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SSDA Loading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11338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Korean Institute of Criminology and Justice)은 범죄 실태와 원인을 조사 분석하여 국가 정책을 수립하는데 기여할 목적으로 1989년에 설립된 국책 연구기관입니다. 동 연구원은 범죄피해조사를 비롯한 많은 조사를 시행하여 왔고, 사회과학자들과 법조 및 사법계의 실무 전문가들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여러 가지 연구사업을 시행하여 한국 형사정책의 기반을 마련하는데 크게 기여해왔습니다. 뿐만 아니라 국내 유일의 범죄통계포털인 범죄와 형사사법 통계정보(CCJS)를 통해 범죄와 형사사법에 대한 다양한 통계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관련 연구의 활성화에도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자료 검색  Search Tips Start a new search
  • 결과수
  • 정렬 기준
  • 정렬

검색결과 11,338건 중 3,341-3,360 (소요 시간: 0.009 초)

변수명 / 변수설명/ 문항 / 자료명
q28_2_3

(피해 경험 있는 경우) 재난사고 피해 발생년도3: 전염병

문28. 그럼, 귀하는 지난 10년간(2006년 8월부터 현재까지) 다음에 제시된 열 가지 재난사고 각각을 경험한 적이 있으십니까? (있다면) 가장 최근에 경험한 것은 언제였습니까? 재난사고 경험 연도-(3) 전염병(메르스, 신종플루 등)

국민의 체감안전 실태조사, 2016

q23_13

최근 1년간 범죄 피해 경험13: 살인

문23. 귀하는 지난 1년간(2015년 8월부터 현재까지) 다음에 제시된 각 피해를 경험한 적이 있습니까? (13) 살인

국민의 체감안전 실태조사, 2016

q37_3

매체유형별 재난사고 관련 정보에 대한 신뢰도3: 신문

문37. 귀하는 아래 제시된 매체 각각이 제공하는 재난사고 관련 정보를 얼마나 신뢰하십니까, 혹은 신뢰하지 않으십니까? (3) 신문

국민의 체감안전 실태조사, 2016

q23_14

최근 1년간 범죄 피해 경험14: 음주운전 사고

문23. 귀하는 지난 1년간(2015년 8월부터 현재까지) 다음에 제시된 각 피해를 경험한 적이 있습니까? (14) 음주운전 사고

국민의 체감안전 실태조사, 2016

dq4_2_2

(자녀 있는 경우) 응답자 딸 수2: 초등학생

DQ4. [DQ3) '1번' 응답자만] 그럼, 아래 각각에 해당하는 귀하의 자녀는 총 몇 명입니까? 여자-초등학생(만7~12세)

국민의 체감안전 실태조사, 2016

q6_3

범죄·재난·안전예방에 대한 인식3: 우리나라 사람들은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안전 점검에 신경쓰는 편임

문6. 귀하는 범죄 및 재난·안전 예방과 관련된 다음 각 항목에 대해 얼마나 그렇다고, 혹은 그렇지 않다고 생각하 십니까? 귀하의 생각과 가장 가까운 것을 선택해주십시오. (3) 우리나라 사람들은 안전사고예방을 위해 안전점검에 신경 쓰는 편이다

국민의 체감안전 실태조사, 2016

q28_2_4

(피해 경험 있는 경우) 재난사고 피해 발생년도4: 자동차사고

문28. 그럼, 귀하는 지난 10년간(2006년 8월부터 현재까지) 다음에 제시된 열 가지 재난사고 각각을 경험한 적이 있으십니까? (있다면) 가장 최근에 경험한 것은 언제였습니까? 재난사고 경험 연도-(4) 자동차사고(부상 등)

국민의 체감안전 실태조사, 2016

q12_11

유형별 범죄로부터 우리사회의 안전 정도11: 폭행

문12. 귀하는 우리사회가 다음 각 범죄로부터 얼마나 안전하다고, 혹은 안전하지 않다고 생각하십니까? 각 항목별로 귀하의 생각과 가장 가까운 것을 선택해주십시오. (11) 폭행

국민의 체감안전 실태조사, 2016

q18_14

범죄에 대한 두려움 정도14: 음주운전 사고

문18. 귀하는 다음의 범죄에 대해 얼마나 두려워하십니까, 혹은 두려워하지 않으십니까? 각 항목별로 귀하의 생각과 가장 가까운 것을 선택해주십시오. (14) 음주운전 사고

국민의 체감안전 실태조사, 2016

q1_14

한국사회 전반에 대한 인식14: 나는 법을 잘 지키는 편임

문1. 귀하는 한국사회 전반과 관련된 아래 항목 각각에 대해 얼마나 그렇다고, 혹은 그렇지 않다고 생각하시나요? 귀하의 생각과 가장 가까운 것을 선택해주십시오. (14) 나는 법을 잘 지키는 편이다

