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지역 아동양육시설 기능개편에 대한 종사자 의견조사, 2019
https://doi.org/10.22687/KOSSDA-A1-2019-0007-V1.0
박금식 / 부산여성가족개발원 연구위원
이 조사는 부산여성가족개발원이 아동양육시설 종사자가 생각하는 기능개편의 방안을 파악하여 향후 부산시의 정책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한 것이다.
이 자료는 부산 소재 18개소에 근무하는 아동양육시설 종사자를 대상으로 아동양육시설 운영 만족도, 아동양육시설 아동보호의 문제점, 현재 근무하는 아동양육시설의 기능개편의 방향, 아동양육시설의 지원 강화 방안 등을 묻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파일유형 | 파일명 | 파일내용 | 파일형식 | 파일크기 | 다운로드 |
---|---|---|---|---|---|
관련파일-설문지(한글) | kor_que_20190007.pdf | 1.48 MB | 다운로드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 | A | 19 | 0 |
6.9%
|
- | B | 16 | 0 |
5.8%
|
- | C | 10 | 0 |
3.6%
|
- | D | 9 | 0 |
3.3%
|
- | E | 19 | 0 |
6.9%
|
- | F | 16 | 0 |
5.8%
|
- | G | 11 | 0 |
4%
|
- | H | 16 | 0 |
5.8%
|
- | I | 14 | 0 |
5.1%
|
- | J | 18 | 0 |
6.5%
|
- | K | 16 | 0 |
5.8%
|
- | L | 16 | 0 |
5.8%
|
- | M | 16 | 0 |
5.8%
|
- | N | 10 | 0 |
3.6%
|
- | O | 17 | 0 |
6.2%
|
- | P | 20 | 0 |
7.3%
|
- | Q | 16 | 0 |
5.8%
|
- | R | 16 | 0 |
5.8%
|
This variable is character
Value | Label | N | WN | |
---|---|---|---|---|
1 | 남자 | 48 | 0 |
17.5%
|
2 | 여자 | 227 | 0 |
82.5%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 | 22 | 3 | 0 |
1.1%
|
- | 23 | 6 | 0 |
2.2%
|
- | 24 | 4 | 0 |
1.5%
|
- | 25 | 6 | 0 |
2.2%
|
- | 26 | 9 | 0 |
3.3%
|
- | 27 | 7 | 0 |
2.5%
|
- | 28 | 10 | 0 |
3.6%
|
- | 29 | 5 | 0 |
1.8%
|
- | 30 | 3 | 0 |
1.1%
|
- | 31 | 8 | 0 |
2.9%
|
- | 32 | 10 | 0 |
3.6%
|
- | 33 | 11 | 0 |
4%
|
- | 34 | 5 | 0 |
1.8%
|
- | 35 | 10 | 0 |
3.6%
|
- | 36 | 10 | 0 |
3.6%
|
- | 37 | 9 | 0 |
3.3%
|
- | 38 | 12 | 0 |
4.4%
|
- | 39 | 8 | 0 |
2.9%
|
- | 40 | 15 | 0 |
5.5%
|
- | 41 | 8 | 0 |
2.9%
|
- | 42 | 8 | 0 |
2.9%
|
- | 43 | 8 | 0 |
2.9%
|
- | 44 | 7 | 0 |
2.5%
|
- | 45 | 14 | 0 |
5.1%
|
- | 46 | 9 | 0 |
3.3%
|
- | 47 | 5 | 0 |
1.8%
|
- | 48 | 3 | 0 |
1.1%
|
- | 49 | 8 | 0 |
2.9%
|
- | 50 | 9 | 0 |
3.3%
|
- | 51 | 5 | 0 |
1.8%
|
- | 52 | 5 | 0 |
1.8%
|
- | 53 | 7 | 0 |
2.5%
|
- | 54 | 3 | 0 |
1.1%
|
- | 55 | 10 | 0 |
3.6%
|
- | 56 | 2 | 0 |
0.7%
|
- | 57 | 6 | 0 |
2.2%
|
- | 58 | 3 | 0 |
1.1%
|
- | 59 | 3 | 0 |
1.1%
|
- | 62 | 1 | 0 |
0.4%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 | 0 | 4 | 0 |
1.5%
|
- | 1 | 50 | 0 |
18.2%
|
- | 10 | 15 | 0 |
5.5%
|
- | 11 | 4 | 0 |
1.5%
|
- | 12 | 7 | 0 |
2.5%
|
- | 13 | 10 | 0 |
3.6%
|
- | 14 | 4 | 0 |
1.5%
|
- | 15 | 6 | 0 |
2.2%
|
- | 16 | 2 | 0 |
0.7%
|
- | 17 | 7 | 0 |
2.5%
|
- | 18 | 3 | 0 |
1.1%
|
- | 19 | 2 | 0 |
0.7%
|
- | 1개월 | 1 | 0 |
0.4%
|
- | 2 | 26 | 0 |
9.5%
|
- | 20 | 9 | 0 |
3.3%
|
- | 21 | 1 | 0 |
0.4%
|
- | 22 | 2 | 0 |
0.7%
|
- | 23 | 4 | 0 |
1.5%
|
- | 24 | 1 | 0 |
0.4%
|
- | 25 | 1 | 0 |
0.4%
|
- | 26 | 1 | 0 |
0.4%
|
- | 29 | 2 | 0 |
0.7%
|
- | 3 | 22 | 0 |
8%
|
- | 30 | 3 | 0 |
1.1%
|
- | 3개월 | 1 | 0 |
0.4%
|
- | 4 | 21 | 0 |
7.6%
|
- | 4개월 | 1 | 0 |
0.4%
|
- | 5 | 14 | 0 |
5.1%
|
- | 5개월 | 1 | 0 |
0.4%
|
- | 6 | 18 | 0 |
6.5%
|
- | 7 | 13 | 0 |
4.7%
|
- | 7개월 | 1 | 0 |
0.4%
|
- | 8 | 10 | 0 |
3.6%
|
- | 9 | 7 | 0 |
2.5%
|
- | 9개월 | 1 | 0 |
0.4%
|
This variable is character
Value | Label | N | WN | |
---|---|---|---|---|
- | 0 | 4 | 0 |
1.5%
|
- | 1 | 1 | 0 |
0.4%
|
