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45_7
협력제도 효과성 평가7: 중앙지방협력회의
45. 귀하께서는 현재 운영되고 있는 다음의 협력제도들이 효과적으로 운영되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7) 중앙지방협력회의
정부간 관계 인식조사, 2023
Q45_1a
특별지방자치단체가 비효과적인 이유
45-1. 최근 도입된 특별지방자치단체가 효과적으로 운영되고 있지 못하는 주된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정부간 관계 인식조사, 2023
Q45_2a
중앙지방협력회의가 비효과적인 이유
45-2. 최근 도입된 중앙지방협력회의가 효과적으로 운영되고 있지 못하는 주된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정부간 관계 인식조사, 2023
Q46_1
정부간 갈등 조정 및 협력 추동을 위한 우선 고려 제도: 1순위
46. 정부 간 협력을 추동하기 위해서 다음의 제도 중에 어떠한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중요한 순서대로 두 가지를 선택해 주시기 바랍니다.
: 1순위
정부간 관계 인식조사, 2023
Q46_2
정부간 갈등 조정 및 협력 추동을 위한 우선 고려 제도: 2순위
46. 정부 간 협력을 추동하기 위해서 다음의 제도 중에 어떠한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중요한 순서대로 두 가지를 선택해 주시기 바랍니다.
: 2순위
정부간 관계 인식조사, 2023
Q47
우리나라 지방소멸 문제의 심각성
47. 귀하께서는 우리나라의 지방소멸 문제가 얼마나 심각하다고 생각하십니까?
정부간 관계 인식조사, 2023
Q47_1
[광역/기초] 소속 지방자치단체에서의 지방소멸 문제의 심각성
47-1. 귀하의 소속 지방자치단체에서의 지방소멸 문제가 얼마나 심각하다고 생각하십니까?
정부간 관계 인식조사, 2023
Q48
지방소멸 문제에 대한 중앙정부의 대응 평가
48. 귀하께서는 지방소멸 문제에 대한 중앙정부의 대응이 얼마나 효과적이라고 생각하십니까?
정부간 관계 인식조사, 2023
Q48_1
[광역/기초] 소속 지역의 지방소멸 문제에 대한 지방자치단체의 대응 평가
48-1. 귀하께서는 소속된 지역의 지방소멸 문제에 대한 지방자치단체의 대응 수준이 얼마나 효과적이라고 생각하십니까?
정부간 관계 인식조사, 2023
Q49_1
[광역/기초] 소속 지방자치단체의 지방소멸 대응 준비 수준1: 지방소멸 대응에 대한 관심
49. 귀하의 소속 지방자치단체의 지방소멸 대응에 대한 다음의 사항이 얼마나 준비되었다고 생각하십니까?
1) 지방소멸 대응에 대한 관심
정부간 관계 인식조사, 2023
Q49_2
[광역/기초] 소속 지방자치단체의 지방소멸 대응 준비 수준2: 지방소멸 대응을 위한 전문지식과 기술
49. 귀하의 소속 지방자치단체의 지방소멸 대응에 대한 다음의 사항이 얼마나 준비되었다고 생각하십니까?
2) 지방소멸 대응을 위한 전문지식과 기�
정부간 관계 인식조사, 2023
Q49_3
[광역/기초] 소속 지방자치단체의 지방소멸 대응 준비 수준3: 지방소멸 대응을 위한 자원
49. 귀하의 소속 지방자치단체의 지방소멸 대응에 대한 다음의 사항이 얼마나 준비되었다고 생각하십니까?
3) 지방소멸 대응을 위한 자원
정부간 관계 인식조사, 2023
Q49_4
[광역/기초] 소속 지방자치단체의 지방소멸 대응 준비 수준4: 지방소멸 대응을 위한 상위수준 정부의 지원 확보
49. 귀하의 소속 지방자치단체의 지방소멸 대응에 대한 다음의 사항이 얼마나 준비되었다고 생각하십니까?
4) 지방소멸 대응을 위한 상위수준 정부의 지원 확보
정부간 관계 인식조사, 2023
Q49_5
[광역/기초] 소속 지방자치단체의 지방소멸 대응 준비 수준5: 지방소멸 대응 협력체계에 대한 참여권
49. 귀하의 소속 지방자치단체의 지방소멸 대응에 대한 다음의 사항이 얼마나 준비되었다고 생각하십니까?
5) 지방소멸 대응 협력체계에 대한 참여권
정부간 관계 인식조사, 2023
Q50_1
지방소멸 대응에 대한 주도권1: 정책결정
50. 귀하께서는 지방소멸 대응과 관련하여 다음의 사항에 대한 주도권이 중앙정부 또는 지방정부 중 어느 쪽에 더 가깝게 배분되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1) 지방소멸대응 정책결정
정부간 관계 인식조사, 2023
Q50_2
지방소멸 대응에 대한 주도권2: 정책집행
50. 귀하께서는 지방소멸 대응과 관련하여 다음의 사항에 대한 주도권이 중앙정부 또는 지방정부 중 어느 쪽에 더 가깝게 배분되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2) 지방소멸대응 정책집행
정부간 관계 인식조사, 2023
Q50_3
지방소멸 대응에 대한 주도권3: 추진성과 평가
50. 귀하께서는 지방소멸 대응과 관련하여 다음의 사항에 대한 주도권이 중앙정부 또는 지방정부 중 어느 쪽에 더 가깝게 배분되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3) 지방소멸대응 추진성과 평가
정부간 관계 인식조사, 2023
Q50_4
지방소멸 대응에 대한 주도권4: 재원조달
50. 귀하께서는 지방소멸 대응과 관련하여 다음의 사항에 대한 주도권이 중앙정부 또는 지방정부 중 어느 쪽에 더 가깝게 배분되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4) 지방소멸대응 재원조달
정부간 관계 인식조사, 2023
Q50_5
지방소멸 대응에 대한 주도권5: 정책홍보
50. 귀하께서는 지방소멸 대응과 관련하여 다음의 사항에 대한 주도권이 중앙정부 또는 지방정부 중 어느 쪽에 더 가깝게 배분되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5) 지방소멸대응 정책홍보
정부간 관계 인식조사, 2023
Q51_1
인구감소지역 문제 대응책 효과 평가1: 고향사랑 기부제도
51. 귀하께서는 우리나라의 인구감소지역 문제가 대응하기 위한 다음의 정책(안)이 얼마나 효과적일 것이라고 생각하십니까?
1) 고향사랑 기부제도
정부간 관계 인식조사,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