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05
공무원에게 금품/향응/편의 제공 행위의 긍정적 영향
6. 귀하는 행정기관에서 업무 처리 시 민원인이 공무원에게 금품/향응/편의 등을 제공하는 행위가 어느 정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십니까?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20
a04
공무원에게 금품/향응/편의 제공 필요성
5. 귀하는 행정기관에서 업무 처리 시 민원인이 공무원에게 금품/향응/편의 등을 제공하는 행위가 어느 정도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20
a032
지난 1년간 변화2: 반부패관련 시민단체의 적극적 활동
4-1. 귀하는 다음 각 항목의 지난 1년간 변화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2) 반부패 관련 시민단체의 적극적 활동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20
a034
지난 1년간 변화4: 행정의 투명성
4-1. 귀하는 다음 각 항목의 지난 1년간 변화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4) 행정 투명성(절차준수, 처리공정성, 이의제기 용이성 등)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20
a033
지난 1년간 변화3: 반부패관련 정부의 엄격한 법집행
4-1. 귀하는 다음 각 항목의 지난 1년간 변화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3) 반부패 관련 정부의 엄격한 법집행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20
a035
지난 1년간 변화5: 공무원의 반부패 의식
4-1. 귀하는 다음 각 항목의 지난 1년간 변화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5) 공무원의 반부패 의식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20
a0812
행정계층 기관별 부정부패 정도2: 중앙행정기관 일선지방관청
11. [행정 기관의 부정부패 정도] 귀하는 다음과 같은 행정기관에서 부정부패가 어느 정도 심하다고 생각하십니까?
(2) 중앙행정기관의 일선지방관청(경찰서/세무서/교육청 등)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20
a0815
행정계층 기관별 부정부패 정도5: 최일선 지방행정기관
11. [행정 기관의 부정부패 정도] 귀하는 다음과 같은 행정기관에서 부정부패가 어느 정도 심하다고 생각하십니까?
(5) 최일선 지방행정기관(읍/면/동)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20
a0816
행정계층 기관별 부정부패 정도6: 공기업 및 공직유관기관
11. [행정 기관의 부정부패 정도] 귀하는 다음과 같은 행정기관에서 부정부패가 어느 정도 심하다고 생각하십니까?
(6) 공기업 및 공직유관기관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20
a0813
행정계층 기관별 부정부패 정도3: 광역자치단체
11. [행정 기관의 부정부패 정도] 귀하는 다음과 같은 행정기관에서 부정부패가 어느 정도 심하다고 생각하십니까?
(3) 광역자치단체(시/도 본청)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20
a0814
행정계층 기관별 부정부패 정도4: 기초자치단체
11. [행정 기관의 부정부패 정도] 귀하는 다음과 같은 행정기관에서 부정부패가 어느 정도 심하다고 생각하십니까?
(4) 기초자치단체(시/군/구)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20
a0811
행정계층 기관별 부정부패 정도1: 중앙행정기관 본청
11. [행정 기관의 부정부패 정도] 귀하는 다음과 같은 행정기관에서 부정부패가 어느 정도 심하다고 생각하십니까?
(1) 중앙행정기관 본청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20
a0912
직업유형별 부정부패 정도2: 사법
12. [우리사회 직업분야별 부정부패 정도] 귀하는 다음과 같은 직업분야별 부정부패가 어느 정도 심하다고 생각하십니까?
(2) 사법(법의 해석 및 판정)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20
a0911
직업유형별 부정부패 정도1: 입법
12. [우리사회 직업분야별 부정부패 정도] 귀하는 다음과 같은 직업분야별 부정부패가 어느 정도 심하다고 생각하십니까?
(1) 입법(법의 제정)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20
a1107
행정계층 기관별 부정부패 정도7: 지방의회
11. [행정 기관의 부정부패 정도] 귀하는 다음과 같은 행정기관에서 부정부패가 어느 정도 심하다고 생각하십니까?
(7) 지방의회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20
c192
김영란법 시행 이후 기업활동과 관련한 변화2: 공직자를 상대로 명절이나 기념일에 제공하던 선물이나 접대 등이 줄어들었다
18. 2016년 9월 28일 청탁금지법(일명 “김영란법”) 시행이후 기업활동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변화가 얼마나 진행되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2) 공직자를 상대로 명절이나 기념일에 제공하던 선물이나 접대 등이 줄어들었다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20
c193
김영란법 시행 이후 기업활동과 관련한 변화3: 공직자의 경조사에 내던 축의금 혹은 부의금의 횟수나 금액이 줄어들었다
18. 2016년 9월 28일 청탁금지법(일명 “김영란법”) 시행이후 기업활동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변화가 얼마나 진행되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3) 공직자의 경조사에 내던 축의금 혹은 부의금의 횟수나 금액이 줄어들었다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20
c195
김영란법 시행 이후 기업활동과 관련한 변화5: 공직자를 대상으로 한 강연·자문·기고 요청 등이 줄어들었다
18. 2016년 9월 28일 청탁금지법(일명 “김영란법”) 시행이후 기업활동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변화가 얼마나 진행되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5) 공직자를 대상으로 한 강연·자문·기고 요청 등이 줄어들었다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20
c194
김영란법 시행 이후 기업활동과 관련한 변화4: 공직자를 대상으로 한 청탁이나 요청 등이 줄어들었다
18. 2016년 9월 28일 청탁금지법(일명 “김영란법”) 시행이후 기업활동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변화가 얼마나 진행되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4) 공직자를 대상으로 한 청탁이나 요청 등이 줄어들었다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20
a203
공직자와의 업무처리 과정에서 부패지수3: 공무원들이 지위를 이용하여 부당한 알선청탁을 하거나 압력을 행사한다
19. 귀하는 공직자의 업무처리과정에 관한 다음 각각의 항목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3) 공무원들이 지위를 이용하여 부당한 알선청탁을 하거나 압력을 행사한다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20