국민의 체감안전 실태조사, 2016

q15_2

유형별 재난사고로부터 개인의 안전 정도2: 대기환경문제

문15. 귀하 자신은 다음 각 재난사고로부터 얼마나 안전하다고, 혹은 안전하지 않다고 생각하십니까? 각 항목별로 귀하의 생각과 가장 가까운 것을 선택해주십시오. (2) 대기환경문제(황사, 미세먼지)

국민의 체감안전 실태조사, 2016

q3_14

거주 지역에 대한 인식14: 나는 범죄 피해 당하는 사람을 본다면 즉시 도와줄 것임

문3. 귀하가 살고 있는 동네와 관련된 다음 각 항목에 대해 얼마나 그렇다고, 혹은 그렇지 않다고 생각하십니까? 귀하의 생각과 가장 가까운 것을 선택해주시기 바랍니다. (14) 나는 범죄피해당하는 사람을 본다면 즉시 도와줄 것이다

국민의 체감안전 실태조사, 2016

q19_1

재난사고에 대한 두려움 정도1: 자연재해

문19. 귀하는 다음 재난사고에 대해 얼마나 두려워하십니까, 혹은 두려워하지 않으십니까? 각 항목별로 귀하의 생각과 가장 가까운 것을 선택해주십시오. (1) 자연재해(홍수, 태풍, 산사태, 지진 및 쓰나미)

국민의 체감안전 실태조사, 2016

q3_15

거주 지역에 대한 인식15: 동네의 경찰은 범죄나 재난 및 사고의 예방과 처리를 잘 하고 있음

문3. 귀하가 살고 있는 동네와 관련된 다음 각 항목에 대해 얼마나 그렇다고, 혹은 그렇지 않다고 생각하십니까? 귀하의 생각과 가장 가까운 것을 선택해주시기 바랍니다. (15) 우리 동네의 경찰은 범죄 또는 재난·사고의 예방과 처리를 잘하고 있다

국민의 체감안전 실태조사, 2016

q15_3

유형별 재난사고로부터 개인의 안전 정도3: 전염병

문15. 귀하 자신은 다음 각 재난사고로부터 얼마나 안전하다고, 혹은 안전하지 않다고 생각하십니까? 각 항목별로 귀하의 생각과 가장 가까운 것을 선택해주십시오. (3) 전염병(메르스, 신종플루 등)

국민의 체감안전 실태조사, 2016

q12_12

유형별 범죄로부터 우리사회의 안전 정도12: 묻지마 범죄

문12. 귀하는 우리사회가 다음 각 범죄로부터 얼마나 안전하다고, 혹은 안전하지 않다고 생각하십니까? 각 항목별로 귀하의 생각과 가장 가까운 것을 선택해주십시오. (12) 묻지마 범죄(낯선 사람에 의한 폭행, 살인 등)

국민의 체감안전 실태조사, 2016

q24

(피해 경험 있는 경우) 범죄 피해 당시 경찰에 신고했는지 여부

문24. [문23)에서 ‘있다’에 하나 이상 응답한 사람만] 그럼, 피해발생후 경찰에 신고하셨습니까?

국민의 체감안전 실태조사, 2016

q28_2_5

(피해 경험 있는 경우) 재난사고 피해 발생년도5: 열차·비행기·선박사고

문28. 그럼, 귀하는 지난 10년간(2006년 8월부터 현재까지) 다음에 제시된 열 가지 재난사고 각각을 경험한 적이 있으십니까? (있다면) 가장 최근에 경험한 것은 언제였습니까? 재난사고 경험 연도-(5) 열차사고·비행기사고·선박사고

국민의 체감안전 실태조사, 2016

q37_4

매체유형별 재난사고 관련 정보에 대한 신뢰도4: 포털사이트 온라인 뉴스

문37. 귀하는 아래 제시된 매체 각각이 제공하는 재난사고 관련 정보를 얼마나 신뢰하십니까, 혹은 신뢰하지 않으십니까? (4) 포털사이트 온라인뉴스

국민의 체감안전 실태조사, 2016

q6_4

범죄·재난·안전예방에 대한 인식4: 우리나라 사람들은 범죄피해 예방에 신경쓰는 편임

문6. 귀하는 범죄 및 재난·안전 예방과 관련된 다음 각 항목에 대해 얼마나 그렇다고, 혹은 그렇지 않다고 생각하 십니까? 귀하의 생각과 가장 가까운 것을 선택해주십시오. (4) 우리나라 사람들은 범죄피해예방에 신경 쓰는 편이다

국민의 체감안전 실태조사,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