- | 3 | 1 | 0 |
0.4%
|
- | 4 | 1 | 0 |
0.4%
|
- | 5 | 1 | 0 |
0.4%
|
- | 7 | 1 | 0 |
0.4%
|
- | 9 | 1 | 0 |
0.4%
|
- | 12 | 50 | 0 |
18.2%
|
- | 24 | 26 | 0 |
9.5%
|
- | 36 | 22 | 0 |
8%
|
- | 48 | 21 | 0 |
7.6%
|
- | 60 | 14 | 0 |
5.1%
|
- | 72 | 18 | 0 |
6.5%
|
- | 84 | 13 | 0 |
4.7%
|
- | 96 | 10 | 0 |
3.6%
|
- | 108 | 7 | 0 |
2.5%
|
- | 120 | 15 | 0 |
5.5%
|
- | 132 | 4 | 0 |
1.5%
|
- | 144 | 7 | 0 |
2.5%
|
- | 156 | 10 | 0 |
3.6%
|
- | 168 | 4 | 0 |
1.5%
|
- | 180 | 6 | 0 |
2.2%
|
- | 192 | 2 | 0 |
0.7%
|
- | 204 | 7 | 0 |
2.5%
|
- | 216 | 3 | 0 |
1.1%
|
- | 228 | 2 | 0 |
0.7%
|
- | 240 | 9 | 0 |
3.3%
|
- | 252 | 1 | 0 |
0.4%
|
- | 264 | 2 | 0 |
0.7%
|
- | 276 | 4 | 0 |
1.5%
|
- | 288 | 1 | 0 |
0.4%
|
- | 300 | 1 | 0 |
0.4%
|
- | 312 | 1 | 0 |
0.4%
|
- | 348 | 2 | 0 |
0.7%
|
- | 360 | 3 | 0 |
1.1%
|
999 | 무응답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시설의 장 | 4 | 0 |
1.5%
|
2 | 사무국장 | 10 | 0 |
3.6%
|
3 | 사무원 | 17 | 0 |
6.2%
|
4 | 보육원 | 154 | 0 |
56%
|
5 | 생활복지사 | 38 | 0 |
13.8%
|
6 | 직업훈련교사 | 0 | 0 |
0%
|
7 | 상담지도원 | 0 | 0 |
0%
|
8 | 임상심리상담원 | 10 | 0 |
3.6%
|
9 | 위생원 | 6 | 0 |
2.2%
|
10 | 자립지원전담요원 | 11 | 0 |
4%
|
11 | 기타 | 25 | 0 |
9.1%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 | 간호사 | 4 | 0 |
18.2%
|
- | 간호조무사 | 1 | 0 |
4.5%
|
- | 생활지도원 | 4 | 0 |
18.2%
|
- | 영양사 | 8 | 0 |
36.4%
|
- | 조리사 | 2 | 0 |
9.1%
|
- | 조리원 | 3 | 0 |
13.6%
|
This variable is character
Value | Label | N | WN | |
---|---|---|---|---|
1 | 저출산 아동인구 감소로 인한 아동양육시설 수요의 감소 | 117 | 0 |
42.5%
|
2 | 아동학대, 가출 등 원인으로 발생하는 보호대상아동의 감소 | 19 | 0 |
6.9%
|
3 | 미혼모 증가와 아동인권의식 향상으로 미혼모에 의한 직접 양육 증가 | 6 | 0 |
2.2%
|
4 | 가족해체, 빈곤 등 위기가정 아동의 감소 | 15 | 0 |
5.5%
|
5 | 가정 및 지역사회 중심 아동양육 정책으로 인한 아동양육시설 필요성, 중요성은 감소, 공동생활가정/가정위탁/입양 등 대안양육 필요성 증가 | 86 | 0 |
31.3%
|
6 | 아동 관련 복지 서비스의 전문화 혹은 다양한 사회서비스의 증가 | 29 | 0 |
10.5%
|
7 | 기타 | 3 | 0 |
1.1%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저출산 아동인구 감소로 인한 아동양육시설 수요의 감소 | 66 | 0 |
24%
|
2 | 아동학대, 가출 등 원인으로 발생하는 보호대상아동의 감소 | 21 | 0 |
7.6%
|
3 | 미혼모 증가와 아동인권의식 향상으로 미혼모에 의한 직접 양육 증가 | 21 | 0 |
7.6%
|
4 | 가족해체, 빈곤 등 위기가정 아동의 감소 | 19 | 0 |
6.9%
|
5 | 가정 및 지역사회 중심 아동양육 정책으로 인한 아동양육시설 필요성, 중요성은 감소, 공동생활가정/가정위탁/입양 등 대안 양육 필요성 증가 | 69 | 0 |
25.1%
|
6 | 아동 관련 복지 서비스의 전문화 혹은 다양한 사회서비스의 증가 | 67 | 0 |
24.4%
|
7 | 기타 | 3 | 0 |
1.1%
|
9 | 무응답 | 9 | 0 |
3.3%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 | 시설노후화 | 1 | 0 |
50%
|
- | 없음 | 1 | 0 |
50%
|
This variable is character
Value | Label | N | WN | |
---|---|---|---|---|
1 | 매우 그렇지 않다 | 3 | 0 |
1.1%
|
2 | 그렇지 않다 | 30 | 0 |
10.9%
|
3 | 보통이다 | 84 | 0 |
30.5%
|
4 | 약간 그렇다 | 85 | 0 |
30.9%
|
5 | 매우 그렇다 | 73 | 0 |
26.5%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매우 그렇지 않다 | 3 | 0 |
1.1%
|
2 | 그렇지 않다 | 7 | 0 |
2.5%
|
3 | 보통이다 | 64 | 0 |
23.3%
|
4 | 약간 그렇다 | 99 | 0 |
36%
|
5 | 매우 그렇다 | 102 | 0 |
37.1%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매우 그렇지 않다 | 3 | 0 |
1.1%
|
2 | 그렇지 않다 | 8 | 0 |
2.9%
|
3 | 보통이다 | 65 | 0 |
23.6%
|
4 | 약간 그렇다 | 96 | 0 |
34.9%
|
5 | 매우 그렇다 | 103 | 0 |
37.5%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매우 그렇지 않다 | 3 | 0 |
1.1%
|
2 | 그렇지 않다 | 5 | 0 |
1.8%
|
3 | 보통이다 | 44 | 0 |
16%
|
4 | 약간 그렇다 | 100 | 0 |
36.4%
|
5 | 매우 그렇다 | 123 | 0 |
