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53_8
공공봉사동기 인식8: 나는 사회의 이익을 위해 희생할 준비가 되어 있다
53. 귀하께서는 공공봉사동기와 관련한 다음 각 진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8) 나는 사회의 이익을 위해 희생할 준비가 되어 있다
공직생활에 대한 인식조사, 2013
q51_1
공직만족도1: 공무원은 사회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51. 귀하께서는 공직만족도와 관련한 다음 각 진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1) 공무원은 사회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공직생활에 대한 인식조사, 2013
q36_1
공직만족도1: 공무원은 사회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36. 귀하께서는 공직만족도와 관련한 다음 각 항목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1) 공무원은 사회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공직생활실태조사, 2017
q53_9
공공봉사동기 인식9: 나는 사회를 돕기 위해 개인적 손실을 기꺼이 감수하겠다
53. 귀하께서는 공공봉사동기와 관련한 다음 각 진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9) 나는 사회를 돕기 위해 개인적 손실을 기꺼이 감수하겠다
공직생활에 대한 인식조사, 2013
q7_1
채용 관련 인식1: 우리 공직사회는 능력과 자질이 우수한 인재를 채용하고 있다
7. 귀하께서는 채용과 관련한 다음 각 항목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1) 우리 공직사회는 능력과 자질이 우수한 인재를 채용하고 있다
공직생활실태조사, 2023
q30_6
공공봉사동기 인식6: 나는 정책과정에 참여해 사회적으로 의미있는 일을 하는 것에 큰 보람을 느낀다
30. 귀하께서는 공공봉사동기와 관련한 다음 각 항목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6) 나는 정책과정에 참여해 사회적으로 의미있는 일을 하는 것에 큰 보람을 느낀다
공직생활실태조사, 2023
q34_6
공직가치 인식6: 나는 사회적 약자의 권리를 고려하고 보호하려고 노력한다
34. 귀하께서는 공직가치와 관련한 다음 각 항목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6) 나는 사회적 약자의 권리를 고려하고 보호하려고 노력한다
공직생활실태조사, 2023
q37_1
공직만족도1: 공무원은 사회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37. 귀하께서는 공직만족도와 관련한 다음 각 항목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1) 공무원은 사회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공직생활실태조사, 2023
a01
공무원들에게 금품 제공이 행해지는 정도
문4. 귀하는 우리사회에서 민원인들이 업무처리시 공무원들에게 금품/향응/편의 등을 제공하는 행위가 어느 정도 보편화되어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17
c181
각 제도의 공직부패 예방 가능성1: 청탁금지법
문18. 귀하는 우리사회의 공직부패를 척결 및 방지하기 위해 정부가 수행하는 다음과 같은 노력이 얼마나 효과가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1) 청탁금지법 (일명 “김영란법”)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17
a1502
공직부패 해소방안2: 사회전반 부조리풍토 개선
문16. 다음은 공직부패의 해소방안과 관련된 질문입니다. 귀하는 다음 각각의 항목이 공직부패를 해소하는데 어느 정도 영향을 준다고 생각하십니까?
02) 사회전반의 부조리 풍토 개선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17
a1402
공직부패 발생요인2: 사회전반 부조리 풍토
문15. 다음은 공직부패의 발생요인과 관련된 질문입니다. 귀하는 다음 각각의 항목이 공직부패를 일으키는데 어느 정도 원인이 된다고 생각하십니까?
02) 사회전반의 부조리 풍토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17
a173
각 제도의 공직부패 예방 가능성3: 공직자 윤리교육
문18. 귀하는 우리사회의 공직부패를 척결 및 방지하기 위해 정부가 수행하는 다음과 같은 노력이 얼마나 효과가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3) 공직자 윤리교육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17
c06
업무처리시 공무원에게 청탁/알선 행위가 행해지는 정도
문6. 귀하는 우리사회에서 공무원이 업무처리시 민원인의 청탁을 받거나 이를 다른 공무원에게 알선해주는
행위가 어느 정도 보편화되어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17
a171
각 제도의 공직부패 예방 가능성5: 공무원행동강령
문18. 귀하는 우리사회의 공직부패를 척결 및 방지하기 위해 정부가 수행하는 다음과 같은 노력이 얼마나 효과가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5) 공무원행동강령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17
a175
각 제도의 공직부패 예방 가능성6: 공직내부의 감사제도
문18. 귀하는 우리사회의 공직부패를 척결 및 방지하기 위해 정부가 수행하는 다음과 같은 노력이 얼마나 효과가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6) 공직내부의 감사제도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17
a176
각 제도의 공직부패 예방 가능성7: 내부고발자 보호제도
문18. 귀하는 우리사회의 공직부패를 척결 및 방지하기 위해 정부가 수행하는 다음과 같은 노력이 얼마나 효과가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7) 내부고발자보호제도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17
a177
각 제도의 공직부패 예방 가능성8: 금융실명제
문18. 귀하는 우리사회의 공직부패를 척결 및 방지하기 위해 정부가 수행하는 다음과 같은 노력이 얼마나 효과가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8) 금융실명제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17
a178
각 제도의 공직부패 예방 가능성9: 공익신고제도
문18. 귀하는 우리사회의 공직부패를 척결 및 방지하기 위해 정부가 수행하는 다음과 같은 노력이 얼마나 효과가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9) 공익신고제도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17
a1511
공직부패 해소방안11: 공직사회 내부 상납 등 관행 타파
문16. 다음은 공직부패의 해소방안과 관련된 질문입니다. 귀하는 다음 각각의 항목이 공직부패를 해소하는데 어느 정도 영향을 준다고 생각하십니까?
11) 공직사회 내부의 상납 등 관행 타파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