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39A3
분쟁조정제도 운영의 효과3: 지방분쟁조정위원회
39. 귀하께서는 현재 운영되고 있는 다음의 분쟁조정제도들이 효과적으로 운영되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3) 지방분쟁조정위원회
정부간 관계 인식조사, 2017
Q24A3
지방재정을 확충할 효과적인 요소3: 국세의 지방세 이양
24. 다음은 지방재원 확충을 위해 논의되거나 정부가 시행하고 있는 사항들입니다. 귀하께서는 각각 사항들이 지방재원을 확충할 효과적 요소라고 생각하십니까?
3) 국세의 지방세 이양 (국세와 지방세의 과목 변경)
정부간 관계 인식조사, 2017
DQ1
응답자 직급
DQ1. 귀하의 현직급은 어떻게 되십니까?
정부간 관계 인식조사, 2017
Q33A3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중앙정부의 영향력3: 인사에 관한 관여
33. 귀하께서는 현재 중앙정부가 지방자치단체에 대해 가지는 다음 관여들이 얼마나 영향력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3) 인사에 관한 관여
정부간 관계 인식조사, 2017
A1_11
국제협력 교류 국가1
A1-1. 참여해보신 경험이 있으시다면, 어떤 국가들과 교류했었는지 적어주십시오. (교류 국가가 많은 경우, 가장 친밀하게 교류한 국가 3곳을 적어주십시오.)
재난안전분야 국제협력 전략도출을 위한 전문가 의견조사, 2017
SQ1_1A2
자연재해 전문분야2: 태풍
SQ1-1. 전문 분야자연재해-(2) 태풍
재난안전분야 국제협력 전략도출을 위한 전문가 의견조사, 2017
SQ2
해당 업무 종사기간
SQ2. 해당업무 종사 기간
재난안전분야 국제협력 전략도출을 위한 전문가 의견조사, 2017
B1_2
주무부처의 국제협력 추진 전략 및 성과 평가2: 국제협력을 위한 충분한 전문성을 확보하고 있음
B1. (추진체계) 주무부처(행정안전부)의 국제협력 추진 전략 및 성과에 대해 어떻게 평가하십니까? 아래 각 항목별로 동의하시는 정도를 말씀해 주십시오.2) 주무부처는 국제협력을 위한 충분한 전문성을 확보하고 있다
재난안전분야 국제협력 전략도출을 위한 전문가 의견조사, 2017
C1_11
국제협력 추진방향 비중1-1: 재해위험경감 - 개도국대상
C1. (국제 레짐 및 의제) 국제사회의 논의 및 의제에 나타나는 주요 키워드들에 대해, 우리나라의 수준을 평가해주십시오. 각각의 항목에 대해, 국제협력 추진방향의 비중을 제시하여 주십시오.1) 재해위험경감-개도국 대상 국제협력
재난안전분야 국제협력 전략도출을 위한 전문가 의견조사, 2017
D1_2
재난안전분야 국제 연구 협력 및 교류수준 평가2: 국제 논문 게재 수준
D1. (연구 기반 구축) 5개 키워드에 대해 국제 연구동향 분석 결과, 영국, 미국, 일본 등이 가장 많은 논문을 출판하고 있었으며, 중국도 1개 키워드에 대해 상위5위에 올랐습니다. 우리나라의 재난안전분야 국제 연구 협력 및 교류 수준은 어떻다고 생각하십니까?2) 국제 논문 게재 수준
재난안전분야 국제협력 전략도출을 위한 전문가 의견조사, 2017
E1_2
효과적인 국제협력 추진 방식2: 공동세미나/컨퍼런스/워크샵
