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511
(업무수행 경험 있는 경우) 규제영향분석 평가11: 국무조정실과 규제개혁위원회 협조와 지원 충분
문5. (문4의 2), 3) 응답자만) 귀하가 규제영향분석 업무를 수행하거나 관여하셨던 경험에 비추어 다음의 문항들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11) 국무조정실 및 규제개혁위원회를 통한 협조와 지원은 충분한 편이다
규제사후영향평가 제도 개선을 위한 공무원 의견조사, 2017
a512
(업무수행 경험 있는 경우) 규제영향분석 평가12: 작성시 충분한 자료 확보 가능
문5. (문4의 2), 3) 응답자만) 귀하가 규제영향분석 업무를 수행하거나 관여하셨던 경험에 비추어 다음의 문항들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12) 규제영향분석 작성과정에서 충분한 자료를 확보할 수 있는 편이다
규제사후영향평가 제도 개선을 위한 공무원 의견조사, 2017
a513
(업무수행 경험 있는 경우) 규제영향분석 평가13: 작성시 외부전문가의 충분한 지원 받음
문5. (문4의 2), 3) 응답자만) 귀하가 규제영향분석 업무를 수행하거나 관여하셨던 경험에 비추어 다음의 문항들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13) 규제영향분석 작성과정에서 외부 전문가의 충분한 지원을 받은 편이다
규제사후영향평가 제도 개선을 위한 공무원 의견조사, 2017
a514
(업무수행 경험 있는 경우) 규제영향분석 평가14: 작성시 이해관계자의 참여 충분히 이뤄짐
문5. (문4의 2), 3) 응답자만) 귀하가 규제영향분석 업무를 수행하거나 관여하셨던 경험에 비추어 다음의 문항들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14) 규제영향분석 작성 과정에서 이해관계자의 참여가 충분히 이루어진 편이다
규제사후영향평가 제도 개선을 위한 공무원 의견조사, 2017
a515
(업무수행 경험 있는 경우) 규제영향분석 평가15: 분석 결과가 규제내용과 규제입법과정에 영향 미침
문5. (문4의 2), 3) 응답자만) 귀하가 규제영향분석 업무를 수행하거나 관여하셨던 경험에 비추어 다음의 문항들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15) 규제영향분석 결과가 규제내용 및 규제입법 과정에서 영향을 미친 편이다
규제사후영향평가 제도 개선을 위한 공무원 의견조사, 2017
a516
(업무수행 경험 있는 경우) 규제영향분석 평가16: 분석 이후 결과에 대한 사후 모니터링 및 평가 수행
문5. (문4의 2), 3) 응답자만) 귀하가 규제영향분석 업무를 수행하거나 관여하셨던 경험에 비추어 다음의 문항들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16) 규제영향분석 이후 그 결과에 대한 사후 모니터링이나 평가가 이루어진 편이다
규제사후영향평가 제도 개선을 위한 공무원 의견조사, 2017
JOB
응답자 직업
공적개발원조(ODA)사업 관리체계에 대한 설문조사, 2017
B3_1
관리체계차원에서의 ODA 개선사항1: 청 단위 조직 신설을 통한 사업의 체계적 관리
B3) 재정사업으로서 ODA사업의 효과적인 추진을 위해 관리체계차원에서 시급하게 개선되어야 할 사항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중복선택 가능)① 청단위 조직 신설을 통한 ODA사업의 체계적인 관리
공적개발원조(ODA)사업 관리체계에 대한 설문조사, 2017
B2_1
예산차원에서의 ODA 개선사항1: 예산의 구속성/비구속성 원조방식의 명확화
B2) 재정사업으로서 ODA사업의 효과적인 추진을 위해 예산차원에서 시급하게 개선되어야 할 사항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중복선택 가능)① ODA사업 예산의 구속성/비구속성 원조방식의 명확화
공적개발원조(ODA)사업 관리체계에 대한 설문조사, 2017
B1_1
법규차원에서의 ODA 개선사항1: 사업관리체계 관련 규정의 구체화
