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SSDA Loading

한국행정연구원17817

한국행정연구원

한국행정연구원(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은 국가행정발전에 이바지할 목적으로 1991년 설립된 국무총리실 산하 연구기관입니다. 행정체제의 발전과 행정제도 및 그 운영의 개선에 관한 사항을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행정에 관련된 정보 및 자료를 수집, 관리, 지원하며, 국내외 연구기관과의 교류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특히, 국가승인통계인 <사회통합실태조사>, <공직생활실태조사> 등 국정운영과 관련한 행정 및 정책에 대한 다양한 조사와 연구를 수행하여 증거에 기반한 정책수립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자료 검색  Search Tips Start a new search
  • 결과수
  • 정렬 기준
  • 정렬

검색결과 17,817건 중 2,361-2,380 (소요 시간: 0.01 초)

변수명 / 변수설명/ 문항 / 자료명
a3710

기관별 부패 감시 및 통제 기제 작동 정도10: 국민권익위원회

37. 귀하는 다음 각각의 기관에서 부패 감시 및 통제기능을 잘 수행하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10) 국민권익위원회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21

a3705

기관별 부패 감시 및 통제 기제 작동 정도5: 사법부

37. 귀하는 다음 각각의 기관에서 부패 감시 및 통제기능을 잘 수행하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5) 사법부(법원)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21

a3709

기관별 부패 감시 및 통제 기제 작동 정도9: 감사원

37. 귀하는 다음 각각의 기관에서 부패 감시 및 통제기능을 잘 수행하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9) 감사원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21

a3706

기관별 부패 감시 및 통제 기제 작동 정도6: 검찰

37. 귀하는 다음 각각의 기관에서 부패 감시 및 통제기능을 잘 수행하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6) 검찰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21

a3707

기관별 부패 감시 및 통제 기제 작동 정도7: 경찰

37. 귀하는 다음 각각의 기관에서 부패 감시 및 통제기능을 잘 수행하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7) 경찰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21

age

응답자 연령: 범주형

DQ2. 귀하의 출생년도는 언제입니까? ==> 출생년도로 계산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21

sex

응답자 성별

DQ1. 귀하의 성별은 무엇입니까?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21

a1416

공직부패 발생요인8: 사정(비리 적발)기관 활동의 비효과성

30. 다음은 공직부패의 발생요인과 관련된 질문입니다. 귀하는 다음 각각의 항목이 공직부패를 일으키는데 어느 정도 원인이 된다고 생각하십니까? 부패에 대한 통제 측면-(8) 사정(비리 적발)기관 활동의 비효과성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21

a1412

공직부패 발생요인6: 담당공무원의 자의적 업무처리 재량

30. 다음은 공직부패의 발생요인과 관련된 질문입니다. 귀하는 다음 각각의 항목이 공직부패를 일으키는데 어느 정도 원인이 된다고 생각하십니까? 공직자인적 측면-(6) 담당공무원의 자의적 업무처리 재량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21

a1417

공직부패 발생요인9: 비리공직자에 대한 관대한 처벌

30. 다음은 공직부패의 발생요인과 관련된 질문입니다. 귀하는 다음 각각의 항목이 공직부패를 일으키는데 어느 정도 원인이 된다고 생각하십니까? 부패에 대한 통제 측면-(9) 비리공직자에 대한 관대한 처벌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21

a1415

공직부패 발생요인7: 시민단체 등 민간 역할의 미비

30. 다음은 공직부패의 발생요인과 관련된 질문입니다. 귀하는 다음 각각의 항목이 공직부패를 일으키는데 어느 정도 원인이 된다고 생각하십니까? 부패에 대한 통제 측면-(7) 시민단체 등 민간 역할의 미비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21

a1410

공직부패 발생요인5: 공무원 개인의 윤리의식 부족

30. 다음은 공직부패의 발생요인과 관련된 질문입니다. 귀하는 다음 각각의 항목이 공직부패를 일으키는데 어느 정도 원인이 된다고 생각하십니까? 공직자인적 측면-(5) 공무원 개인의 윤리의식 부족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21

a176

각 제도의 공직부패 예방 가능성3: 내부고발자 보호제도

31. 귀하는 다음에서 제시하는 정부의 노력이 우리사회의 공직부패 척결 및 방지에 효과가 있다는 의견에 동의하십니까? (3) 내부고발자보호제도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21

c181

각 제도의 공직부패 예방 가능성1: 청탁금지법

31. 귀하는 다음에서 제시하는 정부의 노력이 우리사회의 공직부패 척결 및 방지에 효과가 있다는 의견에 동의하십니까? (1) 청탁금지법(일명 “김영란법”)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21

a172

각 제도의 공직부패 예방 가능성2: 공직자윤리법

31. 귀하는 다음에서 제시하는 정부의 노력이 우리사회의 공직부패 척결 및 방지에 효과가 있다는 의견에 동의하십니까? (2) 공직자윤리법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21

a178

각 제도의 공직부패 예방 가능성4: 공익신고제도

31. 귀하는 다음에서 제시하는 정부의 노력이 우리사회의 공직부패 척결 및 방지에 효과가 있다는 의견에 동의하십니까? (4) 공익신고제도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21

a16101

(과거에 공무원 접촉 경험 있는 경우) 경험1: 업무과정에서 무성의한 태도

16-1. 귀하는 과거 공무원과 접촉하면서 다음과 같은 경험이 있었습니까? (1) 업무처리 과정에서 무성의한 태도(ex.무성의한 답변, 왜 그런 질문을 하는지에 눈치를 주는듯한 시선)에 기분이 상한 경험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21

a15103

과거에 공직자를 접촉하면서 느낀 점3: 공무원이 업무처리에 불필요한 요구를 했다

15-1. 귀하께서 과거 공무원을 접촉하면서 느낀 점을 표현해 주십시오. (3) 공무원이 업무처리에 불필요한 요구를 했다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21

a15104

과거에 공직자를 접촉하면서 느낀 점4: 공무원의 처분(결정) 내용이 적절했다

15-1. 귀하께서 과거 공무원을 접촉하면서 느낀 점을 표현해 주십시오. (4) 공무원의 처분(결정) 내용이 적절했다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21

a16102

(과거에 공무원 접촉 경험 있는 경우) 경험2: 법 규정에 없다는 태도

16-1. 귀하는 과거 공무원과 접촉하면서 다음과 같은 경험이 있었습니까? (2) 법과 규정에 없다는 태도에 화가 난 경험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