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31_3
우울할 때 사적으로 대화할 수 있는 사람 수
31. 귀하는 다음의 각 항목에 해당되는 사람이 몇 명 정도 되십니까?
(3) 우울하거나 스트레스를 받을 때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사람
사회통합실태조사 , 2018
q31_1
갑자기 목돈이 필요할 경우 빌릴 수 있는 사람 수
31. 귀하는 다음의 각 항목에 해당되는 사람이 몇 명 정도 되십니까?
(1) 갑자기 목돈이 필요한 경우 돈을 빌릴 수 있는 사람
사회통합실태조사 , 2018
q31_2
몸이 아플 때 도와줄 수 있는 사람 수
31. 귀하는 다음의 각 항목에 해당되는 사람이 몇 명 정도 되십니까?
(2) 몸이 아파서 거동하기가 어려울 때 도와줄 수 있는 사람
사회통합실태조사 , 2018
q32_2
자살하고 싶은 생각이 드는 정도
32. 귀하는 다음의 각 항목에 대하여 어떻게 느끼십니까?
(2) 나는 자살하고 싶은 생각이 들 때가 있다
사회통합실태조사 , 2018
q32_3
아무도 나를 잘 알지 못한다고 느끼는 정도
32. 귀하는 다음의 각 항목에 대하여 어떻게 느끼십니까?
(3) 아무도 나를 잘 알지 못한다
사회통합실태조사 , 2018
q34_1
집단별 신뢰 정도-가족
34. 귀하는 다음 집단들에 대하여 얼마나 신뢰하고 있습니까?
(1) 가족(친척 포함)
사회통합실태조사 , 2018
q33
일반적으로 사람들을 신뢰하는 정도
33. 귀하는 일반적으로 사람들을 어느 정도 믿을 수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사회통합실태조사 , 2018
q34_2
집단별 신뢰 정도-이웃
34. 귀하는 다음 집단들에 대하여 얼마나 신뢰하고 있습니까?
(2) 이웃
사회통합실태조사 , 2018
q32_1
외롭다고 느끼는 정도
32. 귀하는 다음의 각 항목에 대하여 어떻게 느끼십니까?
(1) 나는 외롭다
사회통합실태조사 , 2018
q39_6
기관별 공정한 업무수행에 대한 인식-중앙선거관리위원회
39. 귀하는 다음 기관들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6)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출마자들의 공정한 경쟁을 보장한다
사회통합실태조사 , 2018
q38_10
지난 1년간 공공 서비스 이용 경험 여부-보건 서비스
39. 귀하는 지난 1년(2017. 9. 1. ~ 2018. 8. 31.) 동안 다음 활동 혹은 공공 서비스를 경험해 보신 적이 있습니까?
(10) 보건 서비스
사회통합실태조사 , 2018
q38_10_1
지난 1년간 공공 서비스 이용 경험 만족도-보건 서비스
38-1. 그러한 경험이 있다면, 해당 활동 혹은 공공 서비스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십니까?
(10) 보건 서비스
사회통합실태조사 , 2018
q38_9_1
지난 1년간 공공 서비스 이용 경험 만족도-교육 서비스
38-1. 그러한 경험이 있다면, 해당 활동 혹은 공공 서비스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십니까?
(9) 교육 서비스
사회통합실태조사 , 2018
q39_1
기관별 공정한 업무수행에 대한 인식-행정기관
39. 귀하는 다음 기관들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1) 행정기관은 공정한 행정서비스를 제공한다
사회통합실태조사 , 2018
q39_2
기관별 공정한 업무수행에 대한 인식-국회
39. 귀하는 다음 기관들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2) 국회는 국민의 이익을 공정하게 대변한다
사회통합실태조사 , 2018
q39_4
기관별 공정한 업무수행에 대한 인식-검찰
39. 귀하는 다음 기관들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4) 검찰은 법을 공정하게 집행한다
사회통합실태조사 , 2018
q39_5
기관별 공정한 업무수행에 대한 인식-경찰
39. 귀하는 다음 기관들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5) 경찰은 법을 공정하게 집행한다
사회통합실태조사 , 2018
q39_3
기관별 공정한 업무수행에 대한 인식-법원
39. 귀하는 다음 기관들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3) 법원은 공정한 재판을 보장한다
사회통합실태조사 , 2018
d6
지난 일주일간 일자리 유무
D-6. 귀하는 지난 일주일 동안 수입을 목적으로 1시간 이상 일을 하셨습니까? 또는 돈을 받지 않고 동일 가구 내 가족이 경영하는 사업체나 농장 등에서 18시간 이상 일을 하셨습니까?
※ 부업, 아르바이트 등 수입이 있는 일을 1시간 이상 했거나 일시적인 병, 사고 또는 연(휴)가, 육아, 노사분규, 사업부진, 조업중단 등으로 일시휴직 중이신 분도 ‘① 예 - 일을 하였다’에 해당됩니다.
사회통합실태조사 , 2018
d3
가구주와의 관계
D-3. 귀하는 가구주와 어떤 관계입니까?
※ 가구주는 세대주와는 관계없이 가계를 실제로 책임지고 있는 생계책임자를 의미합니다.
사회통합실태조사 ,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