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5_3_1
공론화 원칙 중요도1: 독립성 - 독립 전담기구 및 위원회 존재 여부
5. 다음은 공론화의 주요 원칙과 관련된 요인들입니다. 다음의 요인들이 성공적인 공론화를 위해 얼마나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3) 독립성(1) 독립된 전담기구 또는 위원회의 존재 여부
정책수용성, 사회통합, 공론화에 대한 인식조사, 2017
C5_2_1
공론화 원칙 중요도1: 민주성 - 공론화 절차의 공정성
5. 다음은 공론화의 주요 원칙과 관련된 요인들입니다. 다음의 요인들이 성공적인 공론화를 위해 얼마나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2) 민주성(1) 공론화 절차의 공정성
정책수용성, 사회통합, 공론화에 대한 인식조사, 2017
C5_1_1
공론화 원칙 중요도1: 투명성 - 투명한 정보공개
5. 다음은 공론화의 주요 원칙과 관련된 요인들입니다. 다음의 요인들이 성공적인 공론화를 위해 얼마나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1) 투명성(1) 투명한 정보공개(객관적이고 정확한 정보)
정책수용성, 사회통합, 공론화에 대한 인식조사, 2017
C1
우리사회의 공론화 수준
1. 선생님께서는 우리사회의 공론화 수준이 어느 정도라고 생각하십니까?
정책수용성, 사회통합, 공론화에 대한 인식조사, 2017
A3_1_2
정책수용성 영향요인 중요도2: 충실성 - 정책 수립 및 집행 시기의 적절성
3. 다음은 정책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정책내용’의 특성과 관련한 것입니다. 다음의 요인들이 정책수용성을 위해 얼마나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1) 정책의 충실설(2) 정책 수립 및 집행 시기의 적절성
정책수용성, 사회통합, 공론화에 대한 인식조사, 2017
TYPE
조사대상 구분
정책수용성, 사회통합, 공론화에 대한 인식조사, 2017
DQ2
응답자 연령
2. 연령은 어떻게 되십니까?
정책수용성, 사회통합, 공론화에 대한 인식조사, 2017
A2_1_1
정책 인지도1: 전력관련 설비의 설치 정책
2. 선생님께서는 다음의 정책에 대해 어느 정도 알고 계십니까? 또한, 들어본 적이 있거나 잘 알고 계시다면 다음의 정책 방향에 대해서 어느 정도 만족하십니까?정책 인지도(1) 전력관련 설비의 설치 정책(원전, 방폐장, 송전탑 등)
정책수용성, 사회통합, 공론화에 대한 인식조사, 2017
A4_1_2
정책수용성 영향요인 중요도2: 정책수행능력 - 인적·물적 자원 확보 능력
4. 다음은 정책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정책 집행자(집행주체)’의 특성과 관련한 것입니다. 다음의 요인들이 정책수용성을 위해 얼마나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1) 정책수행능력(2) 인적, 물적 자원 확보 능력
정책수용성, 사회통합, 공론화에 대한 인식조사, 2017
A5_1_2
정책수용성 영향요인 중요도2: 피규제경험 - 재산권 제약 및 지역발전 지연
5. 다음은 정책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정책 대상자(수용주체)’의 특성과 관련한 것입니다. 다음의 요인들이 정책수용성을 위해 얼마나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1) 피규제경험(규제를 받은 경험)(2) 재산권 제약 및 지역발전 지연
정책수용성, 사회통합, 공론화에 대한 인식조사, 2017
A6_2_1
정책수용성 영향요인 중요도1: 관련지역 상황 - 거주지역의 누적된 규제경험
6. 다음은 정책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정책환경’의 특성과 관련한 것입니다. 다음의 요인들이 정책수용성을 위해 얼마나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2) 관련지역 상황(1) 거주지역의 누적된 규제경험
정책수용성, 사회통합, 공론화에 대한 인식조사, 2017
A7_1_2
정책수용성 영향요인 중요도2: 규제 및 경제적 보상 - 정책적 인센티브 제공
7. 다음은 정책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정책수단’의 특성과 관련한 것입니다. 다음의 요인들이 정책수용성을 위해 얼마나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1) 규제 및 경제적 보상(2) 조세혜택, 보상 등 정책적 인센티브 제공
정책수용성, 사회통합, 공론화에 대한 인식조사, 2017
B2
갈등해소 및 사회통합에 대한 공론화 과정의 기여도
2. 선생님께서는 정부 정책 및 사회적 현안에 대한 ‘공론화’ 과정이 갈등해소 및 사회통합에 어느 정도 기여할 수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정책수용성, 사회통합, 공론화에 대한 인식조사, 2017
B4
우리사회 집단 및 사회구성원 간 협력 정도
4. 선생님께서는 우리사회 집단 및 사회구성원 간 협력이 얼마나 잘 이루어지고 있다고 보십니까?
정책수용성, 사회통합, 공론화에 대한 인식조사, 2017
B8_2
사회통합에 미치는 영향2: 집단 및 사회구성원 간 신뢰 수준
8. 다음은 사회통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질문입니다. 다음의 요인들이 사회통합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십니까?(2) 집단 및 사회구성원 간의 신뢰의 수준
정책수용성, 사회통합, 공론화에 대한 인식조사, 2017
B6
정부에 대한 신뢰 수준
6. 선생님께서는 정부를 어느 정도 믿을 수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정책수용성, 사회통합, 공론화에 대한 인식조사, 2017
B10
우리 정부의 갈등관리 역량 수준
10. 선생님께서는 전반적으로 현재 우리 정부의 갈등관리 역량 수준이 어느 정도라고 생각하십니까?
정책수용성, 사회통합, 공론화에 대한 인식조사, 2017
C2
정책현안 및 사업 관련 의견 개진 경험 유무
2. 선생님께서는 정부의 정책현안 및 사업과 관련하여 의견을 개진해 본 경험(시민패널, 포럼, 공개회의 등에 직접적인 참여, 정부홈페이지에 게시글, 덧글 등록 등의 온라인을 통한 참여, 정치박람회를 통한 참여 등)이 있으십니까?
정책수용성, 사회통합, 공론화에 대한 인식조사, 2017
C5_1_2
공론화 원칙 중요도2: 투명성 - 공론화 절차의 투명성
5. 다음은 공론화의 주요 원칙과 관련된 요인들입니다. 다음의 요인들이 성공적인 공론화를 위해 얼마나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1) 투명성(2) 공론화 절차의 투명성
정책수용성, 사회통합, 공론화에 대한 인식조사, 2017
C5_2_2
공론화 원칙 중요도2: 민주성 - 참여의 개방성
5. 다음은 공론화의 주요 원칙과 관련된 요인들입니다. 다음의 요인들이 성공적인 공론화를 위해 얼마나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2) 민주성(2) 참여의 개방성
정책수용성, 사회통합, 공론화에 대한 인식조사,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