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Q20 |
우리 사회 혐오표현에 대한 언론의 역할
Q20. 귀하는 혐오표현에 대한 기자 등 언론의 역할에 대해 다음 중 어디에 가장 동의하십니까?
한국사회 혐오차별 인식조사, 2021
|
|
Q6_8 |
(온라인에서 혐오표현 접한 경험 있는 경우) 혐오표현 대상 빈도8: 북한이탈주민
Q6. (Q5문항 ① 응답자만) 귀하는 온라인에서 아래 대상에 대한 혐오표현을 얼마나 자주 경험하셨습니까?
한국사회 혐오차별 인식조사, 2021
|
|
DQB7 |
이주민 여부
DQ7. 이주민 여부
한국사회 혐오차별 인식조사, 2021
|
|
DQB8 |
사회적 이념 성향
DQ8. 사회적 이념성향
한국사회 혐오차별 인식조사, 2021
|
|
Q13_2_4 |
(혐오표현 사용 경험 없는 경우) 혐오표현 사용 이유4: 다른 사람의 혐오표현에 대응하기 위해서
Q13_2. (Q12문항 ④ 응답자만) 귀하는 다른 사람들이 왜 혐오표현을 사용한다고 생각하십니까? 해당하는 것을 모두 선택해 주세요. ④ 다른 사람의 혐오표현에 대응하기 위해서
한국사회 혐오차별 인식조사, 2021
|
|
Q6_9 |
(온라인에서 혐오표현 접한 경험 있는 경우) 혐오표현 대상 빈도9: 성소수자
Q6. (Q5문항 ① 응답자만) 귀하는 온라인에서 아래 대상에 대한 혐오표현을 얼마나 자주 경험하셨습니까?
한국사회 혐오차별 인식조사, 2021
|
|
Q2_9 |
(오프라인에서 혐오표현 접한 경험 있는 경우) 혐오표현 대상 빈도9: 성소수자
Q2. (Q1문항 ① 응답자만) 귀하는 오프라인 실생활에서 아래 대상에 대한 혐오표현을 얼마나 자주 경험하셨습니까? (9) 성소수자(동성애자, 양성애자, 트랜스젠더 등)
한국사회 혐오차별 인식조사, 2021
|
|
Q6_10 |
(온라인에서 혐오표현 접한 경험 있는 경우) 혐오표현 대상 빈도10: 페미니스트
Q6. (Q5문항 ① 응답자만) 귀하는 온라인에서 아래 대상에 대한 혐오표현을 얼마나 자주 경험하셨습니까?
한국사회 혐오차별 인식조사, 2021
|
|
Q13_2_5 |
(혐오표현 사용 경험 없는 경우) 혐오표현 사용 이유5: 별다른 이유는 없다
Q13_2. (Q12문항 ④ 응답자만) 귀하는 다른 사람들이 왜 혐오표현을 사용한다고 생각하십니까? 해당하는 것을 모두 선택해 주세요. ⑤ 별다른 이유는 없다
한국사회 혐오차별 인식조사, 2021
|
|
Q2_10 |
(오프라인에서 혐오표현 접한 경험 있는 경우) 혐오표현 대상 빈도10: 페미니스트
Q2. (Q1문항 ① 응답자만) 귀하는 오프라인 실생활에서 아래 대상에 대한 혐오표현을 얼마나 자주 경험하셨습니까? (10) 페미니스트(여성주의자)
한국사회 혐오차별 인식조사, 2021
|
|
Q6_11 |
(온라인에서 혐오표현 접한 경험 있는 경우) 혐오표현 대상 빈도11: 저소득층
Q6. (Q5문항 ① 응답자만) 귀하는 온라인에서 아래 대상에 대한 혐오표현을 얼마나 자주 경험하셨습니까?
한국사회 혐오차별 인식조사, 2021
|
|
Q14 |
코로나19 이전과 이후 우리사회 혐오와 차별의 변화
Q14. 귀하는 코로나19 이전과 이후를 비교했을 때 우리 사회의 혐오와 차별이 어떻게 변화했다고 생각하십니까?
한국사회 혐오차별 인식조사, 2021
|
|
Q2_11 |
(오프라인에서 혐오표현 접한 경험 있는 경우) 혐오표현 대상 빈도11: 저소득층
Q2. (Q1문항 ① 응답자만) 귀하는 오프라인 실생활에서 아래 대상에 대한 혐오표현을 얼마나 자주 경험하셨습니까? (11) 저소득층
한국사회 혐오차별 인식조사, 2021
|
|
Q3_1 |
(오프라인에서 혐오표현 접한 경험 있는 경우) 혐오표현 경험하는 장소1: 학교/직장
Q3. (Q1문항 ① 응답자만) 귀하는 오프라인 실생활에서 혐오표현을 어디에서 보거나 들었습니까? 해당하는 것을 모두 선택해 주세요. ① 학교/직장
한국사회 혐오차별 인식조사, 2021
|
|
Q15_1 |
혐오차별 관련 향후 전망1: 사회갈등이 더 심해질 것이다
Q15. 다음은 혐오차별에 대한 전망입니다. 귀하는 각 항목에 대해 얼마나 동의하십니까? (1) 사회적 갈등이 더 심해질 것이다
한국사회 혐오차별 인식조사, 2021
|
|
Q7_1 |
(온라인에서 혐오표현 접한 경험 있는 경우) 혐오표현 경험하는 장소1: 인터넷 뉴스 기사 및 댓글
Q7. (Q5문항 ① 응답자만) 귀하는 온라인 혐오표현을 어디에서 접하셨습니까? 해당하는 것을 모두 선택해 주세요. (1) 인터넷 뉴스 기사 및 댓글
한국사회 혐오차별 인식조사, 2021
|
|
Q7_2 |
(온라인에서 혐오표현 접한 경험 있는 경우) 혐오표현 경험하는 장소2: 개인 메신저 대화
Q7. (Q5문항 ① 응답자만) 귀하는 온라인 혐오표현을 어디에서 접하셨습니까? 해당하는 것을 모두 선택해 주세요. (2) 개인 메신저 대화(카카오톡, 라인, 밴드 등)
한국사회 혐오차별 인식조사, 2021
|
|
Q15_2 |
혐오차별 관련 향후 전망2: 범죄로 이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Q15. 다음은 혐오차별에 대한 전망입니다. 귀하는 각 항목에 대해 얼마나 동의하십니까? (2) 범죄로 이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한국사회 혐오차별 인식조사, 2021
|
|
Q3_2 |
(오프라인에서 혐오표현 접한 경험 있는 경우) 혐오표현 경험하는 장소2: 동호회 등 모임
Q3. (Q1문항 ① 응답자만) 귀하는 오프라인 실생활에서 혐오표현을 어디에서 보거나 들었습니까? 해당하는 것을 모두 선택해 주세요. ② 동호회 등 모임
한국사회 혐오차별 인식조사, 2021
|
|
Q15_3 |
혐오차별 관련 향후 전망3: 사회적 소수자의 표현의 자유가 더욱 위축될 것이다
Q15. 다음은 혐오차별에 대한 전망입니다. 귀하는 각 항목에 대해 얼마나 동의하십니까? (3) 사회적 소수자의 표현의 자유가 더욱 위축될 것이다
한국사회 혐오차별 인식조사, 2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