E1. (국제교류협력) 일반 협력국가 (선진국 등) 대상 국제협력을 추진하는데 있어 다음의 유형은 얼마나 효과적이라고 생각하십니까? 아래 각 항목별로 동의하시는 정도를 말씀해 주십시오.2) 공동세미나/컨퍼런스/워크샵
재난안전분야 국제협력 전략도출을 위한 전문가 의견조사, 2017
C1_12
국제협력 추진방향 비중1-2: 재해위험경감 - 일반협력국 대상
C1. (국제 레짐 및 의제) 국제사회의 논의 및 의제에 나타나는 주요 키워드들에 대해, 우리나라의 수준을 평가해주십시오. 각각의 항목에 대해, 국제협력 추진방향의 비중을 제시하여 주십시오.1) 재해위험경감-일반 협력국 국제협력
재난안전분야 국제협력 전략도출을 위한 전문가 의견조사, 2017
B1_3
주무부처의 국제협력 추진 전략 및 성과 평가3: 국제협력을 위한 충분한 경험이 있음
B1. (추진체계) 주무부처(행정안전부)의 국제협력 추진 전략 및 성과에 대해 어떻게 평가하십니까? 아래 각 항목별로 동의하시는 정도를 말씀해 주십시오.3) 주무부처는 국제협력을 위한 충분한 경험이 있다
재난안전분야 국제협력 전략도출을 위한 전문가 의견조사, 2017
SQ3
응답자 성별
SQ3. 성별
재난안전분야 국제협력 전략도출을 위한 전문가 의견조사, 2017
A1_12
국제협력 교류 국가2
A1-1. 참여해보신 경험이 있으시다면, 어떤 국가들과 교류했었는지 적어주십시오. (교류 국가가 많은 경우, 가장 친밀하게 교류한 국가 3곳을 적어주십시오.)
재난안전분야 국제협력 전략도출을 위한 전문가 의견조사, 2017
D1_3
재난안전분야 국제 연구 협력 및 교류수준 평가3: 국제 공동연구 추진 수준
D1. (연구 기반 구축) 5개 키워드에 대해 국제 연구동향 분석 결과, 영국, 미국, 일본 등이 가장 많은 논문을 출판하고 있었으며, 중국도 1개 키워드에 대해 상위5위에 올랐습니다. 우리나라의 재난안전분야 국제 연구 협력 및 교류 수준은 어떻다고 생각하십니까?3) 국제 공동연구 추진 수준
재난안전분야 국제협력 전략도출을 위한 전문가 의견조사, 2017
SQ1_1A3
자연재해 전문분야3: 산사태
SQ1-1. 전문 분야자연재해-(3) 산사태
재난안전분야 국제협력 전략도출을 위한 전문가 의견조사, 2017
E1_3
효과적인 국제협력 추진 방식3: 실무협력
E1. (국제교류협력) 일반 협력국가 (선진국 등) 대상 국제협력을 추진하는데 있어 다음의 유형은 얼마나 효과적이라고 생각하십니까? 아래 각 항목별로 동의하시는 정도를 말씀해 주십시오.3) 실무협력
재난안전분야 국제협력 전략도출을 위한 전문가 의견조사, 2017
C1_2
국제 레짐 및 의제 국내 수준 평가2: 리질리언스
C1. (국제 레짐 및 의제) 국제사회의 논의 및 의제에 나타나는 주요 키워드들에 대해, 우리나라의 수준을 평가해주십시오. 각각의 항목에 대해, 국제협력 추진방향의 비중을 제시하여 주십시오.2) 리질리언스
재난안전분야 국제협력 전략도출을 위한 전문가 의견조사, 2017
B1_4
주무부처의 국제협력 추진 전략 및 성과 평가4: 국제협력을 위한 추진의지는 높은 편임
B1. (추진체계) 주무부처(행정안전부)의 국제협력 추진 전략 및 성과에 대해 어떻게 평가하십니까? 아래 각 항목별로 동의하시는 정도를 말씀해 주십시오.4) 주무부처의 국제협력을 위한 추진의지는 높은 편이다
재난안전분야 국제협력 전략도출을 위한 전문가 의견조사,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