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9
갈등영향분석 이해당사자에 대한 사전 구분 가능 여부
문9. 갈등영향분석을 실시할 때 갈등영향분석에 해당하는 이해당사자들을 사전에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공공갈등 영향분석제도에 관한 조사 , 2017
Q4a
(선정 경험 없는 경우) 갈등영향분석 사업 선정 기준: 1순위
문4. [문1의 ②번 응답자만] 정부의 사업들 중 갈등영향분석을 실시하게 되는 사업의 기준은 무엇으로 선정해야한다고 생각하십니까? 사업선정 기준에 해당하는 사항들을 가장 중요한 순서대로 3순위까지 기입하여 주십시오. : 1순위
공공갈등 영향분석제도에 관한 조사 , 2017
Q19_5
(갈등영향분석 진행 및 경험 있는 경우) 분석 방법 유형5: 기타
문19. [문17의 ①번 응답자만] 귀하께서 진행 또는 경험하신 갈등영향분석에 사용된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습니까? 만약 여러 방법을 사용하셨다면 모두 선택해 주십시오. [복수응답]5) 기타
공공갈등 영향분석제도에 관한 조사 , 2017
Q20
(갈등영향분석 진행 및 경험 있는 경우) 분석 결과 만족도
문20. [문17의 ①번 응답자만] 최종 갈등영향분석 보고서에서 관련 자료 및 이해관계자들로부터 얻은 데이터 또는 면담 내용에 대한 분석 결과에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공공갈등 영향분석제도에 관한 조사 , 2017
Q4b
(선정 경험 없는 경우) 갈등영향분석 사업 선정 기준: 2순위
문4. [문1의 ②번 응답자만] 정부의 사업들 중 갈등영향분석을 실시하게 되는 사업의 기준은 무엇으로 선정해야한다고 생각하십니까? 사업선정 기준에 해당하는 사항들을 가장 중요한 순서대로 3순위까지 기입하여 주십시오. : 2순위
공공갈등 영향분석제도에 관한 조사 , 2017
Q4c
(선정 경험 없는 경우) 갈등영향분석 사업 선정 기준: 3순위
문4. [문1의 ②번 응답자만] 정부의 사업들 중 갈등영향분석을 실시하게 되는 사업의 기준은 무엇으로 선정해야한다고 생각하십니까? 사업선정 기준에 해당하는 사항들을 가장 중요한 순서대로 3순위까지 기입하여 주십시오. : 3순위
공공갈등 영향분석제도에 관한 조사 , 2017
Q21a
(갈등영향분석 진행 및 경험 있는 경우) 분석 결과 평가요소 및 기준: 1순위
문21. [문17의 ①번 응답자만] 갈등영향분석서의 분석 결과에 대한 평가요소 또는 기준에 대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시는 순서대로 3순위까지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순위
공공갈등 영향분석제도에 관한 조사 , 2017
Q21b
(갈등영향분석 진행 및 경험 있는 경우) 분석 결과 평가요소 및 기준: 2순위
문21. [문17의 ①번 응답자만] 갈등영향분석서의 분석 결과에 대한 평가요소 또는 기준에 대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시는 순서대로 3순위까지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순위
공공갈등 영향분석제도에 관한 조사 , 2017
Q21c
(갈등영향분석 진행 및 경험 있는 경우) 분석 결과 평가요소 및 기준: 3순위
문21. [문17의 ①번 응답자만] 갈등영향분석서의 분석 결과에 대한 평가요소 또는 기준에 대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시는 순서대로 3순위까지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3순위
공공갈등 영향분석제도에 관한 조사 , 2017
Q22
(갈등영향분석 진행 및 경험 있는 경우) 분석에 합의 절차 및 협의체 구성 사항 포함 여부
문22. [문17의 ①번 응답자만] 귀하께서 진행 또는 경험하신 갈등영향분석에 합의 절차 및 협의체 구성에 대한 사항이 포함되어 있습니까?
공공갈등 영향분석제도에 관한 조사 , 2017
Q23a
(갈등영향분석 진행 및 경험 있는 경우) 분석 진행 시 주요 사항: 1순위
문23. [문17의 ①번 응답자만] 귀하께서 진행 또는 경험하신 갈등영향분석 진행 시 중요한 부분은 무엇이었습니까? 해당하는 사항을 가장 중요한 순서대로 3순위까지 기입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순위
공공갈등 영향분석제도에 관한 조사 , 2017
Q23b
(갈등영향분석 진행 및 경험 있는 경우) 분석 진행 시 주요 사항: 2순위
문23. [문17의 ①번 응답자만] 귀하께서 진행 또는 경험하신 갈등영향분석 진행 시 중요한 부분은 무엇이었습니까? 해당하는 사항을 가장 중요한 순서대로 3순위까지 기입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순위
공공갈등 영향분석제도에 관한 조사 , 2017
Q23c
(갈등영향분석 진행 및 경험 있는 경우) 분석 진행 시 주요 사항: 3순위
문23. [문17의 ①번 응답자만] 귀하께서 진행 또는 경험하신 갈등영향분석 진행 시 중요한 부분은 무엇이었습니까? 해당하는 사항을 가장 중요한 순서대로 3순위까지 기입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3순위
공공갈등 영향분석제도에 관한 조사 , 2017
Q24a
(갈등영향분석 진행 및 경험 있는 경우) 분석 진행 시 주요 한계: 1순위
문24. [문17의 ①번 응답자만] 갈등영향분석 진행 시 나타나는 한계는 무엇입니까? 가장 주요한 한계라고 생각하시는 순서대로 3순위까지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순위
공공갈등 영향분석제도에 관한 조사 , 2017
Q24b
(갈등영향분석 진행 및 경험 있는 경우) 분석 진행 시 주요 한계: 2순위
문24. [문17의 ①번 응답자만] 갈등영향분석 진행 시 나타나는 한계는 무엇입니까? 가장 주요한 한계라고 생각하시는 순서대로 3순위까지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순위
공공갈등 영향분석제도에 관한 조사 , 2017
Q24c
(갈등영향분석 진행 및 경험 있는 경우) 분석 진행 시 주요 한계: 3순위
문24. [문17의 ①번 응답자만] 갈등영향분석 진행 시 나타나는 한계는 무엇입니까? 가장 주요한 한계라고 생각하시는 순서대로 3순위까지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3순위
공공갈등 영향분석제도에 관한 조사 , 2017
q54_1
응답자 현 직급: 00직
[54] 귀하의 현직급은?
정부간 관계 인식조사, 2002 : 중앙정부
q48
지방자치단체 통제
[48] 귀하는 현재 중앙정부의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통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정부간 관계 인식조사, 2002 : 중앙정부
q10
정부간 관계1: 지방자치단체의 중앙정부 예속여부
[10] “지방자치제下인 현재에도 실제로는 여전히 지방자치단체는 중앙정부에 예속되어 있다.”
정부간 관계 인식조사, 2002 : 중앙정부
q20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간 사무이양 정도에 대한 인식
[20] 현재 중앙의 지방에 대한 권한(사무)이양의 정도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정부간 관계 인식조사, 2002 : 중앙정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