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Q6_1 |
소속 기관의 정책 결정 과정에 대한 의견1: 우리 기관은 정부의 정책 결정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함
6. 다음은 귀하께서 근무하시는 기관이 담당하는 정책(계획, 사업 및 프로그램 포함)의 결정 과정에 대한 질문입니다. 귀하의 의견과 가장 가까운 보기를 골라 해당 항목에 체크해 주십시오.
1) 우리 기관은 정부의 정책 결정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정부의 통계 구축 및 활용 현황에 대한 설문조사, 2017 : 박사급 연구원
|
|
Q5 |
통계 및 데이터 활용도 제고를 위해 필요한 것
5. 귀하께서 근무하시는 기관에서 생산된 통계 및 데이터의 활용도 제고를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정부의 통계 구축 및 활용 현황에 대한 설문조사, 2017 : 박사급 연구원
|
|
D_1 |
응답자 성별
D1. 귀하의 성별은 무엇입니까?
정부의 통계 구축 및 활용 현황에 대한 설문조사, 2017 : 박사급 연구원
|
|
Q4 |
통계 전담 부서 유무
4. 현재 귀하께서 근무하시는 기관에 통계 전담 부서가 있습니까?
정부의 통계 구축 및 활용 현황에 대한 설문조사, 2017 : 박사급 연구원
|
|
Q1_1 |
국가승인통계 수
1. 2017년 1월 ~ 12월 동안 귀하께서 연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생산되거나 생산 예정인 통계 및 데이터 건수를 기입해 주십시오. 해당 사항이 없을 경우 0건으로 기입해 주십시오.
1) 통계법상의 국가승인통계(조사통계, 보고통계, 가공통계)
정부의 통계 구축 및 활용 현황에 대한 설문조사, 2017 : 박사급 연구원
|
|
Q2_1 |
생산 통계 및 데이터의 주 이용자1: 소속기관
2. 귀하께서 연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생산된 통계 및 데이터의 주 이용자는 누구입니까? 모두 선택해 주십시오.(복수응답)
① 소속 기관
정부의 통계 구축 및 활용 현황에 대한 설문조사, 2017 : 박사급 연구원
|
|
Q4_1_1 |
통계 전담 부서에 대한 의견1: 우리 기관 통계 전담부서의 주 업무는 통계 및 데이터를 생산하는 것
4-1. 그럼, 현재 근무하시는 기관의 통계 전담 부서와 관련하여 다음 각 항목에 응답해 주십시오.
1) 우리 기관 통계 전담부서의 주 업무는 통계 및 데이터를 생산하는 것이다
정부의 통계 구축 및 활용 현황에 대한 설문조사, 2017 : 박사급 연구원
|
|
Q2_2 |
생산 통계 및 데이터의 주 이용자2: 타 정부부처
2. 귀하께서 연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생산된 통계 및 데이터의 주 이용자는 누구입니까? 모두 선택해 주십시오.(복수응답)
② 정부부처
정부의 통계 구축 및 활용 현황에 대한 설문조사, 2017 : 박사급 연구원
|
|
Q6_2 |
소속 기관의 정책 결정 과정에 대한 의견2: 우리 기관에서 담당하는 정책은 통계 및 데이터와 같은 계량적 근거에 의하여 결정되는 비율이 높음
6. 다음은 귀하께서 근무하시는 기관이 담당하는 정책(계획, 사업 및 프로그램 포함)의 결정 과정에 대한 질문입니다. 귀하의 의견과 가장 가까운 보기를 골라 해당 항목에 체크해 주십시오.
2) 우리 기관에서 담당하는 정책은 통계 및 데이터와 같은 계량적 근거에 의하여 결정되는 비율이 높다
정부의 통계 구축 및 활용 현황에 대한 설문조사, 2017 : 박사급 연구원
|
|
Q7_2 |
정책 수립 시 자료 유형별 필요성2: 조사 통계(설문조사, 실태조사 등)
7. 귀하께서는 정책(계획, 사업 및 프로그램 포함) 수립 시 다음 자료들이 얼마나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2) 조사 통계(설문조사, 실태조사 등)
정부의 통계 구축 및 활용 현황에 대한 설문조사, 2017 : 박사급 연구원
|
|
Q11_2 |
통계 및 데이터 활용 시 효과2: 정책(계획, 사업 및 프로그램 포함) 내용의 타당성 강화
11. 정책(계획, 사업 및 프로그램 포함) 과정에서 통계 및 데이터 활용 시 그 효과가 얼마나 된다고 생각하십니까?