44.7%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매우 그렇지 않다 | 21 | 0 |
7.6%
|
2 | 그렇지 않다 | 61 | 0 |
22.2%
|
3 | 보통이다 | 93 | 0 |
33.8%
|
4 | 약간 그렇다 | 77 | 0 |
28%
|
5 | 매우 그렇다 | 23 | 0 |
8.4%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매우 그렇지 않다 | 40 | 0 |
14.5%
|
2 | 그렇지 않다 | 85 | 0 |
30.9%
|
3 | 보통이다 | 97 | 0 |
35.3%
|
4 | 약간 그렇다 | 45 | 0 |
16.4%
|
5 | 매우 그렇다 | 8 | 0 |
2.9%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매우 그렇지 않다 | 55 | 0 |
20%
|
2 | 그렇지 않다 | 101 | 0 |
36.7%
|
3 | 보통이다 | 71 | 0 |
25.8%
|
4 | 약간 그렇다 | 42 | 0 |
15.3%
|
5 | 매우 그렇다 | 6 | 0 |
2.2%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매우 그렇지 않다 | 24 | 0 |
8.7%
|
2 | 그렇지 않다 | 66 | 0 |
24%
|
3 | 보통이다 | 83 | 0 |
30.2%
|
4 | 약간 그렇다 | 73 | 0 |
26.5%
|
5 | 매우 그렇다 | 29 | 0 |
10.5%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매우 그렇지 않다 | 49 | 0 |
17.8%
|
2 | 그렇지 않다 | 100 | 0 |
36.4%
|
3 | 보통이다 | 109 | 0 |
39.6%
|
4 | 약간 그렇다 | 15 | 0 |
5.5%
|
5 | 매우 그렇다 | 2 | 0 |
0.7%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매우 그렇지 않다 | 55 | 0 |
20%
|
2 | 그렇지 않다 | 79 | 0 |
28.7%
|
3 | 보통이다 | 106 | 0 |
38.5%
|
4 | 약간 그렇다 | 29 | 0 |
10.5%
|
5 | 매우 그렇다 | 6 | 0 |
2.2%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매우 그렇지 않다 | 46 | 0 |
16.7%
|
2 | 그렇지 않다 | 97 | 0 |
35.3%
|
3 | 보통이다 | 95 | 0 |
34.5%
|
4 | 약간 그렇다 | 32 | 0 |
11.6%
|
5 | 매우 그렇다 | 5 | 0 |
1.8%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매우 그렇지 않다 | 28 | 0 |
10.2%
|
2 | 그렇지 않다 | 62 | 0 |
22.5%
|
3 | 보통이다 | 82 | 0 |
29.8%
|
4 | 약간 그렇다 | 78 | 0 |
28.4%
|
5 | 매우 그렇다 | 25 | 0 |
9.1%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매우 그렇지 않다 | 12 | 0 |
4.4%
|
2 | 그렇지 않다 | 54 | 0 |
19.6%
|
3 | 보통이다 | 93 | 0 |
33.8%
|
4 | 약간 그렇다 | 89 | 0 |
32.4%
|
5 | 매우 그렇다 | 27 | 0 |
9.8%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매우 그렇지 않다 | 0 | 0 |
0%
|
2 | 그렇지 않다 | 1 | 0 |
0.4%
|
3 | 보통이다 | 2 | 0 |
0.7%
|
4 | 약간 그렇다 | 3 | 0 |
1.1%
|
5 | 매우 그렇다 | 2 | 0 |
0.7%
|
9 | 무응답 | 267 | 0 |
97.1%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 | 경계선 지능 아동 등 특수아동 양육환경 | 1 | 0 |
14.3%
|
- | 경계선, ADHD 아동과 일반아동의 공동생활로 인한 서비스 제공의 한계 | 1 | 0 |
14.3%
|
- | 국가의 편의에 의해 필요성이 낮아지는점 | 1 | 0 |
14.3%
|
- | 시설 운영비 미흡 | 1 | 0 |
14.3%
|
- | 시설환경개선 | 1 | 0 |
14.3%
|
- | 장애아동, 경제성 아동의 치료시설 부족 | 1 | 0 |
14.3%
|
- | 현장상황 고려필요 | 1 | 0 |
14.3%
|
This variable is character
Value | Label | N | WN | |
---|---|---|---|---|
1 | 매우 부족하다 | 2 | 0 |
0.7%
|
2 | 부족하다 | 36 | 0 |
13.1%
|
3 | 보통이다 | 168 | 0 |
61.1%
|
4 | 충분하다 | 55 | 0 |
20%
|
5 | 매우 충분하다 | 14 | 0 |
5.1%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매우 반대한다 | 5 | 0 |
1.8%
|
2 | 반대한다 | 18 | 0 |
6.5%
|
3 | 보통이다 | 115 | 0 |
41.8%
|
4 | 찬성한다 | 122 | 0 |
44.4%
|
5 | 매우 찬성한다 | 15 | 0 |
5.5%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매우 반대한다 | 6 | 0 |
2.2%
|
2 | 반대한다 | 21 | 0 |
7.6%
|
3 | 보통이다 | 178 | 0 |
64.7%
|
4 | 찬성한다 | 56 | 0 |
20.4%
|
5 | 매우 찬성한다 | 14 | 0 |
5.1%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 | null | 1 | 0 |
4.8%
|
- | 각자가 하고있는 일에 있어서 갑자기 방향이 달라지면 혼란이 야기될 수 있음 | 1 | 0 |
4.8%
|
- | 기능 개편을 믿을 수가 없다 (현재 종사자의 일자리 보장을 전체 해야한다) | 1 | 0 |
4.8%
|
- | 기능개편의 필요성에 대해 전혀 느끼지 못하고 있으며 굳이 기능개편을 하여 아이들에게 정서적 등의 불안감을 조성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함. | 1 | 0 |
