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SSDA Loading

비시리즈4729

자료 검색  Search Tips Start a new search
  • 결과수
  • 정렬 기준
  • 정렬

검색결과 4,729건 중 4,601-4,620 (소요 시간: 0.008 초)

변수명 / 변수설명/ 문항 / 자료명
q04

평가기간 중 주평균 평가업무 소요시간

문4. 귀하께서 평가기간중 평가 관련 업무(예: 부서업무 관련 평가자료 생성 및 제출, 평가업무지원 등) 수행을 위해 소요되는 기간은 대략 어느 정도 됩니까? (일주일 평균을 기준으로 선택해주세요)

통합평가제도의 운영실태와 개선방안 조사, 2016

q031

근무기관 평가제도 운영 현황1: 타 기관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인력 규모가 충분함

문3. 다음은 평가제도 운영현황에 대한 질문입니다. 귀하가 근무하시는 기관을 기준으로 각 항목마다 해당하는 곳에 표시하여 주십시오.1) 귀하가 근무하시는 기관이 타 기관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인력규모가 충분하다.

통합평가제도의 운영실태와 개선방안 조사, 2016

q021

통합평가제도 인지 여부1: 지방자치단체 합동평가

문2. 선생님께서 현재 알고 있는 통합 평가제도가 있다면, 다음 중 모두 선택해 주시기 바랍니다. (만약 없다면 14) 없음을 선택해 주십시오.)1) 지방자치단체 합동평가

통합평가제도의 운영실태와 개선방안 조사, 2016

q02101

통합평가로의 운영 불필요한 제도1: 지방자치단체 합동평가

문2-1. 현행 통합평가 중에서 통합평가로의 운영이 불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제도가 있다면, 다음 중 모두 선택해 주시기 바랍니다. (만약 없다면 14) 없음을 선택해 주십시오.) 1) 지방자치단체 합동평가

통합평가제도의 운영실태와 개선방안 조사, 2016

q011

통합평가 및 개별평가 인지도1: 평가총괄기관은 국무조정실, 기획재정부, 행정자치부, 인사혁신처 등임

문1. 다음은 통합평가 및 개별평가의 인지도에 대한 질문입니다. 각 항목마다 해당하는 곳에 표시하여 주십시오.1) 통합평가의 평가총괄기관이 국무조정실, 기획재정부, 행정자치부, 인사혁신처 등이라는 것을 알고 있다. * 평가총괄기관: 중앙행정기관의 자체평가 업무를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평가의 부문별 총괄 행정기관(주요정책부문: 국무조정실, 재정사업부문: 기획재정부, 조직 및 정보화 부문: 행정자치부, 인사부문: 인사혁신처)에 대해 부문별 자체평가 결과의 확인, 점검 등을 요청할 수 있음(정부업무평가기본법 제11조 제1항 및 시행령 제8조)* 정부업무평가위원회: 정부업무평가의 실시와 평가기반의 구축을 체계적,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국무총리 소속하에 설치된 위원회(정부업무평가기본법 제9조 및 제10조)

통합평가제도의 운영실태와 개선방안 조사, 2016

q101

일반적인 평가업무 수행 경험1: 다른 평가에서 유사한 지표가 사용돼, 하나의 평가자료가 여러 평가에서 필요하기도 함

문10. 본 질문은 일반적인 평가업무(귀하의 담당업무 등이 각종 평가·점검·분석을 받게 되는 경우 포함) 수행과정에서의 경험을 묻는 것으로, 각 항목마다 해당하는 곳에 표시하여 주십시오.1) 서로 다른 평가에서 동일·유사한 평가지표가 사용되어서, 하나의 평가자료가 여러 평가에서 필요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통합평가제도의 운영실태와 개선방안 조사, 2016

sq1

응답자 성별

SQ1. 귀하의 성별은?

통합평가제도의 운영실태와 개선방안 조사, 2016

id1

응답자 아이디1

통합평가제도의 운영실태와 개선방안 조사, 2016

sq2

응답자 연령

SQ2. 귀하의 연령은?

