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Q8_4 |
(온라인에서 혐오표현 접한 경험 있는 경우) 혐오표현 접했을 때 느낌4: 재미있는 표현이라고 생각했다
Q8. (Q5문항 ① 응답자만) 귀하는 온라인에서 혐오표현을 접한 이후 어떤 영향을 받으셨습니까? 해당하는 것을 모두 선택해 주십시오. (4) 재미있는 표현이라고 생각했다
한국사회 혐오차별 인식조사, 2021
|
|
Q8_5 |
(온라인에서 혐오표현 접한 경험 있는 경우) 혐오표현 접했을 때 느낌5: 맞는 말이라고 생각했다
Q8. (Q5문항 ① 응답자만) 귀하는 온라인에서 혐오표현을 접한 이후 어떤 영향을 받으셨습니까? 해당하는 것을 모두 선택해 주십시오. (5) 맞는 말이라고 생각했다
한국사회 혐오차별 인식조사, 2021
|
|
Q8_6 |
(온라인에서 혐오표현 접한 경험 있는 경우) 혐오표현 접했을 때 느낌6: 별다른 영향이 없었다
Q8. (Q5문항 ① 응답자만) 귀하는 온라인에서 혐오표현을 접한 이후 어떤 영향을 받으셨습니까? 해당하는 것을 모두 선택해 주십시오. (6) 별다른 영향이 없었다
한국사회 혐오차별 인식조사, 2021
|
|
Q9_1 |
(온라인에서 혐오표현 접한 경험 있는 경우) 혐오표현 접한 후 반응
Q9-1. (Q5문항 ① 응답자만) 귀하는 온라인에서 혐오표현을 접한 이후 어떻게 대응하셨습니까?
한국사회 혐오차별 인식조사, 2021
|
|
Q9_2 |
(온라인에서 혐오표현에 대해 아무런 대응을 하지 않은 경우) 이유
Q9-2. (9-1문항 ⑤ 응답자만) 아무런 대응도 하지 않았다면,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한국사회 혐오차별 인식조사, 2021
|
|
Q10 |
온라인에서 혐오표현 문제의 심각성
Q10. 귀하는 현재 온라인에서 혐오표현 문제가 얼마나 심각하다고 생각하십니까?
한국사회 혐오차별 인식조사, 2021
|
|
Q11_1 |
온라인 혐오표현 대응에 대한 의견1: 각 사이트마다 혐오표현 관련 지침을 만들고 게시하도록 한다
Q11. 귀하는 온라인 혐오표현 대응과 관련한 다음의 의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1) 각 사이트마다 혐오표현 관련 지침을 만들고 게시하도록 한다
한국사회 혐오차별 인식조사, 2021
|
|
Q11_2 |
온라인 혐오표현 대응에 대한 의견2: 관리자에게 신고 및 조치가 용이하도록 절차를 마련해야 한다
Q11. 귀하는 온라인 혐오표현 대응과 관련한 다음의 의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2) 관리자에게 신고 및 조치가 용이하도록 절차를 마련해야 한다
한국사회 혐오차별 인식조사, 2021
|
|
Q11_3 |
온라인 혐오표현 대응에 대한 의견3: 방송통신심의위원회 등 관련 기구의 적극적인 심의와 조치가 필요하다
Q11. 귀하는 온라인 혐오표현 대응과 관련한 다음의 의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3) 방송통신심의위원회 등 관련 기구의 적극적인 심의와 조치가 필요하다
한국사회 혐오차별 인식조사, 2021
|
|
Q11_4 |
온라인 혐오표현 대응에 대한 의견4: 디지털 리터러시 등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Q11. 귀하는 온라인 혐오표현 대응과 관련한 다음의 의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4) 디지털 리터러시 등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한국사회 혐오차별 인식조사, 2021
|
|
id_coa |
아이디: 조사구번호
국가인권실태조사, 2020
|
|
id_cd |
아이디: 거처번호
국가인권실태조사, 2020
|
|
id_gagu |
아이디: 가구번호
국가인권실태조사, 2020
|
|
id_kossda |
아이디: KOSSDA 부여
국가인권실태조사, 2020
|
|
wt |
가중치
국가인권실태조사, 2020
|
|
ri_hhno |
총 가구원 수
국가인권실태조사, 2020
|
|
ri_num2 |
조사대상 가구원수
국가인권실태조사, 2020
|
|
ri_num3 |
조사완료 가구원수
국가인권실태조사, 2020
|
|
ri_num4 |
조사대상 불응 가구원수
국가인권실태조사, 2020
|
|
ri_num5 |
조사비대상 가구원수
국가인권실태조사, 20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