4.8%
|
- | 기존아동시설 및 법인의 고유목적사업의 기능개편은 요보호 아동의 지속적인 발생에 대비한 필요성이 요구되므로 적정한 인원배치만 균형적으로 이루어진다면 굳이 개편할 필요성이 없다. | 1 | 0 |
4.8%
|
- | 노인, 장애인 시설로 개편하면 기존 아이들이 원하는 것을 다 받을 수가 없다. | 1 | 0 |
4.8%
|
- | 모든 인력들이 전문적으로 일을 잘하고 있기 때문에 기능개편보다는 잘 이어가길 바란다 | 1 | 0 |
4.8%
|
- | 소그룹화 시설들이 대형 시설들과 비교해 볼 때 업무분담은 늘고 아동들에게 푸시할 수 있는 지원은 줄어들어 더 힘든 상황이 올 것 같다 | 1 | 0 |
4.8%
|
- | 아동양육시설에 아동양육외에 다른 기능이 있다면 오히려 아동양육에 집중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 1 | 0 |
4.8%
|
- | 아동양육의 기능전문성 강화가 옳다고 봄 / 아동전문 양육 주력! | 1 | 0 |
4.8%
|
- | 아동이 원치 않는 기능개편은 반대합니다 | 1 | 0 |
4.8%
|
- | 예산의 부족 및 정지적 목적에 따라 시설 규모의 축소 및 통폐합으로 아동들이의 보존자리가 자신들 의지가 아닌타인의 의지에 따라 바뀌어진다는 것은 아동의 권유이다. | 1 | 0 |
4.8%
|
- | null | 1 | 0 |
4.8%
|
- | 출산율은 감소하나 가정불화나 해체로 인하여 보호를 요하는 아동의 수는 더 많아졌다. | 1 | 0 |
4.8%
|
- | 필요성이 없다 | 1 | 0 |
4.8%
|
- | 현 시설현황에 필요충족, 관리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소그룹시설의 경시설 분리는 더 업무의 부담, 관리가 어려워져서 아동들에게 소홀해질수 있기에 반대 | 1 | 0 |
4.8%
|
- | null | 1 | 0 |
4.8%
|
- | 현재 수용하고 있는 아동에 맞는 양육이 이뤄지고 있다고 판단되므로 | 1 | 0 |
4.8%
|
- | 현재 시설에 대한 유지 기능강화를 통해 운영에 차질이 없도록 하는 것이 좋겠음. | 1 | 0 |
4.8%
|
- | 현재 유지되고 있는 시설에서도 충분히 아동의 개인에 맞는 자립이 지원되고 있다고 생각되어짐 | 1 | 0 |
4.8%
|
- | null | 1 | 0 |
4.8%
|
This variable is character
Value | Label | N | WN | |
---|---|---|---|---|
- | 1명당 관리 인원 많아 구조 개편 필요함 많게는 12명 정도 1명이 관리함 / 연령 상관 없이 | 1 | 0 |
2.4%
|
- | 경계성 아동들의 집중 케어가 필요 | 1 | 0 |
2.4%
|
- | 관리인원이 많아 구조개편이 필요함 | 1 | 0 |
2.4%
|
- | 기능개편에 관한 재정 및 인력의 보존을 위한 재반 절차가 마련된다면 기능개편을 통해서 운용이 장기적으로 긍정적이라 본다. | 1 | 0 |
2.4%
|
- | 기능개편을 위한 환경조성이 충분함 | 1 | 0 |
2.4%
|
- | null | 1 | 0 |
2.4%
|
- | 보호대상 아동의 감소로 인한 전체 아동 양육시설의 정원 부족 발생 | 1 | 0 |
2.4%
|
- | 복지서비스 확대 | 1 | 0 |
2.4%
|
- | 시설공간 확대 | 1 | 0 |
2.4%
|
- | 시설의 노후화 | 2 | 0 |
4.9%
|
- | 시설의노후화, 전문인력부족, 예산부족 | 1 | 0 |
2.4%
|
- | 시설필요 | 1 | 0 |
2.4%
|
- | 심리적 치료가 필요한 아동이 대부분임에도 일반아동/장애아동 획일적인 구분으로 아동 개인에게 적절한 서비스를 풍족하게 제공하기 어려움, 인력이 오히려 부족하다 느끼는데 인력을 줄이려고 하고있음 | 1 | 0 |
2.4%
|
- | 아동 개인적 능력 전문화 교육 | 1 | 0 |
2.4%
|
- | 아동 양육의 목적보다 아동의 자립식과 창의성, 사회성을 만들어나가는 역할이 필요. | 1 | 0 |
2.4%
|
- | 아동 입소유형의 변화에 맞는 전문인력 필요 | 1 | 0 |
2.4%
|
- | null | 1 | 0 |
2.4%
|
- | 아동과 복지사와의 라포 형성/직원들간의 정보 공유 및 상호 보완/기타 등등 | 1 | 0 |
2.4%
|
- | 아동들에게 좋은환경 제공할수 있어서 찬성 | 1 | 0 |
2.4%
|
- | 아동부족 | 1 | 0 |
2.4%
|
- | 아동수 감소 및 지역사회 돌봄 및 아동양육에 대한 욕구를 감안시 기능전환이 필요함 | 1 | 0 |
2.4%
|
- | 아동수가 줄어듬으로 해서 아동 양육시설 외 다른 대상을 넓힘으로서 기능개편와 강화에 도움이 됨 | 1 | 0 |
2.4%
|
- | 아동수의 감소, 경영어려움 | 1 | 0 |
2.4%
|
- | 아동수의 감소로 기능개편이 필요한 | 1 | 0 |
2.4%
|
- | 아동수의 감소로 인한 종사자 배치의 불확실성으로 시설기능 개편을 통한 종사자의 입지를 공고히 한다. | 1 | 0 |
2.4%
|
- | 아동에게 필요한 서비스 즉각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 1 | 0 |
2.4%
|
- | 아동의 자립심, 개발 필요 | 1 | 0 |
2.4%
|
- | 아동의 특기 및 적성개발 -> 진로 자립등 | 1 | 0 |
2.4%
|
- | 아동축소 | 1 | 0 |
2.4%
|
- | 아이들의 인식은 날로 변화되는데 그에 맞춰서 양육형 태도 변화되어야 한다고 생각함 | 1 | 0 |
2.4%
|
- | 일반아동과 장애아동 사이에서 개별화 서비스를 해주기에 인력부족 | 1 | 0 |
2.4%
|
- | 입소아동의감소 | 1 | 0 |
2.4%
|
- | 장애 아동의 입소시 비장애 아동과 동일 양육방식 적용이 불합리 | 1 | 0 |
2.4%
|
- | 재개발건 | 1 | 0 |
2.4%
|
- | 전문성과 다양성을 겸비하여 생활할 수 있도록 해주세요 | 1 | 0 |
2.4%
|
- | 좀더 아동의 성향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운영이 필요함 | 1 | 0 |
2.4%
|
- | 질 좋은 서비스를 위해 근무형태 개편 원함 / 보육사의 삶의 질을 위해 개편 위험 | 1 | 0 |
