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15_3
시설에서 퇴소한 청소년 사후관리 형태3: 지역사회의 다른 시설 및 프로그램에 연계
Q15. 시설에서 퇴소한 청소년에 대한 사후관리는 주로 어떠한 형태로 하고 있습니까?
③ 지역사회의 다른 시설 및 프로그램에 연계
6호처분시설 운영 및 개선에 대한 인식조사, 2017 : 시설종사자
Q15_4
시설에서 퇴소한 청소년 사후관리 형태4: 직원의 가정방문 등 정기적 대면상담
Q15. 시설에서 퇴소한 청소년에 대한 사후관리는 주로 어떠한 형태로 하고 있습니까?
④ 직원의 가정방문 등 정기적 대면상담
6호처분시설 운영 및 개선에 대한 인식조사, 2017 : 시설종사자
Q15_5
시설에서 퇴소한 청소년 사후관리 형태5: 사후관리를 전혀 못함
Q15. 시설에서 퇴소한 청소년에 대한 사후관리는 주로 어떠한 형태로 하고 있습니까?
⑤ 사후관리를 전혀 못함
6호처분시설 운영 및 개선에 대한 인식조사, 2017 : 시설종사자
Q15_6
시설에서 퇴소한 청소년 사후관리 형태6: 기타
Q15. 시설에서 퇴소한 청소년에 대한 사후관리는 주로 어떠한 형태로 하고 있습니까?
⑥ 기타
6호처분시설 운영 및 개선에 대한 인식조사, 2017 : 시설종사자
Q15A
시설에서 퇴소한 청소년에 대한 사후관리 구체적 내용
Q15-1. 사후관리를 하고 있다고 응답한 경우, 구체적으로 어떻게 하고 있는지 기술해주세요.
6호처분시설 운영 및 개선에 대한 인식조사, 2017 : 시설종사자
Q16_1
6호처분시설 활성화 방안1: 시설의 노후부분 개선이 이뤄져야 한다
Q16. 6호처분이 활성화되기 위한 개선방안에 대한 선생님의 생각은 어떠하십니까?
01) 시설의 노후부분 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
6호처분시설 운영 및 개선에 대한 인식조사, 2017 : 시설종사자
Q16_2
6호처분시설 활성화 방안2: 프로그램의 양적인 면에서 개선되어야 한다
Q16. 6호처분이 활성화되기 위한 개선방안에 대한 선생님의 생각은 어떠하십니까?
02) 프로그램이 양적인 면에서 개선되어야 한다
6호처분시설 운영 및 개선에 대한 인식조사, 2017 : 시설종사자
Q16_3
6호처분시설 활성화 방안3: 프로그램의 질적인 면에서 개선되어야 한다
Q16. 6호처분이 활성화되기 위한 개선방안에 대한 선생님의 생각은 어떠하십니까?
03) 프로그램의 질적인 면에서 개선되어야 한다
6호처분시설 운영 및 개선에 대한 인식조사, 2017 : 시설종사자
Q16_4
6호처분시설 활성화 방안4: 운영예산의 지원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Q16. 6호처분이 활성화되기 위한 개선방안에 대한 선생님의 생각은 어떠하십니까?
04) 운영예산의 지원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6호처분시설 운영 및 개선에 대한 인식조사, 2017 : 시설종사자
Q16_5
6호처분시설 활성화 방안5: 직원의 전문성을 향상시켜야 한다
Q16. 6호처분이 활성화되기 위한 개선방안에 대한 선생님의 생각은 어떠하십니까?
05) 직원의 전문성을 향상시켜야 한다
6호처분시설 운영 및 개선에 대한 인식조사, 2017 : 시설종사자
Q16_6
6호처분시설 활성화 방안6: 모든 시설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표준화된 규율과 규칙이 마련되어야 한다
Q16. 6호처분이 활성화되기 위한 개선방안에 대한 선생님의 생각은 어떠하십니까?
06) 모든 시설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표준화된 규율/규칙이 마련되어야 한다
6호처분시설 운영 및 개선에 대한 인식조사, 2017 : 시설종사자
Q16_7
6호처분시설 활성화 방안7: 비행성에 초점을 맞춘 프로그램이 도입되어야 한다
Q16. 6호처분이 활성화되기 위한 개선방안에 대한 선생님의 생각은 어떠하십니까?
07) 비행성에 초점을 맞춘 프로그램이 도입되어야 한다
6호처분시설 운영 및 개선에 대한 인식조사, 2017 : 시설종사자
Q16_8
6호처분시설 활성화 방안8: 6호처분에 적정한 대상 청소년 선별을 위한 표준화된 도구가 개발되어야 한다
Q16. 6호처분이 활성화되기 위한 개선방안에 대한 선생님의 생각은 어떠하십니까?
08) 6호 처분에 적정한 대상 청소년 선별을 위한 표준화 된 도구가 개발되어야 한다
6호처분시설 운영 및 개선에 대한 인식조사, 2017 : 시설종사자
Q16_9
6호처분시설 활성화 방안9: 가정 및 지역사회 내의 보호력 및 지원강화를 위한 프로그램 제공 및 자원연계가 필요하다
Q16. 6호처분이 활성화되기 위한 개선방안에 대한 선생님의 생각은 어떠하십니까?
09) 가정 및 지역사회 내의 보호력 및 지원강화를 위한 프로그램 제공 및 자원연계가 필요하다
6호처분시설 운영 및 개선에 대한 인식조사, 2017 : 시설종사자
Q16_10
6호처분시설 활성화 방안10: 보호기간이 연장되어야 한다
Q16. 6호처분이 활성화되기 위한 개선방안에 대한 선생님의 생각은 어떠하십니까?
10) 보호 기간이 연장되어야 한다
6호처분시설 운영 및 개선에 대한 인식조사, 2017 : 시설종사자
Q17
향후 6호처분 대상 보호소년의 관리/감독 관할에 대한 의견
Q17. 현재 법원에서 6호 처분을 받은 보호소년은 보건복지부 관할 아동보호치료시설에서 관리/감독하고 있습니다. 향후 6호 처분 대상 보호소년의 관리/감독 관할에 관한 선생님의 의견은 어떠하십니까?
6호처분시설 운영 및 개선에 대한 인식조사, 2017 : 시설종사자
Q17_1
향후 6호처분 통합 관리감독에 대한 의견
Q17-1. 위와 같이 응답한 이유는 무엇인지 기술해 주세요.
6호처분시설 운영 및 개선에 대한 인식조사, 2017 : 시설종사자
id
기록 아이디
외국인 범죄피해자 지원 사례에 대한 조사, 2017
a1
신청자 연령
[신청인] 연령
외국인 범죄피해자 지원 사례에 대한 조사, 2017
a2
신청자 성별
[신청인] 성별
외국인 범죄피해자 지원 사례에 대한 조사,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