2) 정책(계획, 사업 및 프로그램 포함) 내용의 타당성 강화
정부의 통계 구축 및 활용 현황에 대한 설문조사, 2017 : 박사급 연구원
|
|
Q1_2 |
비승인통계 및 기타 데이터 수
1. 2017년 1월 ~ 12월 동안 귀하께서 연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생산되거나 생산 예정인 통계 및 데이터 건수를 기입해 주십시오. 해당 사항이 없을 경우 0건으로 기입해 주십시오.
2) 비승인통계 및 기타 데이터(정량조사, 정성조사, 행정자료 활용 등)
정부의 통계 구축 및 활용 현황에 대한 설문조사, 2017 : 박사급 연구원
|
|
Q8_2 |
정책 수립 시 자료 유형별 영향력2: 조사 통계(설문조사, 실태조사 등)
8. 정책(계획, 사업 및 프로그램 포함) 수립 시 다음 자료들의 영향력이 어느 정도라고 생각하십니까?
2) 조사 통계(설문조사, 실태조사 등)
정부의 통계 구축 및 활용 현황에 대한 설문조사, 2017 : 박사급 연구원
|
|
Q9A_2 |
정책 수립시 의사결정의 근거: 2순위
9. 다음 각 정책(계획, 사업 및 프로그램 포함)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의사결정을 위하여 가장 중요한 근거(증거)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순서대로 2가지만 기입해 주십시오.
1) 정책 수립-2순위
정부의 통계 구축 및 활용 현황에 대한 설문조사, 2017 : 박사급 연구원
|
|
D_2 |
응답자 연령
D2. 귀하의 생년은 언제입니까?
정부의 통계 구축 및 활용 현황에 대한 설문조사, 2017 : 박사급 연구원
|
|
Q10_2 |
정책 과정에서 자료별 실무 적용율2: 조사 통계(설문조사, 실태조사 등)
10. 정책(계획, 사업 및 프로그램 포함) 과정에서 다음 자료들의 실무적용율은 어느 정도라고 생각하십니까?
2) 조사 통계(설문조사, 실태조사 등)
정부의 통계 구축 및 활용 현황에 대한 설문조사, 2017 : 박사급 연구원
|
|
Q4_2_1 |
통계 전담 부서의 필요성1: 우리 기관은 구성원들이 생산한 통계 및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관리
4-2. 그럼, 현재 근무하시는 기관의 통계 전담 부서와 관련하여 다음 각 항목에 응답해 주십시오.
1) 우리 기관은 구성원들이 생산한 통계 및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관리한다
정부의 통계 구축 및 활용 현황에 대한 설문조사, 2017 : 박사급 연구원
|
|
ID2 |
응답자 소속
정부의 통계 구축 및 활용 현황에 대한 설문조사, 2017 : 박사급 연구원
|
|
Q10_3 |
정책 과정에서 자료별 실무 적용율3: 가공 통계(기존 통계 정보를 활용)
10. 정책(계획, 사업 및 프로그램 포함) 과정에서 다음 자료들의 실무적용율은 어느 정도라고 생각하십니까?
3) 가공 통계(기존 통계 정보를 활용)
정부의 통계 구축 및 활용 현황에 대한 설문조사, 2017 : 박사급 연구원
|
|
Q8_3 |
정책 수립 시 자료 유형별 영향력3: 가공 통계(기존 통계 정보를 활용)
8. 정책(계획, 사업 및 프로그램 포함) 수립 시 다음 자료들의 영향력이 어느 정도라고 생각하십니까?
3) 가공 통계(기존 통계 정보를 활용)
정부의 통계 구축 및 활용 현황에 대한 설문조사, 2017 : 박사급 연구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