2.4%
|
- | 현대화식 필요 | 1 | 0 |
2.4%
|
- | 현재 입소아동들은 소유모시설에서 감당하기에는 어려운 아동들이 많음 , 특히 소규모시설에서 양육이 곤란하여 전원되는 경우가 있어 통합사례관리를 하는 대규모시설이 있어야 함 | 1 | 0 |
2.4%
|
- | 환경시설 | 1 | 0 |
2.4%
|
This variable is character
Value | Label | N | WN | |
---|---|---|---|---|
1 | 아동 영역 내 다른 사업 | 148 | 0 |
53.8%
|
2 | 청소년 영역 | 78 | 0 |
28.4%
|
3 | 노인 영역 | 14 | 0 |
5.1%
|
4 | 장애인 영역(장애아동 영역 등 포함) | 23 | 0 |
8.4%
|
5 | 여성 영역 | 1 | 0 |
0.4%
|
6 | 다문화가족 영역 | 10 | 0 |
3.6%
|
7 | 기타 | 1 | 0 |
0.4%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아동 영역 내 다른 사업 | 52 | 0 |
18.9%
|
2 | 청소년 영역 | 105 | 0 |
38.2%
|
3 | 노인 영역 | 34 | 0 |
12.4%
|
4 | 장애인 영역(장애아동 영역 등 포함) | 40 | 0 |
14.5%
|
5 | 여성 영역 | 18 | 0 |
6.5%
|
6 | 다문화가족 영역 | 23 | 0 |
8.4%
|
7 | 기타 | 3 | 0 |
1.1%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 | 지적경계선 | 1 | 0 |
100%
|
This variable is character
Value | Label | N | WN | |
---|---|---|---|---|
1 | 아동가정지원사업 | 38 | 0 |
13.8%
|
2 | 아동주간보호사업 | 42 | 0 |
15.3%
|
3 | 아동전문상담사업 | 49 | 0 |
17.8%
|
4 | 학대아동보호사업 | 67 | 0 |
24.4%
|
5 | 공동생활가정사업 | 66 | 0 |
24%
|
6 | 방과후아동지도사업 | 12 | 0 |
4.4%
|
7 | 기타 | 1 | 0 |
0.4%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아동가정지원사업 | 41 | 0 |
14.9%
|
2 | 아동주간보호사업 | 31 | 0 |
11.3%
|
3 | 아동정문상담사업 | 45 | 0 |
16.4%
|
4 | 학대아동보호사업 | 64 | 0 |
23.3%
|
5 | 공동생활가정사업 | 50 | 0 |
18.2%
|
6 | 방과후아동지도사업 | 40 | 0 |
14.5%
|
7 | 기타 | 4 | 0 |
1.5%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 | 임시보호시설 | 1 | 0 |
50%
|
- | 지적경계선 아동 지원산업 | 1 | 0 |
50%
|
This variable is character
Value | Label | N | WN | |
---|---|---|---|---|
1 | 현재 아동양육시설 + 다른 아동복지시설 기능 | 75 | 0 |
27.3%
|
2 | 현재 아동양육시설+지역사회 아동 대상의 이용시설 기능 | 29 | 0 |
10.5%
|
3 | 현재 아동양육시설 + 지역사회의 성인대상 | 12 | 0 |
4.4%
|
4 | 현재 아동양육시설+가족과 함께 입소 가능한 복합생활 기능 | 18 | 0 |
6.5%
|
5 | 현재 아동양육시설 + 현재의 양육기능 강화 | 124 | 0 |
45.1%
|
6 | 현재 아동양육시설 => 다른 유형의 아동복지시설 | 13 | 0 |
4.7%
|
7 | 현재 아동양육시설 => 지역사회 장애아동 대상의 이용시설로 | 0 | 0 |
0%
|
8 | 현재 아동양육시설 => 장애인복지시설, 노인복지시설, 가족단위 입소시설 등 대상자 변경 | 4 | 0 |
1.5%
|
9 | 무응답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현재 아동양육시설 + 다른 아동복지시설 기능 | 70 | 0 |
25.5%
|
2 | 현재 아동양육시설+지역사회 아동 대상의 이용시설 기능 | 52 | 0 |
18.9%
|
3 | 현재 아동양육시설 + 지역사회의 성인대상 이용시설 기능 | 22 | 0 |
8%
|
4 | 현재 아동양육시설+가족과 함께 입소 가능한 복합생활시설 기능 | 26 | 0 |
9.5%
|
5 | 현재 아동양육시설 + 현재의 양육기능 강화 | 46 | 0 |
16.7%
|
6 | 현재 아동양육시설 => 다른 유형의 아동복지시설 | 43 | 0 |
15.6%
|
7 | 현재 아동양육시설 => 지역사회 장애아동 대상의 이용시설로 | 3 | 0 |
1.1%
|
8 | 현재 아동양육시설 => 장애인복지시설, 노인복지시설, 가족단위 입소시설 등 대상자 변경 | 9 | 0 |
3.3%
|
9 | 무응답 | 4 | 0 |
1.5%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극복하기 너무 어렵다 | 2 | 0 |
0.7%
|
2 | 극복하기 어렵다 | 27 | 0 |
9.8%
|
3 | 보통이다 | 122 | 0 |
44.4%
|
4 | 어려움이 없다 | 81 | 0 |
29.5%
|
5 | 전혀 어려움이 없다 | 43 | 0 |
15.6%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극복하기 너무 어렵다 | 1 | 0 |
0.4%
|
2 | 극복하기 어렵다 | 19 | 0 |
6.9%
|
3 | 보통이다 | 152 | 0 |
55.3%
|
4 | 어려움이 없다 | 88 | 0 |
32%
|
5 | 전혀 어려움이 없다 | 15 | 0 |
5.5%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극복하기 너무 어렵다 | 8 | 0 |
2.9%
|
2 | 극복하기 어렵다 | 41 | 0 |
14.9%
|
3 | 보통이다 | 123 | 0 |
44.7%
|
4 | 어려움이 없다 | 78 | 0 |
28.4%
|
5 | 전혀 어려움이 없다 | 25 | 0 |
9.1%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극복하기 너무 어렵다 | 2 | 0 |
