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7
공무원 업무처리 시 다른 공무원 대상 민원인의 청탁/알선 전달 행위 보편화 정도
Q7. 귀하는 우리사회에서 공무원들이 업무처리 시 민원인의 청탁/알선을 다른 공무원에게 전달해주는 행위가 어느 정도 보편화되어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22
q4
공무원 대상 금품/향응/편의 제공 행위가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
Q4. 귀하는 행정기관에서 업무 처리 시 민원인이 공무원에게 금품/향응/편의 등을 제공하는 행위가 어느 정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십니까?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22
q8_2
공무원 행위별 보편화 정도2: 공공정보를 공개하지 않으려는 태도
Q8. 귀하는 공무원들의 다음과 같은 행동들이 어느 정도 보편화되어 있다고 보십니까?
2) 공공정보를 공개하지 않으려는 태도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22
q3
공무원 대상 금품/향응/편의 제공 행위 필요성 정도
Q3. 귀하는 우리사회에서 민원인들이 업무처리 시 공무원들에게 금품/향응/편의 등을 제공하는 행위가 어느 정도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22
q6
공무원 업무처리 시 청탁/알선 수혜 행위 보편화 정도
Q6. 귀하는 우리사회에서 공무원들이 업무처리 시 민원인의 청탁/알선을 제공받는 행위가 어느 정도 보편화되어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22
q2
공무원 대상 금품/향응/편의 제공 행위 심각성 정도
Q2. 귀하는 우리사회에서 민원인들이 업무처리 시 공무원들에게 금품/향응/편의 등을 제공하는 행위가 어느 정도 심각하다고 보십니까?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22
q5
공무원 직무수행 시 금품/향응/편의 수혜 행위 심각성 정도
Q5. 귀하는 공무원들이 직무수행과 관련하여 금품/향응/편의 등을 제공받는 행위가 어느 정도 심각하다고 생각하십니까?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22
q9
전년 대비 직무수행 관련 부정부패 수준 정도
Q9. 귀하는 공무원들이 직무수행과 관련하여 부정부패를 저지르는 수준이 1년 전과 비교하여 어떻게 변화되었다고 생각하십니까?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22
q32_5
제도별 공직부패 척결 및 방지 효과성 정도5: 공무원 불법재산 몰수제도
Q32. 귀하는 다음에서 제시하는 정부의 노력이 우리사회의 공직부패 척결 및 방지에 효과가 있다는 의견에 동의하십니까?
5) 공무원 불법재산 몰수제도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22
q32_7
제도별 공직부패 척결 및 방지 효과성 정도7: 전관예우 방지제도
Q32. 귀하는 다음에서 제시하는 정부의 노력이 우리사회의 공직부패 척결 및 방지에 효과가 있다는 의견에 동의하십니까?
7) 전관예우 방지제도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22
q32_6
제도별 공직부패 척결 및 방지 효과성 정도6: 이해충돌 방지제도
Q32. 귀하는 다음에서 제시하는 정부의 노력이 우리사회의 공직부패 척결 및 방지에 효과가 있다는 의견에 동의하십니까?
6) 이해충돌 방지제도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22
q32_4
제도별 공직부패 척결 및 방지 효과성 정도4: 공익신고제도
Q32. 귀하는 다음에서 제시하는 정부의 노력이 우리사회의 공직부패 척결 및 방지에 효과가 있다는 의견에 동의하십니까?
4) 공익신고제도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22
q33_3
기관별 부패 감시 및 통제 기능 수행 정도3: 시민단체
Q33. 귀하는 다음 각각의 기관에서 부패 감시 및 통제기능을 잘 수행하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3) 시민단체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22
q33_4
기관별 부패 감시 및 통제 기능 수행 정도4: 언론기관
Q33. 귀하는 다음 각각의 기관에서 부패 감시 및 통제기능을 잘 수행하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4) 언론기관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22
q33_5
기관별 부패 감시 및 통제 기능 수행 정도5: 사법부
Q33. 귀하는 다음 각각의 기관에서 부패 감시 및 통제기능을 잘 수행하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5) 사법부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22
q33_1
기관별 부패 감시 및 통제 기능 수행 정도1: 정당
Q33. 귀하는 다음 각각의 기관에서 부패 감시 및 통제기능을 잘 수행하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1) 정당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22
q33_2
기관별 부패 감시 및 통제 기능 수행 정도2: 국회
Q33. 귀하는 다음 각각의 기관에서 부패 감시 및 통제기능을 잘 수행하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2) 국회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22
qb21_1_5
(피해 경험 있는 경우) 타인의 부정부패로 인한 피해 종류5: 재정적 손실
Q21-1. (위의 21번 문항에 '(2) 있다' 응답자만) 귀하께서 다른 사람의 부정부패 행위로 인해 입으신 피해는 구체적으로 어떠한 것이었습니까? 아래의 보기 항목에 없다면 '(6) 기타'에 자유롭게 기술해 주시기 바랍니다.(복수 응답 가능)
4) 재정적 손실(부패행위를 하지 않음에 따르는 불이익을 방지하기 위해 부패행위를 목적으로 재원을 배분함)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22
qb21_1_2
(피해 경험 있는 경우) 타인의 부정부패로 인한 피해 종류2: 채용 또는 승진 누락, 근로 계약 종료 등 인사 불이익
Q21-1. (위의 21번 문항에 '(2) 있다' 응답자만) 귀하께서 다른 사람의 부정부패 행위로 인해 입으신 피해는 구체적으로 어떠한 것이었습니까? 아래의 보기 항목에 없다면 '(6) 기타'에 자유롭게 기술해 주시기 바랍니다.(복수 응답 가능)
2) 채용 또는 승진 누락, 근로 계약 종료 등 인사 불이익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22
qb21_1_3
(피해 경험 있는 경우) 타인의 부정부패로 인한 피해 종류3: 사업 관련 조사, 감독 및 규제 증가
Q21-1. (위의 21번 문항에 '(2) 있다' 응답자만) 귀하께서 다른 사람의 부정부패 행위로 인해 입으신 피해는 구체적으로 어떠한 것이었습니까? 아래의 보기 항목에 없다면 '(6) 기타'에 자유롭게 기술해 주시기 바랍니다.(복수 응답 가능)
3) 사업 관련 조사, 감독 및 규제의 증가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