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SSDA Loading

한국행정연구원17817

한국행정연구원

한국행정연구원(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은 국가행정발전에 이바지할 목적으로 1991년 설립된 국무총리실 산하 연구기관입니다. 행정체제의 발전과 행정제도 및 그 운영의 개선에 관한 사항을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행정에 관련된 정보 및 자료를 수집, 관리, 지원하며, 국내외 연구기관과의 교류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특히, 국가승인통계인 <사회통합실태조사>, <공직생활실태조사> 등 국정운영과 관련한 행정 및 정책에 대한 다양한 조사와 연구를 수행하여 증거에 기반한 정책수립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자료 검색  Search Tips Start a new search
  • 결과수
  • 정렬 기준
  • 정렬

검색결과 17,817건 중 3,461-3,480 (소요 시간: 0.01 초)

변수명 / 변수설명/ 문항 / 자료명
a134

업무처리과정에서 주된 용건4: 기초자치단체 지방공무원

13. 귀하께서 업무처리과정에서 다음의 각 주체들과 접촉하신 경우 주된 용건은 무엇입니까?4) 기초자치단체 지방공무원

정부간 관계 인식조사, 2020

a19

[광역/기초] 위임사무 또는 자치사무 등 다른 사무 비교 공동사무의 업무량 수준

19. 귀하의 업무수행 경험에 비추어 복수의 행정주체가 동일한 사무를 공동으로 수행하는 ‘공동사무’가 ‘위임사무’와 ‘자치사무’ 등 다른 사무와 비교하여 많은 편입니까?

정부간 관계 인식조사, 2020

a32317

(효과적이지 않은 경우) 국고보조금 제도 문제점7: 공모사업방식으로 인한 서류작성 업무과다

32-3-1. 다음은 국고보조금 제도에 대해 자주 언급되는 문제점들입니다. 귀하는 각 문제점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계십니까?7) 공모사업방식으로 인한 서류작성 업무과다

정부간 관계 인식조사, 2020

a298

중앙과 지방간 재정적 관계 논의점8: 취·등록세 인하 후 지방재정 보전 방안 수립 미흡

29. 귀하께서는 현재 중앙과 지방간의 재정적 관계에서 논의되고 있는 다음 사항들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8) 취·등록세 인하 후 지방재정 보전 방안 수립 미흡

정부간 관계 인식조사, 2020

a2123

미흡한 권한이양의 주된 원인3: 중앙부처의 지방자치제 분권의지 부족

21-2. 중앙정부의 권한이양이 ‘불충분하게’ 이루어지고 있다고 생각하신다면 권한이양이 미흡하게 이루어지는 다음의 원인들에 대해 어느 정도 동의하십니까?3) 중앙부처의 지방자치제 분권의지 부족

정부간 관계 인식조사, 2020

q21_3

기관의 의사결정 인식3: 직원들은 우리 기관에서 이루어지는 기관의 의사결정 인식에 대해 설명이나 추가적인 정보를 요구할 수 있다

21. 귀하가 속한 기관의 의사결정과 관련한 다음 각 항목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3) 직원들은 우리 기관에서 이루어지는 의사결정에 대해 설명이나 추가적인 정보를 요구할 수 있다

공직생활실태조사, 2020

q21_2

기관의 의사결정 인식2: 우리 기관은 어떠한 기관의 의사결정 인식을 하는데 있어 직원들의 의견을 최대한 고려한다

21. 귀하가 속한 기관의 의사결정과 관련한 다음 각 항목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2) 우리 기관은 어떠한 의사결정을 하는데 있어 직원들의 의견을 최대한 고려한다

공직생활실태조사, 2020

q20_4

기관의 조직문화 인식4: 우리 기관은 새로운 도전과제 해결을 위해 직원들의 직관/통찰력, 성장을 중시한다

20. 귀하가 속한 기관의 조직문화와 관련한 다음 각 항목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4) 우리 기관은 새로운 도전과제 해결을 위해 직원들의 직관/통찰력, 성장을 중시한다

공직생활실태조사, 2020

q21_4

기관의 의사결정 인식4: 우리 기관에서 이루어지는 기관의 의사결정 인식에 대해 직원들이 이의를 제기할 수 있다

21. 귀하가 속한 기관의 의사결정과 관련한 다음 각 항목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4) 우리 기관에서 이루어지는 의사결정에 대해 직원들이 이의를 제기할 수 있다

공직생활실태조사, 2020

q21_1

기관의 의사결정 인식1: 우리 기관에서는 공정한 방식을 통해 기관의 의사결정 인식이 이루어진다

21. 귀하가 속한 기관의 의사결정과 관련한 다음 각 항목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1) 우리 기관에서는 공정한 방식을 통해 의사결정이 이루어진다

공직생활실태조사, 2020

q20_8

기관의 조직문화 인식8: 우리 기관은 문서화/책임/통제/정보관리를 중시한다

20. 귀하가 속한 기관의 조직문화와 관련한 다음 각 항목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8) 우리 기관은 문서화/책임/통제/정보관리를 중시한다

공직생활실태조사, 2020

q20_7

기관의 조직문화 인식7: 우리 기관은 안정성/일관성/규칙준수를 강조한다

20. 귀하가 속한 기관의 조직문화와 관련한 다음 각 항목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7) 우리 기관은 안정성/일관성/규칙준수를 강조한다

공직생활실태조사, 2020

q20_6

기관의 조직문화 인식6: 우리 기관은 조직사기/팀워크를 중시한다

20. 귀하가 속한 기관의 조직문화와 관련한 다음 각 항목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6) 우리 기관은 조직사기/팀워크를 중시한다

공직생활실태조사, 2020

q20_5

기관의 조직문화 인식5: 우리 기관은 참여/협력/신뢰를 강조한다

20. 귀하가 속한 기관의 조직문화와 관련한 다음 각 항목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5) 우리 기관은 참여/협력/신뢰를 강조한다

공직생활실태조사, 2020

dq11

일주일 평균 시간외 근무시간

11) 시간 외 근무시간 (지난 1개월 간) 1주일 평균 __________________ 시간 ※ 출퇴근 시스템을 활용하여 기입해 주시기 바랍니다.

공직생활실태조사, 2020

dq10

일주일 평균 근무시간

10) 총 근무시간 (지난 1개월 간) 1주일 평균 __________________ 시간 ※ 출퇴근 시스템을 활용하여 기입해 주시기 바랍니다.

공직생활실태조사, 2020

dq6

응답자 입직 준비기간

6) 입직 준비기간 (수험기간)

공직생활실태조사, 2020

dq7

공무원 입직년도(재직기간)

7) 공무원 입직년도

공직생활실태조사, 2020

dq9_1

응답자 직급: 입직 당시

9) 직급 : 입직당시

공직생활실태조사, 2020

dq8

입직 시 채용 방식

8) 입직 시 채용 방식

공직생활실태조사,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