0.7%
|
2 | 극복하기 어렵다 | 15 | 0 |
5.5%
|
3 | 보통이다 | 157 | 0 |
57.1%
|
4 | 어려움이 없다 | 82 | 0 |
29.8%
|
5 | 전혀 어려움이 없다 | 19 | 0 |
6.9%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극복하기 너무 어렵다 | 3 | 0 |
1.1%
|
2 | 극복하기 어렵다 | 17 | 0 |
6.2%
|
3 | 보통이다 | 160 | 0 |
58.2%
|
4 | 어려움이 없다 | 87 | 0 |
31.6%
|
5 | 전혀 어려움이 없다 | 8 | 0 |
2.9%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극복하기 너무 어렵다 | 3 | 0 |
1.1%
|
2 | 극복하기 어렵다 | 29 | 0 |
10.5%
|
3 | 보통이다 | 135 | 0 |
49.1%
|
4 | 어려움이 없다 | 93 | 0 |
33.8%
|
5 | 전혀 어려움이 없다 | 15 | 0 |
5.5%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극복하기 너무 어렵다 | 3 | 0 |
1.1%
|
2 | 극복하기 어렵다 | 35 | 0 |
12.7%
|
3 | 보통이다 | 159 | 0 |
57.8%
|
4 | 어려움이 없다 | 70 | 0 |
25.5%
|
5 | 전혀 어려움이 없다 | 8 | 0 |
2.9%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극복하기 너무 어렵다 | 12 | 0 |
4.4%
|
2 | 극복하기 어렵다 | 41 | 0 |
14.9%
|
3 | 보통이다 | 125 | 0 |
45.5%
|
4 | 어려움이 없다 | 82 | 0 |
29.8%
|
5 | 전혀 어려움이 없다 | 15 | 0 |
5.5%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극복하기 너무 어렵다 | 7 | 0 |
2.5%
|
2 | 극복하기 어렵다 | 25 | 0 |
9.1%
|
3 | 보통이다 | 150 | 0 |
54.5%
|
4 | 어려움이 없다 | 84 | 0 |
30.5%
|
5 | 전혀 어려움이 없다 | 9 | 0 |
3.3%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극복하기 너무 어렵다 | 13 | 0 |
4.7%
|
2 | 극복하기 어렵다 | 65 | 0 |
23.6%
|
3 | 보통이다 | 150 | 0 |
54.5%
|
4 | 어려움이 없다 | 40 | 0 |
14.5%
|
5 | 전혀 어려움이 없다 | 7 | 0 |
2.5%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극복하기 너무 어렵다 | 1 | 0 |
0.4%
|
2 | 극복하기 어렵다 | 16 | 0 |
5.8%
|
3 | 보통이다 | 150 | 0 |
54.5%
|
4 | 어려움이 없다 | 94 | 0 |
34.2%
|
5 | 전혀 어려움이 없다 | 14 | 0 |
5.1%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극복하기 너무 어렵다 | 0 | 0 |
0%
|
2 | 극복하기 어렵다 | 26 | 0 |
9.5%
|
3 | 보통이다 | 170 | 0 |
61.8%
|
4 | 어려움이 없다 | 69 | 0 |
25.1%
|
5 | 전혀 어려움이 없다 | 10 | 0 |
3.6%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극복하기 너무 어렵다 | 4 | 0 |
1.5%
|
2 | 극복하기 어렵다 | 37 | 0 |
13.5%
|
3 | 보통이다 | 165 | 0 |
60%
|
4 | 어려움이 없다 | 60 | 0 |
21.8%
|
5 | 전혀 어려움이 없다 | 9 | 0 |
3.3%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극복하기 너무 어렵다 | 3 | 0 |
1.1%
|
2 | 극복하기 어렵다 | 24 | 0 |
8.7%
|
3 | 보통이다 | 174 | 0 |
63.3%
|
4 | 어려움이 없다 | 66 | 0 |
24%
|
5 | 전혀 어려움이 없다 | 8 | 0 |
2.9%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극복하기 너무 어렵다 | 3 | 0 |
1.1%
|
2 | 극복하기 어렵다 | 52 | 0 |
18.9%
|
3 | 보통이다 | 160 | 0 |
58.2%
|
4 | 어려움이 없다 | 54 | 0 |
19.6%
|
5 | 전혀 어려움이 없다 | 6 | 0 |
2.2%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극복하기 너무 어렵다 | 5 | 0 |
1.8%
|
2 | 극복하기 어렵다 | 35 | 0 |
12.7%
|
3 | 보통이다 | 177 | 0 |
64.4%
|
4 | 어려움이 없다 | 51 | 0 |
18.5%
|
5 | 전혀 어려움이 없다 | 7 | 0 |
2.5%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매우 적절하지 않다 | 7 | 0 |
2.5%
|
2 | 적절하지 않다 | 25 | 0 |
9.1%
|
3 | 보통이다 | 115 | 0 |
41.8%
|
4 | 적절하다 | 89 | 0 |
32.4%
|
5 | 매우 적절하다 | 39 | 0 |
14.2%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매우 적절하지 않다 | 9 | 0 |
3.3%
|
2 | 적절하지 않다 | 32 | 0 |
11.6%
|
3 | 보통이다 | 140 | 0 |
50.9%
|
4 | 적절하다 | 76 | 0 |
27.6%
|
5 | 매우 적절하다 | 18 | 0 |
6.5%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매우 적절하지 않다 | 10 | 0 |
3.6%
|
2 | 적절하지 않다 | 14 | 0 |
5.1%
|
3 | 보통이다 | 115 | 0 |
41.8%
|
4 | 적절하다 | 99 | 0 |
36%
|
5 | 매우 적절하다 | 37 | 0 |
