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SSDA Loading
조사자료 회원공개

박사인력활동조사, 2017

https://doi.org/10.22687/KOSSDA-A1-2017-0103-V1.0

목록으로

연구책임자

조가원 /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연구위원


연구수행기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초록

이 자료는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이 박사급 전문인력의 교육, 노동시장, 유출입 현황에 대한 기초적인 지표, 통계를 생산함으로써 과학적 정책수립의 증거기반을 제공하고, 박사인력의 국제이동에 대한 국제 표준 통계를 생산하기 위해 2011년부터 주기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국가승인통계이다.
조사내용은 박사학위소지자의 인적 특성과 학위취득 과정, 일자리 현황, 초기 직장(포스트닥) 특성, 연구직 경력, 국제이동 현황 등이며 OECD의 CDH(Careers and Mobility of Doctorate Holders)의 문항을 대다수 포함하고 있어 국제비교연구가 가능하다.
이 자료는 국내에 거주하는 전국의 만 15세 이상 내국인 박사학위 소지자로부터 수집되었으며, 각 영역별 주요 조사내용은 아래와 같다.
1. 박사학위 교육: 박사학위 취득기관, 박사학위 전공, 박사학위 명칭, 박사학위 취득시점, 풀타임 학생여부, 박사학위 이전학위, 박사학위 취득동기, 박사과정 학비원천, 박사학위 취득시점 자질, 박사학위 취득 후 첫 일자리 취업 기간
2. 고용상태: 고용상태, 현 일자리, 현 일자리 자질, 주업의 만족도, 이전 일자리, 첫 일자리
3. 국제이동성: 국제 이동 경험 여부, 학업과 취업 또는 연구수행국가 및 연수기간, 협력 연구 수행 형태, 커뮤니티 연계 여부, 해외 이주 계획
4. 연구직 경력: 연구업무 수행 여부, 연구직 취업 소요기간, 연구/실험개발 활동 비중, 연구직 선택 이유, 연구직 재직기간, 연구직 성과, 연구직 근무하지 않는 이유, 연구직 전환 고려 여부
5. 임시연구직: 임시연구직 근무경험 여부, 계약기간, 연장 가능 여부, 근무기간, 주 평균 근무시간 및 활동 비중, 일자리 특성, 임시연구직 선택 이유
6. 인적특성: 성별, 출생년도, 출생지역, 국적, 혼인상태 등

더 보기


주제분류

고용과 노동


자료시리즈

박사인력활동조사



자료이용안내

1. 목표모집단과 조사모집단의 차이
이 자료는 2016년 12월 1일을 기준시점으로 하며 실사 진행은 2017년에 이루어졌습니다. 따라서 원칙적으로는 조사대상 인구(target population)에 2016년 신규졸업자가 포함되어야 하나 「2015년 인구주택총조사」를 표본틀로 하고 있기에 2015년 졸업자까지만 표본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활용 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2. 전공분류 변경
이 자료는 2016년 9월 30일 고시된 통계청의 '한국표준교육분류(영역)’을 따르고 있습니다. 과거 국내 교육통계의 전공분류와 새로운 교육분류(영역) 간의 연계는 학과연계표를 통해 가능합니다.
3. 외국인 박사인력 미포함
OECD CDH 조사의 표준 조사대상 인구는 국내 거주 70세 미만의 모든 박사인력으로, 출생지, 학위취득지, 국적을 불문하고 모든 박사학위 소지자를 포괄하여야 하므로 외국인 박사도 포함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KCDH는 조사시점에서 국내에 거주하는 대한민국 국적자만을 대상으로 합니다. 모집단 추정치를 해석할 때에는 이를 주의해야 합니다.

파일유형 파일명 파일내용 파일형식 파일크기 다운로드
관련파일-설문지(한글) kor_que_20170103.pdf PDF 679.52 kB 다운로드
  • 정렬 기준
  • 정렬
목록으로
조회 수
1,868
관련 파일
602
데이터
18

현재 자료 버전 공개일 이후 집계치.
단, 2017년 5월 11일 이전 공개 자료의 경우 2017년 5월 11일 이후 집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