B1) 재정사업으로서 ODA사업의 효과적인 추진을 위해 법규차원에서 시급하게 개선되어야 할 사항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중복선택 가능)① 사업관리체계 관련 규정의 구체화
공적개발원조(ODA)사업 관리체계에 대한 설문조사, 2017
ID
응답자 아이디
공적개발원조(ODA)사업 관리체계에 대한 설문조사, 2017
A1_1
ODA 관련 법규에 대한 인식1: 사업이 체계적 진행되도록 현행 법규의 구체성 확보됨
A1) 법규 관련하여 아래 문항을 보시고, 해당하는 사항에 각각 체크해 주세요.1. 현행 법규(국제개발협력기본법 및 시행령)는 ODA사업이 체계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구체적으로 규정되어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법규의 구체성)
공적개발원조(ODA)사업 관리체계에 대한 설문조사, 2017
A3_1
ODA 관련 관리체계에 대한 인식1: 현재 KOICA는 무상사업을 효과적 관리함
A3) 관리체계 관련하여 아래 문항을 보시고, 해당하는 사항에 각각 체크해 주세요.1. KOICA가 현재 무상사업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공적개발원조(ODA)사업 관리체계에 대한 설문조사, 2017
A4_1
ODA 관련 사업구조에 대한 인식1: 사업 집행체계가 분절화됨
A4) 사업구조 관련하여 아래 문항을 보시고, 해당하는 사항에 각각 체크해 주세요.1. ODA 사업 집행체계가 분절화되어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공적개발원조(ODA)사업 관리체계에 대한 설문조사, 2017
A2_1
ODA 관련 예산에 대한 인식1: 사업의 예산 배분이 적절하게 이뤄짐
A2) 예산 관련하여 아래 문항을 보시고, 해당하는 사항에 각각 체크해 주세요.1. ODA사업의 예산 배분이 적절하게 이루어지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공적개발원조(ODA)사업 관리체계에 대한 설문조사, 2017
B4_1
사업구조차원에서의 ODA 개선사항1: ODA 집행체계의 분절화 개선
B4) 재정사업으로서 ODA사업의 효과적인 추진을 위해 사업구조차원에서 시급하게 개선되어야 할 사항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중복선택 가능)① ODA 집행체계의 분절화 개선
공적개발원조(ODA)사업 관리체계에 대한 설문조사, 2017
A1_2
ODA 관련 법규에 대한 인식2: 현행 법규는 사업의 전반적 과정 관리에 적합하게 구성됨
A1) 법규 관련하여 아래 문항을 보시고, 해당하는 사항에 각각 체크해 주세요.2. 현행 법규는 ODA 사업의 전반적 과정을 관리하는데 적합하게 구성되어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공적개발원조(ODA)사업 관리체계에 대한 설문조사, 2017
B4_2
사업구조차원에서의 ODA 개선사항2: 무상원조사업의 중복성 제거
B4) 재정사업으로서 ODA사업의 효과적인 추진을 위해 사업구조차원에서 시급하게 개선되어야 할 사항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중복선택 가능)② 무상원조사업의 중복성 제거
공적개발원조(ODA)사업 관리체계에 대한 설문조사, 2017
A3_2
ODA 관련 관리체계에 대한 인식2: 현재 EDCF는 유상사업을 효과적 관리함
A3) 관리체계 관련하여 아래 문항을 보시고, 해당하는 사항에 각각 체크해 주세요.2. EDCF(한국수출입은행)가 현재 유상사업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공적개발원조(ODA)사업 관리체계에 대한 설문조사, 2017
A2_2
ODA 관련 예산에 대한 인식2: 사업 선정 과정 고려할 시 타 재정 사업들과 차이 있음
A2) 예산 관련하여 아래 문항을 보시고, 해당하는 사항에 각각 체크해 주세요.2. ODA 사업 선정 과정을 고려할 때에, ODA사업은 다른 재정사업과 차이가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공적개발원조(ODA)사업 관리체계에 대한 설문조사,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