14. 귀 사회적경제조직의 재무상태에 대한 내용입니다. (2019년 설립기업은 2019년에만 응답)2018년 총자산
사회적경제 지역자원조사, 2020 : 사회적경제기업
q16_s4_s1
2019년 12월 기준 유급 근로자 현황4: 해당지역 출신 취약계층 근로자 수(명)
Q16. 귀 조직의 유급 근로자 현황(2019년 12월 기준)에 대한 내용입니다. 가능한 구체적으로 작성해주시길 부탁드립니다.4) 전체 취약계층 근로자 중 해당지역 출신 취약계층 근로자 수 (명)
사회적경제 지역자원조사, 2020 : 사회적경제기업
q19_s5
사회적가치 실현노력 중요도5: 사회적 약자에 대한 기회제공과 사회통합
Q19. 귀 조직은 사회적경제 기업으로서 아래에 제시된 사회적가치 실현 노력을 얼마나 중요하게 고려하고 계십니까?05) 사회적 약자에 대한 기회제공과 사회통합
사회적경제 지역자원조사, 2020 : 사회적경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