통합평가제도의 운영실태와 개선방안 조사, 2016

q02102

통합평가로의 운영 불필요한 제도2: 정부업무평가 중 특정평가

문2-1. 현행 통합평가 중에서 통합평가로의 운영이 불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제도가 있다면, 다음 중 모두 선택해 주시기 바랍니다. (만약 없다면 14) 없음을 선택해 주십시오.) 2) 정부업무평가 중 특정평가

통합평가제도의 운영실태와 개선방안 조사, 2016

q012

통합평가 및 개별평가 인지도2: 통합평가 개념을 알고 있음

문1. 다음은 통합평가 및 개별평가의 인지도에 대한 질문입니다. 각 항목마다 해당하는 곳에 표시하여 주십시오.2) 통합평가의 개념을 알고 있다. * 평가총괄기관: 중앙행정기관의 자체평가 업무를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평가의 부문별 총괄 행정기관(주요정책부문: 국무조정실, 재정사업부문: 기획재정부, 조직 및 정보화 부문: 행정자치부, 인사부문: 인사혁신처)에 대해 부문별 자체평가 결과의 확인, 점검 등을 요청할 수 있음(정부업무평가기본법 제11조 제1항 및 시행령 제8조)* 정부업무평가위원회: 정부업무평가의 실시와 평가기반의 구축을 체계적,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국무총리 소속하에 설치된 위원회(정부업무평가기본법 제9조 및 제10조)

통합평가제도의 운영실태와 개선방안 조사, 2016

id2

응답자 아이디2

통합평가제도의 운영실태와 개선방안 조사, 2016

q022

통합평가제도 인지 여부2: 정부업무평가 중 특정평가

문2. 선생님께서 현재 알고 있는 통합 평가제도가 있다면, 다음 중 모두 선택해 주시기 바랍니다. (만약 없다면 14) 없음을 선택해 주십시오.)2) 정부업무평가 중 특정평가(국정과제, 규제개혁, 정책홍보, 정상화 등)

통합평가제도의 운영실태와 개선방안 조사, 2016

q102

일반적인 평가업무 수행 경험2: 유사한 사업이나 정책을 서로 다른 기관이 평가하기도 함

문10. 본 질문은 일반적인 평가업무(귀하의 담당업무 등이 각종 평가·점검·분석을 받게 되는 경우 포함) 수행과정에서의 경험을 묻는 것으로, 각 항목마다 해당하는 곳에 표시하여 주십시오.2) 동일(비슷)한 사업이나 정책을 서로 다른 기관이 평가하는 경우가 있다.

통합평가제도의 운영실태와 개선방안 조사, 2016

q05_2nd

통합평가로 인정받기 위한 필요 요건: 2순위

문5. 다음의 개별평가 내용 중 통합평가로 전환되어야 하는 평가는 무엇입니까? 통합평가로 인정받기 위해 필요 요건을 중요한 순서대로 3가지를 골라주세요. : 2순위

통합평가제도의 운영실태와 개선방안 조사, 2016

q032

근무기관 평가제도 운영 현황2: 타 기관에 의해 평가 받을 때 평가 준비를 위한 인력 규모가 충분함

문3. 다음은 평가제도 운영현황에 대한 질문입니다. 귀하가 근무하시는 기관을 기준으로 각 항목마다 해당하는 곳에 표시하여 주십시오.2) 귀하가 근무하시는 기관이 타기관에 의해 평가를 받을 때 평가준비를 위한 인력규모가 충분하다.

통합평가제도의 운영실태와 개선방안 조사, 2016

q07_2nd

점검/분석 대비 평가만의 고유 특징: 2순위

문7. 평가가 점검/분석과 차별화 되는 특징은 무엇이라고 생각(체감)하십니까? 중요도를 고려하여 순서대로 2가지를 골라주세요. : 2순위

통합평가제도의 운영실태와 개선방안 조사, 2016

q05_3rd

통합평가로 인정받기 위한 필요 요건: 3순위

문5. 다음의 개별평가 내용 중 통합평가로 전환되어야 하는 평가는 무엇입니까? 통합평가로 인정받기 위해 필요 요건을 중요한 순서대로 3가지를 골라주세요. : 3순위

통합평가제도의 운영실태와 개선방안 조사, 2016

q08_1st

통합평가제도 구축을 위한 중요 원칙: 1순위

문8. 통합평가제도 구축을 위해 중요하게 여겨야 하는 원칙은 무엇인가요? 중요도를 고려하여 순서대로 2가지를 골라주세요. : 1순위

통합평가제도의 운영실태와 개선방안 조사, 2016

q033

근무기관 평가제도 운영 현황3: 국가적으로 통합적인 평가제도 운영을 위한 틀이 충분히 갖춰짐

문3. 다음은 평가제도 운영현황에 대한 질문입니다. 귀하가 근무하시는 기관을 기준으로 각 항목마다 해당하는 곳에 표시하여 주십시오.3) 국가적으로 통합적인 평가제도 운영을 위한 틀(프레임)이 충분히 갖추어져 있다.

통합평가제도의 운영실태와 개선방안 조사,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