13.5%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매우 적절하지 않다 | 2 | 0 |
0.7%
|
2 | 적절하지 않다 | 4 | 0 |
1.5%
|
3 | 보통이다 | 58 | 0 |
21.1%
|
4 | 적절하다 | 162 | 0 |
58.9%
|
5 | 매우 적절하다 | 49 | 0 |
17.8%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매우 적절하지 않다 | 5 | 0 |
1.8%
|
2 | 적절하지 않다 | 16 | 0 |
5.8%
|
3 | 보통이다 | 97 | 0 |
35.3%
|
4 | 적절하다 | 133 | 0 |
48.4%
|
5 | 매우 적절하다 | 24 | 0 |
8.7%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매우 적절하지 않다 | 5 | 0 |
1.8%
|
2 | 적절하지 않다 | 39 | 0 |
14.2%
|
3 | 보통이다 | 133 | 0 |
48.4%
|
4 | 적절하다 | 85 | 0 |
30.9%
|
5 | 매우 적절하다 | 13 | 0 |
4.7%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매우 적절하지 않다 | 19 | 0 |
6.9%
|
2 | 적절하지 않다 | 59 | 0 |
21.5%
|
3 | 보통이다 | 121 | 0 |
44%
|
4 | 적절하다 | 64 | 0 |
23.3%
|
5 | 매우 적절하다 | 12 | 0 |
4.4%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매우 적절하지 않다 | 0 | 0 |
0%
|
2 | 적절하지 않다 | 0 | 0 |
0%
|
3 | 보통이다 | 0 | 0 |
0%
|
4 | 적절하다 | 1 | 0 |
0.4%
|
5 | 매우 적절하다 | 4 | 0 |
1.5%
|
9 | 무응답 | 270 | 0 |
98.2%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 | 기존 아동양육시설도 보호가 잘되고 있다. | 1 | 0 |
16.7%
|
- | 상황에 따른 보호 | 1 | 0 |
16.7%
|
- | 아동별 상황에 따라 맞춰 보호 | 1 | 0 |
16.7%
|
- | 임시보호시설 | 1 | 0 |
16.7%
|
- | 장애아동 지원 프로그램 | 1 | 0 |
16.7%
|
- | 적응기간을 거쳐 입소 | 1 | 0 |
16.7%
|
This variable is character
Value | Label | N | WN | |
---|---|---|---|---|
1 | 종사자 처우개선을 통한 인력의 전문성 강화 | 121 | 0 |
44%
|
2 | 시설 운영을 위한 정부보조금 지급 강화 | 54 | 0 |
19.6%
|
3 | 지역 거점 복합 아동복지센터로의 기능전환 | 5 | 0 |
1.8%
|
4 | 시설운영의 투명성 및 효율성 강화 | 3 | 0 |
1.1%
|
5 | 아동양육시설의 지역별 균형 배치 | 20 | 0 |
7.3%
|
6 | 시설운영과 관련된 각종 규제 완화 및 제도 개선 | 29 | 0 |
10.5%
|
7 | 지역단위 아동복지관련 기관 및 시설의 서비스 연계 강화 | 14 | 0 |
5.1%
|
8 | 전문적 프로그램 매뉴얼 개발 및 보급을 통한 서비스 질의 제고 | 11 | 0 |
4%
|
9 | 소속사 및 공동생활가정 확대에 필요한 제도적, 재정적 지원 확대 | 17 | 0 |
6.2%
|
10 | 기타 | 1 | 0 |
0.4%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종사자 처우개선을 통한 인력의 전문성 강화 | 44 | 0 |
16%
|
2 | 시설 운영을 위한 정부보조금 지급 강화 | 51 | 0 |
18.5%
|
3 | 지역 거점 복합 아동복지센터로의 기능전환 | 12 | 0 |
4.4%
|
4 | 시설운영의 투명성 및 효율성 강화 | 6 | 0 |
2.2%
|
5 | 아동양육시설의 지역별 균형 배치 | 19 | 0 |
6.9%
|
6 | 시설운영과 관련된 각종 규제 완화 및 제도 개선 | 40 | 0 |
14.5%
|
7 | 지역단위 아동복지관련 기관 및 시설의 서비스 연계 강화 | 30 | 0 |
10.9%
|
8 | 전문적 프로그램 매뉴얼 개발 및 보급을 통한 서비스 질의 제고 | 39 | 0 |
14.2%
|
9 | 소속사 및 공동생활가정 확대에 필요한 제도적, 재정적 지원 확대 | 32 | 0 |
11.6%
|
10 | 기타 | 2 | 0 |
0.7%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 | 종사자 지역별 차등 임금, 수당 지급개선, 보건복지부 소속으로 변경바람 | 1 | 0 |
33.3%
|
- | 중앙정부 주도 | 1 | 0 |
33.3%
|
- | 지적경계선 수준 아동 보호 관리 | 1 | 0 |
33.3%
|
This variable is character
Value | Label | N | WN | |
---|---|---|---|---|
- | null | 1 | 0 |
0.9%
|
- | null | 1 | 0 |
0.9%
|
- | null | 1 | 0 |
0.9%
|
- | 3교대근무 | 1 | 0 |
0.9%
|
- | 가정에서의 부정적 경험을 시설에서나마 해소하고 아이들이 행복하게 살 수 있는 시설이 될 수 있도록 지원과 관심 부탁드립니다 | 1 | 0 |
0.9%
|
- | 공동생활 가정 확대로 자립 후 괴리감을 줄이고 시설운영에 있어 정부보조금의 강화로 복지사의 생활개선을 통해 신체적 정서적 심리적으로 업무에 효율을 기할 수 있어야함 | 1 | 0 |
0.9%
|
- | 공동생활 가정 확대에 필요한 제도적 재정적 지원확대, 시설운영과 관련된 각종 규제 완화 및 제도 개선이 필요로 하며 종사자의 업무과중을 덜어주고 경제적 심지적으로 보호 받아야 하는 클라이언트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 1 | 0 |
0.9%
|
- | 근무환경 및 종사자가 부족하여 에로사항이 많습니다. | 1 | 0 |
0.9%
|
- | 기능 개편의 전체조건으로 종사자 일자리 보장되어야 한다. 시설운영을 위한 정책 보조금 지급 강화, 전문 치료가 (정신과 의사 연계등) | 1 | 0 |
0.9%
|
