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61 |
우리나라 규제영향분석제도 평가1: 전반적으로 분석이 효과적 수행
문6. 귀하는 현재 우리나라의 규제영향분석 제도와 관련해 다음의 문항들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1) 전반적으로 규제영향분석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편이다
규제사후영향평가 제도 개선을 위한 공무원 의견조사, 2017
|
|
a7 |
사후규제영향평가제도 인지 정도
문7. 귀하는 사후규제영향평가 제도를 알고 있습니까?
규제사후영향평가 제도 개선을 위한 공무원 의견조사, 2017
|
|
a101 |
사후규제영향평가 필요성1: 분석 결과와 실제 규제 효과 간 차이 없음
문10. 귀하는 사후규제영향평가 제도의 필요성과 관련하여 다음의 문항들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1) 규제영향분석 결과와 실제 규제의 효과 간에는 큰 차이가 없는 편이다
규제사후영향평가 제도 개선을 위한 공무원 의견조사, 2017
|
|
a111 |
사후규제영향평가 운영시 장애요인1: 소관부서 및 해당 규제 담당자 관심 부족
문11. 귀하는 현재 사후규제영향평가 제도 운영과 관련해 어떠한 점이 장애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1) 소관부서 및 해당 규제 담당자의 관심 및 인식 부족
규제사후영향평가 제도 개선을 위한 공무원 의견조사, 2017
|
|
a121 |
사후규제영향평가 의무규정화 동의 정도1: 행정규제 기본법, 시행령 등으로 의무 규정
문12. 귀하는 사후규제영향평가의 의무 규정화에 대해 다음의 각 방안에 대해 얼마나 동의하십니까? 1) 행정규제 기본법이나 시행령 등을 통해 사후규제영향평가를 의무적으로 규정
규제사후영향평가 제도 개선을 위한 공무원 의견조사, 2017
|
|
a131 |
사후규제영향평가 적용시점 및 방식 동의 정도1: 규제입법화 후 3년 내 단기간 모니터링 차원에서 실시
문13. 귀하는 사후규제영향평가의 적용 시점 및 방식과 관련해 다음의 각 방안에 대해 얼마나 동의하십니까? 1) 규제 입법화 이후 3년 이내 단기간에 모니터링 차원에서 규제사후영향평가 실시
규제사후영향평가 제도 개선을 위한 공무원 의견조사, 2017
|
|
a141 |
사후규제영향평가 수행절차 동의 정도1: 해당 규제 담당부처 소관부서에서 작성
문14. 귀하는 사후규제영향평가 수행 절차와 관련해 다음의 각 방안에 대해 얼마나 동의하십니까?1) 해당 규제를 담당하는 각 부처의 소관부서에서 사후규제영향평가 작성
규제사후영향평가 제도 개선을 위한 공무원 의견조사, 2017
|
|
a151 |
사후규제영향평가 수행방식 및 기준 중요성1: 규제환경 변화의 특이사항 분석차원에서 수행
문15. 귀하는 사후규제영향평가 수행 방식 및 기준과 관련해 다음의 각 항목들이 얼마나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1) 규제환경 변화의 특이사항 분석차원의 사후영향평가 수행
규제사후영향평가 제도 개선을 위한 공무원 의견조사, 2017
|
|
gub |
응답자 소속기관
규제사후영향평가 제도 개선을 위한 공무원 의견조사, 2017
|
|
a152 |
사후규제영향평가 수행방식 및 기준 중요성2: 기존 규제영향분석서의 재검토 및 확인 차원에서 수행
문15. 귀하는 사후규제영향평가 수행 방식 및 기준과 관련해 다음의 각 항목들이 얼마나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2) 기존 규제영향분석서의 재검토 및 확인 차원에서의 사후영향평가 수행