- | 대체인력은 국가에서 사회복지쪽은 사용 못하나 싶습니다. 연차 사용시 의무적으로 사용하게끔 처리가 되면 아동들에게 더 안정적으로 양육을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부모가 건강해서 <몸,정신> 자녀가 건강하듯, 선생이 건강해서 아동이 건강하리라 생각됩니다. 빠지는 부 | 1 | 0 |
0.9%
|
- | 부산시에는 서울지역 베이비박스에 연계되어있지 않아 시설별 아동수가 급감하고 있습니다 서울 베이비박스와 연계협력하여 아동이 부산으로 와서 쾌적한 생활을 할 수 있었으면 합니다. | 1 | 0 |
0.9%
|
- | 부산지역의 아동양육시설의 기능개편을 위한 의도적인 아동수의 제어등 여러 억지 방법으로는 아동들의 인권이 침해 받을 수 밖에 없고 다른 음성적인 문제점 등을 초대하게 될 것입니다 시설 종사자와 아동들 또한 부산의 지역주민임을 잊지 말아야 할 것 입니다. | 1 | 0 |
0.9%
|
- | 상담가능보장/서비스강화/예절기본교육 | 1 | 0 |
0.9%
|
- | 생활지도교사를 비롯한 아동양육시설 처우개선이 시급합니다. 기능개편 유무에 상관없이 필요하고 기능개편 이후에도 처우에 대한 개선이 필요합니다. | 1 | 0 |
0.9%
|
- | null | 1 | 0 |
0.9%
|
- | 시설내 지적경계선 수준의 아동들은 대학교에 적응이 어렵고 취업에도 어려움이 있음. 지적경계선 아동의 지원이 필요함. | 1 | 0 |
0.9%
|
- | 시설환경 개선 | 1 | 0 |
0.9%
|
- | null | 1 | 0 |
0.9%
|
- | 아동수의 감소에 따라 시설의 기능개편이 불가피한 현실적인 상황 그러다 70년정도 아동시설만 운영한 상황이라 기능개편의 필요성은 인지하나 방법적인 면에서 생각의 전환이 어려움 관리자의 의식개선을 위해 계속적인 교육, 홍보가 필요할 것이라 생각함 | 1 | 0 |
0.9%
|
- | 아동양육시설 기능의 주체가 중앙정부로 일원화 되기를 원하며 시설 종사자의 근로시간 단축을 위해 3교대를 원함. 아동 인권 강화는 좋으나 과다 개입으로 아동들의 생활이 문란해져도 개입을 적절하게 할 수 없어 유동성 있는 처리를 원함. | 1 | 0 |
0.9%
|
- | 아동양육시설 입소아동의 다양화에 따른 각각의 지원이 세부화되어아한다고 봄 예를 들어 지적장애 3급의 경우 장애시설에서 받아주지 않고있는 것이 현실이며, 경계선 아동의 경우 일반아동과 같이 자립하는데 어려움이 있음. 현재 입소 아동의 상황을 보면 다문화, 학대, | 1 | 0 |
0.9%
|
- | null | 1 | 0 |
0.9%
|
- | null | 1 | 0 |
0.9%
|
- | null | 1 | 0 |
0.9%
|
- | 없음 | 68 | 0 |
64.2%
|
- | 우리시설의 경우 아동의 수가 감소하고, 입소를 받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향후 시설의 기능개편 또는 존폐여부를 직원들이 미래를 준비할 수 있도록 미리 청사진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경계선 지능 아동의 수가 많아지는 등 아동양육시설에서 아이를 키우는 것이 | 1 | 0 |
0.9%
|
- | 원가정붕괴로 인한 상처가 깊은 아동들에게 더 이상 보금자리의 위협을 주지 않았으면 합니다. | 1 | 0 |
0.9%
|
- | 인력충원/수유시간인력<애기들 밤새 잠을 잘자지 않습니다/분유먹을 시간에 2~3시산 간격으로 ?기도 하지만 낮과 밤이 바뀌어 밤새 칭얼거리고 울 때는 안거나 업거나 하다보면 밤새 끈눈으로 지새울 때가 많습니다 / 밤 12시부터 아침 6시까지 자는시간 근무시간 인정을 안 | 1 | 0 |
0.9%
|
- | null | 1 | 0 |
0.9%
|
- | 입소유형별 전문적 케어가 필요합니다 | 1 | 0 |
0.9%
|
- | 장애를 가진 요보호 아동의 각종 처우 개선이나 지원 방안이 보다 다양해져 비장애인 아동에 비해서 활용 가능한 지원이나 인력이 가능해졌으면 합니다 | 1 | 0 |
0.9%
|
- | null | 1 | 0 |
0.9%
|
- | 중앙정부 주도로 전환하여 모든 아이들이 일관성 있게 같은 대우를 받기를 원함/시설확충 | 1 | 0 |
0.9%
|
- | null | 1 | 0 |
0.9%
|
- | 출생과 동시에 버림 받는 신생아가 빈번하게 사회 이슈로 대두되는 것을볼 때 주로 출생이 되면 안된다 생각하는 미혼모가 비밀리에 또 부끄럼 없이 출산을 하고 자유롭게 사회복귀 할 수 있는 시설로의 전환 그리고 이러한 출산이 죄의식이나 부끄럼으로 다가오지 않도록 국 | 1 | 0 |
0.9%
|
- | 학대아동 보호사업으로 확대 방임 아동에 대한 지속적인 상담과 사후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보임/아동 욕구를 반영한 다양한 프로그램과 전문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인력지원이 필요함 | 1 | 0 |
0.9%
|
- | 함께 성장한 아동들간의 유대감이 돈독하기 ?문에, 서로 분리되거나 따로 떨어져 생활하게 되는 상황은 아이들의 정서에 지대한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 심작됩니다. 다만 센텀시티라는 지역 특성상 아동들이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는 경우는 종종 있습니다. 현 구성원 그대로 | 1 | 0 |
0.9%
|
- | 현 시설에서 전문성을 강화 아동영역내의 사업으로 기능개편 하는 것이.. | 1 | 0 |
0.9%
|
- | 현재 부산의 아동복지시설의 수가 18곳이 있다고 들었습니다. 기존의 아동복지 시설을 폐쇄하고 노인요양시설로이ㅡ 전환이나 기타 사유로 인해 아이들이 부모로부터 한번의 버림을, 아동 복지시설의 폐쇄로 인한 또 한번의 버림을 받는 것 같아 마음이 아픕니다. 현실을 이 | 1 | 0 |
0.9%
|
This variable is character
(08826) 서울시 관악구 관악로 1, 101동 250호 서울대학교 한국사회과학자료원
TEL 02-880-2111 FAX 02-883-2694 Email kossda@snu.ac.kr
Copyright ⓒ Korea Social Science Data Archiv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