규제사후영향평가 제도 개선을 위한 공무원 의견조사, 2017
|
|
a142 |
사후규제영향평가 수행절차 동의 정도2: 부처별 규제개혁 담당부서 주도로 작성
문14. 귀하는 사후규제영향평가 수행 절차와 관련해 다음의 각 방안에 대해 얼마나 동의하십니까?2) 각 부처별 규제개혁 담당부서가 주도하여 사후규제영향평가 작성
규제사후영향평가 제도 개선을 위한 공무원 의견조사, 2017
|
|
a132 |
사후규제영향평가 적용시점 및 방식 동의 정도2: 규제존속기간 고려해 규제입법화 후 5년 후 실시
문13. 귀하는 사후규제영향평가의 적용 시점 및 방식과 관련해 다음의 각 방안에 대해 얼마나 동의하십니까? 2) 규제존속기간을 고려하여 규제 입법화 이후 5년 이후 규제사후영향평가 실시
규제사후영향평가 제도 개선을 위한 공무원 의견조사, 2017
|
|
a122 |
사후규제영향평가 의무규정화 동의 정도2: 규제개혁평가의 주요 평가 기준으로 반영
문12. 귀하는 사후규제영향평가의 의무 규정화에 대해 다음의 각 방안에 대해 얼마나 동의하십니까? 2) 정부업무평가 중 규제개혁 평가의 중요 평가기준으로 사후규제영향평가를 반영
규제사후영향평가 제도 개선을 위한 공무원 의견조사, 2017
|
|
a112 |
사후규제영향평가 운영시 장애요인2: 부처 내 규제개혁담당 부서 관심 부족
문11. 귀하는 현재 사후규제영향평가 제도 운영과 관련해 어떠한 점이 장애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2) 부처 내 규제개혁담당 부서의 관심 및 인식 부족
규제사후영향평가 제도 개선을 위한 공무원 의견조사, 2017
|
|
a102 |
사후규제영향평가 필요성2: 일정시점 후 규제 타당성 재검토 필요
문10. 귀하는 사후규제영향평가 제도의 필요성과 관련하여 다음의 문항들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2) 일정 시점 이후 규제의 타당성에 대한 재검토가 전반적으로 필요하다
규제사후영향평가 제도 개선을 위한 공무원 의견조사, 2017
|
|
a8 |
(제도 인지하는 경우) 법제화된 규제에 대한 사후규제영향평가 수행 경험 여부
문8. (문7의 3), 4) 응답자만) 귀하는 일몰규제의 사후 검토를 포함해 어떠한 형태이든 법제화된 규제에 대한 사후규제영향평가를 수행한 경험이 있습니까?
규제사후영향평가 제도 개선을 위한 공무원 의견조사, 2017
|
|
a62 |
우리나라 규제영향분석제도 평가2: 담당공무원의 역량 수준 충분
문6. 귀하는 현재 우리나라의 규제영향분석 제도와 관련해 다음의 문항들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2) 규제영향분석을 수행하는 개별 공무원의 역량 수준은 충분한 편이다
규제사후영향평가 제도 개선을 위한 공무원 의견조사, 2017
|
|
a502 |
(업무수행 경험 있는 경우) 규제영향분석 평가2: 작성 항목 이해 용이
문5. (문4의 2), 3) 응답자만) 귀하가 규제영향분석 업무를 수행하거나 관여하셨던 경험에 비추어 다음의 문항들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2) 규제영향분석서 작성항목에 대한 이해는 용이한 편이다
규제사후영향평가 제도 개선을 위한 공무원 의견조사, 2017
|
|
a4 |
규제영향분석 업무수행 경험
문4. 귀하는 규제영향분석 업무를 수행하거나 관여하신 경험이 있습니까?
규제사후영향평가 제도 개선을 위한 공무원 의견조사, 2017
|
|
a22 |
항목별 규제 인지 정도2: 규제비용편익분석
문2. 귀하는 다음의 항목들에 대해 어느 정도 알고 계십니까?2) 규제비용편익분석
규제사후영향평가 제도 개선을 위한 공무원 의견조사, 2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